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504B1 -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504B1
KR102035504B1 KR1020190104422A KR20190104422A KR102035504B1 KR 102035504 B1 KR102035504 B1 KR 102035504B1 KR 1020190104422 A KR1020190104422 A KR 1020190104422A KR 20190104422 A KR20190104422 A KR 20190104422A KR 102035504 B1 KR102035504 B1 KR 10203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wall
gap
pla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환경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환경에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환경에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10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벽마감판을 벽체에 설치할 때 단열재 설치 구조를 개량하여 대고 조이기만 하면 아주 빠른시간 내에 쉽게 체결 고정할 수 있으면서 단열 성능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변화에 따른 결로현상을 억제하여 단열성능을 가일층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Exterior Wall Insulation System of Apartment}
본 발명은 건축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벽마감판을 벽체에 설치할 때 단열재 설치 구조를 개량하여 대고 조이기만 하면 아주 빠른시간 내에 쉽게 체결 고정할 수 있으면서 단열 성능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변화에 따른 결로현상을 억제하여 단열성능을 가일층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외벽 마감은 석재, 유리, 타일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석재나 유리 등은 비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무겁기 때문에 최근에는 경량의 금속재,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패널을 이용하여 외벽을 마감하는 외벽마감판 형태로 많이 시공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 금속패널을 이용한 외벽마감판 시공은 벽체에 앵커볼트로 고정된 지지브라켓상에 각파이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각파이프에 설치할 수 있는 규격대로 절단, 절곡한 금속패널을 현장에 반입한 후 대략 'U' 형상을 갖는 체결부재를 각파이프에 스크류 고정하고, 이 체결부재에 금속패널의 절곡단부를 끼워 넣은 다음, 금속패널들 사이로 단열재 및 코킹재를 넣고 실리콘으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절곡해야 하는 불필요한 공수가 추가됨으로 인해 가공시간, 비용 등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틈새가 유지된 채 그 위에 그대로 외벽마감판이 부착되기 때문에 틈새로의 외기 유출입에 따른 기온 차이로 인한 결로 발생, 혹한기 결로에 의한 결빙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461545호(2014-11-07.), 외벽 마감구조(특허권자:주식회사 조운건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외벽마감판을 벽체에 설치할 때 단열재 설치 구조를 개량하여 대고 조이기만 하면 아주 빠른시간 내에 쉽게 체결 고정할 수 있으면서 단열 성능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변화에 따른 결로현상을 억제하여 단열성능을 가일층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체(100)에 고정되는 판형 단열가이드(200)와, 상기 판형 단열가이드(200)에 고정되는 단열재(300)와, 상기 단열재(300)들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틈새단열재(400)와, 상기 단열재(300)와 틈새단열재(400) 및 틈새단열재(400)들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씰시트(seal sheet)(500)와, 상기 씰시트(500) 위에 접지된 상태로 마감되는 외벽마감판(600)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열가이드(200)는 폴리에틸렌 폼으로 제조된 시트로서, 네모서리에는 체결로드(210)가 돌출되고, 상기 단열가이드(200)의 벽체(100) 접촉면에는 그물망(220)이 접착된 상태로 구비되며, 나사식 고정앵커(230)를 통해 벽체(100)에 고정되고;
상기 단열가이드(200)와 단열가이드(200) 사이에는 벽체(100)에 매립 고정된 앵커볼트(ANC)가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300)는 미소다공의 실리카를 알미늄 호일로 피복하되 내부가 진공되게 구성한 단열재로서, 테두리(310)는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되어 형태성을 유지하며, 단열보드(320)에 접착 고정된 상태로 만들어져 상기 체결로드(210)에 끼워진 후 체결너트(330)로 체결되고;
상기 틈새단열재(400)는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되며;
상기 씰시트(500)는 상기 앵커볼트(ANC)에 끼워진 후 시트고정너트(510)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단열 시트이고;
상기 외벽마감판(600)은 금속판이고, 상기 앵커볼트(ANC)에 끼워진 후 씰시트(500)을 밀착하면서 판고정너트(61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벽마감판을 벽체에 설치할 때 단열재 설치 구조를 개량하여 대고 조이기만 하면 아주 빠른시간 내에 쉽게 체결 고정할 수 있으면서 단열 성능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변화에 따른 결로현상을 억제하여 단열성능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을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을 구성하는 외벽마감판까지 조립 설치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은 벽체(100)에 고정되는 판형 단열가이드(200)와, 상기 판형 단열가이드(200)에 고정되는 단열재(300)와, 상기 단열재(300)들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틈새단열재(400)와, 상기 단열재(300)와 틈새단열재(400) 및 틈새단열재(400)들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씰시트(seal sheet)(500)와, 상기 씰시트(500) 위에 접지된 상태로 마감되는 외벽마감판(6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열가이드(200)는 폴리에틸렌 폼으로 제조된 시트로서, 네모서리에는 체결로드(210)가 돌출된다.
