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261B1 -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261B1
KR102003261B1 KR1020120101454A KR20120101454A KR102003261B1 KR 102003261 B1 KR102003261 B1 KR 102003261B1 KR 1020120101454 A KR1020120101454 A KR 1020120101454A KR 20120101454 A KR20120101454 A KR 20120101454A KR 102003261 B1 KR102003261 B1 KR 10200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ressure
abnormal
damage data
touc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080A (ko
Inventor
강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261B1/ko
Priority to US14/025,126 priority patent/US9342198B2/en
Priority to AU2013228019A priority patent/AU2013228019B2/en
Priority to CN201310416885.9A priority patent/CN103677401B/zh
Priority to EP13184305.4A priority patent/EP2708988B1/en
Publication of KR2014003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에 따른 단말기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표시부에서 발생한 터치에 따른 터치 압력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터치 압력을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압력을 비정상 가압으로 판단되면 사전 정의된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touch pressur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이미지 표시 개선 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패널에서 발생하는 왜곡된 이미지의 표시 개선을 지원할 수 있는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중에 이동하면서도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은 휴대 단말기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자 간의 통화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하면서도 다른 다양한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 지원과 관련한 화면을 표시 패널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한편 종래 휴대 단말기의 경우 키패드나 키버튼 등이 표시 패널과는 별도의 영역으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표시 패널을 가압하거나 표시 패널을 조작하는 일이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표시 패널 자체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되면서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기 조작을 위하여 터치스크린이 배치된 표시 패널 상부를 터치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가압하는 압력에 의하여 표시 패널의 특정 지점에 필요 이상의 압력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표시 패널의 특정 지점의 이미지 표시 형태를 왜곡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특히 액정이 주입된 표시 패널의 경우 가압에 의하여 액정의 농도가 변화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가압 지점에 색번짐이나 멍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표시 패널의 슬림화 경향이 짙어지면서 종래보다 작은 압력에 대해서도 색번짐이나 멍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색번짐이나 멍 현상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액정의 위치 복원으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돌아오기는 하지만, 복원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해당 시간 동안 정상적인 표시 패널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에 의한 표시 패널의 이미지 표시 왜곡에 대한 일정 보상을 수행하여 표시 패널의 화면 확인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에 대한 경고를 통하여 사용자가 표시부 운용을 보다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멍 현상의 빈도수를 줄이고 표시 패널의 잠정적인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시부에서 발생한 터치에 따른 터치 압력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터치 압력을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압력을 비정상 가압으로 판단되면 사전 정의된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터치에 따른 터치 압력을 수집하는 표시부, 상기 터치 압력이 비정상 가압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압력을 비정상 가압으로 판단되면 사전 정의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에 따른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압에 따른 이미지 왜곡을 일정 부분 보상하여 화면 인식율을 개선하고, 단말기 조작을 보다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표시부 구성 및 구동부와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표시부 정상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표시부 비정상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지원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압력에 따른 특정 기능들을 지원하는 단말기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표시부(140) 구성과 표시부(140) 구동과 관련된 관련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기(10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터치 물체(10) 접촉에 따른 터치 패널(143)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며, 표시부(140)의 터치 패널(143) 구동을 위한 터치 패널 구동부(145), 제어부(16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61), 상술한 각 구성들이 안착되는 케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143)을 구동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부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나, 표시 패널 구동부는 제어부(160)의 구성에 포함되는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패널 구동부가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표시 패널(143)에 출력될 다양한 이미지 출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이미지 왜곡 개선을 위한 보상 이미지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보상 이미지 출력과 독립적으로 표시부(140)에 출력된 정보들을 재수행(refresh)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3)과 표시 패널(143) 사이에는 접착층(147)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기(100)의 입력부(120) 및 터치 패널(143)은 단말기(100)의 입력 수단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표시부(140) 상에 특정 지점에 터치 물체(10)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지점(11)에서 발생하는 가압의 형태를 터치 패널(143)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가압의 형태에 따라 이미지 왜곡 보상을 위한 보상 이미지 출력 및 경고 메시지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술한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거나 