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064B1 - 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한 잔교식 방파제 - Google Patents

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한 잔교식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064B1
KR102001064B1 KR1020170020780A KR20170020780A KR102001064B1 KR 102001064 B1 KR102001064 B1 KR 102001064B1 KR 1020170020780 A KR1020170020780 A KR 1020170020780A KR 20170020780 A KR20170020780 A KR 20170020780A KR 102001064 B1 KR102001064 B1 KR 10200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tructure
breakwater
cable
present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143A (ko
Inventor
김기동
고만기
한기장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0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스트레스 리본 덱을 방파제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레스 리본 덱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방파제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블의 끝단을 앵커 시스템으로 고정하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큰 물결의 파랑이나 해일에 대응하여 해안가 인근 바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평판형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구조물이 위아래 방향으로 세워져 방파제로서 상기 큰 물결의 파랑이나 해일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구조물은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으로서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에 의하여 양생 후 긴장력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평판형 덱 플레이트를 이용한 방파제를 설치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라 덱 플레이트로 방파제를 설계하고, 시공하여, 종래의 방파제들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방파제를 선도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방파제를 제안함으로써 방파제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계속적인 관련 기술을 촉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한 잔교식 방파제{TSUNAMI BARRIER WITH STRESS RIBBON DECKS}
본원발명은 스트레스 리본 덱을 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스 리본 덱을 방파제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레스 리본 덱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방파제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블의 끝단을 앵커 시스템으로 고정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파제는 평소에는 평판형의 상부 구조물이 수평 방향을 유지하여 잔교로서 기능하고, 해일 시에는 평판형의 상부 구조물이 수직 방향을 유지하여 방파제 기능을 하는 잔교식 방파제로 작용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은 평판형 덱 플레이트(deck plate) 형상의 구조물을 이용한 방파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프리케스트 세그먼트 덱(precast segment deck)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덱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을 완성하여 방파제로 활용하는 기술이기도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스트레스 리본 덱(stress ribbon deck)을 이용한 것이기도 한다.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은 상대적으로 근래에 현수 형태의 교량 등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서 얇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지칭한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방파제를 평소에는 잔교로 쓸 수도 있다. 잔교(Jetty, Landing pier, 棧橋)는 해안선이 접한 육지에서 돌출한 접안시설을 말한다. 최근 해양 레저스포츠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해안가가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미관 등을 고려하여 미려한 잔교 설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접해 있어 큰 물결의 파랑이나 해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해일은 해저의 지각 변동이나 해상의 기상 변화에 의하여 갑자기 바닷물이 크게 일어서 육지로 넘쳐 들어오는 현상을 지칭하는데, 일단 해일이 발생하면 해안가에 매우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부터 항구나 해안가에는 외해로부터의 파랑이나 해일을 막아서 내항을 보호하는 방파제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파제는 대부분 미관을 고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안가의 사람들의 트인 시야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본원발명은 종래 발명자들이 발명해 온 기술분야의 다양한 선행발명들과 비교하여 볼 때, 구조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일부 공통점이 있으나, 구체적인 적용 국면에서는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 것으로 기존 스트레스 리본 교량 등에서 개시된 기술은 일부 확인되지만 본원발명과 같이 방파제에 프리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한 것은 찾아볼 수가 없다. 이는 새로운 개념의 발명으로서 유사한 발명을 확인할 수 없었다. 다만, 일부라도 유사한 점이 있는 선행발명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42331호 (2006.01.11.) '수중 수평판을 구비한 부방파제'는 수평판을 이용했다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일부 공통점이 인정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발명은 부상체부의 하부를 통화하는 에너지를 상하로 분산시키는 수중 수평판일 뿐 본원발명과 같이 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하거나 잔교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한 언급이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20030068347호 (2003.08.21.) '말뚝 기초를 이용한 방파제'는 말뚝 기초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일부 유사한 점이 있다고 볼 여지가 있으나, 상기 선행발명은 본원발명이 개시하는 평판형 상부 구조물에 의한 잔교 기능이라든가 해일 인지 자동 회전과 같은 점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9772호 (2009.10.21.) '고정형 고조방파제'는 회전체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일부 유사한 점이 있다고 볼 여지가 있으나, 상기 선행발명은 본원발명이 개시하는 평판형 상부 구조물에 의한 잔교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구조물의 회전 또한 자동 방식이 아니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2331호 (2006.01.1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68347호 (2003.08.21.)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0955748호 (2009.10.21.)
