KR102004379B1 -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379B1
KR102004379B1 KR1020180039983A KR20180039983A KR102004379B1 KR 102004379 B1 KR102004379 B1 KR 102004379B1 KR 1020180039983 A KR1020180039983 A KR 1020180039983A KR 20180039983 A KR20180039983 A KR 20180039983A KR 102004379 B1 KR102004379 B1 KR 10200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play
kitchen
kitchen pla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티큐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티큐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티큐빅
Priority to KR102018003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379B1/ko
Priority to US17/045,177 priority patent/US11907413B2/en
Priority to PCT/KR2019/003843 priority patent/WO201919452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63F13/65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by importing photos, e.g. of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55Ovens, or other coo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79Updates performed during online database operations; commi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완구용 조리도구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 상기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이용하여 주방놀이로서 조리되는 완구 소품들의 세트인 소꼽놀이 세트; 상기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와 소꼽놀이 세트를 통하여 주방놀이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소꼽놀이 세트의 완구 소품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주방놀이 종류와 함께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 전송하며,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 및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에 포함된 완구용 싱크대에 결합된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거울을 통해 반사되는 주방놀이용 완구를 촬영하여 촬영된 거울 영상에서 검출되는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Children's kitchen play system based on AR, VR a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gn smartphone}
본 발명은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실물 주방놀이에 융합한 주방놀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어린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완구에는 단순한 유희적인 목적의 완구에서부터, 각종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이나 언어교육을 위한 교육용 완구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와 목적이 다양한 완구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완구들을 가지고 노는 소꿉놀이는 주로 어린이들이 장난감 그릇이나 기구를 가지고 살림살이 흉내를 내며 즐기는 놀이로 가정놀이에서는 부모와 자녀의 구실을 나누어 놀고, 학교놀이에서는 스승과 제자로 나누어 놀며, 병원놀이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그리고 환자 등의 역을 각각 나누어 노는 놀이가 있다.
예컨대, 예전 놀이기구는 풀이나 흙을 식량으로, 조개 껍데기를 솥으로, 고무신을 자동차로 여기는 등 주로 자연물이나 주위의 물품을 이용하였으나, 현대에는 플라스틱, 목재, 알루미늄 등으로 만든 축소형 가정생활용품을 비롯한 각종 놀이기구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한편, 어린이들은 학습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정에서 언어에 대한 인식, 사물에 대한 인식 및 사고에 대한 예방들을 학습 교육을 통해 하고 있다. 또한, 학습 교육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어린이의 특성상 자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학습의 효율이 높아진다. 이에 어린이들은 부모들의 언어 및 행동들을 그대로 따라 하는 학습능력이 뛰어나 현실감 있는 소꿉놀이를 통해 실제생활을 학습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소꿉놀이 중 주방놀이를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방놀이용 완구는 대부분 가정용 주방기구를 어린이들에 맞추어 단순 축소하여 제조한 것에 불과하여 기능이 전혀 없음은 물론 그 외의 다른 어떠한 기능도 할 수 없는 것이고, 단순히 형태적 모형에 의해 현실감이 떨어지는 놀이를 하므로 어린이들이 금방 싫증을 내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발광체, 음향 효과가 부가된 주방놀이용 완구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정적인 효과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어서 어린이들의 흥미를 오랫동안 유지시키지 못한다.
