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591B1 -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 Google Patents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591B1
KR101923591B1 KR1020170124186A KR20170124186A KR101923591B1 KR 101923591 B1 KR101923591 B1 KR 101923591B1 KR 1020170124186 A KR1020170124186 A KR 1020170124186A KR 20170124186 A KR20170124186 A KR 20170124186A KR 101923591 B1 KR101923591 B1 KR 101923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order
charact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102017012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주문 단말기에 설치된 메뉴 주문 앱이 실행되면, 캐릭터가 화면에 등장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도록 유도하여, 판독된 식별코드번호를 고객 정보와 함께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3D 메뉴판을 요청하는 3D 메뉴판 요청 과정; 캐릭터에 의해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식별코드번호별로 할당하여 저장한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가, 상기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별코드번호에 할당된 3D 메뉴판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주문 단말기에 전송하는 3D 메뉴판 콘텐츠 전송 과정; 상기 주문 단말기가, 상기 캐릭터에 의해서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표시하는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 상기 주문 단말기가, 상기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에 의하여 3D 메뉴판 콘텐츠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메뉴 주문을 입력받아, 주문 메뉴 정보를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주문 메뉴 정보 전송 과정;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가, 상기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문 메뉴 정보 중계 과정; 및 상기 매장 단말기가,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메뉴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Method for menu ordering using character}
본 발명은 메뉴 주문 방법으로서, 식당, 카페 등의 매장에서 메뉴를 주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집이나 레스토랑, 매장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음식점에서는 해당 음식점에 입장한 고객이 자리를 잡고 앉은 상태에서 개별 메뉴판이나 벽면 등에 설치된 메뉴판의 내용을 확인한 후 종업원을 통해 특정 음식을 직접 주문하게 된다. 또한, 주문을 통해 나온 음식을 모두 취식한 후에는 별도의 빌지 등을 갖고 카운터로 이동하여 현금 또는 카드 등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취식한 음식에 대한 지불을 행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음식점에서의 음식 주문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 메뉴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 메뉴판에 있어서는 특정 음식점의 메뉴판 디스플레이 및 주문 기능만이 구비되어 있어 단순한 주문 형태만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기존의 전자 메뉴판의 경우 고객과의 교감을 나눌 수 있는 메뉴판 형태가 아니어서 음식 주문 시에 고객의 흥미를 떨어뜨리며, 이는 매장으로의 고객 재방문을 유도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45281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손쉽게 메뉴 주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고객과의 교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주문 단말기에 설치된 메뉴 주문 앱이 실행되면, 캐릭터가 화면에 등장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도록 유도하여, 판독된 식별코드번호를 고객 정보와 함께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3D 메뉴판을 요청하는 3D 메뉴판 요청 과정; 캐릭터에 의해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식별코드번호별로 할당하여 저장한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가, 상기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별코드번호에 할당된 3D 메뉴판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주문 단말기에 전송하는 3D 메뉴판 콘텐츠 전송 과정; 상기 주문 단말기가, 상기 캐릭터에 의해서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표시하는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 상기 주문 단말기가, 상기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에 의하여 3D 메뉴판 콘텐츠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메뉴 주문을 입력받아, 주문 메뉴 정보를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주문 메뉴 정보 전송 과정;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가, 상기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문 메뉴 정보 중계 과정; 및 상기 매장 단말기가,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메뉴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 메뉴 정보 표시 과정이 있은 후, 상기 매장 단말기가, 주문된 음식의 조리 단계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조리 단계 정보 전송 과정; 