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882B1 -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882B1
KR102003882B1 KR1020180065877A KR20180065877A KR102003882B1 KR 102003882 B1 KR102003882 B1 KR 102003882B1 KR 1020180065877 A KR1020180065877 A KR 1020180065877A KR 20180065877 A KR20180065877 A KR 20180065877A KR 102003882 B1 KR102003882 B1 KR 102003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member
adjustment member
rotation
control clip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이원석
안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6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6Locks with adjustable or exchange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4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the rods being linked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에 관한 것으로, 회전규제용 클립이 제1조정부재에만 결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조정부재와 제2조정부재 간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공용성 및 설치 작업성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제1조정부재와 제2조정부재 사이의 거리 조절 이후에는 회전규제용 클립을 제1조정부재와 제2조정부재 모두에 결속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그 조절된 거리를 변동 없이 유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오랫동안 사용한다 하더라도 동작 성능 저하 없이 도어 릴리즈 동작을 정밀하게 구현시킬 수 있어 결국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Release cable unit f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도어의 잠금장치 측에 마련된 릴리즈용 레버와 그 릴리즈용 레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릴리즈용 레버 측에 동력을 인가시키는 릴리즈용 손잡이 사이의 거리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조절 이후 상기 거리의 변동이 없도록 부품의 상대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록킹 및 언로킹을 관장하는 도어 잠금장치는, 그 잠금 장치 측에 마련된 릴리즈 레버, 릴리즈 레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릴리즈용 레버 측에 동력을 인가하는 릴리즈용 손잡이 및 상기 레버와 손잡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릴리즈용 레버와 손잡이 사이의 거리는 차량의 크기나 스펙 조건 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차량마다 서로 다른 거리에 맞는 케이블 유닛이 각각 별개로 제작 및 설치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케이블 길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거리가 다른 케이블 유닛을 각각 제작하고, 또 시험자가 일일히 복수의 케이블 유닛을 도어 잠금장치와 손잡이 모듈에 설치하고 또 교체하는 반복적인 과정이 요구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37315호에 개시된 릴리즈 케이블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상기 거리 조절은 용이하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부품 내구성 저하에 의하여 회동 부쉬(32)의 탄성 지지편(32b)과 고정부쉬(31)의 걸림턱(31b)간의 걸림 작용이 약화됨으로써, 상기 거리 조절 이후 그 조절에 관여한 부품의 위치가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여 손잡이 측에서 레버 측으로 동력을 원활하게 전달시켜 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언로킹을 위해 마련된 릴리즈용 레버와 원거리에서 그 릴리즈용 레버 측에 동력을 인가시키는 릴리즈용 손잡이 사이의 거리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조절된 거리를 변동 없이 견고히 유지시켜 줄 수 있게 하는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은, 차량용 도어의 잠금 장치와 그 잠금 장치를 원거리에서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 사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잠금 장치와 손잡이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도관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스크류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들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는 제1조정부재;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조정부재의 스크류부에 나사결합되어서 그 결합된 정도에 따라 상기 제1조정부재에 대한 상대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제1조정부재와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는 제2조정부재; 및 상기 제1조정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조정부재에만 결합되어서 제2조정부재의 제1조정부재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제1위치와, 일측은 상기 제1조정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조정부재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조정부재의 제1조정부재에 대한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규제용 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정부재는,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의 상기 제2위치로의 접근 이동시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그 회전규제용 클립의 결속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회전구속부들과,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이 상기 제2위치로 접근된 이후 상기 제1위치로 후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회전구속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의 걸림턱에 걸리는 이동규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조정부재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한정하는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조정부재의 스크류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그 회전규제용 클립과 회전은 함께 하고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롭도록,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의 동작규제부에 맞물리는 맞물림부; 및 상기 제2조정부재의 제1조정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맞물림부보다 더 큰 원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조작돌기들을 가지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은, 회전규제용 클립이 제1조정부재에만 결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조정부재와 제2조정부재 간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공용성 및 설치 작업성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제1조정부재와 제2조정부재 사이의 거리 조절 이후에는 회전규제용 클립을 제1조정부재와 제2조정부재 모두에 결속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그 