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518B1 -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 Google Patents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518B1
KR102229518B1 KR1020200092926A KR20200092926A KR102229518B1 KR 102229518 B1 KR102229518 B1 KR 102229518B1 KR 1020200092926 A KR1020200092926 A KR 1020200092926A KR 20200092926 A KR20200092926 A KR 20200092926A KR 102229518 B1 KR102229518 B1 KR 10222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tructure
exterior panel
panel connection
gasket
insertio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518B9 (ko
Inventor
안광태
양승범
안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폴리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폴리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폴리캠
Priority to KR1020200092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51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518B9/ko
Publication of KR10222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2Compressable seals of solid form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켓을 통하여 개선된 외기차단 및 방수 구조를 이루게 되어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부위 틈새를 통한 외부공기 및 수분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실내 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외장패널(10)을 연결하는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에는 외장패널(10)에 돌출 구비된 결합돌출부(1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1)이 양측에 각각 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 일측에는 삽입된 결합돌출부(11)와 밀착되어질 수 있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30)이 구성되며; 상기 가스켓(30)의 조립을 위한 슬라이딩홈(22)이 삽입홈(21) 일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Building Exterior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d Confidentiality}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공사시 외장패널의 연결부에서 외기 및 방수를 위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외장 공사의 통상적인 공법 중 하나는 벽체마감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것인데, 이러한 벽체마감패널 시공방법에는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이 있다.
습식 공법은 건축물의 외벽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발라서 벽체마감패널을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 시멘트 모르타르를 접착제처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인데, 시멘트의 양생 시간이 길고, 작업이 비효율적이라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건식 공법은 건축물 외벽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별도 패널고정장치를 결합하고, 패널고정장치에 벽체마감패널을 고정시킴으로써 벽체마감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하도록 하는 공법으로서, 시공 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벽체마감패널로는 콘크리트 패널, 석재(대리석 등) 패널, EPS(발포 폴리스티렌) 패널이나 우레탄 패널 등의 샌드위치 패널, 세라폼보드 등이 있고,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카보네이트를 복층구조로 형성한 폴리카보네이트(PC) 패널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강화유리의 150배, 아크릴의 30배에 달하는 충격강도를 지니며, 가공성이 우수하여 아크릴의 대용재이자 유리의 보완재로 사용되며, 특히 복층구조의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은 단열성능이 뛰어나 건축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된다.
더욱이,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은 투명(경면 타입) 또는 반투명(프로스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조명장치와 조합되어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종래의 불투명 외장패널로서는 시도할 수 없었던 새로운 미감의 내외장패널로 사용되고 있다.
건축 내외장재용 패널로 사용되는 복층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은 통상적으로 양단부에 패널 연장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맞닿은 양 패널의 상기 결합돌출부들을 결합시키는 커넥터(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에 의해 양 패널들이 상호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패널과 패널커넥터의 구성에 관해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5025호에 그 일례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패널커넥터는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출부 한 쌍이 함께 끼워짐으로써 인접한 두 패널들을 그 단부면이 상호 맞닿도록 하여 결합할 수 있고, 또한 패널커넥터 자체가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호간에 결합된 인접한 폴리카보네이트 패널들이 벽체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단부면이 상호 맞닿은 폴리카보네이트 패널들 사이 틈새는 습식 공법에 의한 벽체마감패널 시공의 경우처럼 시멘트 모르타르에 의해 완벽히 밀봉되는 것이 아니므로, 외부로부터의 외기나 수분이 패널들 사이 틈새를 통하여 내부로 침투하게 될 수 있다. 패널들 사이 틈새로 침투한 외기나 물은 패널들의 결합돌출부와 커넥터 사이의 공간에까지 침투할 수 있고, 패널커넥터 외부 즉, 패널들 뒤쪽 공간으로 침투할 수도 있다.
이는 외부의 눈, 비 등이 폴리카보네이트패널을 통과하여 실내로 침투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므로, 실내공간의 거주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더욱이, 시각적 효과를 위해 폴리카보네이트패널 뒤쪽 공간에 조명기기와 그에 따른 안정기 등의 전기장치들을 설치한 경우에는 침투한 수분으로 인해 누전 발생의 위험도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24800(2008.04.17.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134150호(2019.12.04.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외장패널 연결부위에서의 외기차단 및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고 더불어 패널들의 결합돌출부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의 변형을 커넥터를 가로지르는 볼트체결로 방지할 수 있어 실내 보온성 확보 및 실내측에 설치된 전기설비의 누전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외장패널을 연결하는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일측에는 외장패널에 돌출 구비된 결합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양측에 각각 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일측에는 삽입된 결합돌출부와 밀착되어질 수 있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이 구성되며; 상기 가스켓의 조립을 위한 슬라이딩홈이 삽입홈 일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삽입홈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와, 결합돌출부와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상을 이루는 중공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구조체는 양측 삽입홈에 결합된 결합돌출부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한 체결볼트가 관통 체결되며, 상기 연결 구조체에는 체결볼트의 체결을 위한 볼트공이 형성됨과 함께 양측에는 볼트머리가 안착되는 볼트머리 안착홈 및 체결너트가 안착되는 너트 안착홈이 각각 대칭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는, 가스켓을 통한 개선된 외기차단 및 방수 구조를 이루고 있어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부위 틈새를 통한 외부공기 및 수분유입이 차단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실내 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며, 패널들의 결합돌출부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한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를 가로지르는 볼트체결로 보완할 수 있다.
