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457B1 -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457B1
KR102001457B1 KR1020180028582A KR20180028582A KR102001457B1 KR 102001457 B1 KR102001457 B1 KR 102001457B1 KR 1020180028582 A KR1020180028582 A KR 1020180028582A KR 20180028582 A KR20180028582 A KR 20180028582A KR 102001457 B1 KR102001457 B1 KR 102001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coordinate system
parabolic
mirror
def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열
이석목
Original Assignee
한국 천문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천문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천문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2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3/0018Reflow, i.e. characterized by the step of melting microstructures to form curved surfaces, e.g. manufacturing of moulds and surfaces for transfer et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은 (a) xyz 좌표계상에서, 제어부(100)가 yz-평면에서 표현된 단면으로 포물선을 자르는 평면을 개구면(Aperture plane), xy-면과 y=yc에서 만나는 상기 개구면과 xz-면 사이의 각도를 θ라고 정의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xuv-좌표계를 정의하는 단계; (c) 좌표계 변환모듈(200)이 상기 xuv-좌표계와 상기 xyz-좌표계 사이의 변환행렬을 정의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xuv-좌표계를 이용하여 거울의 깊이를 v와 좌표값으로 표현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장축에서 거울의 최대 깊이를 계산하는 단계; (f) 상기 제어부(100)가 비축-포물면 거울의 중심으로부터 최대 깊이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어부(100)가 원하는 비축-포물면을 결정하기 위한 yc와 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AN OFF-AXIS PARABOLOID}
본 발명은 비축-포물선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비축거리(OAD:Off-Axis Distance)와 유효구경(CA:Clear Aperture)을 정의하여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축-비구면은 최신 및 대형 천체망원경의 거울(Mirrors)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도전적인 적용기술 분야 중 하나로서, 거대 마젤란 망원경(GMT:Giant Magellan Telescope),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다니엘 이노우에 태양망원경(DKIST: Daniel K. Inouye Solar Telescope) 등에 적용되어 광학계가 설계된다.
비축-비구면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곡률반지름(Radius of curvature), 원추정수(Conic constant) 및 비축거리(OAD: Off-Axis Distance) 등이 요구되며, 비축-비구면을 형성하는 요소(Segment)의 중심, 깊이 및 곡률 중심에 대한 결정 방법에 따라 다른 정의 방식이 존재하게 된다.
모든 망원경은 광학계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의 디자인부터, 최적화 설계, 제작, 테스트까지 구성요소들이 복합된 시리즈로 요구되며 정확하고 정교한 정의 및 공식화된 제조가 필요하다,
그러나 필요한 표준화된 정의 및 제조방법이 부재할 경우, 각 구성요소들의 디자인부터 제작, 테스트까지 각각 다른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설계되고 제작되는 관계로 서로 다른 구성 요소품들이 만들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04388호(2005.07.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비축거리(OAD:Off-Axis Distance)와 유효구경(CA:Clear Aperture)을 정의하여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은 (a) xyz 좌표계상에서, 제어부가 yz-평면에서 표현된 단면으로 포물선을 자르는 평면을 개구면(Aperture plane), xy-면과 y=yc에서 만나는 상기 개구면과 xz-면 사이의 각도를 θ라고 정의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xuv-좌표계를 정의하는 단계; (c) 좌표계 변환모듈이 상기 xuv-좌표계와 상기 xyz-좌표계 사이의 변환행렬을 정의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xuv-좌표계를 이용하여 거울의 깊이를 v와 좌표값으로 표현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가 