이에 사람들로부터 각광받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의 가상증강 IT 기술을 주방놀이용 완구와 융합하여 어린이들이 스스로 요리학습 및 소꿉놀이를 흥미를 가지면서 즐길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63237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유아, 어린이들이 주방놀이를 할 때 실물 주방놀이와 가상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스스로 요리 학습을 할 수 있는 주방놀이 시스템 구축 방법과, 실물 주방놀이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융합하는 매개체이자,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창출 수단으로써 소꿉놀이 세트, 업그레이드 키트 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완구용 조리도구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 상기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이용하여 주방놀이로서 조리되는 완구 소품들의 세트인 소꼽놀이 세트; 상기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와 소꼽놀이 세트를 통하여 주방놀이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소꼽놀이 세트의 완구 소품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주방놀이 종류와 함께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 전송하며,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 및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에 포함된 완구용 싱크대에 결합된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거울을 통해 반사되는 주방놀이용 완구를 촬영하여 촬영된 거울 영상에서 검출되는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거울은, 상기 완구용 싱크대와 힌지 결합하여, 완구용 싱크대에 놓인 완구용 도마를 향하여 반사각이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는, 어느 하나의 주방놀이용 완구가 검출되는 경우 다음번째 진행해야 해는 주방놀이 순서를 안내하는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및 검출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 상태에 따른 주방놀이를 칭찬 또는 재시도를 지도하는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는, 정지 영상, 동영상, 가상현실 그래픽, 증강현실 그래픽, 안내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저장한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다음 순서로 진행해야 하는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를 완구고유번호별로 저장한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저장 DB; 및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주방놀이용 완구 상태에 따른 주방놀이를 칭찬 또는 재시도를 지도하는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를 완구고유번호별로 저장한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 저장 D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각 완구고유번호별로 상기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및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의 조합을 달리하여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는, 사용자 수작업에 의해 주방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완구가 마련된 기본 완구 본체; 및 사용자 기기조작에 의해 주방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업그레이드 완구가 마련된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를 포함하며,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사용자 기기조작값을 검출되는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기기조작값,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별로 기기조작 기본값이 할당된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을 포함하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기기조작값과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에 저장된 기기조작 기본값을 대조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기기조작값이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에 저장된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에 할당된 기기조작 기본값과 비교하여 차이나는 경우 기기조작이 잘못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에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와 통신하는 단말기 통신부;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가 오디오로서 출력되는 단말기 스피커;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 완구 형상 특징점, 완구 부착 QR코드, 완구 부착 NFC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에서 사용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완구고유번호 추출부; 및 추출한 완구고유번호를 상기 단말기 통신부를 통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 전송하며,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통신부를 통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앱이 구동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구 형상 특징점을 이용하여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용 완구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완구 형상 특징점별로 완구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한 완구 형상 특징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완구고유번호 추출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방놀이 영상에서 주방놀이에 사용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 형상 특징점을 추출하여, 추출한 완구 형상 특징점에 할당된 완구고유번호를 완구 형상 특징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완구 부착 QR코드를 이용하여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용 완구에 부착된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QR식별정보별로 완구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한 QR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완구고유번호 추출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방놀이용 완구에 부착된 QR코드의 QR식별정보를 판독하여, 판독한 QR식별정보에 할당된 완구고유번호를 상기 QR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완구 부착 NFC태그를 이용하여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방놀이용 완구에 부착된 완구 부착 NFC 태그와 NFC 통신하여 NFC식별정보를 판독하는 NFC 판독기; 및 NFC식별정보별로 완구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한 NFC태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완구고유번호 추출부는, 상기 NFC 판독기를 통해 판독되는 NFC식별정보에 할당된 완구고유번호를 상기 NFC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아, 어린이들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만, 실제로는 실물 주방놀이에서 요리지도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스마트폰에만 집중되는 시야를 실물로 분산 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주방놀이가 아닌, 실물 역할 놀이를 실제로 진행 함으로써 기존 주방놀이와 차별화된 놀이와 교육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상증강현실이 융합된 스마트폰 그래픽을 통해 각각의 요리소품 정보와 실제 주방기구의 사용방법, 안전교육 등의 정보를 받음으로써 교육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의 예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상증강현실 기반의 주방놀이에서 거울을 통하여 촬영되는 주방놀이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상증강현실 기반의 주방놀이에서 거울을 통하여 촬영되는 주방놀이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실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의 예시 테이블 도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예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의 예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상증강현실 기반의 주방놀이에서 거울을 통하여 촬영되는 주방놀이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상증강현실 기반의 주방놀이에서 거울을 통하여 촬영되는 주방놀이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실제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의 예시 테이블 도표이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주방놀이(요리지도)를 안내해주는 것으로서, 유아(2~4세)가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실제 주방과 같이 만들어지며 대략 1m 정도, 씽크대, 전자레인지, 오븐, 스토브 등이 구비됨)에서 소꿉놀이 소품을 이용하여 요리를 하면 거치되어 있는 스마트폰에서 진행과정들을 인식하여 요리가 잘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은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해준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에 거치하고 스마트폰이 도마를 촬영하게 되면, 햄버거, 피자, 샐러드 등 요리별로 요리진행단계를 정하여, 유아가 각 단계에 맞게 소품을 도마 위에 올려놓으면, 스마트폰에서 각 단계가 잘 수행되고 있는지 화면 및 음성을 통해 지도한다. 