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141B1 -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141B1
KR102004141B1 KR1020180029977A KR20180029977A KR102004141B1 KR 102004141 B1 KR102004141 B1 KR 102004141B1 KR 1020180029977 A KR1020180029977 A KR 1020180029977A KR 20180029977 A KR20180029977 A KR 20180029977A KR 102004141 B1 KR102004141 B1 KR 10200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riving section
communication signal
state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희
Original Assignee
송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희 filed Critical 송주희
Priority to KR102018002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60W25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자율주행구간을 운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상태 및 날씨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수동주행구간으로의 진입을 미리 안내하는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율주행구간과 수동주행구간을 포함하는 운행경로를 따라 운행 중인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구간을 운행 중인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와 상기 운행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수동주행구간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와; 상기 차량 운전자의 생체정보와 외형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자정보 수집부와;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외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피로, 졸음, 또는 정상으로 판단하는 운전자 상태 판단부와;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피로 또는 졸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상태와 상기 날씨상태에 기초하여 제2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을 설정하는 안내시간 설정부와;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피로 또는 졸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에 따라 수동주행구간 진입을 안내하는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부와; 상기 차량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GUIDANCE SYSTEM FOR CHANGE OF DRIVING MODE}
본 발명은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율주행구간을 운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상태 및 날씨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수동주행구간으로의 진입을 미리 안내하는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자율주행 가능 구간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정체구간 또는 고속도로구간등 일부 구간으로 제한되며 악천후 환경이나 공사구간 및 도심 시내구간에서는 자율주행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운행경로 내에서 자율주행구간 또는 수동주행구간에 진입하는 경우 해당 구간에 대응하는 자율주행모드 또는 수동주행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한다.
종래 자율주행시스템은 운행 중인 차량의 현재 위치와 운행 경로 내의 수동주행구간 위치에 기초하여 수동주행구간에 진입하기까지 남은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운전자에게 수동주행구간 진입을 안내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수동주행구간에 진입하기 전에 자가운전(self-driving)을 준비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피로도 또는 졸음 유무 등의 상태와 차량 외부의 환경 상태에 따라 운전자 별로 자가운전을 위한 준비 시간이 상이하다는 점에서 수동주행구간에 진입하기까지 남은 거리만을 고려하여 운전자에게 수동주행구간으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우 운전자가 자가운전을 준비하는 중에 운전자의 차량이 수동주행구간으로 진입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율주행구간을 운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정보 및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수동주행구간 진입시점을 미리 알려주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자율주행구간과 수동주행구간을 포함하는 운행경로를 따라 운행 중인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구간을 운행 중인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와 상기 운행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수동주행구간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와; 상기 차량 운전자의 생체정보와 외형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자정보 수집부와;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외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피로, 졸음, 또는 정상으로 판단하는 운전자 상태 판단부와;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피로 또는 졸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상태와 상기 날씨상태에 기초하여 제2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을 설정하는 안내시간 설정부와;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피로 또는 졸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에 따라 수동주행구간 진입을 안내하는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부와; 상기 차량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액추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3)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운전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운행경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운행경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로서,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의 구성이다.
도 1의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100)은 차량 내에 설치되며,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110), 운전자정보 수집부(120), 운전자상태 판단부(130), 환경정보 수집부(140), 환경상태 판단부(150), 안내시간 설정부(160), 가중치 데이터베이스(170), 그리고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부(180)를 포함한다.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00)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수집하고 수집된 현재 위치와 내비게이션 모듈(300)을 통해 안내되고 있는 운행경로에 기초하여 수동주행구간진입 여부를 판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운행경로 예시이다.