특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특히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음성 서비스 채널, 영상 서비스 채널, 데이터 서비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해당 서비스 채널에 따른 특정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 기반의 통화 기능 운용을 위하여 단말기(100)는 다이얼 선택 화면, 폰북 검색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선택 화면이 출력된 표시부(140)에서 특정 다이얼을 선택하거나 폰북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관련 기능별 발생하는 비정상 가압을 별도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100)의 구동 제어나 사용자 기능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는 측면에서 입력부(120)는 터치 패널(143)과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이미지 왜곡 보상 기능을 지원하는 모드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미지 왜곡 보상 기능 지원 모드가 턴-온된 경우 해당 모드 지원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 인디케이터, 메시지, 팝업창 등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과정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비정상 가압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경고를 위해 사전 설정된 안내음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처리부(130)는 비정상 가압이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효과음 출력 또는 진동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이나 효과음 또는 진동 출력은 이미지 왜곡 보상 기능 지원 모드가 턴-오프되어 있거나, 해당 오디오 데이터 또는 진동 출력을 억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메모나 이메일 작성 화면, 웹 페이지 화면 등을 지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143) 및 표시 패널(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3)은 예를 들면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손가락 등의 터치 물체(10)에 의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143)은 표시 패널(143)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물체(10)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거나 접촉되면 터치 물체(10) 근접 또는 접촉에 따른 정전 용량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물체(10)가 터치 패널(143) 상에 접근하면 터치 패널(143)의 정전 용량 변화가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터치 패널 구동부(145)는 이러한 터치 패널(143)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물체(10) 접촉 지점(11)에 대한 위치 값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패널 구동부(145)는 터치 패널(143)을 일정 주기로 스캔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패널(143)의 정전 용량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터치 물체(10)가 터치 패널(143)의 일정 지점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상 가압을 하게 되면, 터치 패널(143)의 표면이 비정상 가압에 의하여 휘어지게 된다. 이때 비정상 가압에 의한 힘은 터치 패널(143)뿐만 아니라 접착층(147)과 표시 패널(143)의 일정 지점도 가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표시 패널(143)의 일정 지점에 휘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표시 패널(143)에 일정 지점이 휘어지게 될 경우, 해당 지점의 액정이 가압에 의하여 주변으로 분산되면서 표시 패널(143)의 일정 지점에 배치된 액정의 두께가 주변 두께보다 얇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압된 지점의 액정이 물리적 분포 변화에 따라 배향각이 달라지면서 투과하는 광을 왜곡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빛의 투과 비율 및 투과 방향이 달라지게 되어 이미지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추가로 가압에 의하여 표시 패널(143)에 배치된 다양한 전극들이나 칼라필터 등에 물리적 왜곡이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에 의한 발광이 최초 설계된 방식과 다른 형태로 발광을 일으킬 수 있다.
결국 가압에 의하여 표시 패널(143)의 일정 지점이 물리적 왜곡이 발생할 경우 광학적 왜곡이 동반하게 됨에 따라 이미지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터치 패널(143)에 배치된 정전 용량 센서들이 표시 패널(143) 쪽에 근접하게 되면서 표시 패널(14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정전 용량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즉 비정상 가압이 발생하여 터치 패널(143)에 물리적 왜곡이 발생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가 감지된다. 터치 패널 구동부(145)는 이러한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표시 패널(143)은 터치 패널(143)과 접착층(147)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표시 패널(143)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박막트랜지스터 및 박막트랜지스터들과 연결된 화소 전극들, 화소 전극들과 대향되거나 또는 인접되어 액정의 전계 이방 특성을 변경하는 공통전극들, 각 화소 전극들 상부에 배치된 액정, 액정 상부에 배치된 칼라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143)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액정의 전계이방 특성을 이용하여 투과하거나 차단하여 칼라필터층을 발광시킴으로써 일정 계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43)의 일정 지점에 비정상 가압이 발생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정층의 두께 변경이 발생하거나 일정 지점의 표시 패널의 전극들이나 칼라필터층 등의 물리적 왜곡 변화로 인하여 이미지 왜곡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표시 패널(143)은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비정상 가압이 발생한 지점에 사전 정의된 보상 이미지에 해당하는 광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143)은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리프레쉬하여 다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틀어진 액정 배향이 해당 리프레쉬 과정을 통하여 보다 빠르게 복구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구동을 위해 필요한 운영체제나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데미지 데이터 또는 데미지 raw 데이터(153) 및 패널 보상 프로그램(151)을 저장한다. 데미지 raw 데이터(153)는 도 5에서 설명한 비정상 가압에 따라 검출되는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이 될 수 있다. 즉 데미지 raw 데이터(1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상태의 정전 용량 분포와 다른 역상의 정전 용량 분포 값에 대응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데미지 raw 데이터(153)는 일정 범위의 값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단계별 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미지 raw 데이터(153)는 단계별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들을 가질 수 있다. 데미지 raw 데이터(153)는 터치 패널(143)에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 분포 값이 비정상 가압인지 판별하는 비교 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다.