본원발명은 평판형 덱 플레이트를 이용한 방파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덱 플레이트로 방파제를 설계하는 방법 및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종래의 방파제들과는 새로운 유형의 방파제를 선도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방파제를 제공함으로써 방파제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일상적인 밀물과 썰물 그리고 해류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방파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방파제 설치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환경 영향에 따라 방파제 설치의 어려움이 있는 현장에서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는 방파제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해일 발생 전에 잔교로 사용될 수 있도록 지지로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이 수평으로 놓이는 방파제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차폐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해일 발생 시 자동 회전 시스템이 적용되어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도 해일에 대응할 수 있고, 불시에 발생하는 재난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해저면에 앵커 시스템으로 양 끝단이 고정된 회전축 역할을 하는 중심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끼워진 상부 구조물을 포함하는 해안가 인근 바다에 설치되는 방파제로서, 상기 상부 구조물은 평판 형상이고, 수평 또는 수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부 구조물은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으로서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에 의하여 양생 후 긴장력이 도입되며, 상기 중심 케이블은 회전 튜브가 끼워져 있고, 상기 회전 튜브는 상기 상부 구조물에 매립되되, 상기 회전 튜브 내에서 상기 중심 케이블이 회전 가능하여, 상기 중심 케이블이 상기 상부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상기 상부 구조물이 상기 중심 케이블을 축으로 회전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은 2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이 부착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앵커 시스템의 끝단 사이의 해저면에 시공되는 지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 구조물은 상기 지주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은 상기 중심 케이블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들어간 케이블 매립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중심 케이블은 상기 매립부에 거치되며, 상기 매립부에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중심 케이블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회전 튜브의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 케이블이 통과하는 내부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회전 튜브 사이에는 윤활유가 포함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 간의 연결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 사이에 이음 부재 또는 전단 연결재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단 연결재 등을 매립하는 것이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 사이의 연결부와 상기 매립부는 일체로 현장 고정부를 형성하여 상기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지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단부 지주이며, 상기 단부 지주는 상기 중심 케이블이 관통하여, 상기 중심 케이블이 뒤로 밀리는 것에 대하여 지지하고, 상기 단부 지주의 측면으로는 전단키가 돌출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이 회전 시에 상기 전단키에 걸려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지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중간 지주이며, 상기 중간 지주의 상부는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거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물의 아랫면에는 상기 거치부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내민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민부가 상기 거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을 상기 중간 지주가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해일 발생 시 상기 상부 구조물의 회전이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은 상기 상부구조물 상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무게부을 구비하고, 해일 발생 시 상기 이동 무게부가 바다 쪽의 상기 상부 구조물의 상면에서 해안 쪽의 상기 상부 구조물 상면으로 이동하면서 무게 중심이 바뀌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의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부 구조물은 평판 형상이고, 지주에 의하여 지지되어 "T"형태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는 방파제를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설치위치, 설치길이 및 해일의 설계파고 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계파고와 파력 결정 식을 이용하여 설계 파력을 결정하는 단계; 구조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파제에 대한 예비설계를 수행하는 단계; 충돌 모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파제의 상세설계를 하는 단계; 조파 실험 단계; 및 상기 단계들을 통하여 최적설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파제 설계방법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상술한 설계 방법에 따라 설계된 방파제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해저면에 양 끝단을 형성하는 앵커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앵커 시스템의 양 끝단을 중심 케이블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중심 케이블이 거치되도록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에 의하여 양생 후 긴장력이 도입된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인 상부 구조물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구조물 블록을 부착 연결하여 상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 케이블이 상기 상부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도록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파제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원발명에 따르면 평판형 덱 플레이트를 이용한 방파제를 설치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라 덱 플레이트로 방파제를 설계하고, 시공하여, 종래의 방파제들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방파제를 선도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방파제를 제안함으로써 방파제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계속적인 관련 기술을 촉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방파제는 