각 단계가 잘 수행되었으면 잘했다고 칭찬하는 맨트, 화면이 나오고, 잘못 수행되었으면 재시도를 설명하는 안내 멘트 화면이 나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100), 소꿉놀이 세트(110),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12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 (100)는, 본 주방놀이를 즐길 수 있는 주 아이템으로서, 완구용 싱크대, 완구용 냉장고, 완구용 도마, 완구용 전자 레인지, 완구용 오븐 등의 완구용 조리도구가 하나의 세트를 이룰 수 있으며, 완구용 칼, 완구용 냄비, 완구용 그릇, 완구용 수저/조리세트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가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100)의 완구용 싱크대를 향하도록 거치대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 거치대는 촬영각도가 가변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에 포함된 완구용 싱크대에 결합된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해 완구용 싱크대의 상부를 촬영하고자 할 때 촬영각이 안 나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거울을 완구용 싱크대 상부에 결합시켜 마련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울을 통해 반사되는 주방놀이 모습을 사용자 단말기(200)가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거울은, 완구용 싱크대와 힌지 결합하여, 완구용 싱크대에 놓인 도마 완구를 향하여 반사각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어린이 등의 사용자는, 거울을 회동시켜 거울 반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소꿉놀이 세트(110)는 완구 본체를 이용하여 주방놀이로서 조리되는 채소, 과일, 치즈, 빵, 계란, 고기, 요구르트, 조미료 통 등의 축소 모형 형태의 완구 소품의 세트로서, 사용자 단말기(200)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그 형상이 촬영되어 주방놀이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판별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며, 소비자가 추가로 구매 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창출 주체가 된다.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120)는 완구용 전자레인지, 완구용 오븐, 완구용 스토브 등의 조작부에 근거리 통신장치가 설치된 것으로서, 이 또한 주방놀이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판별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며, 소비자가 추가로 구매해야 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창출 주체가 된다.
이러한 소꿉놀이 세트(110;예컨대, 채소, 과일, 빵, 계란, 조미료 통 모양 등의 완구 소품)와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120;예컨대, 전자레인지 조작부, 오븐 조작부, 아이스 메이커 조작부, 스토브 등)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100)와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연결 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주방놀이를 즐기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100), 소꿉놀이 세트(110),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120) 등을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에서 사용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한 완구고유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주방놀이 종류와 함께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로 전송하며,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앱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완구고유번호는, 각 완구별로 할당된 아이디로서, 예컨대, 완구용 도마의 경우는 Ox001, 완구용 칼의 경우는 Ox002, 완구용 계란의 경우는 0x003, 완구용 토마토의 경우는 Ox004의 고유 아이디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는, 어느 하나의 주방놀이용 완구가 검출되는 경우 다음번째 진행해야 하는 주방놀이 순서를 안내하는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란 후라이 주방놀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ㅎ후 후라이팬 완구가 검출되는 경우, 다음번째 조리 순서인 완구용 계란을 후라이팬에 놓도록 하는 안내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는,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이외에, 검출된 주방놀이용 완구가 주방놀이 프로그램의 지시를 올바로 수행했는지의 여부에 따른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란 후라이 주방놀이인 경우, 후라이팬 완구가 검출된 후 이어서 다음번째 조리 순서인 완구용 계란이 검출되는 경우, 계란 후라이 요리가 잘되어 가고 있다는 칭찬 음성, 칭찬 화면 등의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계란 이외의 사물이 검출될 경우 계란이 아니니 계란을 다시 가져 오라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는, 정지 영상(사진, 그림 등), 동영상, 가상현실 그래픽, 증강현실 그래픽, 안내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참고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이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 화면으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또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이란 현실화면이 보여지는 영상위로 가상의 사물이 중첩되는 바, 결과적으로 현실화면에 가상 콘텐츠가 보충되어 표시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7과 함께 좀 더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와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데,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310),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330), 및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330)는,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저장한 저장체이다. 이러한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330)는,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저장 DB(331)와,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 저장 DB(3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저장 DB(331)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다음 순서로 진행해야 하는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를 완구고유번호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란 후라이 주방놀이의 경우 "완구용 후라이팬 -> 완구용 계란 -> 완구용 소금"의 순서가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로서 할당되어 저장되며, 김밥 주방놀이의 경우 "완구용 김 -> 완구용 밥 -> 완구용 야채 -> 완구용 김 말기"의 순서가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로서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 저장 DB(332)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주방놀이용 완구 상태에 따른 주방놀이를 칭찬하는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를 완구고유번호별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란 후라이 주방놀이의 경우, 완구용 후라이팬 검출 후에 완구용 계란이 검출되는 경우 잘했다는 칭찬 멘트 등의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가 할당되며, 완구용 후라이팬 검출 후에 완구용 계란이 검출되지 않고 다른 완구가 검출되는 경우 요리가 잘못되어 가고 있으니 다른 완구로 재시도 하라는 안내 멘트가 할당된다.
