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86B1 -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86B1
KR102039886B1 KR1020190068562A KR20190068562A KR102039886B1 KR 102039886 B1 KR102039886 B1 KR 102039886B1 KR 1020190068562 A KR1020190068562 A KR 1020190068562A KR 20190068562 A KR20190068562 A KR 20190068562A KR 102039886 B1 KR102039886 B1 KR 102039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weight
pvc
silicone oil
glass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록
황선홍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창조물산 주식회사
김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조물산 주식회사, 김영우 filed Critical 창조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8Hollow fillers; Syntac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Abstract

본 발명은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섬유 부직포층, 상기 장섬유 부직포층 상에 적층되는 PVC 중간층, 및 상기 PVC 중간층의 상면에 적층되며 격자형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직물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PVC 중간층 내부에 중공 형태의 글래스 버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ATERPROOFING SEAT COMPRISING GLASS BUBBLE AND WATERPROOFING METHOD USIGN THE SAME}
본 발명은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섬유 부직포층, 상기 장섬유 부직포층 상에 적층되는 PVC 중간층, 및 상기 PVC 중간층의 상면에 적층되며 격자형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직물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PVC 중간층 내부에 중공 형태의 글래스 버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구조물의 옥상이나 주차장 등에는 강우 등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공사가 필수적이다. 이에 여러 종류의 방수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몰탈 액체방수, 수용성 또는 유용성의 도막방수, 아스팔트 방수 및 방수시트 등이 이용된다.
이 중 방수시트는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일정 규격으로 제조되며, 바탕면에 단순히 펼쳐져 설치되므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어 오늘날 널리 이용되어지고 있는 방수공법 중 하나이다.
상기 방수시트는 미리 공장에서 일정한 폭 및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며, 롤에 감겨져 있으므로 설치시 바탕면 위에 방수시트를 일정간격으로 펼쳐서 설치하게 된다. 특히, 시공면적이 넓은 경우 여러 장의 방수시트를 서로 겹쳐가며 시공하게 되며, 이 경우 시트간의 연결 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 부위는 방수 성능상 가장 취약한 부위로서 이의 처리가 적절하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이 부위를 통한 누수가 발생하여 방수상의 하자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방수시트는 액상 형태가 아닌 시트 형태의 방수재인만큼, 보관 및 시공의 편이성을 위하여 일정 수준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되어야 하며, 따라서 무게가 많이 나가고 원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방수시트의 두께 및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줄임으로써, 방수시트의 시공 및 취급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생산 및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수시트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 17277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수시트의 두께 및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줄임으로써, 방수시트의 시공 및 취급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생산 및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섬유 부직포층, 상기 장섬유 부직포층 상에 적층되는 PVC 중간층, 및 상기 PVC 중간층의 상면에 적층되며 격자형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재질의 직물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PVC 중간층은 중공 형태의 글래스 버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PVC 중간층은, 글래스 버블을 제외한 전체 PVC 중간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10 중량부의 글래스 버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글래스 버블은 10~30㎛의 직경과 30~90%의 공극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글래스 버블은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글래스 버블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혼화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실리콘 오일에 의해 표면 처리된 글래스 버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오일은,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양한 실리콘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dimethyl silicone oil), 메틸페놀 실리콘 오일(methylphenol silicone oil), 메틸 하이드로겐 실리콘 오일(methyl hydrogen silicone oil), 아미노변성 실리콘 오일, 에폭시변성 실리콘 오일, 카르복실변성 실리콘 오일, 카르비놀변성 실리콘 오일,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오일, 알킬변성 실리콘 오일, 불소변성 실리콘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점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0~500cSt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 오일에 의한 표면 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톨루엔 등의 용매 중에 실리콘 오일을 용해시킨 후 상기 용매에 글래스 버블을 분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 글래스 버블 표면에 실리콘 오일을 부착시키는 습식 방법이나, 글래스 버블에 실리콘 오일을 분무하여 글래스 버블 표면에 실리콘 오일을 부착시키고 소정의 열처리를 하는 건식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PVC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시트 자체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높이고, 글래스 버블로 인한 갈라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 고분자 중합체 10~3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글래스 버블이 중간층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이클로 덱스트린 5~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층은 정전기를 방지하고 