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092B1 - 지붕 마감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붕 마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092B1
KR102002092B1 KR1020190003469A KR20190003469A KR102002092B1 KR 102002092 B1 KR102002092 B1 KR 102002092B1 KR 1020190003469 A KR1020190003469 A KR 1020190003469A KR 20190003469 A KR20190003469 A KR 20190003469A KR 102002092 B1 KR102002092 B1 KR 10200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oof
clip
sandwich pane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석
Original Assignee
임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석 filed Critical 임영석
Priority to KR102019000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8Connecting; Fastening for double roof covering or overroof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two oxygen atoms in the ring
    • C08K5/156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2003/36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fixed to the roof structure and comprising plastic parts for avoiding thermal b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 마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으로 지붕마감판을 연결하고, 클립에 앵커볼트를 박아 지붕퍼린(Roof Purlin)에 고정할 때 지붕마감판에 가해지는 태양열이 클립과 앵커볼트를 통해 지붕퍼린로 전달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패드를 더 구비하여 단열 및 차열 효과를 높이도록 개선된 지붕 마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붕 마감 시스템{System for finishing exterior roof}
본 발명은 지붕 마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으로 지붕마감판을 연결하고, 클립에 앵커볼트를 박아 지붕퍼린(Roof Purlin)에 고정할 때 지붕마감판에 가해지는 태양열이 클립과 앵커볼트를 통해 지붕퍼린로 전달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패드를 더 구비하여 단열 및 차열 효과를 높이도록 개선된 지붕 마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에서는 지붕하중을 지탱하고 긴 부재인 서까래의 스팬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퍼린(Purlin)과 스트럿(Strut)을 시공한다.
스트럿의 지지를 받는 퍼린은 하중을 내력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퍼린은 서까래의 힘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서까래 이상의 크기로 시공된다.
그리고, 퍼린의 위쪽에 지붕패널이 설치되고, 이를 앵커볼트가 관통하여 퍼린에 고정되며, 그 다음 지붕마감판으로 마감된다.
이때, 지붕패널은 보통 하판과 상판 사이에 폴리우레탄 또는 유리솜(glass wool) 또는 암면 등과 같은 소재로 구성되는 단열층이 충진되는 샌드위치 형태인 샌드위치패널이다.
이러한 구조는 단열, 차열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방수성도 떨어진다.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방수도막을 별도로 형성하거나 복잡한 방수구조를 갖추도록 지붕 시스템을 개량한 예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앵커볼트는 지붕마감판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고, 또한 지붕패널을 관통한 다음 퍼린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금속재로 된 이들의 특성상 지붕마감판에 가해진 태양열이 앵커볼트를 타고 그대로 퍼린으로 전달된 후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은 해결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7343호(2016.05.30.) '건축물 지붕에 다양한 형상의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패널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3689호(2018.10.17.) '지붕용 마감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클립으로 지붕마감판을 연결하고, 클립에 앵커볼트를 박아 지붕퍼린(Roof Purlin)에 고정할 때 지붕마감판에 가해지는 태양열이 클립과 앵커볼트를 통해 지붕퍼린로 전달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패드를 더 구비하여 단열 및 차열 효과를 높이도록 개선된 지붕 마감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붕퍼린(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샌드위치패널(200)과; 상기 샌드위치패널(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방수패드(300)와; 상기 방수패드(300) 위에 안착되는 다수의 클립(400)과; 상기 클립(400)의 수평한 부분인 지지판면부(410)와 샌드위치패널(200)을 관통하여 지붕퍼린(100)에 볼트고정되는 앵커볼트(500)와; 상기 클립(400)의 헤드부에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중첩되게 얽혀 끼워고정되면서 상기 샌드위치패널(2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지붕마감판(600);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볼트(500)에는 단열테이프(700)가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마감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방수패드(300)와 상기 클립(400)의 지지판면부(410) 사이에는 상부단열패드(P1)가 더 개재되며, 상기 상부단열패드(P1)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테르 3.5중량%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미세중공체 분말과 잔탄검이 7: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2.5중량%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5.5중량%와, 퍼플루오로-1,3-디옥솔 1.5중량%와, C18H24N2 2.5중량%와, 구타페르카와 실리카겔이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클로로폼에 녹인 액체 5중량%와, 메틸술포닉메탄 3.5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3.5중량%와,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립으로 지붕마감판을 연결하고, 클립에 앵커볼트를 박아 지붕퍼린(Roof Purlin)에 고정할 때 지붕마감판에 가해지는 태양열이 클립과 앵커볼트를 통해 지붕퍼린로 전달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패드를 더 구비하여 단열 및 차열 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마감 시스템을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마감 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립과 앵커볼트의 설치예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마감 시스템은 지붕퍼린(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샌드위치패널(200)과, 상기 샌드위치패널(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방수패드(300)와, 상기 방수패드(300) 위에 안착되는 다수의 클립(400)과, 상기 클립(400)의 수평한 부분인 지지판면부(410)와 샌드위치패널(200)을 관통하여 지붕퍼린(100)에 볼트고정되는 앵커볼트(500)와, 상기 클립(400)의 헤드부에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중첩되게 얽혀 끼워고정되면서 상기 샌드위치패널(2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지붕마감판(6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붕마감판(600)은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판, 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붕마감판(600)을 고정하는 중심점이 되는 클립(400)은 대략 'ㅗ' 형상을 가지며, 수직하게 돌출된 상단에는 헤드부가 형성되어 지붕마감판(600)의 각 일단을 서로 중첩되게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400)의 하단 수평부는 지지판면부(410)를 이루며, 상기 방수패드(300) 상면에 면접 지지되게 안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클립(400)은 금속재이다.