통상시에는 지주에 의하여 지지되는 잔교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일상적인 밀물과 썰물 그리고 해류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또한, 방파제 설치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 영향에 따라 방파제 설치의 어려움이 있는 현장에서도 얼마든지 본원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잔교식 방파제는 해일 발생 전에 잔교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구조물이 수평으로 놓이기 때문에 방파제로 인한 공간 차폐면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해일 발생 시 자동 회전 시스템이 적용되어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도 해일에 대응할 수 있고, 불시에 발생하는 재난에도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원발명에 따른 방파제의 설계 방법 및 시공 방법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1b는 본원발명에 따른 잔교식 방파제가 연안 인근 바다에 시공된 것을 해안가 쪽에서 본 방향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c는 실사로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위쪽 도면은 평상시의 상태를, 아래쪽 도면은 해일 발생 시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d 내지 도 1i로서 도 1d는 중심 케이블의 단면 및 확대를 보인 것이고, 도 1e는 상부 구조물 블록을 임시 거치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f 및 도 1g는 상단 구조물과 중심 케이블의 결합 관계를 보이기 위한 시공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h 및 도 1f는 상부 구조물인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의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 설치 전후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지주와 상부 구조물의 측단면도로서 도 2a는 중간 지주를, 도 2b는 단부 지주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상부 구조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60)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만조 시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간조 시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발생 예상 수위 1/2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발생 예상 수위의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최고조 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발생 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발생 후 견인장치에 의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을 잔교식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큰 물결의 파랑이나 해일에 대응하여 해안가 인근 바다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기본적으로 평판형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구조물이 위아래 방향으로 세워져 방파제로서 상기 큰 물결의 파랑이나 해일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위아래 방향으로 세워진다 함은 상기 평판형 구조물의 넓은 면이 파랑이나 해일의 충격에너지 방향에 수직으로 또는 이와 유사하게 설치됨을 의미한다.
본원발명은 큰 물결의 파랑이나 해일에 대응하여 해안가 인근 바다에 설치되는 방파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강풍이나 기압의 급변으로 인하여 해면이 높아지는 고조(高潮)에 동반되는 파랑으로부터 항만 시설이나 가옥을 보호하기 위한 고조 방파제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기도 하다.
상기 상부 구조물은 강제, 콘크리트 또는 합성 자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상부 구조물은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으로서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에 의하여 양생 후 긴장력이 도입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상부 구조물(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은 2개 이상의 상부 구조물 블록이 부착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상부 구조물 블록이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concrete precast segment deck) 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강제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현장 콘크리트 타설 등에 의한 이음을 통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끼리 부착 연결 수 있으나, 강력한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강제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의 경우 볼팅에 의하여 이을 수도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스트레스 리본 덱의 설계 방법 및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원발명에 따른 방파제의 설계 방법 및 시공 방법을 도시화한 것이다. 상기 방파제를 설계하는 방법은 설치위치, 설치길이 및 해일의 설계파고 등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계파고와 파력 결정 식을 이용하여 설계 파력을 결정하는 단계; 구조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잔교식 방파제에 대한 예비설계를 수행하는 단계; 충돌 모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잔교식 방파제의 상세설계를 하는 단계; 조파 실험 단계; 및 상기 단계들을 통하여 최적설계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구조 해석 프로그램은 RM Bridge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상기 충돌 모사 프로그램은 LS-DYN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RM Bridge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예비설계 수행 단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단면 가정.
- 결정된 파력을 이용하여 해석 모델 구성.
- 부재력과 케이블 긴장력 등 결정.
- 각 구성요소의 단면 검토.
상기 LS-DYNA 프로그램을 이용한 잔교식 방파제 상세설계를 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3D 해석 모델 구성.
- 해일 3D 모델.
- 부재력과 케이블 긴장력 등 결정.
- 각 구성요소의 단면 검토.
상기 조파 실험 단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Small Scale 실험체 설계.
- Small Scale 실험체 제작.
- 해일 파랑 생성.
- 잔교식 방파제 성능 평가.
상술한 단계들을 거치면서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새롭게 반영하여 결과적으로 최적설계를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파제를 시공하는 방법은, 해저면에 양 끝단을 형성하는 앵커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앵커 시스템의 양 끝단을 중심 케이블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중심 케이블이 거치되도록 상부 구조물 블록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구조물 블록을 부착 연결하여 상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 케이블이 상기 상부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도록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친 후 상부 구조물의 처짐과 소요 긴장력을 검토한 후 최종적으로 방파제 설치를 완료한다.