시트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부직포 상에 분산 흡착된 형태의 입자상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활성탄의 이탈을 방지하고 다른 층과의 열접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상기 부직포층은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분한 열융착 효과를 위하여, 장섬유와 열융착성 섬유의 함량비는 10:1~5:1(w/w)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융착성 섬유는 비정성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와 비정성 폴리에테르이미드계 폴리머를 2:1~1:2의 비율로 용융 혼련 방사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방사 후 연신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층 상부에는 형성되는 직물층은 정전기 방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전성 폴리머 콜로이드 입자,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물 및 극성 용매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에 침지하여 표면 처리된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에 앞서 전술한 상기 3개층으로 이루어진 방수시트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시트 상에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일반적인 방수시트의 두께 및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줄여, 방수시트의 시공 및 취급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생산 및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시트 내 형성된 중공으로 인해 단열 효과 또한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장섬유 부직포층, 상기 장섬유 부직포층 상에 적층되는 PVC 중간층, 및 상기 PVC 중간층의 상면에 적층되며 격자형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재질의 직물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PVC 중간층은 중공 형태의 글래스 버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시트는 중간층에 글래스 버블을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수시트의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단열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PVC 중간층은, 글래스 버블을 제외한 전체 PVC 중간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10 중량부의 글래스 버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래스 버블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무게 감량 및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방수시트의 강도 및 탄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 버블은 10~30㎛의 직경과 30~90%의 공극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래스 버블의 크기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적인 탄력성이 및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10㎛ 미만인 경우 글래스 버블 사용으로 인한 무게 감량 및 단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글래스 버블의 공극률이 90%를 초과하는 경우 글래스 버블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30% 미만인 경우 글래스 버블 사용으로 인한 기능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글래스 버블은 일반적으로 상용 가능한 다양한 글래스 버블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혼화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실리콘 오일에 의해 표면 처리된 글래스 버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오일은,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양한 실리콘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dimethyl silicone oil), 메틸페놀 실리콘 오일(methylphenol silicone oil), 메틸 하이드로겐 실리콘 오일(methyl hydrogen silicone oil), 아미노변성 실리콘 오일, 에폭시변성 실리콘 오일, 카르복실변성 실리콘 오일, 카르비놀변성 실리콘 오일,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오일, 알킬변성 실리콘 오일, 불소변성 실리콘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점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0~500cSt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 오일에 의한 표면 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톨루엔 등의 용매 중에 실리콘 오일을 용해시킨 후 상기 용매에 글래스 버블을 분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 글래스 버블 표면에 실리콘 오일을 부착시키는 습식 방법이나, 글래스 버블에 실리콘 오일을 분무하여 글래스 버블 표면에 실리콘 오일을 부착시키고 소정의 열처리를 하는 건식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글래스 버블 표면에 부착되는 실리콘 오일의 함량은 글래스 버블 100 중량부에 대해 2~4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작으면 혼화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기 어려우며, 이보다 큰 경우 오히려 글래스 버블이 응집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PVC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시트 자체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높이고, 글래스 버블로 인한 갈라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 고분자 중합체 10~3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질 고분자 중합체는 중간층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부탄 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펜탄다이올, 헥산다이올 등의 다이올과 아디핀산, 석시닉산, 테레프탈산 등의 이염기산을 축합 반응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터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질 고분자 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글래스 버블로 인한 중간층의 갈라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많은 경우 글래스 버블의 부착력이나 고정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글래스 버블이 중간층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층은 사이클로 덱스트린 5~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글루코오스 그룹을 반복단위로 하여 구성된 환상 화합물로 글래스 버블 및 상기 연질 고분자 중합체과 같은 기타 첨가성분들과 복합체를 형성하고 외부에 수소결합 등으로 첨가성분들을 끌여들여 고정화시키켜, 첨가성분들의 유출을 최소화하고 시트 자체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 덱스트린은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양한 사이클로 