패널 보상 프로그램(151)은 터치 패널(143)에서 데미지 raw 데이터(153)에 해당하는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이 발생한 경우 해당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가 발생한 위치에 보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설계된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 보상 프로그램(151)은 다수의 보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의 크기에 따라 제공하는 보상 이미지가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이 데미지 raw 데이터(153)의 제1 단계 값에 해당하는 경우 패널 보상 프로그램(151)은 제1 보상 이미지를 해당 위치에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이 데미지 raw 데이터(153)의 제1 단계보다 큰 제2 단계 값에 해당하는 경우 패널 보상 프로그램(151)은 제1 보상 이미지 보다 왜곡 보상도가 큰 또는 제1 보상 이미지 보다 왜곡 보상의 넓이가 넓은 제2 보상 이미지를 해당 위치에 제공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로 패널 보상 프로그램(151)은 특정 사용자 기능 수행별로 비정상 가압 발생 빈도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이에 대한 알람을 일정 주기로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떠한 사용자 기능을 이용하면서 비정상 가압을 자주 발생시키는지 인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해당 사용자 기능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보다 주의를 기울여 비정상 가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작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제어를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제어부(160)는 터치 패널(143)에서 비정상 가압에 해당하는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가 발생하는 경우 데미지 raw 데이터(153)를 기준으로 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보상 이미지를 비정상 가압이 발생한 표시 패널(143)의 일정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발생한 비정상 가압의 크기에 따라 표시 패널(143)의 비정상 가입이 발생한 위치에 제공된 보상 이미지를 다르게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비정상 가압 발생에 따른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을 터치 패널 구동부(145)로부터 전달받으면, 경고 메시지를 표시 패널(143)에 출력하거나 경고음이나 안내음을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비정상 가압이 발생한 사용자 기능의 종류별 누적을 지원하고, 일정 주기 단위로 사용자 기능별 비정상 가압 발생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표시 패널(143)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이때 제어부(160)는 비정상 가압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한 사용자 기능에 대해서는 비정상 가압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한 시점에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한 누적 비정상 가압에 대한 안내와 이에 대한 안내 정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운용 방법은 먼저 601 단계에서 단말기(100)의 제어부(160)가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단말기(100)의 각 구성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으로 분배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603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이벤트가 터치 이벤트 수집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해당 입력 이벤트가 터치 이벤트가 아닌 경우 6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호 수신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 발생인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통화호 수신을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 크기 조절을 위한 사이드키 조절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 발생인 경우 해당 입력 이벤트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 크기 조절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603 단계에서 터치 이벤트 수집이 발생하면, 607 단계로 분기하여 터치 이벤트에 의해 발생한 정전 용량 분포가 사전 정의된 데미지 raw 데이터(153)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의 정전 용량 분포가 데미지 raw 데이터(153) 미만인 경우 609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터치 이벤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된 사용자 기능을 터치 이벤트에 따라 운용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607 단계에서 터치 이벤트의 정전 용량 분포가 데미지 raw 데이터(153) 이상인 경우 제어부(160)는 611 단계로 분기하여 패널 보상 수행 및 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패널 보상을 수행하지 않고 비정상 가압에 대한 경고 메시지나 경고음, 경고성 진동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패널 보상 수행을 위해서 제어부(160)는 사전 정의된 보상 이미지를 비정상 가압이 발생한 위치의 표시 패널(143)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60)는 비정상 가압이라 하더라도 발생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사용자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해당 터치 이벤트에 따른 사용자 기능 활성화 또는 활성화된 사용자 기능 운용 등의 사용자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613 단계로 분기하여 단말기(100) 종료를 위한 입력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입력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603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전원이 공급되면 사전 정의된 스케줄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일정 메뉴 항목이 포함된 화면을 8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부(140)에 출력된 메뉴 항목들 중 특정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40) 상에는 접촉 지점(11)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지점(11)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의 특성이 사전 정의된 일정 특성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의 특성이 사전 정의된 데미지 raw 데이터 이상인 경우 제어부(160)는 703 화면 및 705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이벤트의 특성은 터치 패널(143)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분포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데미지 raw 데이터는 사전 정의된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이 될 수 있다.