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660B1 -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 Google Patents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660B1
KR102001660B1 KR1020170021785A KR20170021785A KR102001660B1 KR 102001660 B1 KR102001660 B1 KR 102001660B1 KR 1020170021785 A KR1020170021785 A KR 1020170021785A KR 20170021785 A KR20170021785 A KR 20170021785A KR 102001660 B1 KR102001660 B1 KR 102001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anbok
cutting blade
work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377A (ko
Inventor
이명한
Original Assignee
이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한 filed Critical 이명한
Priority to KR102017002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6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도된 한복 수공예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린 후 그림의 도안에 맞추어 경계선을 따라 칼집 홈을 형성한 후 표면에 접착제 층이 나타나도록 경계선을 따라 커버를 제거하고, 한복 천(섬유재질)을 붙인 다음 천의 가장자리를 형성된 칼집 홈에 삽입하여 다양한 색상과 그림을 연출할 수 있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 수공예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diwork using a hanbok}
본 발명은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린 후 그림의 도안에 맞추어 경계선을 따라 칼집 홈을 형성한 후 표면에 접착제 층이 나타나도록 경계선을 따라 커버를 제거하고, 한복 천(섬유재질)을 붙인 다음 천의 가장자리를 형성된 칼집 홈에 삽입하여 다양한 색상과 그림을 연출할 수 있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 수공예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 미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수공예품이 대중들에게 알려지고, 학교 및 가정에서도 수공예품을 제작하기 위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천이나, 한지 등의 섬유재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공예품을 만드는 방법이 공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천 조각을 이용하는 수공예품 중 이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려 액자 등에 보관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는 매우 기초적인 방법에 의한 것으로서 천 조각을 일일히 그림에 맞게 가위로 오려 낸 다음 접착제를 발라 보드판 위에 부착시켜 사용자가 그린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그런데, 천 조각을 자를때 특정 기준없이 대략적으로 자르기 때문에 조각 간 경계부의 마감이 깨끗하지 못하여 조잡스럽게 되는 등 만들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부착된 천이 바닥판에서 쉽게 탈착되어 장시간 보관 후 천이 들뜨는 등의 문제점이 동반되었다.
따라서, 일반 가정주부나 학생들이 쉽게 배우지 못하고 장시간 숙련하여야만 만들 수 있게 되는 어려움이 있어 대중화되지 못하고 극소수 일부에 의하여 취미 정도로 만들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각종 의류 공장 및 한복 등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자투리 천은 엄청나게 많이 발생되나 종이, 합성수지 제품의 폐기물이나 금속제 폐기물과는 달리 재생이 불가능하며, 일부 기계 공장에서의 기름걸레 등으로 미미하게 소비되는 정도 외에는 대부분은 그대로 버려지게 되어 막대한 자원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버려지는 천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공예품을 연출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0752호 '천 조각 그림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벙에 의하여 제조된 천 조각 그림액자' (출원일자 2001.04.17)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2-0078855호 '인테리어용 수공예품의 제작방법' (출원일자 2001.04.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류를 제작한 후 남는 버려지는 천 바람직하게는 한복을 제작한 후 남는 자투리 천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수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다양한 색상과 질감 등을 느낄 수 있는 액자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작업판(100)과 상기 작업판(100)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판(200)을 결합시키는 작업판 준비단계(S100);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밑그림(S)을 스케치하는 스케치 단계(S200);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그려진 밑그림(S)을 따라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두께의 2/3 지점까지 절개홈(101)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S300); 상기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상기 밑그림(S)이 형상에 따라 마감지(300)를 재단하여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마감지(300)를 덮는 마감지 재단단계(S400); 상기 마감지(300)가 덮어진 상기 절개홈(101)을 따라 상기 마감지(300)의 가장자리를 상기 절개홈(101)에 삽입하는 마감단계(S500);로 수행된다.