도 2에서 보면, 운행경로는 차량이 자율주행모드로 운행되는 자율주행구간(Sa)과 운전자의 자가운전으로 운행되는 수동주행구간(Sd)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운행경로 내의 자율주행구간(Sa)과 수동주행구간(Sd)을 각각 하나씩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행경로는 하나 이상의 자율주행구간(Sa)과 하나 이상의 수동주행구간(Sd)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110)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자율주행구간에 존재하는 경우 전방의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수동주행구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자정보 수집부(120)는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110)를 통해 전방에 수동주행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행 중인 차량 운전자의 웨어러블 단말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한다. 생체정보는 체온, 맥박, 혈압, 혈당, 근육 이완, 또는 호흡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운전자정보 수집부(120)는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110)를 통해 전방에 수동주행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또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외형정보를 수집한다. 외형정보는 운전자의 눈 깜박임, 눈 감음, 시선, 얼굴 각도, 또는 자세 변화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운전자상태 판단부(130)는 운전자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된 운전자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피로, 졸음, 또는 정상 중 하나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상태 판단부(130)는 운전자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피로도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수집된 생체정보를 분석한 결과, 체온, 맥박, 혈압, 또는 혈당의 급격한 상승 또는 저하, 호흡 증가 또는 감소, 근육 긴장 등이 나타나는 경우 운전자가 피로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운전자상태 판단부(130)는 운전자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된 외형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수집된 외형정보를 분석한 결과, 운전자의 눈 깜박임 횟수 증가, 눈을 감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시선이 전방을 주시하고 있지 않음, 얼굴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벗어남, 또는 자세 변경 횟수 증가 등이 나타나는 경우 운전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운전자상태 판단부(130)는 운전자가 피로상태 또는 졸음상태가 아닌 경우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환경정보 수집부(140)는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110)를 통해 전방에 수동주행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운행 지역의 기상청 서버(600)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환경정보는 시간당 강설량, 적설량, 시간당 강수량, 시간당 강우량, 안개량, 풍속, 또는 풍량 중 하나 이상의 날씨정보를 포함한다.
환경상태 판단부(150)는 환경정보 수집부(140)를 통해 수집된 날씨정보에 기초하여 환경상태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된 날씨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약한 비, 폭우, 약한 눈, 폭설, 안개 약함, 안개 강함, 바람 강함, 또는 바람 약함 중 하나 이상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환경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기상청 서버(600)로부터 환경상태 정보를 바로 수집할 수 있다.
안내시간 설정부(160)는 운전자상태 판단부(130)의 운전자상태 판단결과와 환경상태 판단부(150)의 환경상태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을 재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시간 설정부(160)는 가중치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상태 및 환경상태에 대응하는 가중치테이블을 이용하여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을 설정한다.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 설정방법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가중치 데이터베이스(170)는 가중치 테이블을 저장한다. 가중치 테이블은 운전자상태와 환경상태의 조합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포함한다.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부(180)는 안내시간 설정부(160)를 통해 설정된 안내시간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수동주행구간 진입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부(180)는 안내시간 설정부(160)를 통해 설정된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에 수동주행구간 진입 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거나 진동을 통해 운전자에게 차량의 수동주행구간 진입을 알린다.
한편, 차량의 내부에 먼지가 기준이상 존재하게 되면 차량 운전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경고음을 출력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차량 내부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경보신호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먼지 제거를 유도한다.
그리고, 먼지 측정수단(2000)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는 먼지 측정 계산부(3000)로 전송되며, 먼지 측정 계산부(3000)는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400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1)에서 이를 인지하여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을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으로 이루어져,
송신 제어부(1)의 신호가 인가되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가 흘러 자성이 형성되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이 발생하여 액추에이터(3)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엑츄에이터(3)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의 유동에 의해서 적외선 출력을 제한하기 위한 오목렌즈군이 다수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수행하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엑츄에이터(3)의 이동시 솔레노이드(4c)에 제공되는 전원인가에 의해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4a)가 좌우로 유동된다.
상기 적외선 송신용 렌즈군(5)은 작동봉에 다수개 배열되어 이루어지되,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5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 3 오목렌즈(5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5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5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5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적외선의 광을 높여야할 경우 엑츄에이터(3)을 상승시키고 적외선 광을 줄여야 할 경우 엑츄에이터(3)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실시한다.