및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가,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조리 단계 정보를 상기 주문 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려주는 조리 단계 정보 알림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메뉴판 요청 과정은, 상기 메뉴 주문 앱이 실행되는 주문 단말기가, 캐릭터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도록 유도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에 대한 식별코드번호를 파악하는 식별코드번호 파악 과정; 상기 주문 단말기가, 캐릭터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고객 정보를 파악하는 고객정보 파악 과정; 및 상기 주문 단말기가, 판독된 식별코드번호를 고객 정보와 함께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식별코드번호 전송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메뉴판 콘텐츠 전송 과정은, 상기 고객 정보에 기반한 추천 메뉴 정보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은, 3D 메뉴판 콘텐츠 중에서 상기 추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메뉴를 상기 캐릭터가 추천하여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은, 고객이 캐릭터를 드래깅 이동시켜가며 메뉴를 선택받도록 표시하며, 고객으로부터 선택되는 메뉴의 음식 특성에 따라서 캐릭터의 크기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은, 메뉴에 있는 음식 정상량이 선택되는 경우,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크기를 제1크기로 하며, 메뉴에 있는 음식 정상량보다 큰 곱배기의 음식이 선택되는 경우,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크기를 상기 제1크기보다 더 큰 제2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은, 음식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색상을 음식의 맛 특성에 따라서 음식 메뉴별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제1단계 매운맛의 음식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색상을 제1적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1단계 매운맛보다 더 매운 제2단계 음식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색상을 상기 제1적색보다 더 빨간 제2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문 메뉴 정보 전송 과정에서 상기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에 의하여 3D 메뉴판 콘텐츠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메뉴 주문을 입력받는 것은, 캐릭터의 고객 터치 형태에 따라서 주문된 음식 메뉴의 조리 형태가 결정되도록 하여 메뉴 주문을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캐릭터를 터치한 횟수에 따라서 주문된 음식 메뉴의 익힘 단계가 결정되도록 하여 메뉴 주문을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문 단말기에 있는 카메라로 고객의 얼굴 표정 인식 후에 고객의 감정에 대응되도록 캐릭터의 감정 이미지를 표시하며, 고객의 감정과 대응되는 메뉴를 추천 메뉴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테이블에 표시되어 있는 식별코드가 인식되어 캐릭터가 화면에 등장하여 사라질때까지 고객과 교감이 가능할 수 있다. 터치하면 캐릭터가 놀라거나 다양한 재미있는 반응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면서 고객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하여 매장에 대한 호감도를 높여주고 재방문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고객들의 선호도가 DB로 쌓이고 매장에서 굳이 고객들을 관리하지 않더라도 메뉴 주문 앱이 고객들을 케어하고 영업을 도와 줌으로써 매장의 사업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과정들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천 메뉴를 캐릭터가 안내하는 모습을 도시한 주문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식량에 따른 캐릭터의 크기 변화가 나타나는 주문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식 매운맛에 따른 캐릭터의 색상 변화가 나타나는 주문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식의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고, 주문 결제가 이루어지는 동안 주문 결제 단말에서 제공하는 캐릭터들이 주문 및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3D 메뉴판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나아가, 각 테이블에 붙어 있는 마커가 인식되어 캐릭터가 화면에 등장하여 사라질 때까지 사용자와 교감이 가능하고, 캐릭터를 터치하면 캐릭터가 놀라거나 다양한 재미있는 반응을 실시간 보여주면서 사용자에게 또다른 즐거움을 선사하여 매장에 대한 호감도를 높여주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거칠 수 있다.
1.커피숍 또는 매장에 들어온 고객은 일단 원하는 테이블에 앉는다
2.고객은 주문 단말기(고객 핸드폰, 테이블 설치 핸드폰 등)에 설치된 메뉴 주문 앱(APP:application)을 실행시킨다.
3.주문 단말기의 화면에 AR 식별코드 인식 화면이 실행된다.
4.각자 테이블에 붙어 있는 마커인 식별코드(예컨대,QR코드, 바코드 등)를 인식한다.
5.주문 단말기의 카메라가 고객 얼굴을 인식하거나, 지문인식하거나, 간단하게 로그인을 하여 손님 신원이 확인되면, 캐릭터는 손님이 몇 번째 방문이며, 어떤 스타일의 커피를 좋아했는지 취향을 기억해내면서 반갑게 인사한다.
6.캐릭터의 반가운 인사가 끝나면 3D 메뉴판이 화면에 나타난다.
7.고객은 메뉴판을 확대하고 옆으로 슬라이드하며 메뉴를 고른 후에 선택체크박스에 클릭하고 메뉴를 선택한다.
8.최종 선택된 메뉴가 화면에 정리되어 나타나고 결제할 금액도 함께 표시된다.
9.결제를 클릭하면 결제방식을 묻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실행된다(기존의 결제방식처럼 카운터에 직접 가서 현금 또는 카드결제, 네이버 페이, 카카오 페이, 선결제 등).
10.결제가 완료되면 캐릭터 "홍길동님 즐거운 시간 되세요 ~"라며 귀여운 윙크와 작별 인사를 건네고 3D 메뉴판 콘텐츠가 화면에서 없어진다.