조절된 거리를 변동 없이 유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오랫동안 사용한다 하더라도 동작 성능 저하 없이 도어 릴리즈 동작을 정밀하게 구현시킬 수 있어 결국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도 3의 Ⅶ-Ⅶ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Ⅶ-Ⅶ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은, 차량용 도어의 록킹 및 언로킹에 관여하는 잠금 장치와 그 잠금 장치를 원거리에서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 사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가이드 도관(41)(42)들과 제1조정부재(1)와 제2조정부재(2) 및 회전규제용 클립(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41)(42)들은, 상기 잠금 장치와 손잡이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조정부재(1)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41)(42)들 중 어느 하나(41)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41)(42)들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며, 도 5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조정부재(2)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조정부재(2)는, 상기 제1조정부재(1)와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41)(42)들 중 다른 하나(4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정부재(1)의 스크류부(11)에 나사결합되어서 그 결합된 정도에 따라 상기 제1조정부재(1)에 대한 상대위치가 결정된다. 이러한 제2조정부재(2)는 제1조정부재(1)에 대한 상대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조정부재(1)에 대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대위치 조절이 되는 상기 제1조정부재(1)와 제2조정부재(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차량 도어의 규격의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릴리즈용 레버와 릴리즈용 손잡이 사이의 거리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본 실시예의 설치 과정에서 차량의 서로 다른 규격에 상관없이 상기 릴리즈용 손잡이의 조작에 필요한 행정 거리를 원활하게 조절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3)의 작용, 및 그 회전규제용 클립(3)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제1조정부재(1)와 제2조정부재(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3)은, 상기 제1조정부재(1)와 제2조정부재(2) 사이의 거리 조절 이후 그 조절된 거리가 변동 없이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조정부재(1)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그 제1조정부재(1)에 대해 회전은 불가능하고 이동은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3)은, 상기 제1조정부재(1)에만 결합되어서 상기 제2조정부재(2)의 제1조정부재(1)에 대한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도 3 및 도 7의 a)와 일측은 상기 제1조정부재(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조정부재(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조정부재의 제1조정부재에 대한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제2위치(도 4 및 도 7의 b) 사이에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4 및 도 7의 (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3)이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동된 경우에는, 그 회전규제용 클립(3)이 상기 제1조정부재(1)와 제2조정부재(2)의 상대회전이 방지되도록 서로 구속시켜 줌으로써, 상기 제2조정부재(2)의 제1조정부재(1)에 대한 회전이 블가능하게 되고, 도 3 및 도 7의 (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동된 경우에는, 회전규제용 클립(3)과 제2조정부재(2) 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회전규제용 클립(3)과 제1조정부재(1)와의 결합된 상태만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2조정부재(2)의 제1조정부재(1)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은, 회전규제용 클립(3)이 제1조정부재(1)에만 결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조정부재(1)와 제2조정부재(2)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공용성 및 설치 작업성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제1조정부재(1)와 제2조정부재(2) 사이의 거리 조절 이후에는 회전규제용 클립(3)을 제1조정부재(1)와 제2조정부재(2) 모두에 결속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그 조절된 거리를 변동 없이 유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오랫동안 사용한다 하더라도 동작 성능 저하 없이 도어 릴리즈 동작을 정밀하게 구현시킬 수 있어 결국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조정부재(1)는, 한 쌍의 회전구속부(12)들과 이동규제홈(1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회전구속부(12)들은, 상기 제1조정부재(1)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3)의 원활한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회전규제용 클립(3)의 결속홈(3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이동규제홈(12b)는, 도 4의 확대부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3)이 도 3의 제1위치에서 도 4의 제2위치로 이동된 이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후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규제 클립(3)의 걸림턱(31a)에 걸리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회전규제용 클립(3)의 상기 제1조정부재(1)에 대한 이동시에 삽입홈(31)에 조정부재(1)의 회전구속부(12)들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하여 회전규제용 클립(3)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회전규제용 클립(3)의 이동에 의한 거리 조절이 완료된 이후 상기 이동규제홈(12b)에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3)의 걸림턱(31a)이 걸리도록 하여 그 회전규제용 클립(3)의 후퇴 이동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거리 조절 및 조절된 거리의 견고한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2조정부재(2)는, 나사결합부(21)와 맞물림부(22)와 회전조작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결합부(21)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한정하는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조정부재(1)의 스크류부(11)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조정부재(1)와 제2조정부재(2) 간의 상대회전에 따른 상대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맞물림부(22)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3)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3)의 동작규제부(32)에 맞물리는 부분으로, 그 회전규제용 클립(3)과 회전은 함께 하고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롭게 된다.