덱스트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2,3,6-트라이-O-나프토일-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층 하부에 형성되는 장섬유 부직포층은 시트에 단열효과를 부여하고 다른 방수재료와의 열접합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은 정전기를 방지하고 시트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부직포 내부에 입자상 활성탄이 분산 흡착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활성탄의 이탈을 방지하고 다른 층과의 열접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부직포층은 열융착성 섬유를 일정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분한 열융착 효과를 위하여, 열융착성 섬유가 전체 부직포의 10~25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융착성 섬유는 비정성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와 비정성 폴리에테르이미드계 폴리머를 2:1~1:2의 비율로 용융 혼련 방사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방사 후 연신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 상부에는 시트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고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격자형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재질의 직물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직물층은 정전기 방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에 침지하여 표면 처리된 직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기 방지용 조성물은 다양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도전성 폴리머 콜로이드 입자,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물 및 극성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직물을 처리하는 경우, 도전성 폴리머가 직물의 내부 및 표면에 적층된 상태로 흡착이 이루어지며, 도전성폴리머의 낮은 표면 저항으로 인해 정전기가 스스로 방전되는 원리에 따라, 직물에 정전기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폴리머 콜로이드 입자는 원자 또는 저분자 보다 큰 입자로 물질이 분산된 상태로서, 용제로서 물과 같은 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한번 안정한 콜로이드 입자 상태로 제조한 후에는 물과 무한정하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폴리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P-페닐렌), 폴리(P-페닐렌비닐렌) 및 이들의 유도체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0 내지 1,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도전성폴리머가 콜로이드 상태로 되기 쉬워 분산성이 우수하다. 상기 도전성폴리머 콜로이드 입자는 전체 조성물에 0.5~30 중량%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 중 용제는 상기 도전성폴리머 중 적어도 일부를 용해 또는 팽윤시킬 수 있는 용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물과 극성 용매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과 극성 용매의 중량비는 100:1 내지 100:50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수용액 중에서 도전성폴리머 미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2종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양성이온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의 0.9~5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 이상으로 사용량을 늘리면 도전율이 저하되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도전성폴리머의 재응집과 침전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를 구성하는 각 층들은 차례대로 적층후 열간압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바닥면에 방수시트를 먼저 포설한 후, 상기 방수시트 상에 우레탄 시트를 포설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먼저 도포하거나 우레탄을 깔고 방수시트를 포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공법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바탕면을 준비 및 청소한다. 바탕면은 콘크리트 바닥의 바탕면일 수 있다. 바탕면은 요철 등이 없이 평탄하고 건조되어야 하고, 드레인 방향으로 물 구배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방수재의 접착을 저해하는 먼지 및 오염물질 등을 청소해야 한다.
다음, 바탕면 상부에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방수를 시공해야 하는 부분 전체에 프라이머를 고르게 도포한 후 건조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며, 프라이머로는 우레탄계 프라이머 및/또는 아크릴계 프라이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프라이머층 상부에 필요에 따라 1차 우레탄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층 또는 1차 우레탄 도막 상부에 본 발명의 방수시트를 시공하는데, 이 두 단계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1차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방수시트를 시공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방수시트를 이음부가 겹치도록 깐다. 방수시트는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바탕면 또는 프라이머층 또는 우레탄 도막에 부착되어 시공되므로, 시트와 시트 사이의 연결 부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위는 겹침 이음 시공을 수행함으로써 접합부의 수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방수시트 이음부의 겹침 폭은 60~8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체나 기둥 등의 수직면과 접하는 부위에는 수직면과 5~10 mm의 간격을 두고 방수시트를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방수시트의 이음부와 단부 및 모서리 부위를 보강한다. 이 보강 단계에서 방수시트의 겹침 이음부는 바닥용 보강테이프를 사용하여 보강하는데, 조인트 상부에 보강테이프를 붙인 후, 그 상부에 우레탄을 도포하여 보강한다. 한편, 방수시트의 단부 및 모서리 부위는 우레탄 필름인 열가소성 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보강테이프를 사용하여 보강하는데, 이때 접착제로는 우레탄 실란트를 사용한다.
TPU 필름은 우수한 내마모성과 유연성 및 높은 인장강도를 갖고, 또한 우레탄과의 부착력이 매우 우수하므로, 방수시트의 겹침 이음 부위나 단부와 모서리 부위에는 TPU 필름으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인트 및 모서리 보강이 완료되면, 상기 방수시트 상부 전체 면에 우레탄을 2차 도포하여 2차 우레탄 도막을 형성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를 위해 규사를 고르게 살포할 수 있다.
노출공법의 경우, 2차 우레탄 도막이 경화된 후, 2차 우레탄 도막 상부에 탑코트층을 형성하게 된다. 노출공법에서는 2차 우레탄 도막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2차 우레탄 도막의 보호를 위해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탑코트층은 우레탄계 및/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한다.