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703 화면에서와 같이 사전 정의된 경고 메시지(40)를 표시부(14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해당 경고 메시지(40)를 안내음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해당 경고 메시지(40)에 대응하는 경고성 진동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705 화면에서와 같이 데미지 raw 데이터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하고, 사전 정의된 보상 이미지(12)를 해당 표시 패널(143)의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 이미지(12)는 액정층의 두께 변화 및 칼라필터층의 왜곡 등을 보상하여 가압된 지점의 이미지 왜곡을 보상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보상 이미지(12)는 다양한 비정상 가압 발생 및 각 표시 패널(143)의 특성에 따라 실험적으로 검출되고 정의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43)의 특성에 따라 액정층의 두께나 표시 패널의 구조적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비정상 가압에 따라 발생하는 멍 현상의 형태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상 이미지(12)는 특정 타입 및 특정 크기의 표시 패널(143)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획득된 결과를 토대로 이미지 왜곡 보상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보상 이미지(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정상 가압의 크기에 따라 단계별로 다르게 설계된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703 화면에서와 같은 경고 메시지나 경고음, 경고 안내음, 경고성 진동 출력을 수행하면서 705 화면에서와 같이 보상 이미지(12) 적용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141)에서 감지되는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를 통하여 비정상 가압 부분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표시부(140)의 테두리에 압력 센서를 배치하고, 배치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표시부(140)에서 눌려지는 비정상 가압을 감지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열의 압력 센서들은 표시부(140) 테두리 중 직교된 적어도 두 개의 변 예를 들면 가로 변과 세로 변이 해당 변 방향으로 다수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압력 센서는 표시부(140)의 일정 지점에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부(140)를 구성하는 유리 등의 매질을 통하여 전달되는 터치에 따른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이 사전 정의된 데미지 raw 데이터 이상인 경우 현재 발생한 터치가 비정상 가압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및 보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데미지 raw 데이터는 압력 센서가 전달하는 사전 정의된 일정 파스칼 또는 일정 뉴튼의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표시부(140)의 일정 지점에서 발생하는 비정상 가압에 대한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사전 정의된 일정 처리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의 비정상 가압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비정상 가압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경고 및 이미지 보상을 통하여 사용자가 보다 부드러운 단말기(100) 조작을 유도함과 아울러 이미지 왜곡을 최소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140 : 표시부
141 : 표시 패널 143 : 터치 패널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Claims (16)

  1. 단말기 운용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 상에 발생하는 터치에 의한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터치 압력과 관련된 값을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압력이 비정상 가압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정상 가압이 발생한 지점에 이미지 왜곡 보상을 위한 보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압력과 관련된 값을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은,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의 정전 용량 분포 값을 상기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압력과 관련된 값을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 패널의 정전 용량 분포 값이, 상기 데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 또는 정상 상태 정전 용량 분포 값의 역상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단말기 운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압력과 관련된 값을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 패널의 정전 용량 분포 값이, 상기 데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단계별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 중 어느 단계의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단말기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 압력이 비정상 가압임을 안내하는 메시지, 안내음, 경고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압력의 비정상 가압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다른 보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표시부의 외곽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데미지 데이터는 사전 정의된 압력 센서 값을 포함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상에 발생하는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운용 방법.