아울러, 상기 앵커볼트(500)는 상기 클립(400)의 지지판면부(410)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샌드위치패널(200)을 뚫고 지붕퍼린(100) 상에 앵커링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쉽고 빠르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붕 마감 시스템에서 스틸로 이루어진 클립(400)이 금속재인 지붕마감판(600)과 접속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지붕마감판(600)에 태양열이 가하는 열기가 클립(400)를 타고 전도되어 앵커볼트(500)를 거쳐 지붕퍼린(100)로 전달됨으로써 샌드위치패널(200)의 단열 성능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생길 수 있다.
이것은 겨울철에 더 불리할 수 있으며, 난방비를 증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물론, 여름철에는 냉방비를 증대시킬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까지 해소할 수 있도록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500)의 둘레에 단열테이프(700)를 감아 열 전도를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단열테이프(700)는 차열성, 단열성은 물론 방수성도 확보하면서 접착성도 우수하도록 운모가루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와, 3-클로로프로필렌옥시드 4.5중량%와, 프로필렌 디카르복실산 2.5중량%와, 콜타르 5.0중량%와, BHT(Butylated HydroxyToluene) 6.0중량%와, 세레신 4.5중량%와, 포졸란 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을 테이프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운모가루는 대표적인 차열제이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초기에 넓은 접착면적을 가지면서 피착제와의 친화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3-클로로프로필렌옥시드는 반응성이 강한 유화물의 안정화제로서 접착 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때, 상기 프로필렌 디카르복실산은 반응성 모노머로서 폴리머 내부와 표면에 음이노성 관능기를 부여하여 강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콜타르는 균열억제 및 방수성능 강화를 위해 첨가되며, 상기 BHT(Butylated HydroxyToluene)는 고무성분이 자외선, 열 또는 공기 등에 의하여 자연 산화 또는 노화되는 현상을 억제시켜 접착력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세레신(Ceresin)은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유화안정화를 유도하여 크랙 발생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포졸란은 내산성, 내부식성 및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 포졸란이 아닌 화산회에서 취득한 입도 0.001mm 이하의 천연포졸란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수지는 열가소성베이스 수지로서 2차 오염이 없고 무용제 타입의 친환경적 접착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열테이프(700)가 1차적인 단열, 차열 기능을 수행하며, 2차적이면서 원천적인 단열, 차열 효과 구현을 위해 상기 방수패드(300)와 상기 클립(400)의 지지판면부(410) 사이에 상부단열패드(P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최종 3차적 차단을 위해 앵커볼트(500)가 관통하는 샌드위치패널(200)과 지붕퍼린(100) 사이에 하부단열패드(P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두단열패드(P1)는 특수하게 조성된 합성수지조성물로 성형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합성수지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테르 3.5중량%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미세중공체 분말과 잔탄검이 7: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2.5중량%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5.5중량%와, 퍼플루오로-1,3-디옥솔 1.5중량%와, C18H24N2 2.5중량%와, 구타페르카와 실리카겔이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클로로폼에 녹인 액체 5중량%와, 메틸술포닉메탄 3.5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3.5중량%와,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테르는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고, 균일한 분산성을 확보하여 방수, 단열, 차열 구현 성분의 분산안정화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미세중공체 분말과 잔탄검의 혼합물은 단열, 차열 특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특히,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미세중공체 분말은 단열기능과 차열기능을 강화시키는 대표적인 물질이며, 잔탄검은 고분자 다당류의 검물질을 이소프로필렌알콜로 정제하고 건조하여 분쇄한 것으로서 유화안정화 및 미세중공체 분말의 결합 및 고정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은 내약품성, 전기적 절연특성, 비점착성, 방오성, 내열성, 마찰특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이 뛰어나므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 첨가된다. 즉, 열전도 억제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퍼플루오로-1,3-디옥솔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의 피블릴화를 억제하여 재응집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C18H24N2(N-(1,3-Dimethylbutyl)-N'-phenyl-p-phenylenediamine)는 열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막아 폴리테트라 플로오로에틸렌의 단열, 차열 특성 강화를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구타페르카는 1000-5000개의 이소프렌 단위체가 중합되어 트랜스형 긴사슬을 갖는 것으로서 고무에 비해 탄성은 적지만 산과 알카리에 잘 침식되지 않기 때문에 내산성, 내알카리성, 내침식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다만, 탄성과 햇빛 및 산소와 반응하여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내수성, 발수성 특성을 동시에 