작동봉의 1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2고정용전자석(2e)-제1유동용전자석(2a), 제3고정전용자석(2f)-제2유동용전자석(2b)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가 하강하여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1장착용전자석(2a)이, 제3고정용전자석(2f)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하강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2 오목렌즈(5b)에 근접하게 되어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엑츄에이터의 1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1고정용전자석(2d)-제2유동용전자석(2b), 제2고정전용자석(2d)-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이 상승하여 제1고정용전자석(2d)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3장착용전자석(2c)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상승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4 오목렌즈(5d)에 근접하게 되어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봉의 2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제3고정용전자석(2f)과 같은 위치에 제1유동용전자석(2a)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되고, 엑츄에이터(3)의 2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제1고정용전자석(2d)과 같은 위치에 제3유동용전자석(2c)이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부가 설치하는바, 엑츄에이터(3)의 하단에 돌출 성형되며, 상기 엑츄에이터(3)에 다수개의 끼움용 홀(6a)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용 홀에 엑츄에이터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용 핀(6b)을 삽입 설치하여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끼움용 홀(6a)에 무게조절핀(6b)을 삽입 설치하되, 1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가볍기 때문에 빠른 유동이 가능하고, 3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무겁기 때문에 느린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빠른게 할 것인지 느리게 할 것인지를 조절하는바, 이는 엑츄에이터(3)가 너무 빠르게 움직이면 민감도가 높아지고, 엑츄에이터(3)가 너무 느리게 움직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므로 사용자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민감도를 높이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1개만 삽입 결합시키고, 민감도를 낮추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3개까지 삽입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용 홀(6a)과 무게조절핀(6b)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끼움홀(6a)과 3개의 무게조절핀(6b)을 예시하여 설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어 알림상황이 발생하면 먼지 측정계산부(3000)가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알림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스위치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통신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RL1)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1120)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통신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간격유지수단(1133a)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1133a)은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유지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의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유지수단(1133a)을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릴레이 스위치(RL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차단하여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통신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통신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알림 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신신호를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알림 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통신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알림 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통신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통신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통신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110 :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
120 : 운전자정보 수집부
130 : 운전자상태 판단부
140 : 환경정보 수집부
150 : 환경상태 판단부
160 : 안내시간 설정부
170 : 가중치 데이터베이스
180 :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부
200 : GPS 모듈
300 : 내비게이션 모듈
400 : 웨어러블 단말
500 : 카메라
600 : 기상청 서버
1000: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2000: 먼지 측정수단
3000: 먼지 측정 계산부
4000: 디스플레이

Claims (5)

  1. 자율주행구간과 수동주행구간을 포함하는 운행경로를 따라 운행 중인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구간을 운행 중인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와 상기 운행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수동주행구간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수동주행구간 진입 판단부와;
    차량 운전자의 생체정보와 외형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자정보 수집부와;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외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피로, 졸음, 또는 정상으로 판단하는 운전자 상태 판단부와;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피로 또는 졸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상태와 날씨상태에 기초하여 제2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을 설정하는 안내시간 설정부와;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피로 또는 졸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시간에 따라 수동주행구간 진입을 안내하는 수동주행구간 진입 안내부와;
    상기 차량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액추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 채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KR1020180029977A 2018-03-14 2018-03-14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KR102004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977A KR102004141B1 (ko) 2018-03-14 2018-03-14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977A KR102004141B1 (ko) 2018-03-14 2018-03-14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141B1 true KR102004141B1 (ko) 2019-10-01

Family

ID=6820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977A KR102004141B1 (ko) 2018-03-14 2018-03-14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1708A1 (zh) * 2020-06-28 2022-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028A (ko) * 2007-04-30 2008-11-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차량 실내의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038768A (ja) * 2014-08-08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JP2016097770A (ja) * 2014-11-20 2016-05-3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028A (ko) * 2007-04-30 2008-11-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차량 실내의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038768A (ja) * 2014-08-08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JP2016097770A (ja) * 2014-11-20 2016-05-3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1708A1 (zh) * 2020-06-28 2022-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962B1 (ko)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8832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센서를 통합하는 시각 보조방법 및 장치
KR20170057084A (ko) 자율 주행을 위한 모델 학습 장치 및 방법과 자율 주행 장치
KR102004141B1 (ko) 졸음운전시 운전모드 전환 안내 시스템
KR102275628B1 (ko) 도로교통 상황 모니터링 관제·실시간 교통정보 분석·교통신호제어로 이루어진 클라우드 기반 교통신호 통합 제어시스템
KR101666086B1 (ko) 가변형 신호등 점등 및 잔여시간 표시 제어장치
KR100851564B1 (ko) 실시간 교통 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43508A1 (en) Dynamic paver device with vibration feedback
KR101986624B1 (ko) 지능형 휴대용 도로 비상 상황 표시장치
KR101850353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원격감시장치
KR101485074B1 (ko) 보행등 잔여시간과 보행자 대기시간을 표시하는 교통신호등
KR101825074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운행 표시장치
KR20230023981A (ko)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신호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37353B1 (ko) 이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케이스
KR102020047B1 (ko) 표찰태그를 이용한 버섯 재배 관리 시스템
WO2020231279A1 (en) Eyelid movement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eyelid movement
JP4985197B2 (ja) 光ビーコン
KR20180113838A (ko)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조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
CN109056584A (zh) Etc车道时段限行系统
KR101932893B1 (ko) 도로 횡단을 지원하는 유아용 캡
CN212846207U (zh) 一种导盲眼镜
KR100513528B1 (ko) 차량의 가변형 경음 제어장치
KR20190001106A (ko) 카메라를 이용한 추측항법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2595829B1 (ko) 차량용 가상 안전표지판 표시장치
KR101568582B1 (ko) 차량 음향 발생 장치 및 차량 음향 발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