11.결제가 완료되는 동시에 식당 등의 매장에 있는 메인 로컬 PC 등의 매장 단말기(300)로 정보가 전달되고 주방에 있던 사장, 주방장, 바리스타 등이 모니터에 메뉴를 확인하고 메뉴를 만들기 시작한다.
12.완료된 메뉴는 주문 단말기의 메뉴 주문 앱의 푸시 알림으로 메뉴 완성 결과를 알린다.
13.고객은 푸시알림을 확인하고 직접 메뉴를 찾아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미도시), 고객 단말기(100), 매장 단말기(300), 및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은, 고객 단말기(100), 매장 단말기(300), 및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간에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는, 메뉴 주문 앱이 설치된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러한 고객 단말기(100)는, 고객이 소지하는 개별적인 스마트폰이 해당될 수 있으며, 또는 매장에서 마련하여 테이블마다 설치된 매장 소유의 스마트폰이 해당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110), 단말기 표시부(120), 단말기 입력부(130), 및 메뉴 주문 앱이 설치된 단말기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 표시부(120)는, 캐릭터에 의해서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표시한다.
단말기 입력부(130)는,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에 의하여 3D 메뉴판 콘텐츠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메뉴 주문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단말기 표시부(120)와 단말기 입력부(130)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고객과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 제어부(140)는, 주문 단말기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메뉴 주문 앱이 설치된 모듈이다. 이러한 메뉴 주문 앱이 실행되면, 캐릭터가 화면에 등장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도록 유도하여, 판독된 식별코드번호를 고객 정보와 함께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여 3D 메뉴판을 요청한다. 그리고 캐릭터에 의해서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표시한다. 또한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에 의하여 3D 메뉴판 콘텐츠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메뉴 주문을 입력받아, 주문 메뉴 정보를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로 전송한다.
참고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학습자 단말기(1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대화훈련콘텐츠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
매장 단말기(300)는, 식당, 카페 등의 매장에 마련되어 있는 메인 로컬 PC 등의 단말기로서,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장, 주방장, 바리스타 등이 모니터에 메뉴를 확인하고 주문된 음식을 만들수 있다.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는, 캐릭터에 의해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식별코드번호별로 할당하여 저장한 서버이다. 따라서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는,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별코드번호에 할당된 3D 메뉴판 콘텐츠를 추출하여 주문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는, 주문 단말기로부터 주문 메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매장 단말기(300)로 중계 전송하여 음식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과정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천 메뉴를 캐릭터가 안내하는 모습을 도시한 주문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식량에 따른 캐릭터의 크기 변화가 나타나는 주문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식 매운맛에 따른 캐릭터의 색상 변화가 나타나는 주문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메뉴판 요청 과정(S310), 3D 메뉴판 콘텐츠 전송 과정(S320),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S330), 주문 메뉴 정보 전송 과정(S340), 주문 메뉴 정보 중계 과정(S350), 주문 메뉴 정보 표시 과정(S360), 조리 단계 정보 전송 과정(S370), 및 조리 단계 정보 알림 과정(S380)을 포함할 수 있다.
3D 메뉴판 요청 과정(S310)은, 주문 단말기에 설치된 메뉴 주문 앱이 실행되면, 캐릭터가 화면에 등장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도록 유도하여, 판독된 식별코드번호를 고객 정보와 함께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여 3D 메뉴판을 요청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하여 3D 메뉴판 요청 과정(S310)은, 식별코드번호 파악 과정(S311), 고객정보 파악 과정(S312), 및 식별코드번호 전송 과정(S313)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코드번호 파악 과정(S311)은, 메뉴 주문 앱이 실행되는 주문 단말기가, 캐릭터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도록 유도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에 대한 식별코드번호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메뉴 주문 앱이 실행되면 캐릭터가 화면에 등장하여 테이블의 식별코드(예컨대, QR코드, 바코드 등)를 주문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판독하도록 하는 안내 문구,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따라서 매장을 방문한 고객은 자신이 앉은 테이블의 식별코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판독하게 된다. 여기서 캐릭터는 3D 캐릭터,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의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고객정보 파악 과정(S312)은, 주문 단말기가, 캐릭터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고객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주문 단말기의 카메라가 고객 얼굴을 인식하거나, 지문인식하거나, 간단하게 로그인을 하여 고객 정보가 파악되면, 캐릭터는 손님이 몇 번째 방문이며, 어떤 스타일의 커피를 좋아했는지 취향을 기억해내면서 반갑게 인사한다.