도 1b는 본원발명에 따른 잔교식 방파제가 연안 인근 바다에 시공된 것을 해안가 쪽에서 본 방향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 예인 잔교식 방파제(1)는 해저면(2)에 다수의 지주(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주(3)의 상부에는 스트레스 리본 덱인 상부 구조물(30)이 위치한다. 평상시에는 만조위에 상기 상부 구조물(3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해일 발생 시에는 상기 상부 구조물(30)이 상기 지주(3)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여 수직 상태가 된다.
상기 상부 구조물(30)이 상기 지주(3)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 구조물(30)이 상기 지주(3)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일부 유동을 허용하고, 매우 큰 해일의 에너지를 감당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30)은 해저면(2)에 앵커 시스템(40)(Anchor System)으로 양 끝단이 고정된 중심 케이블(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상부 구조물(30)을 통하여 상기 중심 케이블(50)로 전달되는 해일 또는 파랑 에너지는 상기 앵커 시스템(40)에 의하여 지지되어야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해저면(2)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지주(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추가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주(3)를 '단부 지주'라 칭한다(이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상기 상부 구조물은 상기 지주에 의하여 지지되되, 양 끝단이 고정된 중심 케이블(50)에 끼워져 회전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르면 잔교식 방파제(1)는 해일 발생 전에 잔교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구조물(30)이 수평으로 놓이기 때문에 방파제로 인한 공간 차폐면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c는 실사로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위쪽 도면은 평상시의 상태를, 아래쪽 도면은 해일 발생 시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상부 구조물 블록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이고, 상기 상부 구조물은 스트레스 리본 덱이며, 상기 시공 방법에 상기 상부 구조물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구조물 블록은 상기 중심 케이블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들어간 케이블 매립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 케이블은 상기 매립부에 거치되며, 상기 매립부에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중심 케이블이 상기 상부 구조물에 매립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구조물이 회전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는 상기 중심 케이블은 회전 튜브가 끼워져 있고, 상기 중심 케이블은 상기 상부 구조물 블록에 상기 회전 튜브와 함께 매립되되, 상기 회전 튜브 내에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중심 케이블이 상기 상부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도록 매립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 튜브는 상기 상부 구조물 블록에 고정 고리로 고정된다.
본 실시 예는 상기 회전 튜브의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 케이블이 통과하는 내부 튜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회전 튜브 사이에는 윤활유가 포함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구조물 블록들 간의 연결은 상기 상부 구조물 사이에 이음 부재 또는 전단 연결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단 연결재 등을 매립하는 것이되, 상기 상부 구조물 블록들 사이의 연결부와 상기 매립부는 일체로 현장 고정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 도 1d 내지 도 1i로서 도 1d는 중심 케이블의 단면 및 확대를 보인 것이고, 도 1e는 상부 구조물 블록을 임시 거치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f 및 도 1g는 상단 구조물과 중심 케이블의 결합 관계를 보이기 위한 시공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h 및 도 1f는 상부 구조물인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의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 설치 전후를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은 해저면에 고정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의하여 고정되는 중심 케이블을 더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은 상기 중심 케이블 및 상기 지주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해수면에서 지지되어, 상기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의 평판면이 수평 방향으로 놓여 지주와 "T"형태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한다.
이 경우 상기 "T"형태의 단면을 형성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기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은 잔교로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을 '잔교(棧橋)식 방파제'라 지칭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평소에는 잔교로 쓰이고, 해일이 발생하거나 높게 파도칠 때에는 방파제로 기능할 수 있는 개념을 제공한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방파제는 통상시에는 잔교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일상적인 밀물과 썰물 그리고 해류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따라서 방파제 설치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환경 영향에 따라 방파제 설치의 어려움이 있는 현장에서도 얼마든지 본원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은 평판 형상이고, 상기 지주에 의하여 지지되어 "T"형태의 단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인 설계는 통상의 방법에 의하면 된다. 다만, 해일 시에 큰 에너지를 견뎌야 하므로 단면이나 지지 구조가 광대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이나 후술하는 강력하게 지지되는 중심 케이블에 의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구조물은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으로서, 콘크리트 양생 후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에 의하여 긴장력이 도입된다. 본원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평판형의 넓은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구조물이 파랑이나 해일에 의한 에너지에 대응하여야 하는바 큰 힘을 받을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에 의하여 긴장력이 도입되는 스트레스 리본 덱을 잔교식 방파제의 상부 구조물로 활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트레스 리본 덱의 적용으로 재료 사용이 최소화되고, 시공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경제성이 좋게 된다.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구조물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지주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는 본원발명의 큰 기술적 특징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의 평판면이 수평일 때에는 잔교로 활용되고, 상기 상부 구조물이 회전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의 평판면이 수직일 때에는 해일 방파제로서 해일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주(3)는 단부 지주와 중간 지주로 대별되는데, 이를 도면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지주와 상부 구조물의 측단면도로서 도 2a는 중간 지주를, 도 2b는 단부 지주를 보인 것이다. 양 도면 모두 좌측에 도시된 것은 평상시 상태이고, 우측에 도시된 것은 해일 발생 시의 상태이다.