나아가,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330)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각 완구고유번호별로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및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의 조합을 달리하여 할당한다. 예를 들어, 계란 후라이 주방놀이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검출되는 완구고유번호에 따라서 "주방놀이 순서 안내 제1콘텐츠 -> 주방놀이 칭찬 제1콘텐츠 -> 주방놀이 칭찬 제2콘텐츠 -> 주방놀이 순서 안내 제2콘텐츠 ->..." 등이 조합되어 할당 저장될 수 있다.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서버 통신부(3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주방놀이중에 검출되는 주방놀이용 완구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안내 콘텐츠를 음성, 정지영상, 동영상, 가상현실 그래픽, 증강현실 그래픽 등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120)는, 사용자 기기조작에 의해 주방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업그레이드 완구가 마련된 킷트이다.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 완구는, 완구용 전자렌지, 완구용 가스렌지, 완구용 오븐, 완구용 아이스 메이커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마련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은,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1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사용자 기기조작값을 검출되는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200)에 무선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는,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1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기기조작값,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구용 전자렌지의 경우, 어린이 등의 사용자가 완구용 만두를 완구용 전자렌지에 넣고 3분 가열을 선택한 경우, 완구용 전자렌지는, 자신의 전자렌지고유번호와 함께 3분 가열 조작이 있음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3분 가열 조작이 있음을 전자렌지고유번호와 함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로 무선 전송한다.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의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330)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별로 기기조작 기본값이 할당된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333)를 구비한다.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기기조작값과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333)에 저장된 기기조작 기본값을 대조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제공한다. 따라서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기기조작값이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333)에 저장된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에 할당된 기기조작 기본값과 비교하여 차이나는 경우 기기조작이 잘못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두 만들기 주방놀이 요리의 경우 완구용 만두 검출 후에 전자렌지 10분 조작(기기조작 기본값)이 되어야 하는것으로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333)에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완구용 만두 검출 후에 전자렌지의 3분 가열 조작이 있음을 수신한 경우, 기기조작 기본값 10분과 비교할 때 수신한 3분 가열 조작은 7분이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320)는 전자렌지 조작이 잘못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통보한다.
따라서 유아, 어린이 등의 사용자는, 자신이 주방놀이를 할 때 완구용 전자렌지, 완구용 가스렌지 등의 조작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예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예시 그림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에서 사용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추출한 완구고유번호를 주방놀이 종류와 함께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로 전송하며,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210), 단말기 스피커(220), 단말기 입력부(230), 단말기 표시부(240), 완구고유번호 추출부(250), 주방놀이 도우미 앱이 설치된 단말기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2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와 통신하는 모듈이다.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 스피커(220)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가 오디오 형태로 출력되는 모듈이다.
단말기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조작값을 입력받는 모듈이다.
