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75B1 -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75B1
KR102001575B1 KR1020160140397A KR20160140397A KR102001575B1 KR 102001575 B1 KR102001575 B1 KR 102001575B1 KR 1020160140397 A KR1020160140397 A KR 1020160140397A KR 20160140397 A KR20160140397 A KR 20160140397A KR 102001575 B1 KR102001575 B1 KR 102001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patch
band
patch
dielectric layer
inner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228A (ko
Inventor
황철
정인조
김상오
유기환
고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ublication of KR2017004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다른 내부 방사 패치와 내부 방사 패치와 이격되는 외부 방사 패치를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하여 2.4㎓ 대역 및 5㎓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을 제시한다. 제시된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유전체층, 삽입 홀이 형성되고,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된 외부 방사 패치 및 삽입 홀에 삽입되어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된 내부 방사 패치를 포함하고, 내부 방사 패치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MULTI BAND PATCH ANTENNA MODULE}
본 발명은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 파이 대역으로 사용되는 2.4㎓ 대역 및 5㎓ 대역에서 주파수를 수신하는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PDA, GPS수신기,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정보통신 단말기 대중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들 정보통신 단말기에는 소형 경량이며 평면형으로 얇게 제조한 패치 안테나가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패치 안테나는 GPS, SDARS 등의 주파수 대역에 공진하는 특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패치 안테나는 실장 공간의 확보를 위해 다중 대역 안테나로 형성된다. 즉, 패치 안테나는 유전체의 일면에 각 대역 안테나로 동작하는 방사 패치들이 형성되어, 각 특성에 맞는 주파수에 공진하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패치 안테나는 GPS, SDARS 등의 주파수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내부에 배치되는 방사 패치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비율이 1:1로 형성되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최근 휴대 단말과 전자기기(예를 들면, 냉장고, 카메라, TV, 오디오 등) 간의 통신을 통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휴대 단말과 전자기기에 무선 통신 모듈이 실장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 구성시 휴대 단말과 전자기기 간의 무선 통신은 주로 와이 파이가 사용되고 있다. 와이 파이는 상대적으로 넓은 통신 반경을 특징으로 하는 2.4㎓ 대역과 상대적으로 짧은 반경에서 빠른 전송속도를 특징으로 하는 5㎓으로 구분된다.
초기 홈 네트워크 구성시에는 넓은 통신 반경을 갖는 2.4㎓ 대역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공유기, 블루투스 기기 등의 신호 간섭으로 인해 신호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홈 네트워크 구성시 상대적으로 신호 간섭이 적은 5㎓ 대역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두 대역(즉, 2.4㎓, 5 ㎓)을 모두 지원하는 전자기기, 휴대 단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는 두 대역의 와이 파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맞는 안테나들을 휴대 단말, 전자기기에 실장해야 한다.
하지만, 두 개의 안테나들 모두 실장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넓은 실장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소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 단말이나 전자기기에는 두 대역의 안테나를 모두 실장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1256호(명칭: 적층형 패치 안테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다른 내부 방사 패치와 내부 방사 패치와 이격되는 외부 방사 패치를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하여 2.4㎓ 대역 및 5㎓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유전체층, 삽입 홀이 형성되고,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된 외부 방사 패치 및 삽입 홀에 삽입되어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된 내부 방사 패치를 포함하고, 내부 방사 패치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내부 방사 패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가로 길이에 대한 세로 길이가 0.95 이하일 수 있다.
내부 방사 패치는 적어도 일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네 변 중 인접한 세 변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방사 패치는 급전 홀이 형성되고, 급전 홀은 내부 방사 패치의 중심점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유전체층은 내부 방사 패치에 형성된 급전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른 급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방사 패치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외부 방사 패치는 적어도 일변에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내부 방사 패치의 네 변 중 돌출부가 형성된 변에 대응되는 외부 방사 패치의 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유전체의 일면에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다르게 형성한 내부 방사 패치와 내부 패치 안테나에 이격된 외부 방사 패치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패치 안테나를 통해 와이 파이 대역으로 사용되는 2.4㎓ 대역 신호 및 5㎓ 대역 신호를 모두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하나의 패치 안테나로 2.4㎓ 대역 및 5㎓ 대역을 지원함으로써, 대역별(즉, 2.4㎓ 대역, 5㎓ 대역)로 안테나 모듈을 실장하는 종래에 비해 실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5㎓ 대역의 대역폭이 종래의 패치 안테나 모듈에 비해 2개 이상 증가하기 때문에, 와이파이 끊김 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적적인 와이파이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5㎓ 대역의 대역폭이 종래의 패치 안테나 모듈에 비해 증가하기 때문에, 대역폭으로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증가하여 5㎓ 대역 다른 기기와의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유전체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내부 방사 패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외부 방사 패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및 종래의 패치 안테나 모듈의 안테나 특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유전체층(100), 내부 방사 패치(200), 외부 방사 패치(300)를 포함한다.