비노출공법의 경우에는, 2차 우레탄 도막이 경화된 후, 2차 우레탄 도막 상부에 보호 몰탈층을 형성한 후, 상기 보호 몰탈층 상부에 무근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몰탈(mortar)은 시멘트, 석회, 모래 및/또는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것이며, 무근 콘크리트는 철근 등의 강재나 다른 보강재로 보강하지 않은 콘크리트를 말한다. 2차 우레탄 도막은 그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 몰탈층 및 무근 콘크리트층에 의해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벽면이나 기둥 등의 수직면에 대한 방수공법은 상술한 바탕면에 대한 방수공법과 유사하게, 수직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프라이머층, 우레탄 실란트층, TPU 보강테이프, 우레탄 도막, 탑코트층을 형성하여 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장섬유 부직포층; 상기 장섬유 부직포층 상에 적층되는 PVC 중간층; 및 상기 PVC 중간층의 상면에 적층되며 격자형 그물망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직물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PVC 중간층은 글래스 버블을 제외한 전체 PVC 중간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10 중량부의 글래스 버블을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버블은 10~30㎛의 직경과 30~90%의 공극률을 가지며,
    상기 PVC 중간층은 PVC 100 중량부 대비 연질 고분자 중합체 10~3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질 고분자 중합체는 i)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부탄 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펜탄다이올 또는 헥산다이올의 다이올과 ii) 아디핀산, 석시닉산 또는 테레프탈산의 이염기산을 축합 반응한 폴리에스터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2. 삭제
  3. 바닥면에 상기 제1항의 방수시트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시트 상에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공법.
KR1020190068562A 2019-06-11 2019-06-11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39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562A KR102039886B1 (ko) 2019-06-11 2019-06-11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562A KR102039886B1 (ko) 2019-06-11 2019-06-11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886B1 true KR102039886B1 (ko) 2019-11-04

Family

ID=6857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562A KR102039886B1 (ko) 2019-06-11 2019-06-11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18B1 (ko) * 2020-10-19 2021-09-15 뉴그린텍 주식회사 빙축열조용 방수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574A (ko) * 2015-08-29 2017-03-08 김원식 복합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KR101727716B1 (ko) 2016-10-25 2017-04-26 창조물산 주식회사 Pvc 노출방수시트 및 pvc 노출방수공법
KR20180110874A (ko) * 2017-03-30 2018-10-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vc 복합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574A (ko) * 2015-08-29 2017-03-08 김원식 복합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KR101727716B1 (ko) 2016-10-25 2017-04-26 창조물산 주식회사 Pvc 노출방수시트 및 pvc 노출방수공법
KR20180110874A (ko) * 2017-03-30 2018-10-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vc 복합방수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18B1 (ko) * 2020-10-19 2021-09-15 뉴그린텍 주식회사 빙축열조용 방수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0868C2 (ru) Полотна с покрытием, включающим вспененный графит
CN202913578U (zh) 新型防水保温一体化板
KR100960913B1 (ko)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JP6215914B2 (ja) 高い接着性を有する封止体
KR101886041B1 (ko) 우레탄복합시트와 폴리우레아가 일체화된 복합방수공법
CN101586381A (zh) 防水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CN204531199U (zh) 一种复合防水保温系统
KR101541324B1 (ko) 방수용 씰 도막재와 테이프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140116038A (ko) 자기 수평 모르타르와 단열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039886B1 (ko)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10907U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1884896B1 (ko) 단열시트의 2중 교차포설과 도막방수를 통한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yps구조 및 그에 따른 yps공법
KR102034513B1 (ko) 에어포켓 발생이 최소화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6992B1 (ko) 글래스 버블이 함유된 철판 방수시트
KR101361910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1422442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일체형 복합 방수 공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KR101942977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 및 단열 복합 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및 단열 복합 시공공법
KR101321734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분자 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 시트 방수공법
KR102091091B1 (ko) 탈기장치를 이용한 시트 시공방법
KR101900939B1 (ko) 개량아스팔트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CN207776289U (zh) 一种防水保温屋面系统
KR101853650B1 (ko) 건축 구조물의 단열, 방음 및 방수를 위한 보강 구조 및 공법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