갖추도록 실리카겔을 2:1의 중량비로 혼합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클로로폼에 녹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메틸술포닉메탄은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크랙, 갈라짐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은 열에 강한 실록산 결합(Si-O-Si)과 유기질의 메틸기로 구성되어 있어 강한 접착성과 열산화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강한 내구성과 강도 증진을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는 자기조립단분자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실리카 나노구조를 이루게 되어 접촉각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초발수특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폴리우레탄수지는 밀폐력, 방수성, 성형성이 우수한 베이스 수지이다.
이때, 상기 상부단열패드(P1)의 단열, 차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합성수지 조성물로 10cm × 10cm × 0.5cm 크기의 시트상 샘플을 만들고, 이 샘플에 대해 KS L2514:2011의 시험방법에 따라 차열(단열)시험을 실시한 결과, 78%의 차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합성수지 조성물로 성형하여 상부단열패드(P1)를 구성하게 되면 클립(400)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지붕퍼린(100)의 단열성, 차열성을 더욱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하부단열패드(P2)는 트리스(2-클로로메틸) 포스페이트 4.5중량%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미세중공체 분말 12.5중량%와, 트리글리세라이드 2.5중량%와, 프로필렌 디카르복실산 3.5중량%와, 메틸실세퀴옥산 7.5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6.0중량%와, 트리클로산 4.5중량% 및 나머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트리스(2-클로로메틸) 포스페이트는 발화지연성이 있고 중합체를 유연화시키면서 점성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미세중공체 분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열 및 차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리시놀레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서 특히, 표면 평활도를 높여 방오성을 높이고 내침식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 디카르복실산은 중합된 폴리머의 입자표면에서 입자간 분산안정성과 저장안정성을 증대시켜 크랙 발생을 억제하고, 차열 기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메틸실세퀴옥산은 실란기와의 반응에 의해 표면에서 나노 크기의 미세 다공을 유발시켜 표면 거칠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접촉각을 크게 하고 이를 통해 방수성, 다시 말해 발수성을 강화시키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겔을 형성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성을 장시간 동안 확정하여 바인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특히 방수기능을 강화시켜 젖음성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트리클로산(trichlosane)는 방균제로서, 곰팡이를 비롯한 세균 활성을 억제하여 항균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수지는 계면에서의 안정적인 부착력을 유지하면서 내후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베이스 수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지붕퍼린(100)의 단열성, 차열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100: 지붕퍼린
200: 샌드위치패널
300: 방수패드
400: 클립
500: 앵커볼트
600: 지붕마감판
700: 단열테이프

Claims (3)

  1. 지붕퍼린(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샌드위치패널(200)과;
    상기 샌드위치패널(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방수패드(300)와;
    상기 방수패드(300) 위에 안착되는 다수의 클립(400)과;
    상기 클립(400)의 수평한 부분인 지지판면부(410)와 샌드위치패널(200)을 관통하여 지붕퍼린(100)에 볼트고정되는 앵커볼트(500)와;
    상기 클립(400)의 헤드부에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중첩되게 얽혀 끼워고정되면서 상기 샌드위치패널(2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지붕마감판(600);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볼트(500)에는 단열테이프(700)가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방수패드(300)와 상기 클립(400)의 지지판면부(410) 사이에는 상부단열패드(P1)가 더 개재되며,
    상기 상부단열패드(P1)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테르 3.5중량%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미세중공체 분말과 잔탄검이 7: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2.5중량%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5.5중량%와, 퍼플루오로-1,3-디옥솔 1.5중량%와, C18H24N2 2.5중량%와, 구타페르카와 실리카겔이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클로로폼에 녹인 액체 5중량%와, 메틸술포닉메탄 3.5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3.5중량%와,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마감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테이프(700)는 차열성, 단열성은 물론 방수성도 확보하면서 접착성도 우수하도록 운모가루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와, 3-클로로프로필렌옥시드 4.5중량%와, 프로필렌 디카르복실산 2.5중량%와, 콜타르 5.0중량%와, BHT(Butylated HydroxyToluene) 6.0중량%와, 세레신 4.5중량%와, 포졸란 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을 테이프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마감 시스템.