이때, 상기 작업판(100)은 상기 밑그림(S)을 스케치 할 수 있는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판(120) 및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10)과 중간판(120) 사이에는 접착층(140)이 더 구비되어 상기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상기 접착층(140)이 노출되도록 상기 상판(110)을 제거하는 상판 제거단계(S600)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재단단계(S400) 수행 시 상기 작업판(100)에 노출된 접착층(101)에 상기 마감지(300)를 부착시키는 마감지 부착단계(S41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밑그림(S)을 형성하고, 형성된 밑그림(S)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홈(101)이 형성되는 작업판(100); 상기 작업판(100)의 휨,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판(1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작업판(100)을 지지하는 지지판(200); 상기 절개홈(110)에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다수의 마감지(300); 상기 작업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작업판(10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액자틀(4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판(100)은 상기 밑그림(S)을 스케치 할 수 있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판(120);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30); 상기 상판(110)과 중간판(13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14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10)이 제거되어 상기 접착층(140)이 노출되는 경우 상기 마감지(300)가 상가 접착층(14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복 섬유재질의 특유의 재질감과 다양한 색상 등을 통해 미적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고, 한복 고유의 색상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어 전통 미와 고급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섬유를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 지할 수 있고, 부착된 천이 들뜨거나 밀리지 않아 장기간 보관하여도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며, 누구나 간편하게 수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교육 및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 7 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의 사용방법 중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에 사용되는 작업도구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과 이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복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은 작업판 준비단계(S100), 스케치 단계(S200), 홈 형성단계(S300), 마감지 재단단계(S400) 및 마감단계(S500)를 포함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먼저 작업판 준비단계(S100)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작업판(100)을 준비한다. 작업판(100)은 바람직하게는 폼보드, 우드락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작업판(100)은 상판(110)과 하판(120) 그리고 중간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상판(110)과 하판(120)은 바람직하게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간판(130)은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작업판(100)의 두께는 3~7mm 정도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판(100)은 외력에 의해 뒤틀리거나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판(100)의 일측, 즉, 하판(120)과 밀착되는 지지판(200)이 더 구비된다. 지지판(200)과 작업판(100)은 상호 부착되어 작업판(100)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스케치 단계(S200)는 작업판(100)의 상면, 즉, 상판(110)에 사용자가 원하는 밑그림(S)을 그리는 단계에 해당한다. 밑그림(S)은 사용자가 임의로 특정한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이미 인쇄된 특정한 그림 상판(11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판(110)과 중간판(120) 사이에는 접착층(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접착층(140)은 중간판(120)에 접착되어 중간판(120)과 일체를 이룰 수 있고, 상판(110)은 접착층(140)에서 쉽게 벗겨질 수 있다. 즉 상판(110)이 접착층(140)에서 벗겨지면 접착층(140)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노출된 접착층(140)에 후술하는 마감지(300)가 부착되면 마감지(3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도 스케치 단계(S200)가 수행이 완료되면 홈 형성단계(S300)를 수행하게 되는데, 홈 형성단계(S300)는 작업판(100)의 상면에 그려진 밑그림(S)을 따라 작업판(10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두께의 2/3 지점까지 절개홈(101)을 형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때, 절개홈(101)을 형성하기 위해 날카로운 커터칼, 문구용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200)이 작업판(1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의 커터칼을 더 깊이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의 커터칼이 지지판(200)과 접촉되면서 절개홈(101)이 작업판(100)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마감지 재단단계(S400)는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밑그림(S)의 형상에 따라 마감지(300)를 1차로 재단하고, 1차로 재단이 완료된 마감지(300)를 작업판(100)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때, 마감지(300)는 종이, 한지, 천, 섬유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복을 제작한 후 남은 조각 천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림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마감지(300)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마감단계(S500)는 마감지(300)의 가장자리를 절개홈(101)에 삽입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절개홈(101)에 마감지(300)를 삽입할 때 별도의 삽입공구를 이용할 수 있다. 별도의 삽입공구는 송곳 등과 같은 끝이 날카로운 형상에 해당할 수 있고, 절개홈(101)에 마감지(300)를 삽입할 수 있는 그 어떠한 기구에 해당할 수 있다.
마감단계(S500)가 수행될 때 마감지(300)를 절개홈(101)에 1차로 가 삽입한 후 돌출된 마감지(300)를 한번 더 재단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이후 마감지(300)를 절개홈(101)에 깊숙히 삽입하여줌으로써 마감지(300)와 작업판(100)은 상호 밀착되어 마감지(300)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상판(110)과 중간판(120) 사이에는 접착층(140)이 더 구비되어 홈 형성단계(S300) 수행 후 상판 제거단계(S600)가 더 수행된다. 상판 제거단계(S600)는 접착층(140)이 작업판(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절개가 완료된 상판(110)을 접착층(140)에서 분리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로써, 마감지(300)는 접착층(14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즉, 재단단계(S400) 수행 시 작업판(100)에 노출된 접착층(101)에 마감지(300)를 부착시키는 마감지 부착단계(S41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는 작업판(100), 지지판(200), 마감지(300) 및 액자틀(400)을 포함한다.
작업판(100)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밑그림(S)을 형성하고, 형성된 밑그림(S)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7 을 참조하면 절개홈(101)을 형성하기 위해 작업판(100)에 그려진 밑그림(S)을 따라 이동하면서 절개홈(101)을 형성하는 별도의 작업도구(500)가 구비된다.
도 8 을 참조하면 작업도구(500)는 절단칼날(510), 지지칼날(520) 및 파지부(530)로 구성된다. 절단칼날(510)은 작업판(100)에 절개홈(101)을 형성하도록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며, 절개홈(101)이 작업판(100)과 수직을 이루며 삽입 형성되도록 일정각도(θ) 경사를 유지한다. 그리고, 지지칼날(520)은 절단칼날(510)과 마주보며 대칭을 이루되, 일측단이 절단칼날(51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절단칼날(510)의 끝단이 작업판(100)에 삽입되는 경우 지지칼날(520)의 일측단이 작업판(100)의 상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절단칼날(510)이 더이상 작업판(10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절개홈(101)은 항상 일정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지부(53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단에 절단칼날(510) 및 지지칼날(520)이 결합 장착된다.
지지판(200)은 작업판(100)의 휨,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판(1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작업판(100)을 지지한다.