이미 설명한 단부 지주(10) 이외에, 상기 지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중간 지주(20)이다. 상기 중간 지주(20)는 상기 단부 지주(10)와 달리 상기 중심 케이블(50)이 관통하는 구조가 아니며, 상기 상부 구조물(30)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 지주(20)의 상부는 상기 상부 구조물(30)을 지지하는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거치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구조물의 아랫면에는 상기 거치부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내민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내민부(32)가 상기 거치부(21)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을 상기 중간 지주(20)가 지지하게 된다.
상기 오목하게 들어가 거치부(21)와 볼록하게 형성된 내민부(32)가 서로 맞물려 있어, 상기 상부 구조물(30)이 수직인 상태에서도 상기 단부 지주(10)가 상기 상부 구조물(30)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주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부(21)로부터 바다 쪽 방향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22)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바다 쪽이 더 하중이 있어도 상기 지지부(22)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아 상부 구조물(30)의 부분 중 하중이 더 나가는 바다 쪽이 상기 지지부(22)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가 평상시에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 지주(20)에는 해안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 돌출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아랫면에는 상기 끼움 돌출부에 대응하는 삽입부(3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30)이 회전하여 수직 상태가 되면 상기 끼움 돌출부(23)가 상기 삽입부(33)에 끼워진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상부 구조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끼움 돌출부(23)는 상기 중간 지주에, 상기 삽입부(33)는 상기 상부 구조물(3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본 실시 예의 경우일 뿐, 상기 중간 지주(20)와 상기 상부 구조물(30) 상에 서로 대응하도록 위치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중간 지주(20)에는 해안선 방향으로 댐퍼(24)가 설치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30) 중 회전 시 아래 쪽으로 내려가는 해안 쪽 부분이 상기 댐퍼(24)에 닿아 수직 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 예와 달리 상기 댐퍼(24)는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아랫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본 실시 예는 해일 발생 시 상기 상부구조물의 회전이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60)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60)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은 상기 상부구조물 상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무게부(61)를 구비한다. 해일 발생 시 상기 이동 무게부(61)가 바다 쪽의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상면에서 해안 쪽의 상기 상부 구조물(30) 상면으로 이동하면서 무게 중심이 바뀌면서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회전이 발생하게 된다.
본 일 실시 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당김 케이블을 더 구비하여 상기 이동 무게부(61)의 이동에 따른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지만, 상기 이동 무게부(61)의 이동만으로도 무게 중심에 변화가 생겨서 생기 상부 구조물(30)의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파랑이나 해일이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하부에 힘을 일단 가하기 시작하면 파랑이나 해일에 의한 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30)이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동 무게부(61)는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해일 발생 시 해일에 의한 파력으로 해안 쪽의 상기 상부 구조물(30) 상면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 무게부(61)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무게부(61)가 미끄러지게 결합된 레일(34)이 설치되어 있다.