특히, 상기 단열가이드(200)의 벽체(100) 접촉면에는 그물망(220)이 접착된 상태로 구비되는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그물망(220)을 벽체(100) 쪽에 부착시킨 상태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이 경우, 상기 그물망(220)은 완충 및 단열, 차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알긴산소다 5.5중량%와, 글리콜-2-에틸헥사놀 8.0중량%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5.0중량%와, 카본블랙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을 2mm 직경으로 방사하여 직포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알긴산소다는 응집력을 높여 그물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글리콜-2-에틸헥사놀는 소포성을 확보하여 그물의 끊어짐이 생기지 않도록 성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점도 유지 및 교반성과 완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카본블랙은 단열 및 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단열가이드(200)는 나사식 고정앵커(230)를 통해 벽체(100)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단열가이드(200)와 단열가이드(200) 사이에는 앵커볼트(ANC)가 구비되는데, 앵커볼트(ANC)는 벽체(100) 형성시부터 일부가 돌출되고 일부가 매립된 구조로 함께 양생되는 것으로 이미 설계에 반영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단열재(300)는 미소다공의 실리카를 알미늄 호일로 피복하되 내부가 진공되게 하여 진공 단열성을 구현한 패널 형식의 단열재로서, 테두리(310)는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되어 형태성을 유지하며, 단열보드(320)에 접착 고정된 상태로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단열보드(320)는 상기 단열가이드(200)와 동일 크기로 형성되고, 테두리(310)를 포함한 단열재(300)는 단열보드(320)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단열보드(320)를 체결로드(210)에 끼우고 체결너트(330)로 체결하면 단열재(300) 설치가 아주 쉽고 빠르게 완료된다.
한편, 상기 틈새단열재(400)는 폴리우레탄폼으로서 단열재(300)와 단열재(300) 사이 공간을 밀폐하도록 삽입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틈새단열재(400)는 폴리우레탄폼이기 때문에 눌러 끼우면 돌출되어 있는 체결로드(210)들이 틈새단열재(400) 속으로 파고들면서 자연스럽게 매립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설치된다.
때문에, 체결로드(210)가 일종의 앵커 역할을 하도록 앵커링되기 때문에 눌러 끼우기만 해도 벽체(10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고 쉽게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씰시트(500)는 상기 단열재(300)와 틈새단열재(400) 사이의 틈새, 및 상기 틈새단열재(400)들 사이의 틈새를 덮어 주도록 그 위에 밀착 배치되는 밀폐용 단열 시트이다.
따라서, 상기 씰시트(500)는 상기 앵커볼트(ANC)에 끼워진 후 시트고정너트(510)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단열 시트로서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운모분말 7.5중량%와, 콜타르 3.5중량%와, 메틸술포닉메탄 3.5중량%와, BHT(Butylated HydroxyToluene) 2.0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3.5증랭%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운모는 대표적인 차열제이다.
그리고, 상기 콜타르는 균열억제 및 방수성능 강화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메틸술포닉메탄은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크랙, 갈라짐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BHT(Butylated HydroxyToluene)는 고무성분이 자외선, 열 또는 공기 등에 의하여 자연 산화 또는 노화되는 현상을 억제시켜 접착력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은 열에 강한 실록산 결합(Si-O-Si)과 유기질의 메틸기로 구성되어 있어 강한 접착성과 열산화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강한 내구성과 강도 증진을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상기 폴리우레탄수지는 열가소성베이스 수지로서 2차 오염이 없고 무용제 타입의 친환경적 접착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마감판(600)은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판, 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판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외벽마감판(600)은 상기 앵커볼트(ANC)에 끼워진 후 씰시트(500)을 긴밀하게 밀착하면서 판고정너트(61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벽 단열시스템은 외벽마감판(600)이 씰시트(500)에 의해 1차 단열 및 차열, 단열재(300)와 틈새단열재(400)에 의해 2차 단열 및 차열되므로 단열 및 차열성능이 월등히 향상된다.
또한, 단열재(300)들 사이, 틈새단열재(400)와의 사이 등이 씰시트(500)에 의해 긴밀하게 밀봉되기 때문에 외기 출입을 차단하여 결로를 억제하고, 이를 통해 결빙 문제도 해결하는 장점이 있다.