단말기 표시부(240)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가 표시되는 모듈이다. 이러한 단말기 입력부(230)와 단말기 표시부(240)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완구고유번호 추출부(250)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에서 사용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모듈이다.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함에 있어서, 완구 형상 특징점, 완구 부착 QR코드, 완구 부착 NFC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완구 형상 특징점을 이용하여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용 완구를 촬영하는 카메라(251)와, 완구 형상 특징점별로 완구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한 완구 형상 특징점 데이터베이스(2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완구 형상 특징점은, 주방놀이용 완구의 외부 형상 등의 형상 특징점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완구고유번호 추출부(250)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51)를 통해 촬영된 주방놀이 영상에서 주방놀이에 사용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 형상 특징점을 추출하여, 추출한 완구 형상 특징점에 할당된 완구고유번호를 완구 형상 특징점 데이터베이스(253)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즉, 카메라(251)를 통해 촬영된 완구 이미지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상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촬영된 완구의 형상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추출한 완구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완구고유번호를 완구 형상 특징점 데이터베이스(253)로부터 추출하는 것이다.
만약,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에 거울이 마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는, 거울을 통해 반사되는 주방놀이용 완구를 촬영하여 촬영된 거울 영상에서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완구에 부착된 QR코드인 완구 부착 QR코드를 이용하여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용 완구에 부착된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251)와, QR식별정보별로 완구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한 QR코드 데이터베이스(254)를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QR코드는, 데이터 영역의‘바둑판 무늬’가 밝은 색이냐 어두운색이냐에 따라 0과 1을 구분하는 것이다. 바둑판무늬의 격자가 조밀할수록 많은 데이터를 넣을 수 있다. 들어가는 정보량에 따라 바둑판의 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현재 버전1(바둑판무늬가 가로 21개×세로 21개)부터 버전40(177×177)까지 가능하다. 가장 높은 버전40을 데이터로 환산하면 23,648비트다. 숫자 7,089개, 영문자 4,296개, 바이너리 2,953개까지 담을 수 있는 양이다. 따라서 인쇄된 QR코드의 격자 패턴에 따라서 QR식별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완구고유번호 추출부(250)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51)를 통해 촬영된 주방놀이용 완구에 부착된 완구 부착 QR코드의 QR식별정보를 판독하여, 판독한 QR식별정보에 할당된 완구고유번호를 QR코드 데이터베이스(254)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완구 부착 NFC 태그를 이용하여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주방놀이용 완구에 부착된 완구 부착 NFC 태그와 NFC 통신하여 NFC식별정보를 판독하는 NFC 판독기(252)와, NFC식별정보별로 완구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한 NFC태그 데이터베이스(255)를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단순하고 안전한 2-웨이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기반 근거리(수 센티미터) 무선 접속 기술이다.
따라서 완구고유번호 추출부(250)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NFC 판독기(252)를 통해 판독되는 NFC식별정보에 할당된 완구고유번호를 NFC태그 데이터베이스(255)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제어부(26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주방놀이 도우미 앱이 구동되는 모듈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주방놀이 도우미 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260)에 의해 구동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앱은, 추출한 완구고유번호를 단말기 통신부(210)를 통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로 전송하며,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단말기 통신부(210)를 통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계란 후라이 주방놀이의 경우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완구용 후라이팬이 검출되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구용 후라이팬에 완구용 계란을 깨뜨려 위치시키는 가상현실(VR) 그래픽, 증강현실(AR) 그래픽이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로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완구용 후라이팬에 완구용 계란을 올리라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주방놀이용 완구 본체
110:소꼽놀이 세트
120: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200:사용자 단말기
300:주방놀이 도우미 서버

Claims (14)

  1. 완구용 조리도구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
    상기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이용하여 주방놀이로서 조리되는 완구 소품들의 세트인 소꼽놀이 세트;
    상기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와 소꼽놀이 세트를 통하여 주방놀이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소꼽놀이 세트의 완구 소품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주방놀이 종류와 함께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 전송하며,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 및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에 포함된 완구용 싱크대에 결합된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거울을 통해 반사되는 주방놀이용 완구를 촬영하여 촬영된 거울 영상에서 검출되는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며,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저장한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주방놀이 종류와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안내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다음 순서로 진행해야 하는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를 완구고유번호별로 저장한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저장 DB; 및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주방놀이용 완구 상태에 따른 주방놀이를 칭찬 또는 재시도를 지도하는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를 완구고유번호별로 저장한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 저장 DB;