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발생하는 터치 및 상기 터치에 의한 터치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 압력과 관련된 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압력이 비정상 가압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정상 가압이 발생한 상기 표시부 상의 지점에 이미지 왜곡 보상을 위한 보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의 정전 용량 분포 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의 정전 용량 분포 값이 상기 데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 또는 정상 상태 정전 용량 분포 값의 역상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의 정전 용량 분포 값이, 상기 데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단계별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 중 어느 단계의 비정상 정전 용량 분포 값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사전 정의된 데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비정상 가압임을 안내하는 메시지, 안내음, 경고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압력의 비정상 가압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다른 보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외곽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압력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120101454A 2012-09-13 2012-09-13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0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454A KR102003261B1 (ko) 2012-09-13 2012-09-13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4/025,126 US9342198B2 (en) 2012-09-13 2013-09-12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based on touch pressure and the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AU2013228019A AU2013228019B2 (en) 2012-09-13 2013-09-12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based on touch pressure and the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CN201310416885.9A CN103677401B (zh) 2012-09-13 2013-09-13 基于触摸压力操作电子设备的方法及执行该方法的设备
EP13184305.4A EP2708988B1 (en) 2012-09-13 2013-09-13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based on touch pressure and the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454A KR102003261B1 (ko) 2012-09-13 2012-09-13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80A KR20140035080A (ko) 2014-03-21
KR102003261B1 true KR102003261B1 (ko) 2019-07-30

Family

ID=4916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454A KR102003261B1 (ko) 2012-09-13 2012-09-13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2198B2 (ko)
EP (1) EP2708988B1 (ko)
KR (1) KR102003261B1 (ko)
CN (1) CN103677401B (ko)
AU (1) AU2013228019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9611B (zh) * 2013-05-10 2016-07-0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显示控制的方法、装置及系统
CN105678172B (zh) * 2014-11-21 2020-05-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资料保护方法及系统
KR102615384B1 (ko) 2014-12-23 2023-12-19 케임브리지 터치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압력감지 방식 터치 패널
GB2533667B (en) 2014-12-23 2017-07-19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CN105072468A (zh) * 2015-07-29 2015-11-18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遥控方法和遥控装置
CN105278754A (zh) * 2015-11-19 2016-01-27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GB2544353B (en) 2015-12-23 2018-02-21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US10282046B2 (en) 2015-12-23 2019-05-0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KR102412366B1 (ko) * 2015-12-30 2022-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센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220165A (ja) * 2016-06-10 2017-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インタフェース装置の故障検出装置及び故障検出方法
US10346825B2 (en) * 2016-06-27 2019-07-09 Paypal, Inc. Pressure sensitive device casings to enable device functionality
US11093088B2 (en) 2017-08-08 2021-08-1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GB2565305A (en) 2017-08-08 2019-02-13 Cambridge Touch Tech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US11003274B2 (en) 2018-09-13 2021-05-11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otive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
US10990223B2 (en) * 2018-09-13 2021-04-27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ence touch sensor array force aware interaction in large surface devices
US10871848B2 (en) 2018-09-13 2020-12-22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ence touch sensor array gesture recognition
US10891050B2 (en) 2018-09-13 2021-01-12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s in non-planar controls
US11513648B2 (en) 2018-12-26 2022-11-29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 force aware interaction with handheld display devices
WO2020142311A1 (en) 2019-01-03 2020-07-09 Sens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rect force aware touch control with variable impedance touch sensor arrays
JP7247770B2 (ja) * 2019-06-11 2023-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御システム
CN111309225B (zh) * 2020-01-20 2022-04-1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清屏处理方法及装置
US11763177B2 (en) 2020-05-26 2023-09-1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capacitance-based force sensing for user interface input
US11900784B2 (en) * 2020-05-26 2024-02-13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capacitance-based force sensing
CN114387889B (zh) * 2020-10-20 2024-05-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显示屏模组及电子设备