유전체층(100)은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의 최하부에 설치된다. 유전체층(100)은 일반적으로 고유전율 및 낮은 열팽창계수 등의 특성을 갖는 세라믹이 사용되며, 내부 방사 패치(200) 및 외부 방사 패치(300)와의 결합을 위한 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전체층(100)은 내부 방사 패치(200)와 급전라인(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 핀(400)이 삽입되는 관통 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120)은 유전체층(100)의 전체 영역 중 내부 방사 패치(200)가 형성되는 영역 내에 형성된다.
이때, 관통 홀(120)은 유전체층(100)의 중심점(C1)에서 외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관통 홀(120)은 유전체층(100)의 중심점(C1)에서 교차하는 두 개의 가상선들(A, B)에 의해 구분되는 4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여기서, 유전체층(100)은 동축 케이블, 급전 홀, 급전 패치 등을 통해 급전라인과 내부 방사 패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관통 홀(120)의 형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내부 방사 패치(200)는 유전체층(100)의 상면에 형성된다. 내부 방사 패치(200)는 와이 파이 주파수 대역 중에서 5㎓ 대역에 공진하는 방사부로, 유전체층(100)의 중심점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내부 방사 패치(200)는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등과 같이 전기전도도가 높은 도전성 재질의 박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방사 패치(200)는 가로 길이(X)와 세로 길이(Y)의 비율이 서로 다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종래의 패치 안테나의 경우 주로 GPS, SDARS 등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내부 패치 안테나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비율이 대략 1:1 정도인 정사각형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와이 파이 대역 중 5㎓ 대역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정사각형 형상의 내부 패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성능을 얻지 못하게 된다.
이에, 내부 방사 패치(200)는 가로 길이(X)와 세로 길이(Y)가 다르게 형성된다. 내부 방사 패치(200)는 가로 길이(X)에 대한 세로 길이(Y)가 대략 0.95 이하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내부 방사 패치(200)는 가로 길이(X)에 대한 세로 길이(Y)가 대략 0.7 정도(즉, 가로 8.7㎜, 세로 6.1㎜)로 형성하는 경우 가장 높은 안테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내부 방사 패치(200)는 주파수 튜닝을 위해 외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2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돌출부(240)는 내부 방사 패치(200)의 네 변들 중 인접한 3개의 변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방사 패치(200)는 유전체층(100)의 하면에 위치하는 급전라인(미도시)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내부 방사 패치(200)에는 유전체층(100)에 형성되는 관통 홀(120)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 홀(220)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 홀(220)은 내부 방사 패치(200)의 중심점(C2)에서 외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관통 홀(220)은 내부 방사 패치(200)의 중심점(C2)에서 교차하는 두 개의 가상선들(C, D)에 의해 구분되는 4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관통 홀(220)은 유전체층(100)의 중심점(C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관통 홀(220)은 유전체층(100)의 중심점(C1)을 중심으로 직교하는 두 가상선(A, B)을 통해 분할되는 4개의 영역 중에 어느 하나의 영역에 중심점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 홀(220)은 내부 방사 패치(200)와 급전라인(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 핀(400)이 삽입되는 것으로, 동축 케이블, 급전 홀을 통해 급전라인과 연결되는 경우 관통 홀(220)의 형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외부 방사 패치(300)는 와이 파이 대역 중 2.4㎓ 대역에 공진하는 방사부로, 유전체층(100)의 상면에 내부 방사 패치(200)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외부 방사 패치(300)는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등과 같이 전기전도도가 높은 도전성 재질의 박판으로 구성되며, 내부 방사 패치(200)와 동일한 재질의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방사 패치(300)는 유전체층(1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방사 패치(300)는 내부 방사 패치(200)가 삽입되는 삽입 홀(320)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부 방사 패치(300)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프레임 형상(즉,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정사각형 형상의 삽입 홀(320)이 형성된다. 외부 방사 패치(300)는 삽입 홀(320) 내에 내부 방사 패치(200)가 삽입됨에 따라, 내주가 내부 방사 패치(200)의 외주와 소정 간격 이격된다. 외부 방사 패치(300)는 내주가 이격되어 내부 방사 패치(200)의 외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부 방사 패치(300)는 주파수 튜닝을 위해 외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3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돌출부(340)는 외부 방사 패치(300)의 네 변들 중 인접한 3개의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방사 패치(300)는 네 변들 중 돌출부(240)가 형성된 내부 방사 패치(200)의 세 변에 대응되는 변들에 돌출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변은 내부 방사 패치(200)의 변과 평행한 변들 중 거리가 가장 가까운 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방사 패치(200)의 네 변(260a~260d) 중에서 서로 인접한 세 변(260b, 260c, 260d)에 돌출부(240)가 형성된 경우, 외부 방사 패치(300)는 네 변(360a~360d) 중 돌출부(240)가 형성된 내부 방사 패치(200)의 세 변(260b, 260c, 260d)에 대응되는 변들(360b, 360c, 360d)에 돌출부(340)가 형성된다.