식별코드번호 전송 과정(S313)은, 주문 단말기가, 판독된 식별코드번호를 고객 정보와 함께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여 주문 요청하는 과정이다.
3D 메뉴판 콘텐츠 전송 과정(S320)은, 캐릭터에 의해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식별코드번호별로 할당하여 저장한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가,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별코드번호에 할당된 3D 메뉴판 콘텐츠를 추출(S321)하여 주문 단말기에 전송(S322)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3D 메뉴판 콘텐츠라 함은,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애니메이션 등의 3차원 형태로 표시되는 메뉴판을 말한다.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S330)은, 주문 단말기가, 캐릭터에 의해서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이다.
주문 메뉴 정보 전송 과정(S340)은,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에 의하여 3D 메뉴판 콘텐츠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메뉴 주문을 입력(S341)받아, 주문 메뉴 정보를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로 전송(S342)하는 과정이다.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란, 예를 들어, 고객은 캐릭터를 터치 드래깅하여 자신이 원하는 메뉴에 위치시키면, 캐릭터는 해당 메뉴의 음식 사진, 설명, 고객 평가정보 등을 문구 출력 또는 음식 출력하여 안내해준다. 고객은 메뉴판을 확대하고 옆으로 슬라이드하며 메뉴를 고른 후에 선택체크박스에 클릭하고 메뉴를 선택한다. 메뉴 주문 입력받는 것은, 최종 선택된 메뉴가 화면에 정리되어 나타나고 결제할 금액도 함께 표시된다. 결제를 클릭하면 결제방식을 묻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실행된다(기존의 결제방식처럼 카운터에 직접 가서 현금 또는 카드결제, 네이버 페이, 카카오 페이, 선결제 등). 결제가 완료되면 캐릭터 "홍길동님 즐거운 시간 되세요 ~"라며 귀여운 윙크와 작별 인사를 건네고 3D 메뉴판 콘텐츠가 화면에서 없어진다.
주문 메뉴 정보 중계 과정(S350)은,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가,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매장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주문 메뉴 정보 표시 과정(S360)은, 매장 단말기(300)가,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결제가 완료되는 동시에 식당 등의 매장에 있는 메인 로컬 PC 등의 매장 단말기(300)로 정보가 전달되고 주방에 있던 사장, 주방장, 바리스타 등이 모니터에 메뉴를 확인하고 메뉴를 만들기 시작한다.
조리 단계 정보 전송 과정(S370)은, 매장 단말기(300)가, 주문된 음식의 조리 단계 정보를 실시간으로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조리 단계 정보는, 조리 단계를 그림이나 문구로 알려줄 수 있으며, 또는 조리 영상일 수 있다.
조리 단계 정보 전송 과정(S370)은, 메뉴 주문 중계 서버(200)가, 매장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조리 단계 정보를 상기 주문 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려주는 과정이다. 완료된 메뉴는 주문 단말기의 메뉴 주문 앱의 푸시 알림으로 메뉴 완성 결과를 알린다. 따라서 고객은 푸시알림을 확인하고 직접 메뉴를 찾아간다.
한편, 본 발명은, 캐릭터는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맞는 맞춤형 메뉴를 추천 메뉴로서 안내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3D 메뉴판 콘텐츠 전송 과정(S320)은, 고객 정보에 기반한 추천 메뉴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예를 들어, A 고객이 티본 스테이크를 '레어'로 덜 익혀 먹는 취향을 가졌다면, '레어' 단계의 티본 스테이크를 추천해준다.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은, 3D 메뉴판 콘텐츠 중에서 추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천 메뉴를 상기 캐릭터가 추천하여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S330)은, 고객이 캐릭터를 드래깅 이동시켜가며 메뉴를 선택받도록 표시하며, 고객으로부터 선택되는 메뉴의 음식 특성에 따라서 캐릭터의 크기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한다. 이는 고객이 캐릭터의 크기나 색상만 확인하더라도 해당 메뉴의 음식이 양이 많거나, 맵거나, 짜거나, 달거나 하는 등의 음식 특성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우선, 고객으로부터 선택되는 메뉴의 음식 특성에 따라서 캐릭터의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는 예시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S330)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에 있는 음식 정상량이 선택되는 경우,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크기를 제1크기로 한다. 또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에 있는 음식 정상량보다 큰 곱배기의 음식이 선택되는 경우,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크기를 제1크기보다 더 큰 제2크기로 표시한다.