CN112990949B (zh) * 2021-04-22 2021-07-16 广州市简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用户行为分析客服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3740A1 (en) * 2009-05-05 2010-11-11 Ching-Hung Chao Method for Protecting Resistive Touch Pane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1053832A (ja) * 2009-08-31 2011-03-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000A (en) * 1991-10-21 2000-10-31 Smart Technologies Inc. Projection display system with touch sensing on screen, computer assisted alignment correction and network conferencing
US20090046110A1 (en) * 2007-08-16 2009-0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displayed image
KR101424259B1 (ko) * 2007-08-22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입력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21925B1 (ko) * 2008-11-07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감도 설정방법
US8106787B2 (en) * 2008-11-14 2012-01-31 Nokia Corporation Warning system indicating excessive force on a touch screen or display
TW201101137A (en) * 2009-06-29 2011-01-01 J Touch Corp Touch panel with matrix type tactile feedback
US8363020B2 (en) * 2009-08-27 2013-01-29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sure-based manipulation of content on a touch screen
JP5419153B2 (ja) * 2009-10-22 2014-02-1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ッチ検出装置、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8669952B2 (en) * 2011-06-09 2014-03-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allic nanoparticle pressure sensor
US8286102B1 (en) * 2010-05-27 2012-10-09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using multi-touch gestures
EP2390772A1 (en) * 2010-05-31 2011-11-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r interface with three dimensional user input
US8599165B2 (en) * 2010-08-16 2013-12-03 Perceptive Pixel Inc. Force and true capacitive touch measurement techniques for capacitive touch sensors
US9459736B2 (en) * 2010-10-12 2016-10-04 Parade Technologies, Ltd. Flexible capacitive sensor array
US9262002B2 (en) * 2010-11-03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Force sensing touch screen
KR20120109027A (ko) * 2011-03-24 2012-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CN102915172B (zh) * 2011-08-03 2017-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管理显示屏的方法及装置
JP6005422B2 (ja) * 2012-07-06 2016-10-1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電子デバイス
KR102207861B1 (ko) * 2013-04-2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3740A1 (en) * 2009-05-05 2010-11-11 Ching-Hung Chao Method for Protecting Resistive Touch Pane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1053832A (ja) * 2009-08-31 2011-03-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8988A3 (en) 2017-09-13
EP2708988B1 (en) 2020-06-17
US9342198B2 (en) 2016-05-17
CN103677401B (zh) 2018-07-31
EP2708988A2 (en) 2014-03-19
AU2013228019B2 (en) 2018-08-30
KR20140035080A (ko) 2014-03-21
US20140071077A1 (en) 2014-03-13
CN103677401A (zh) 2014-03-26
AU2013228019A1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261B1 (ko) 터치 압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7375063B2 (ja) Lcdディスプレイ、電子デバイス、lcd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US114746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 sensing
JP5808404B2 (ja) 電子機器
RU2605359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асанием и портативный терминал,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его
US8284567B2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input device having piezoelectric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683761B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10086149A (ko) 디스플레이에 통합된 압저항 힘 센서
CN106527785B (zh) 移动终端和用于该移动终端的控制方法
US20090244026A1 (en) Touch screen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touch interaction therewith
CN105511719A (zh) 通知信息显示方法和装置
WO200909530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user input
US2012029345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apacitive touch-sensitive display
US974128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riving same
CN108289270B (zh) 一种扬声器及移动终端
US20140233771A1 (en) Apparatus for front and rear speaker audio control in a device
KR101646779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
JP5766083B2 (ja) 携帯電子機器
CN111443822B (zh) 电子设备、其控制方法及介质
US9552094B2 (en) User interface responsiveness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US20230051784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3037497A (ja) 電子機器
KR101863654B1 (ko)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 변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40582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polarizing ability of glass using the same
US2014023266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detecting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