장축에서 거울의 최대 깊이를 계산하는 단계; (f) 상기 제어부(100)가 비축-포물면 거울의 중심으로부터 최대 깊이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어부(100)가 원하는 비축-포물면을 결정하기 위한 yc와 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축-포물면 상의 가장 깊은 지점과 개구 중심의 차이를 수학적으로 명확히 정의함으로써, 비축-포물면을 설계하고, 제작하며, 정밀 광학시스템에 적용 시, 타원 개구의 중심, 거울의 가장 깊은 점, 정점, 중심 등 다수의 정의를 혼동 없이 일치된 의미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로 인해 비축-포물면을 사용하는 광학시스템 개발 시, 광학 면 개발 및 적용 등 각 단계별 수행 당사자 간의 의사소통이 명확하여 비용, 작업시간 및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명확한 정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 중 한 가지로 비축-포물면 거울의 깊이 분포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거울 제작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z축(ROA: Reference Optical Axis)에 수직한 평면에 놓인 원형의 출사동을 포물면에 투영시켜 비축-포물면을 정의함으로써, ROA를 기준으로 하는 광학설계 및 비축 광학 시스템 적용 시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을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에서 비축-비구면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한 그래프 도면,
도 3은 가장 깊은 곳으로 기준을 잡아 본 발명에 따른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축-포물면 정의식으로부터 OAD가 4m, CA가 4.2m, R이 16미터인 비축-포물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축-포물면 결정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 좌표계 변환모듈(20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비축-비구면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서 비축-포물선을 xyz 좌표계상에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yz-평면에서 표현된 단면으로 포물선을 자르는 평면을 개구면(Aperture plane), xy-면과 y=yc에서 만나는 개구면과 xz-면 사이의 각도를 θ라고 정의한다.
한편, 원추정수(Conic constant)가 `-1`인 곡률반지름 `R`의 비구면 형상은 아래의 [수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01
본 발명에서 기하학적 관점에서 포물면의 형상 또는 특징을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는 도 2의 적색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xuv-좌표계를 정의한다.
이때, 새로운 상기 xuv-좌표계에서 u-축은 x축과 서로 수직 하고, v-축은 포물선을 자르는 xu-면과 수직을 이룬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축-포물면 결정시스템의 좌표계 변환모듈(200)은 xuv-좌표계와 xyz 좌표계 사이의 변환을 아래의 [수학식 2]를 가지고 수행한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02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개구면과 포물면이 만나는 둘레를 타원 개구(aperture)로 정의하고, 둘레가 v=0인 면 상에 놓일 경우 둘레의 좌표점을 아래의 [수학식 3]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03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수학식 3]과 상기 [수학식 1]과의 연립을 통해 변수를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04
상기 [수학식 4]는 타원 방적식의 표준형으로 타원의 두 반지름의 비 Rx/Ru=sinθ는 항상 1보다 작기 때문에 타원 개구의 단축 및 장축 반지름을 각각 Rx와 Ru로 정의한다.
이 타원 개구의 중심은 yC로부터 u0만큼 떨어져 있다.
즉, 개구면이 xy-면과 만나는 y=yc와 xz-면 사이의 각도 θ만 주어지면 타원 개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아래 [수학식 5]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05
상기 [수학식 5]를 역으로 사용하면, 원하는 위치에 중심이 놓이며 원하는 장/단축 반지름의 타원 개구를 갖는 비축-포물면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결정하기 위해서는 알아야할 내용이 한가지 더 있으며, 그것은 바로 비축-포물면 거울의 깊이에 관한 것으로, 비축-포물면 거울을 결정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새로운 xuv-좌표계를 이용하여 거울의 깊이를 v의 좌표값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학식 1]과 좌표변환행렬인 [수학식 2]를 연립하면 아래의 [수학식 6]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06