100: 벽체 200: 단열가이드
300: 단열재 400: 틈새단열재
500: 씰시트 600: 외벽마감판

Claims (1)

  1. 벽체(100)에 고정되는 판형 단열가이드(200)와, 상기 판형 단열가이드(200)에 고정되는 단열재(300)와, 상기 단열재(300)들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틈새단열재(400)와, 상기 단열재(300)와 틈새단열재(400) 및 틈새단열재(400)들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씰시트(seal sheet)(500)와, 상기 씰시트(500) 위에 접지된 상태로 마감되는 외벽마감판(600)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열가이드(200)는 폴리에틸렌 폼으로 제조된 시트로서, 네모서리에는 체결로드(210)가 돌출되고, 상기 단열가이드(200)의 벽체(100) 접촉면에는 그물망(220)이 접착된 상태로 구비되며, 나사식 고정앵커(230)를 통해 벽체(100)에 고정되고;
    상기 단열가이드(200)와 단열가이드(200) 사이에는 벽체(100)에 매립 고정된 앵커볼트(ANC)가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300)는 미소다공의 실리카를 알미늄 호일로 피복하되 내부가 진공되게 구성한 단열재로서, 테두리(310)는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되어 형태성을 유지하며, 단열보드(320)에 접착 고정된 상태로 만들어져 상기 체결로드(210)에 끼워진 후 체결너트(330)로 체결되고;
    상기 틈새단열재(400)는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되며;
    상기 씰시트(500)는 상기 앵커볼트(ANC)에 끼워진 후 시트고정너트(510)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단열 시트이고;
    상기 외벽마감판(600)은 금속판이고, 상기 앵커볼트(ANC)에 끼워진 후 씰시트(500)을 밀착하면서 판고정너트(61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KR1020190104422A 2019-08-26 2019-08-26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KR10203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422A KR102035504B1 (ko) 2019-08-26 2019-08-26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422A KR102035504B1 (ko) 2019-08-26 2019-08-26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504B1 true KR102035504B1 (ko) 2019-10-24

Family

ID=6842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422A KR102035504B1 (ko) 2019-08-26 2019-08-26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94B1 (ko) 2020-01-22 2020-07-08 두성단열(주) 시공이 용이한 단열부 틈새 밀폐용 단열재
CN115370181A (zh) * 2022-09-22 2022-11-2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装饰一体化墙体改造结构
CN116575672A (zh) * 2023-06-09 2023-08-11 广州珠江装修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干式施工的装配式装饰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362A (ko) * 2005-07-12 2007-01-17 유겐가이샤 아르테 외단열 벽재에 의한 건축 기초 코너 벽재의 제조방법, 이건축 기초 코너 벽재 및 이 건축 기초 코너부의 구축공법
KR100720758B1 (ko) * 2007-01-31 2007-05-23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기초부에 설치되는 외단열패널
KR101012664B1 (ko) * 2009-11-18 2011-02-09 엔알티 주식회사 진공판넬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584941B1 (ko) * 2015-05-31 2016-01-14 최철수 조립식 단열 내외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362A (ko) * 2005-07-12 2007-01-17 유겐가이샤 아르테 외단열 벽재에 의한 건축 기초 코너 벽재의 제조방법, 이건축 기초 코너 벽재 및 이 건축 기초 코너부의 구축공법
KR100720758B1 (ko) * 2007-01-31 2007-05-23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기초부에 설치되는 외단열패널
KR101012664B1 (ko) * 2009-11-18 2011-02-09 엔알티 주식회사 진공판넬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584941B1 (ko) * 2015-05-31 2016-01-14 최철수 조립식 단열 내외장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특허 제10-1461545호(2014-11-07.), 외벽 마감구조(특허권자:주식회사 조운건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94B1 (ko) 2020-01-22 2020-07-08 두성단열(주) 시공이 용이한 단열부 틈새 밀폐용 단열재
CN115370181A (zh) * 2022-09-22 2022-11-2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装饰一体化墙体改造结构
CN115370181B (zh) * 2022-09-22 2023-08-18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装饰一体化墙体改造结构
CN116575672A (zh) * 2023-06-09 2023-08-11 广州珠江装修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干式施工的装配式装饰墙
CN116575672B (zh) * 2023-06-09 2023-11-07 广州珠江装修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干式施工的装配式装饰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504B1 (ko) 공동주택의 외벽 단열 시스템
KR10146950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GB2448467A (en) Insulating panel
JP2011504211A (ja) 強度補強用パネル
KR101281884B1 (ko)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JP2007231723A (ja) 外断熱防水工法
US20140224459A1 (en) Exterior heat insultation cover panel
US10125917B2 (en) Membrane bonded anchor arrangement
KR10170206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구조체
KR102229529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용 구조체
KR101602608B1 (ko) 컨테이너 단열 시스템
CN214466991U (zh) 一种排水管隔音片
KR20150002707U (ko) 열차단성능이 우수한 외장마감재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외장마감재 결합구조
KR200453109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JP2004208046A (ja) 浴室テレビ
CN105952090A (zh) 干挂复合保温装饰墙板及建筑墙体干挂保温构件
CN211773876U (zh) 一种地下建筑墙体防水结构
CN215662212U (zh) 一种石材蜂窝板
CN216740249U (zh) 一种卫生间隔墙防水结构
CN209759318U (zh) 一种方便安装的防辐射中空玻璃
CN216076071U (zh) 大尺寸板式建筑装饰结构
KR102229518B1 (ko)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KR102085300B1 (ko) 공동주택의 내벽 단열 구조
KR100840344B1 (ko)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CN217399965U (zh) 一种建筑施工外墙用隔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