    를 포함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상기 완구용 싱크대와 힌지 결합하여, 완구용 싱크대에 놓인 완구용 도마를 향하여 반사각이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는,
    어느 하나의 주방놀이용 완구가 검출되는 경우 다음번째 진행해야 해는 주방놀이 순서를 안내하는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및
    검출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 상태에 따른 주방놀이를 칭찬 또는 재시도를 지도하는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는,
    정지 영상, 동영상, 가상현실 그래픽, 증강현실 그래픽, 안내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각 완구고유번호별로 상기 주방놀이 순서 안내 콘텐츠 및 주방놀이 칭찬/재시도 콘텐츠의 조합을 달리하여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는,
    사용자 수작업에 의해 주방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완구가 마련된 기본 완구 본체; 및
    사용자 기기조작에 의해 주방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업그레이드 완구가 마련된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를 포함하며,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마련된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사용자 기기조작값을 검출되는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기기조작값,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저장부는,
    주방놀이 종류에 따라서,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별로 기기조작 기본값이 할당된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을 포함하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기기조작값과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에 저장된 기기조작 기본값을 대조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기기조작값이 상기 업그레이드 완구 키트 기본값 저장 DB에 저장된 업그레이드 완구의 완구고유번호에 할당된 기기조작 기본값과 비교하여 차이나는 경우 기기조작이 잘못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에 통보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와 통신하는 단말기 통신부;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가 오디오로서 출력되는 단말기 스피커;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
    완구 형상 특징점, 완구 부착 QR코드, 완구 부착 NFC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에서 사용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완구고유번호 추출부; 및
    추출한 완구고유번호를 상기 단말기 통신부를 통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 전송하며, 완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주방놀이 도우미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통신부를 통하여 주방놀이 도우미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주방놀이 도우미 앱이 구동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완구 형상 특징점을 이용하여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용 완구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완구 형상 특징점별로 완구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한 완구 형상 특징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완구고유번호 추출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방놀이 영상에서 주방놀이에 사용된 주방놀이용 완구의 완구 형상 특징점을 추출하여, 추출한 완구 형상 특징점에 할당된 완구고유번호를 완구 형상 특징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완구 부착 QR코드를 이용하여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방놀이용 완구 본체를 통해 진행되는 주방놀이용 완구에 부착된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QR식별정보별로 완구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한 QR코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완구고유번호 추출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방놀이용 완구에 부착된 완구 부착 QR코드의 QR식별정보를 판독하여, 판독한 QR식별정보에 할당된 완구고유번호를 상기 QR코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완구 부착 NFC태그를 이용하여 완구고유번호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방놀이용 완구에 부착된 완구 부착 NFC 태그와 NFC 통신하여 NFC식별정보를 판독하는 NFC 판독기; 및
    NFC식별정보별로 완구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한 NFC태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완구고유번호 추출부는, 상기 NFC 판독기를 통해 판독되는 NFC식별정보에 할당된 완구고유번호를 상기 NFC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KR1020180039983A 2018-04-05 2018-04-05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KR10200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983A KR102004379B1 (ko) 2018-04-05 2018-04-05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US17/045,177 US11907413B2 (en) 2018-04-05 2019-04-02 Play kitchen system using smart device based on virtual augmented reality a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CT/KR2019/003843 WO2019194521A1 (ko) 2018-04-05 2019-04-02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983A KR102004379B1 (ko) 2018-04-05 2018-04-05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379B1 true KR102004379B1 (ko) 2019-07-29

Family