비축-포물면 거울의 깊이에 관한 특징으로, 깊이가 가장 깊은 곳의 위치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최대 깊이 및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각 u=0일 때와 x=0일 때의 조건으로 상기 [수학식 6]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u=0일 때 단축 상(-Rx≤x≤Rx)에서 최대깊이에 대한 식은 2차 방정식 av2-2bv+c=0로 표현된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07
의 형태로 주어지는 2차 방정식에 대한 근의 공식으로부터 거울의 깊이는 x=0을 기준으로 양쪽이 대칭이 되며, x=0일 때 거울의 깊이가 최소가 됨을 알 수 있다.
위 단축 상의 거울의 깊이에 관한 특징에 비해, 장축 상의 거울의 깊이는 보다 깊은 분석을 필요로 한다. 거울의 깊이를 독립변수 x와 u로 표현한 [수학식 6]에 x=0의 조건을 대입한 후, 변수 u에 대한 도함수를 구한 결과가 0이 되는 조건을 찾으면, 아래의 [수학식 7]를 얻는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08
이때 상기 [수학식 6]의 장축에 대한 표현식(x=0)에, 도함수가 최소가 되는 수식을 도함수가 최소가 되는 수식을 대입하여 변수정리를 하면 아래의 [수학식 8]과 같이 비축-포물면 거울의 중심으로부터 최대 깊이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09
단축 상에서는 타원 개구 중심에서 깊이가 최대가 되며, 장축 상에서는 타원 개구 중심이 아닌 다른 곳에서 깊이가 최대가 된다는 사실을 통해서 비축-포물면의 타원 개구 중심은 가장 깊은 곳과 다르다는 점을 의미한다.
즉, 비축-포물면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첫째 가장 깊은 곳으로 기준을 잡는 방법, 둘째 타원 개구 중심을 기준으로 잡는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가장 깊은 곳을 기준으로 잡아 비축 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은 도 3과 같이 비축거리(OAD:Off-Axis Distance)를 정의할 수 있으며, 개구면의 각도는 아래의 [수학식 9]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10
한편, 타원 개구의 장축을 유효구경(CA)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값은 아래의 [수학식 10]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11
상기 [수학식 10]에 [수학식 9]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개구면 y-절편인 yc를 계산할 수 있는 수학식을 산출할 수 있는데, 해당 수학식은 아래의 [수학식 1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12
원하는 CA 값을 가진 비축-포물면 거울의 가장 깊은 곳이 원하는 OAD 값을 갖는 거울은 [수학식 9]로부터 거울 개구면의 각도를 구하고, [수학식 11]로 개구면 y-절편 값을 구함으로써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거울의 최대 깊이와 비축-포물면 거울의 중심으로부터 최대 깊이까지의 거리도 상기 [수학식 7]과 [수학식 8]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비축-포물면 거울을 정의하는 두 번째 방법은 비축-포물면 거울의 타원 개구 중심이 OAD 값을 갖도록 하는 데 있으며 타원 개구의 장축 지름은 타원 개구의 크기로 하는 것은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하다.
하지만, 상술한 첫 번째 방법과 달리 개구면의 각도가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OAD, CA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각도와 y-절편을 동시에 구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기하학적 관계에서 아래의 [수학식 12]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13
상기 [수학식 12]을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13]을 유도해 낼 수 있는데, 상기 [수학식 13]은 상기 [수학식 9]와 [수학식 10]과 동일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14
즉, 본 발명에서는 비축-포물면의 개구는 타원의 형태이며, 그 타원 개구의 중심과, 거울의 깊이가 가장 깊은 점과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차이는 비축거리를 정의하는 2 가지 방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동일한 결과가 도출된다는 사실을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13]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원하는 OAD와 CA를 갖는 비축-포물면을 얻기 위한 개구면의 각도와 y-절편 yc를 각각 [수학식 9]와 [수학식 11]을 통해 정확하게 정할 수 있기 때문에 거울의 가장 깊은 곳까지의 거리(u*)와 깊이(v*)를 각각 아래의 [수학식 14]와 [수학식 15]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4497223-pat00015
Figure 112018024497223-pat0001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제어부
200 : 변화모듈