본 일 실시 예의 상기 이동 무게부(61)는 해일 발생으로 예상되는 지정 수위에서 파력에 의하여 이동하고, 그 이동에 따라 무게 중심의 변화와 후술하는 당김 케이블의 작용으로 상기 스트레스 리본 덱을 자동으로 회전하게 한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해일 발생 시 자동 회전 시스템이 적용되어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도 해일에 대응할 수 있고, 불시에 발생하는 재난에도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자동 회전을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60)은 당김 케이블(6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격하여 상기 중간 지주(20)에 관통공(25)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무게부(61)와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해안 쪽 끝단을 연결하는 당김 케이블(62)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당김 케이블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이동 무게부가 이동할 때 상기 당김 케이블로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해안 쪽 끝단을 당겨 상기 상부 구조물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지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술한 단부 지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부 지주는 상기 중심 케이블(50)이 관통하여, 상기 중심 케이블이 뒤로 밀리는 것에 대하여 지지한다. 또한, 상기 단부 지주의 측면으로는 전단키(11)가 돌출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30)이 회전 시에 상기 전단키(11)에 걸려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도 2b 참고).
여러 개의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상부 구조물(30) 중 하나의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은 상기 단부 지주(10)와 단부 지주(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b 및 도 1c 참조).
이하 본원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만조 시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간조 시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의 상부 구조물(30)의 높이는 만조 시 해수면의 높이에 대응한 것이고, 만조 시나 간조 시에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 예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조 시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본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힘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면 된다. 또는 간조 시의 경우와 같은 상태이어도 무관하다. 도 6에 도시된 간조 시의 경우에는 상기 중간 지주(20)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바다 쪽이 더 하중을 많이 받도록 설계하는 것이 안전하다. 상기 하중에는 상기 이동 무게부(61)도 고려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중간 지주(20)의 지지부(22)와 상기 상부 구조물(30)의 회전 축 역할을 하는 상기 중심 케이블(50)에 의하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발생 예상 수위 1/2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발생 예상 수위의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최고조 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작동이 직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한편 해일이 끝난 후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라 다시 잔교식으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발생 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해일 발생 후 견인장치에 의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을 잔교식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잔교식 방파제
2: 해저면
3: 지주
10: 단부 지주
11: 전단키
20: 중간 지주
21: 거치부
22: 지지부
23: 끼움 돌출부
24: 댐퍼
25: 관통공
30: 상부 구조물
31: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
31a: 상부 구조물 블록
31b: 매립부
31c: 이음부재
31d: 전단연결재
31e: 고정 고리
31f: 현장 고정부
31g: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 홀
31h: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
32: 내민부
33: 삽입부
34: 레일
40: 앵커 시스템
50: 중심 케이블
51: 회전 튜브
52: 내부 튜브
53: 연결구
54: 윤활유
60: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
61: 이동 무게부
62: 당김 케이블

Claims (14)

  1. 해저면에 앵커 시스템으로 양 끝단이 고정되며 회전축 역할을 하는 중심 케이블, 상기 중심 케이블에 끼워진 상부 구조물, 상기 앵커 시스템의 끝단 사이의 해저면에 시공되며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주를 포함하며, 해안가 인근 바다에 설치되는 방파제로서,
    상기 상부 구조물은 평판 형상으로 수평 또는 수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되, 상기 상부 구조물이 해수면에서 수평 형태로 상기 지주와 ‘T’ 형태를 형성할 수 있어 해일 발생 전에는 잔교(棧橋)로 기능하는 잔교식 방파제이고,
    상기 상부 구조물은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으로서 프리스트레스트 케이블에 의하여 양생 후 긴장력이 도입되며,
    상기 중심 케이블은 회전 튜브가 끼워져 있고, 상기 회전 튜브는 상기 상부 구조물에 매립되되, 상기 회전 튜브 내에서 상기 중심 케이블이 회전 가능하여, 상기 중심 케이블이 상기 상부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상기 상부 구조물이 상기 중심 케이블을 축으로 회전하여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은 2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이 부착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은 상기 중심 케이블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들어간 케이블 매립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중심 케이블은 상기 매립부에 거치되며,
    상기 매립부에 현장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중심 케이블이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튜브의 안쪽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 케이블이 통과하는 내부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회전 튜브 사이에는 윤활유가 포함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 간의 연결은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 사이에 이음 부재 또는 전단 연결재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단 연결재 등을 매립하는 것이되,