KR1020190003469A 2019-01-10 2019-01-10 지붕 마감 시스템 KR10200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69A KR102002092B1 (ko) 2019-01-10 2019-01-10 지붕 마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69A KR102002092B1 (ko) 2019-01-10 2019-01-10 지붕 마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092B1 true KR102002092B1 (ko) 2019-07-22

Family

ID=6746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469A KR102002092B1 (ko) 2019-01-10 2019-01-10 지붕 마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96B1 (ko) * 2020-04-27 2021-04-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앤디 무인비행장치와 플라이트 플랜을 이용한 건축물 크랙 유지보수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82B1 (ko) * 2014-02-12 2015-07-14 딥스알앤디 주식회사 옥상 단열 방수구조 및 옥상 단열 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1627343B1 (ko) 2015-12-18 2016-06-13 박완식 건축물 지붕에 다양한 형상의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패널시스템
KR20170032717A (ko) * 2015-09-15 2017-03-23 안병욱 결로방지용 볼트
KR101865885B1 (ko) * 2018-01-22 2018-06-08 임영석 열차단 스터드 조립체
KR20180113689A (ko) 2017-04-07 2018-10-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붕용 마감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82B1 (ko) * 2014-02-12 2015-07-14 딥스알앤디 주식회사 옥상 단열 방수구조 및 옥상 단열 방수구조 시공방법
KR20170032717A (ko) * 2015-09-15 2017-03-23 안병욱 결로방지용 볼트
KR101627343B1 (ko) 2015-12-18 2016-06-13 박완식 건축물 지붕에 다양한 형상의 상부마감판을 고정하는 패널시스템
KR20180113689A (ko) 2017-04-07 2018-10-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붕용 마감재
KR101865885B1 (ko) * 2018-01-22 2018-06-08 임영석 열차단 스터드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96B1 (ko) * 2020-04-27 2021-04-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앤디 무인비행장치와 플라이트 플랜을 이용한 건축물 크랙 유지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8394B2 (en) Air-water barrier silicone coatings
US20100273382A1 (en) Acoustic and fire retardant foam coating composition for fibrous mat
US20160003404A1 (en) Heat insulating structure using aerogel
CN102032418B (zh) 隔热保温材料
KR1011480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차열방수공법
CN100358966C (zh) 中空玻璃用低水气透过率硅酮密封胶及其制造方法
KR101439298B1 (ko) 차열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JP2008517144A (ja) ポリマー及びシリコーンゴムを含む組成物
KR102002092B1 (ko) 지붕 마감 시스템
CN108165208B (zh) 一种胶黏剂
CN105802415A (zh) 一种反射隔热涂料
CN112680003A (zh) 一种无机隔热涂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36574A (ko) 단열부직포를 이용한 복합시트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복합시트 방수 공법
KR102035504B1 (ko)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KR102002091B1 (ko) 외벽 마감 시스템
CN113234380A (zh) 一种防火涂料及其应用
KR102490818B1 (ko) 수영장용 바닥 마감재 및 방수시공방법
KR101600819B1 (ko) 물유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0738B1 (ko) 수성 아크릴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슁글의 날림 방지 및 방수시공공법
KR102290324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CN107731392A (zh) 一种电力电缆保护组件
KR102039886B1 (ko)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U90465U1 (ru) Стро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KR20120139148A (ko) 벽체용 도막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21506B1 (ko)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