Claims (5)

  1.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xyz 좌표계상에서, 제어부(100)가 yz-평면에서 표현된 단면으로 포물선을 자르는 평면을 개구면(Aperture plane), 상기 개구면은 x축과 수직하는 u축과 xy-면에서 만나는 교점인 y=yc에서 만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면과 xz-면 사이의 각도를 θ라고 정의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100)가 xuv-좌표계를 정의하는 단계;
    (c) 좌표계 변환모듈(200)이 상기 xuv-좌표계와 상기 xyz-좌표계 사이의 변환행렬을 정의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xuv-좌표계를 이용하여 거울의 깊이를 v와 좌표값으로 표현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개구면과 포물면이 만나는 둘레를 타원 개구로 정의하고, xu-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타원 개구의 장축에서 비축-포물면 거울의 최대 깊이를 계산하는 단계;
    (f) 상기 제어부(100)가 비축-포물면 거울의 중심으로부터 최대 깊이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어부(100)가 원하는 비축-포물면을 결정하기 위한 yc와 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행렬은
    Figure 112019019624006-pat00017

    (u0 : 타원 개구 중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장축에서 거울의 최대 깊이는
    [수학식 15]
    Figure 112019019624006-pat00018

    (R:곡률반지름, OAD:비축거리, CA:유효구경)
    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비축-포물면 거울의 중심으로부터 최대 깊이 위치까지의 거리는
    [수학식 14]
    Figure 112019019624006-pat00019

    (R:곡률반지름, OAD:비축거리, CA:유효구경)
    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비축-포물면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가장 깊은 곳으로 기준을 잡는 경우, 또는 타원 개구 중심을 기준으로 잡는 경우, 개구면의 각도는
    [수학식 9]
    Figure 112018024497223-pat00020
    로, y-절편인 yc
    [수학식 11]
    Figure 112018024497223-pat00021
    (R:곡률반지름, OAD:비축거리, CA:유효구경, 개구: 개구면과 포물면이 만나는 둘레)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KR1020180028582A 2018-03-12 2018-03-12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KR102001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582A KR102001457B1 (ko) 2018-03-12 2018-03-12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582A KR102001457B1 (ko) 2018-03-12 2018-03-12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457B1 true KR102001457B1 (ko) 2019-07-18

Family

ID=6746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582A KR102001457B1 (ko) 2018-03-12 2018-03-12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747A (ja) * 1999-07-30 2003-02-18 カール ツァイス シュティフトゥング トレイディング アズ カール ツァイス 照明光学系用の多重反射鏡光学系
KR100504388B1 (ko) 2003-05-31 2005-07-27 (주)벨모아 비축 비구면 다초점 광학 렌즈
JP2014235202A (ja) * 2013-05-31 2014-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立体撮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747A (ja) * 1999-07-30 2003-02-18 カール ツァイス シュティフトゥング トレイディング アズ カール ツァイス 照明光学系用の多重反射鏡光学系
KR100504388B1 (ko) 2003-05-31 2005-07-27 (주)벨모아 비축 비구면 다초점 광학 렌즈
JP2014235202A (ja) * 2013-05-31 2014-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立体撮影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ephanie Alphonse, 'Fast Analysis of a compound large reflector antenna' 2012.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1204B2 (en) Method for desiging freeform surface imaging optical system
US10386625B2 (en) Korsch-type compact three-mirror anastigmat telescope
US10387580B2 (en) Method of forming a freeform surface shaped element for an optical system
US11435261B2 (en) Method for analyzing tolerance distributions in a freeform surface mirror of an optical system
CN101571421A (zh) 一种哈达码变换成像光谱仪
US11025841B2 (en) Method for designing a freeform surface reflective imaging system
CN110727092A (zh) 一种基于自由曲面的离轴反射式两镜扩束系统
KR102001457B1 (ko) 비축-포물면을 결정하는 방법
Kweon et al. Aspherical lens design by using a numerical analysis
US11650402B2 (en) Freeform surface off-axial three-mirror imaging system
CN111307102B (zh) 一种光学加工中获得离轴非球面面型特征的方法
US11294148B2 (en) Method for designing freeform surface imaging systems
KR20200060804A (ko) 원형의 비축-비구면 거울 결정 방법
CN109163682B (zh) 一种长焦大离轴量离轴抛物面的检测装置及方法
JP2009271454A (ja) 非球面反射光学素子
Adams Cylinder Lenses for Beam Shaping: Understanding specifications
JP2023547242A (ja) 電気光学システム及びその設計方法
Zhao et al. A novel technology for monolithic design and manufacturing of off-axis multi-reflection optical system
CN212060769U (zh) 用于抑制衍射光学元件零级光斑的光学组件
US2737850A (en) Wide aperture divergent optical system using spherical mirrors
Hurtado et al. Gravitational lensing by spherical lenses
CN109188685A (zh) 提高辐照均匀度的准直镜设计方法
CN102866499B (zh) 非球面光学元件在传统加工阶段的目标形状优化方法
CN109163663B (zh) 一种长焦大离轴量离轴抛物面的制造方法
CN1800908B (zh) 一种激光束轴对称整形元件的折衍混合结构设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