한편, 고객으로부터 선택되는 메뉴의 음식 특성에 따라서 캐릭터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는 예시를 설명한다.
캐릭터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는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S330)은, 음식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색상을 음식의 맛 특성에 따라서 음식 메뉴별로 다르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계 매운맛의 음식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색상을 제1적색으로 표시하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계 매운맛보다 더 매운 제2단계 음식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색상을 제1적색보다 더 빨간 제2적색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고객은, 캐릭터의 색상만으로도 해당 음식의 매움 정도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주문 메뉴 정보 전송 과정(S340)에서 상기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에 의하여 3D 메뉴판 콘텐츠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메뉴 주문을 입력받는 것은, 캐릭터의 고객 터치 형태에 따라서 주문된 음식 메뉴의 조리 형태가 결정되도록 하여 메뉴 주문을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즉, 캐릭터를 터치한 횟수에 따라서 주문된 음식 메뉴의 익힘 단계가 결정되도록 하여 메뉴 주문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스테이크 메뉴 선택 후에 해당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를 한 번 클릭하면 '레어' 익힘 조리를 요청하는 것이 되고, 스테이크 메뉴 선택 후에 해당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를 두 번 클릭하면 '미디엄' 익힘 조리를 요청하는 것이 되고, 스테이크 메뉴 선택 후에 해당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를 세 번 클릭하면 '웰덤' 익힘 조리를 요청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고객은 스테이크의 익힘 정도를 별도로 선택할 필요없이 캐릭터를 터치함으로써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즉, 주문 단말기가, 캐릭터에 의해서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의 표시 이외에도 빅데이터 기반한 날씨, 교통 등의 정보를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과거 메뉴 선택에 따른 취향 분석 후에 메뉴를 추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매운 음식을 주로 먹은 경우, 매운 음식의 메뉴를 추천 메뉴로서 추천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단말기에 있는 카메라로 고객의 얼굴 표정 인식 후에 고객의 감정(기쁨, 슬픔, 놀람, 당황 등)에 맞는 메뉴 또는 리액션을 출력할 수 있다. 즉, 고객의 얼굴 표정 인식 후에, 결정된 대응 감정을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의 감정 이미지(기쁨, 슬픔, 놀람, 화남 등)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감정과 대응되는 메뉴를 추천 메뉴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고객 단말기
200:메뉴 주문 중계 서버
300:매장 단말기

Claims (11)

  1. 주문 단말기에 설치된 메뉴 주문 앱이 실행되면, 캐릭터가 화면에 등장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도록 유도하여, 판독된 식별코드번호를 고객 정보와 함께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3D 메뉴판을 요청하는 3D 메뉴판 요청 과정;
    캐릭터에 의해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식별코드번호별로 할당하여 저장한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가, 상기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식별코드번호에 할당된 3D 메뉴판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주문 단말기에 전송하는 3D 메뉴판 콘텐츠 전송 과정;
    상기 주문 단말기가, 상기 캐릭터에 의해서 메뉴 주문 안내가 이루어지는 3D 메뉴판 콘텐츠를 표시하는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
    상기 주문 단말기가, 상기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에 의하여 3D 메뉴판 콘텐츠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메뉴 주문을 입력받아, 주문 메뉴 정보를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주문 메뉴 정보 전송 과정;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가, 상기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주문 메뉴 정보 중계 과정; 및
    상기 매장 단말기가,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문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주문 메뉴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은, 고객이 캐릭터를 드래깅 이동시켜가며 메뉴를 선택받도록 표시하며, 고객으로부터 선택되는 메뉴의 음식 특성에 따라서 캐릭터의 크기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며,
    메뉴에 있는 음식 정상량이 선택되는 경우,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크기를 제1크기로 하며, 메뉴에 있는 음식 정상량보다 큰 곱배기의 음식이 선택되는 경우,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크기를 상기 제1크기보다 더 큰 제2크기로 표시하며,
    음식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색상을 음식의 맛 특성에 따라서 음식 메뉴별로 다르게 표시하며, 제1단계 매운맛의 음식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색상을 제1적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1단계 매운맛보다 더 매운 제2단계 음식 메뉴를 가리키는 캐릭터의 색상을 상기 제1적색보다 더 빨간 제2적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주문 메뉴 정보 전송 과정에서 상기 캐릭터의 메뉴 주문 안내에 의하여 3D 메뉴판 콘텐츠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메뉴 주문을 입력받는 것은, 캐릭터의 고객 터치 형태에 따라서 주문된 음식 메뉴의 조리 형태가 결정되도록 하여 메뉴 주문을 입력받으며, 캐릭터를 터치한 횟수에 따라서 주문된 음식 메뉴의 익힘 단계가 결정되도록 하여 메뉴 주문을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문 메뉴 정보 표시 과정이 있은 후,
    상기 매장 단말기가, 주문된 음식의 조리 단계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조리 단계 정보 전송 과정; 및