ID=6748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983A KR102004379B1 (ko) 2018-04-05 2018-04-05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07413B2 (ko)
KR (1) KR102004379B1 (ko)
WO (1) WO20191945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072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뉴토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가상 조리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9232A (zh) * 2020-06-28 2020-08-28 江苏科技大学 一种基于虚拟现实和增强现实技术的智能手机及辅助英语学习方法
CN113521757A (zh) * 2021-07-22 2021-10-22 浙江理工大学科技与艺术学院 基于图像识别的桌面烹饪游戏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1117A1 (en) * 2001-02-09 2002-08-15 Heng-Chun Ho Toy car camera system and rear vision mirrors
KR20070043764A (ko) * 2007-04-06 2007-04-25 고창용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완구 및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완구를이용한 멜로디 정보 조회 방법
KR20130111492A (ko) * 2013-07-31 2013-10-10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KR101463237B1 (ko) 2013-12-23 2014-11-21 김세중 완구용 주방기구
US20170173489A1 (en) * 2014-02-06 2017-06-22 Seebo Interactive, Ltd. Connected Kitchen To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258A (en) * 1981-03-23 1982-06-08 Mccaslin Robert E Electronic toy
SE0203511L (sv) * 2002-11-28 2004-03-09 Patrik Borg Optisk anordning
US6937152B2 (en) * 2003-04-08 2005-08-30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Wireless interactive doll-houses and playsets therefor
US9446904B2 (en) * 2010-05-04 2016-09-20 Freeosk, Inc. Interchangeable insert for an auger
US20140259378A1 (en) * 2013-03-15 2014-09-18 Berg Companies, Inc. Portable sink stand
US9776071B2 (en) * 2013-05-09 2017-10-03 Mattel, Inc. Resonant coils for use with games and toys
GB201321799D0 (en) * 2013-12-10 2014-01-22 Plum Products Ltd Children's play kitchen
US20160184724A1 (en) * 2014-08-31 2016-06-30 Andrew Butler Dynamic App Programming Environment with Physical Object Interaction
KR200483471Y1 (ko) * 2015-12-14 2017-05-18 주식회사 에프티큐빅 주방놀이용 완구
US9808736B2 (en) * 2016-01-08 2017-11-07 Kenyield International Group Ltd. Collapsible toy structures
US11154777B2 (en) * 2020-03-19 2021-10-26 Disney Enterprises, Inc. Dynamic interactive media for a plays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1117A1 (en) * 2001-02-09 2002-08-15 Heng-Chun Ho Toy car camera system and rear vision mirrors
KR20070043764A (ko) * 2007-04-06 2007-04-25 고창용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완구 및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완구를이용한 멜로디 정보 조회 방법
KR20130111492A (ko) * 2013-07-31 2013-10-10 주식회사 휴먼리그 음악 교육용 블록 완구
KR101463237B1 (ko) 2013-12-23 2014-11-21 김세중 완구용 주방기구
US20170173489A1 (en) * 2014-02-06 2017-06-22 Seebo Interactive, Ltd. Connected Kitchen To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072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뉴토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가상 조리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87408A1 (en) 2021-06-24
WO2019194521A1 (ko) 2019-10-10
US11907413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379B1 (ko)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주방놀이 시스템
US8323026B2 (en) Interactive recipe preparation using instructive device with integrated actuators to provide tactile feedback
US8342847B2 (en) Interactive recipe preparation instruction delivery to disabled indiviuals
US8419434B2 (en) Interactive recipe preparation using interactive cooking device to communicate with kitchen appliances
US20190304588A1 (en) Fo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713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linary interaction
US20090259687A1 (en) Interactive Recipe Preparation Using Instructive Device with Integrated Actuators to Provide Tactile Feedback
CN101452339A (zh) 在虚拟宇宙中呈现真实世界对象与交互的方法和系统
WO2005088542A1 (ja) 食材調理操作認識システム及び食材調理操作認識プログラム
CN110287306A (zh) 一种食谱推荐方法及设备
KR102004378B1 (ko) 가상증강현실과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주방놀이 시스템
US202202731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Food Cooking or Heating Operations
CN109242017A (zh) 物体信息的智能识别方法、装置和设备
KR101948306B1 (ko) 심리 상태에 따른 레시피 추천 방법 및 장치
JP3929246B2 (ja) 玩具装置
KR20210065772A (ko) 가상 현실 요리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9684550A (zh) 一种基于电子设备的餐厅推荐方法及装置
KR20130084491A (ko) Nfc 태그가 내장된 블럭을 포함하는 완구세트 및 그 동작방법
CN109545329A (zh) 一种基于智能家居的食材推送方法及装置
CN109658200A (zh) 一种餐厅信息推送方法及装置
KR102189589B1 (ko) 사용자 단말기와 조리기기를 연동한 간편식품 조리 방법
CN109784026A (zh) 基于生物特征识别的菜品推荐方法及装置、介质和设备
CN110579985A (zh) 一种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7998673B (zh) 基于近距离通信的玩具装置
KR20220107506A (ko)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의 요리 체험 학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