특히, 양측에 구비된 2개의 가스켓이 양측 외장패널 결합돌출부와 개별 접촉에 의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외기차단 및 방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스켓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패널 연결부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외장패널 연결부 분리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부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단면 상세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에 외장패널이 결합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부품 분리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외장패널(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재질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에는 외장패널(10)에 돌출 구비된 결합돌출부(1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1)이 양측에 각각 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에는 삽입된 결합돌출부(11)와 밀착되어질 수 있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30)이 각각 조립 구성된다.
또한,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에는 가스켓(30)의 끼움조립을 위한 슬라이딩홈(22)이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21)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가스켓(30)은 삽입홈(21)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31)와, 결합돌출부(11)와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상을 이루는 중공부(32)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2개의 가스켓(30)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되어 외장패널(10)의 결합돌출부(11)와 각각 개별적인 접촉에 따른 방수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 구조체(20)는 양측 삽입홈(21)에 결합된 결합돌출부(11)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한 체결볼트(25)가 관통 체결되며, 상기 연결 구조체(20)에는 체결볼트(25)의 체결을 위한 볼트공(23)이 형성됨과 함께 양측에는 볼트머리가 안착되는 볼트머리 안착홈 및 체결너트(26)가 안착되는 너트 안착홈이 각각 대칭형태로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외장패널 연결구조체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의 외장패널(10) 시공과정에서 외장패널(10) 배면측 연결부위의 고정을 위해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외장패널(10)의 단부에 구비된 결합돌출부(11)에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를 결합시키게 되면, 양측 결합돌출부(11)가 삽입홈(21)에 삽입됨과 함께 가스켓(30)과 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가스켓(30)에는 탄력성 향상을 위한 중공부(3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돌출부(11)와의 밀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체결된 체결볼트(25)에 의해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되어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의 변형으로 인한 밀착력 약화를 방지하고 이에 따른 외기차단 및 방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스켓(30)은 이탈방지부(31)를 이용한 삽입홈(21)으로의 슬라이딩 삽입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중공부(32)의 변형 내지는 마모에 따른 밀착력 저하시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는, 가스켓이 구비된 개선된 방수 구조를 이루게 되어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부위 틈새를 통한 외부공기 및 수분유입이 차단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실내 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중공부(32)에는 결합돌출부(11)에 대한 가압력 증대를 위한 탄성 재질의 충전제(40)가 충전된다. 특히, 상기 충전제(40)는 테프론수지, 카보머, 플루오로수지, 브로민, 벤조디아제핀, 유리섬유의 혼합 조성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기능성 향상을 위해서는 카보머 성분의 활성화를 위한 트리에탄올 아민, 열경화성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성분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즉, 이때에는 테프론수지 20~40중량%, 카보머 10~30중량%, 플루오로수지 10~30중량%, 브로민 1~10중량%, 벤조디아제핀 1~10중량%, 유리섬유 1~10중량%, 트리에탄올 아민 1~5중량%,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1~5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충전제(40)가 중공부(32) 내에 충전된 구성을 이루게 되면, 중공부(32)의 변형 발생이 감소됨으로써 결합돌출부(11)와의 안정적인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충전제(40)에는 고분자화합물인 카보머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혼합물의 화학적 안정성 및 점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되며, 플루오로수지는 내부 탄성력을 향상시키고, 브로민 및 벤조디아제핀은 충전제(40)의 물성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추가 첨가된 유리섬유는 충전제(40)의 강도 강화를 통한 크랙 발생을 방지하고,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는 혼합물의 산화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슬라이딩홈(22)에는 이탈방지부(31)를 가압 지지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가압봉(50)이 원기둥 형상을 이루어 삽입 구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이탈방지부(31) 일측에는 안착홈(33)이 만곡면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가압봉(50) 표면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한 합성수지 재질의 마찰솔(5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실리콘 재질의 가압봉(50)이 슬라이딩홈(22) 내에서 가스켓(30)의 이탈방지부(31)를 가압하여 가스켓(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안착홈(33) 및 마찰솔(51)의 추가적인 구성을 통하여 가압봉(50)의 보다 안정적인 조립상태 유지 및 조립위치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의 특정한 단면 형상이 도면을 통해 나타내어져 있지만,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의 형상 및 모양은 필요에 따라 변형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외장패널 11 : 결합돌출부
20 :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21 : 삽입홈
22 : 슬라이딩홈 23 : 볼트공
25 : 체결볼트 26 : 체결너트
30 : 가스켓 31 : 이탈방지부
32 : 중공부

Claims (6)