    상기 메뉴 주문 중계 서버가,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조리 단계 정보를 상기 주문 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려주는 조리 단계 정보 알림 과정;
    을 포함하는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D 메뉴판 요청 과정은,
    상기 메뉴 주문 앱이 실행되는 주문 단말기가, 캐릭터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도록 유도하여, 테이블에 표시된 식별코드에 대한 식별코드번호를 파악하는 식별코드번호 파악 과정;
    상기 주문 단말기가, 캐릭터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고객 정보를 파악하는 고객정보 파악 과정; 및
    상기 주문 단말기가, 판독된 식별코드번호를 고객 정보와 함께 메뉴 주문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식별코드번호 전송 과정;
    을 포함하는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3D 메뉴판 콘텐츠 전송 과정은, 상기 고객 정보에 기반한 추천 메뉴 정보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3D 메뉴판 콘텐츠 표시 과정은, 3D 메뉴판 콘텐츠 중에서 상기 추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메뉴를 상기 캐릭터가 추천하여 안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문 단말기에 있는 카메라로 고객의 얼굴 표정 인식 후에 고객의 감정에 대응되도록 캐릭터의 감정 이미지를 표시하며, 고객의 감정과 대응되는 메뉴를 추천 메뉴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주문 방법.
KR1020170124186A 2017-09-26 2017-09-26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KR10192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86A KR101923591B1 (ko) 2017-09-26 2017-09-26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86A KR101923591B1 (ko) 2017-09-26 2017-09-26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591B1 true KR101923591B1 (ko) 2018-11-30

Family

ID=6456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86A KR101923591B1 (ko) 2017-09-26 2017-09-26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43A (ko) * 2019-12-27 2021-07-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술자리 게임 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게임 제공방법
KR20220039863A (ko) * 2020-09-20 2022-03-30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비대면 음식주문결제 서비스 제공장치
JP2022078691A (ja) * 2020-11-13 2022-05-25 株式会社ぐるなび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43A (ko) * 2019-12-27 2021-07-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술자리 게임 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게임 제공방법
KR102342631B1 (ko) * 2019-12-27 2021-12-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술자리 게임 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게임 제공방법
KR20220039863A (ko) * 2020-09-20 2022-03-30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비대면 음식주문결제 서비스 제공장치
KR102530107B1 (ko) * 2020-09-20 2023-05-10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비대면 음식주문결제 서비스 제공장치
JP2022078691A (ja) * 2020-11-13 2022-05-25 株式会社ぐるなび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9509B2 (ja) 2020-11-13 2023-06-28 株式会社ぐるなび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0188B2 (en) Electronic check splitt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1628115B1 (ko) 주문 결제 시스템
US20170109793A1 (en) E-check de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US94897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201403518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923591B1 (ko) 캐릭터를 활용한 메뉴 주문 방법
US20130191174A1 (en) Methods and systems to advertise and sell products or services via a table tablet computer
US20140316937A1 (en) Digital system for giving a real gift
CN103946905A (zh) 订餐系统
US20160104257A1 (en) U-chef service system using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905496B1 (ko) 식별코드를 이용한 주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188903B (zh) 预点单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CN108053338B (zh) 点餐方法、装置和系统
KR101093139B1 (ko) 전자테이블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67120A (ja) メニュー端末、オーダ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メニュー端末の表示制御方法
CN110610249A (zh) 信息处理方法、信息显示方法、装置及业务终端
KR20140118655A (ko) 전자 메뉴판을 이용한 전자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2523A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0726A (ko) 스마트폰 기반의 주문 결제 시스템
KR20210003639A (ko) 메뉴 제공부가 구비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102015551B1 (ko) 구내식당 주문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150154690A1 (en) Interactive electronic menu, ordering, monitoring and pay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742727B1 (ko) 주문 선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60068266A (ko) 전자테이블을 이용한 음식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서빙용 이송 장치
Patil et al. Restaurant automation system using qr c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