마감지(300)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에 설명한 마감지(3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액자틀(400)은 작업판(100)에 사용자가 원하는 마감지(300)의 연출이 완료된 후 작업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작업판(10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작업판(100)은 밑그림(S)을 스케치 할 수 있는 상판(110)과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판(120),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30) 및 상판(110)과 중간판(13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140)을 포함한다. 작업판(100) 및 접착층(140)은 상기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에 설명한 작업판(100) 및 접착층(140)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 제작방법 및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품은 한복 특유의 재질감과 다양한 색상 등을 통해 미적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고, 한복 고유의 색상을 수공예품을 통해 나타낼 수 있어 전통 미와 고급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한복을 재단 후 버려지는 천을 이용할 수 있어 매우 친환경 적이며, 부착된 한복 천이 들뜨거나 밀리지 않도록 별도의 접착층을 구비하여 간편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누구나 간편하게 수공예품을 제작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층에서 교육 및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발명에 해당한다.
100 : 작업판 101 : 절개홈
110 : 상판 120 : 하판
130 : 중간판 140 : 접착층
200 : 지지판 300 : 마감지
400 : 액자틀 S : 밑그림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밑그림(S)을 형성하고, 형성된 밑그림(S)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홈(101)이 형성되는 작업판(100);
    상기 작업판(100)의 휨,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판(1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작업판(100)을 지지하는 지지판(200);
    상기 절개홈(101)에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다수의 마감지(300);
    상기 작업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작업판(10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액자틀(400);
    상기 작업판(100)에 밑그림(S)의 라인을 따라 절개홈(101)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도구(500); 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도구(500)는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며, 상기 작업판(100)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절개홈(10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작업판(100)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도록 일정각도 경사(θ)를 유지하는 절단칼날(510);
    상기 절단칼날(51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절단칼날(510)에 접촉되며 상기 절단칼날(510)이 상기 작업판(10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절단칼날(510)에 접촉된 일측단이 상기 작업판(10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절단칼날(510)이 작업판(100)에 일정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칼날(520);
    상기 절단칼날(510)과 상기 지지칼날(520) 각각의 타측단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연장되는 파지부(5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100)은 상기 밑그림(S)을 스케치 할 수 있는 상판(110);
    상기 상판(1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판(120);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30);
    상기 상판(110)과 중간판(13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14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10)이 제거되어 상기 접착층(140)이 노출되는 경우 상기 마감지(300)가 상가 접착층(14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KR1020170021785A 2017-02-17 2017-02-17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KR102001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85A KR102001660B1 (ko) 2017-02-17 2017-02-17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85A KR102001660B1 (ko) 2017-02-17 2017-02-17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377A KR20180095377A (ko) 2018-08-27
KR102001660B1 true KR102001660B1 (ko) 2019-07-18

Family

ID=6345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785A KR102001660B1 (ko) 2017-02-17 2017-02-17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49B1 (ko) * 2021-03-03 2021-11-10 주식회사 가위바위보 한복 교구 및 한복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26B1 (ko) * 2019-01-25 2020-12-04 문홍관 황토와 닥섬유를 이용한 공예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55A (ko) 2001-04-10 2002-10-19 허은영 인테리어용 수공예품의 제작방법
KR20020080752A (ko) 2001-04-17 2002-10-26 홍정표 천 조각 그림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 조각 그림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49B1 (ko) * 2021-03-03 2021-11-10 주식회사 가위바위보 한복 교구 및 한복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377A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660B1 (ko) 한복 천을 이용한 수공예 제작 교구
US3570435A (en) Method of making decorative articles employing yarn or the like
US5813127A (en) Art deckle
US20060180039A1 (en) Wallpaper effect imprinting device and pattern sheet
US4989335A (en) Wallpaper knife guide
JP2010143216A (ja) 立体貼り絵の製造方法
KR102024146B1 (ko) 다양한 접착면에 접착제 보호용 이형지가 부착되고 자동화가 가능한 원단제품의 제작공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원단제품
KR101389748B1 (ko)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
US4065334A (en) Fur and hides in the fine arts
KR200166165Y1 (ko) 장식 겸용 입체카드
JP3194242U (ja) 絵画
US20190322122A1 (en) Marquetry templat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00041333A (ko) 장식용 벽걸이 및 그의 제조방법
JP3235842U (ja) 微細掘り込み様相を呈している木製装飾板材。
KR100914759B1 (ko) 퀼트 공구 및 퀼트 공구를 이용한 조각 작업방법
KR20020078855A (ko) 인테리어용 수공예품의 제작방법
JP3560545B2 (ja) 象嵌風細工製品の製造方法
EP00030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onally moulding a decorated article
CN106274241A (zh) 一种高质量布糊画的制作工艺
US5230762A (en) Method of producing a decorative plate
JPH0515398B2 (ko)
JPH0521438Y2 (ko)
JP2002178697A (ja) 石材の工作方法及び石材工作キット
KR20090068493A (ko) 대리석 테이블 장식방법 및 식탁 테이블
KR200481828Y1 (ko) 페이퍼 커팅 아트 책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