    상기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덱 사이의 연결부와 상기 매립부는 일체로 현장 고정부를 형성하여 상기 콘크리트 스트레스 리본 덱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단부 지주이며, 상기 단부 지주는 상기 중심 케이블이 관통하여, 상기 중심 케이블이 뒤로 밀리는 것에 대하여 지지하고, 상기 단부 지주의 측면으로는 전단키가 돌출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이 회전 시에 상기 전단키에 걸려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중간 지주이며, 상기 중간 지주의 상부는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거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물의 아랫면에는 상기 거치부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내민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민부가 상기 거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을 상기 중간 지주가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9. 제1 항에 있어서,
    해일 발생 시 상기 상부 구조물의 회전이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해일 인지 무빙 시스템은 상기 상부 구조물 상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무게부을 구비하고,
    해일 발생 시 상기 이동 무게부가 바다 쪽의 상기 상부 구조물의 상면에서 해안 쪽의 상기 상부 구조물 상면으로 이동하면서 무게 중심이 바뀌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의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20780A 2017-02-16 2017-02-16 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한 잔교식 방파제 KR10200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780A KR102001064B1 (ko) 2017-02-16 2017-02-16 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한 잔교식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780A KR102001064B1 (ko) 2017-02-16 2017-02-16 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한 잔교식 방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143A KR20180095143A (ko) 2018-08-27
KR102001064B1 true KR102001064B1 (ko) 2019-07-18

Family

ID=6345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780A KR102001064B1 (ko) 2017-02-16 2017-02-16 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한 잔교식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0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64Y1 (ko) * 1997-12-26 1999-12-01 이웅 회전 구동 지지용 핀
JP2007224598A (ja) * 2006-02-23 2007-09-06 Tokyu Construction Co Ltd 防潮施設
JP2013032681A (ja) * 2011-11-21 2013-02-14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回動式パラペットおよび津波防災構造物
JP2015190186A (ja) * 2014-03-28 2015-11-02 尚治 池田 浮上起立式津波防波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1616B2 (ja) * 1993-06-16 1997-07-16 鹿島建設株式会社 消波装置
KR100450309B1 (ko) 2002-02-15 2004-09-30 (주)대우건설 말뚝 기초를 이용한 방파제
KR100542331B1 (ko) 2005-09-07 2006-01-1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중 수평판을 구비한 부방파제
KR100955748B1 (ko) 2008-04-16 2010-04-30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형 고조방파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64Y1 (ko) * 1997-12-26 1999-12-01 이웅 회전 구동 지지용 핀
JP2007224598A (ja) * 2006-02-23 2007-09-06 Tokyu Construction Co Ltd 防潮施設
JP2013032681A (ja) * 2011-11-21 2013-02-14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回動式パラペットおよび津波防災構造物
JP2015190186A (ja) * 2014-03-28 2015-11-02 尚治 池田 浮上起立式津波防波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143A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737B1 (ko) 프리캐스트 수중조립식 교각구조물
JPH01318612A (ja) 沖合海洋構造物の保護のための保護障壁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937740B1 (ko) 수중 피씨 하우스 케이슨 공법
Combault et al. Rion-Antirion Bridge, Greece–concept, design, and construction
Combault The Rion-Antirion bridge—when a dream becomes reality
KR102001064B1 (ko) 스트레스 리본 덱을 이용한 잔교식 방파제
JP5763445B2 (ja) 防波堤用構造物と防波堤
Teyssandier et al. The Rion-Antirion bridge design and construction
Sadeghi et al. Offshore tower platforms: An overview of design, analysis,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Combault et al. The Rion-Antirion bridge: concept, design and construction
CA2817321A1 (en) Tidal flow generation structures
JP4018288B2 (ja) 通水可能な函体からなる人工地盤とその施工方法
CN110735394A (zh) 索塔结构及其建造方法
CN202718034U (zh) 新型浮式组合跨海大桥
Ingerslev Innovations in resilient infrastructure design: immersed and floating tunnels
KR101993200B1 (ko) 자동 회전 잔교식 방파제
JP6682665B1 (ja) 波返し部材及び波返し部材の施工方法
LaNier et al. New technologies proven in precast concrete modular floating pier for US Navy
US10214870B2 (en) Buoyancy compensated erosion control module
Koh et al. The floating platform at the Marina Bay, Singapore
WO2014045085A1 (en) Protection against tsunami and high sea waves
Teyssandier Corinthian crossing
Veie et al. Three span floating suspension bridge crossing the Bjørnafjord
CN215329677U (zh) 一种可快速形成的预制拼装码头结构
Koh et al. The Floating Performance Stage@ Marina Bay, Singapore: New Possibilities for Space Cre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