상기 회전조작부(23)는, 상기 맞물림부(22)보다 더 큰 원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조작돌기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작업자가 상기 조작돌기들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여 결국 상기 제2조정부재(2)의 제1조정부재(1)에 대한 상대회전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a(도 3의 확대부분 참조)는, 회전규제용 클립(3)이 도 3과 같은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제1조정부재(1)에 대해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규제용 클립(3)의 걸림턱(31a)이 걸리는 걸림홈이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제1조정부재 11:스크류부
12:회전구속부 12a:걸림홈
12b:이동규제홈 2:제2조정부재
21:나사결합부 22:맞물림부
23:회전조작부 3:회전규제용 클립
31:결속홈 32:동작규제부
41,42:가이드 도관

Claims (3)

  1. 차량용 도어의 잠금 장치와 그 잠금 장치를 원거리에서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 사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잠금 장치와 손잡이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도관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스크류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들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는 제1조정부재;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도관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조정부재의 스크류부에 나사결합되어서 그 결합된 정도에 따라 상기 제1조정부재에 대한 상대위치가 결정되며, 상기 제1조정부재와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는 제2조정부재; 및
    상기 제1조정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조정부재에만 결합되어서 제2조정부재의 제1조정부재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제1위치와, 일측은 상기 제1조정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조정부재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조정부재의 제1조정부재에 대한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규제용 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조정부재는,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의 상기 제2위치로의 접근 이동시 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그 회전규제용 클립의 결속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회전구속부들과,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이 상기 제2위치로 접근된 이후 상기 제1위치로 후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회전구속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의 걸림턱에 걸리는 이동규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정부재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한정하는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조정부재의 스크류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그 회전규제용 클립과 회전은 함께 하고 상기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롭도록, 상기 회전규제용 클립의 동작규제부에 맞물리는 맞물림부; 및
    상기 제2조정부재의 제1조정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맞물림부보다 더 큰 원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조작돌기들을 가지는 회전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KR1020180065877A 2018-06-08 2018-06-08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KR10200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77A KR102003882B1 (ko) 2018-06-08 2018-06-08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77A KR102003882B1 (ko) 2018-06-08 2018-06-08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882B1 true KR102003882B1 (ko) 2019-08-19

Family

ID=6780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77A KR102003882B1 (ko) 2018-06-08 2018-06-08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0024A1 (de) * 2021-01-12 2022-07-20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315A (ko) * 2009-10-06 2011-04-13 평화정공 주식회사 공용성을 갖는 차량 도어 잠금장치의 릴리즈 케이블
KR101325495B1 (ko) * 2011-12-05 2013-11-07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315A (ko) * 2009-10-06 2011-04-13 평화정공 주식회사 공용성을 갖는 차량 도어 잠금장치의 릴리즈 케이블
KR101325495B1 (ko) * 2011-12-05 2013-11-07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0024A1 (de) * 2021-01-12 2022-07-20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212B1 (ko) 보우덴 케이블
KR102003882B1 (ko) 차량 도어용 릴리즈 케이블 유닛
US20100038495A1 (en) Umbilical member motion limiting device and robot having the device
CN101687325A (zh) 修枝剪
US10583567B1 (en) Adaptive bundle gripping end effector with opening jaw
US4936159A (en) Movement transmission system in the ventilation system of a vehicle
JP6323329B2 (ja) 車両用ドアの開度調整装置の操作装置
US10190334B2 (en) Adjustable length cable
US11753854B2 (en) Activation installation
US8820343B2 (en) Coupling actuating element of valve to connection element of actuator
US10682929B2 (en) Adjustment devic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of a seat of a vehicle
KR20110027663A (ko) 연결 시스템
CN113227593B (zh) 用于装配至车身的车辆内部部件
JPH01271143A (ja) 機械に沿って案内されるユニットの位置を変えるための調節装置
KR101949205B1 (ko) 간격 조절 공구
JPH02159408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取付位置調整装置
KR101994523B1 (ko) 바이스 압력 조절 장치
US6578645B2 (en) Throttle valve
EP3231661B1 (en) Adjustment device for adjustmen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of a vehicle seat
CN1171129C (zh) 阀门特别是用于供暖设备的恒温器阀门
KR101539536B1 (ko) 연료관 위치 조절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관 위치 조절 장비 세트
KR100508659B1 (ko) 조향시스템의 행정조절이 가능한 복원장치
US20170080827A1 (en) Lock for vehicle seat foundation
KR20130010562A (ko) 토크 인가 및 해제 장치
EP4063690A1 (en) Electric linear actuator with a variable str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