외부 방사 패치(300)의 내주와 내부 방사 패치(200) 외주 사이의 이격 공간은 간극을 형성한다. 여기서, 내부 방사 패치(200) 및 외부 방사 패치(300)는 간극을 통해 전자력 커플링이 형성되어 와이 파이 주파수 대역인 2.4㎓ 대역 및 5㎓ 대역에서 듀얼 밴드를 구현한다. 즉, 내부 방사 패치(200) 및 외부 방사 패치(300)의 간극에서 형성되는 전자력 커플링을 통해 내부 방사 패치(200)에서 대략 5㎓ 정도의 와이 파이 대역에 공진하고, 외부 방사 패치(300)에서 대략 2.4㎓ 정도의 와이 파이 대역에 공진하여 듀얼 밴드를 구현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내부 방사 패치(200)의 가로 길이와 세로길이의 비율을 대략 1:0.7 정도(즉, 가로 8.7㎜, 세로 6.1㎜)로 형성함에 따라 2.4㎓ 대역에서 반사 손실(Return Loss)이 대략 -10dB 이하로 유지되며, 5㎓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대략 -10dB 이하로 유지되는 대역폭이 대략 1293㎒ 정도를 형성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패치 안테나 모듈은 내부 방사 패치(200)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비율을 대략 1:1 정도(즉, 가로 7㎜, 세로 7㎜)로 형성함에 따라 2.4㎓ 대역에서 반사 손실(Return Loss)이 대략 -10dB 이하로 유지되지만, 5㎓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대략 -10dB 이하로 유지되는 대역폭이 대략 575㎒ 정도를 형성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의 패치 안테나 모듈은 내부 방사 패치(200)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비율을 대략 1:1 정도(즉, 가로 8㎜, 세로 8㎜)로 형성함에 따라 2.4㎓ 대역에서 반사 손실(Return Loss)이 대략 -10dB 이하로 유지되지만, 5㎓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대략 -10dB 이하로 유지되는 대역폭이 대략 415㎒ 정도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5㎓ 대역의 대역폭이 종래의 패치 안테나 모듈에 비해 2개 이상 증가하기 때문에, 와이파이 끊김 현상을 최소화하여 안적적인 와이파이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은 5㎓ 대역의 대역폭이 종래의 패치 안테나 모듈에 비해 증가하기 때문에, 대역폭으로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증가하여 5㎓ 대역 다른 기기와의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유전체층 200: 내부 방사 패치
300: 외부 방사 패치 120, 220: 관통 홀
240, 340: 돌출부

Claims (10)

  1. 유전체층;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된 외부 방사 패치; 및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된 내부 방사 패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방사 패치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방사 패치는 네 변 중 인접한 세 변에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부 방사 패치는 내부 방사 패치의 네 변 중 돌출부가 형성된 세 변에 대응되는 변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방사 패치는 직사각형 형상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방사 패치는 가로 길이에 대한 세로 길이가 0.95 이하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방사 패치는 급전 홀이 형성되고,
    상기 급전 홀은 상기 내부 방사 패치의 중심점과 이격되어 형성된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내부 방사 패치에 형성된 급전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른 급전 홀이 형성된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방사 패치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프레임 형상인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40397A 2015-10-26 2016-10-26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KR102001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013 2015-10-26
KR20150149013 2015-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28A KR20170048228A (ko) 2017-05-08
KR102001575B1 true KR102001575B1 (ko) 2019-07-19

Family

ID=5863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97A KR102001575B1 (ko) 2015-10-26 2016-10-26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81733B2 (ko)
KR (1) KR102001575B1 (ko)
CN (1) CN107925165B (ko)
DE (1) DE112016004889B4 (ko)
WO (1) WO2017074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522B1 (ko) * 2018-06-20 2023-1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389B1 (ko) * 2011-08-10 2013-03-1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물질 하이브리드 패치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23939T2 (de) * 1993-08-20 2000-10-19 Raytheon Co Antennen
SE519118C2 (sv) * 1997-07-23 2003-01-14 Allgon Ab Antennanordning för mottagande och/eller utsändning av dubbelpolariserande elektromagnetiska vågor