  1.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외장패널(10)을 연결하는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20)에는 외장패널(10)에 돌출 구비된 결합돌출부(1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1)이 양측에 각각 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삽입홈(21)에는 삽입된 결합돌출부(11)와 밀착되어질 수 있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30)이 각각 구성되며;
    상기 가스켓(30)의 조립을 위한 슬라이딩홈(22)이 삽입홈(21)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30)은 삽입홈(21)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는 이탈방지부(31)와, 결합돌출부(11)와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상을 이루는 중공부(32)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부(32)에는 결합돌출부(11)에 대한 가압력 증대를 위한 탄성 재질의 충전제(40)가 충전되고,
    상기 충전제(40)는 테프론수지, 카보머, 플루오로수지, 브로민, 벤조디아제핀 및 유리섬유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체(20)는 양측 삽입홈(21)에 결합된 결합돌출부(11)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한 체결볼트(25)가 관통 체결되며, 상기 연결 구조체(20)에는 체결볼트(25)의 체결을 위한 볼트공(23)이 형성됨과 함께 양측에는 볼트머리가 안착되는 볼트머리 안착홈 및 체결너트(26)가 안착되는 너트 안착홈이 각각 대칭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40)에는 트리에탄올 아민 및 열경화성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성분이 추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22)에는 이탈방지부(31)를 가압 지지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가압봉(50)이 삽입 구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이탈방지부(31) 일측에는 안착홈(33)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봉(50) 표면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한 마찰솔(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KR1020200092926A 2020-07-27 2020-07-27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KR10222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26A KR102229518B1 (ko) 2020-07-27 2020-07-27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926A KR102229518B1 (ko) 2020-07-27 2020-07-27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518B9 KR102229518B9 (ko) 2021-03-18
KR102229518B1 true KR102229518B1 (ko) 2021-03-18

Family

ID=7523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926A KR102229518B1 (ko) 2020-07-27 2020-07-27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5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371U (ja) * 1994-08-30 1995-03-1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コーナー用スポンジガスケット
KR100824800B1 (ko) 2007-11-21 2008-04-24 (주)제이앤지구조엔지니어링 연결부에 기밀성이 유지되는 내/외장재 패널 조립구조
JP2012180668A (ja) * 2011-03-01 2012-09-20 Daidohant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装置
KR101640193B1 (ko) * 2015-10-20 2016-07-15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KR20190134150A (ko) 2018-05-25 2019-12-04 정태호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용 방수 커넥터
KR20200021876A (ko) * 2019-07-02 2020-03-02 정태호 건물 벽체 마감 아트월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371U (ja) * 1994-08-30 1995-03-1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コーナー用スポンジガスケット
KR100824800B1 (ko) 2007-11-21 2008-04-24 (주)제이앤지구조엔지니어링 연결부에 기밀성이 유지되는 내/외장재 패널 조립구조
JP2012180668A (ja) * 2011-03-01 2012-09-20 Daidohant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装置
KR101640193B1 (ko) * 2015-10-20 2016-07-15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리모델링이 용이한 커튼월 시스템
KR20190134150A (ko) 2018-05-25 2019-12-04 정태호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용 방수 커넥터
KR20200021876A (ko) * 2019-07-02 2020-03-02 정태호 건물 벽체 마감 아트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518B9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50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KR101321740B1 (ko) 커튼월 고정용 착탈식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이중 커튼월 결합구조
KR100889615B1 (ko) 건축물에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용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조립 시스템
US20090241443A1 (en) Translucent Panel
KR100652129B1 (ko) 가스켓을 사용한 단열 구조를 가진 은폐식 커튼월 시스템
KR101158804B1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재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102144119B1 (ko)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용 방수 커넥터
KR101003770B1 (ko) 커튼 월 구조
KR101356423B1 (ko) 스틸커튼월의 비노출 단열결합구조
KR102229518B1 (ko) 기밀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 구조체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EP0957216B1 (en) Assembly for mounting cladding panels on means of support fastened to the façades and/or floor slabs of buildings
KR102229529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용 구조체
CN214137675U (zh) 建筑外墙保温防火装饰一体板
KR101294361B1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 구조
KR101697739B1 (ko) 복합 커튼월
CN110714538B (zh) 岩棉保温防火复合板薄抹灰外墙外保温系统
KR10170206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구조체
CN210239013U (zh) 一种新型的dpx无机预涂装饰板
CN220580382U (zh) 一种室内外墙面地面装饰板
CN103485669B (zh) 一种铝木复合门窗
CN220394870U (zh) 一种墙体连接结构及钢结构建筑
CN213477312U (zh) 一种石材幕墙伸缩缝结构
CN220433990U (zh) 幕墙窗和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