FR2826186B1 (fr) * 2001-06-18 2003-10-10 Centre Nat Rech Scient Antenne mulitfonctions integrant des ensembles fil-plaque
JP2004304443A (ja) * 2003-03-31 2004-10-28 Clarion Co Ltd アンテナ
US7034753B1 (en) * 2004-07-01 2006-04-25 Rockwell Collins, Inc. Multi-band wide-angle scan phased array antenna with novel grating lobe suppression
JP4430498B2 (ja) * 2004-09-27 2010-03-10 日本無線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7253770B2 (en) * 2004-11-10 2007-08-07 Delphi Technologies, Inc. Integrated GPS and SDARS antenna
DE102005010894B4 (de) * 2005-03-09 2008-06-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Planare Mehrbandantenne
CN100391048C (zh) * 2005-12-09 2008-05-28 上海大学 超宽带高增益印刷缝隙天线
KR100781933B1 (ko) * 2005-12-16 2007-12-0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단일 급전 단층 2 중 대역 원편파 안테나
CN1828999A (zh) * 2006-03-24 2006-09-06 厦门大学 Gsm三频微带天线
KR100801262B1 (ko) * 2006-06-30 2008-02-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 대역을 지원하는 전파식별 안테나 장치
KR100933746B1 (ko) * 2007-05-30 2009-12-2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이중대역 원형편파 안테나
KR100952979B1 (ko) * 2007-11-20 2010-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갭필러 시스템에서의 다중 대역 안테나
KR100951197B1 (ko) 2008-01-23 2010-04-05 주식회사 아모텍 적층형 패치 안테나
JP4562010B2 (ja) * 2008-06-04 2010-10-1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素子
JP2010161436A (ja) 2009-01-06 2010-07-22 Mitsumi Electric Co Ltd 複合アンテナ素子
KR101165910B1 (ko) * 2010-11-16 2012-07-19 주식회사 아모텍 듀얼 패치 안테나 모듈
JP5617593B2 (ja) 2010-12-15 2014-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CN102842755B (zh) * 2012-07-11 2015-07-22 桂林电子科技大学 适用于无线局域网的双极化天线及其制作方法
CN102842756B (zh) * 2012-09-24 2015-07-22 桂林电子科技大学 双极化mimo天线阵
US9537208B2 (en) * 2012-11-12 2017-01-03 Raytheon Company Dual polarization current loop radiator with integrated balun
KR20160017274A (ko) * 2014-08-01 2016-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389B1 (ko) * 2011-08-10 2013-03-1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물질 하이브리드 패치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28A (ko) 2017-05-08
US10381733B2 (en) 2019-08-13
DE112016004889B4 (de) 2021-11-25
CN107925165B (zh) 2020-08-21
DE112016004889T5 (de) 2018-07-12
US20180241127A1 (en) 2018-08-23
WO2017074033A1 (ko) 2017-05-04
CN107925165A (zh)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4111B2 (en) Wideband dual-polarized patch antenna
US9711860B2 (en) Wideband antennas including a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US8884833B2 (en) Broadband monopole antenna with dual radiating structures
US9799962B2 (en) Dual-polarized dipole antenna
US7952529B2 (en) Dual band antenna
US9577337B2 (en) Dual-polariz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KR20110005917A (ko) 전방향성 코니컬 빔 패턴을 갖는 듀얼편파 안테나
EP3214697B1 (en) Antenna and antenna module comprising the same
JP2019047393A (ja) 車載用アンテナ装置
CN109728413B (zh) 天线结构及终端
KR101165910B1 (ko) 듀얼 패치 안테나 모듈
KR101252244B1 (ko) 다중 안테나
KR101195831B1 (ko) 패치안테나
KR201900872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001575B1 (ko) 다중 대역 패치 안테나 모듈
US10361475B2 (en) Antenna unit and antenna system
US8040283B2 (en) Dual band antenna
JP4776417B2 (ja) 多周波共用アンテナ
US6980172B2 (en) Multi-band cable antenna
US20140035789A1 (en) Multi-band antenna
KR101223878B1 (ko)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내장형 안테나
US10243269B2 (en) Antenna
US10381717B2 (en) Automotive antenna
KR102337296B1 (ko) 차량용 안테나 장치
CN117013244A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2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23

Effective date: 201906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