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753B1 - 클리어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리어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753B1
KR102000753B1 KR1020190066373A KR20190066373A KR102000753B1 KR 102000753 B1 KR102000753 B1 KR 102000753B1 KR 1020190066373 A KR1020190066373 A KR 1020190066373A KR 20190066373 A KR20190066373 A KR 20190066373A KR 102000753 B1 KR102000753 B1 KR 10200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modified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팸
Priority to KR102019006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7Level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로서, 아크릴 변성 수지, 유기 실리콘 수지, 첨가제, 레벨링제,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팅 조성물에 의하면 자동차에 직접 도포하여 무연마 방식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것이 아닌 손상된 클리어층을 복원하고, 더 두꺼운 클리어층을 형성함으로 손상된 클리어 코팅층을 복원할 수 있고, 자동차에 직접 도포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은 별도의 열 경화 또는 UV 경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쉽게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리어 코팅 조성물{CLEAR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클리어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코팅분야에서 상도막(Top coat)은 베이스 코트와 클리어 코팅 또는 모노 코트로 이루어진다. 통상 자동차 도장의 마무리 공정으로 실시되는 색조 및 투명 코팅시스템은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베이스 코트를 기재에 적용한 후 최외부에 투명한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클리어 코팅층은 자동차의 최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신차 출고 이후, 사용 시간이 많아질수록 다수의 스크래치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출고 이후의 도장 관리를 위하여, 자동차의 최외부에 유리막 코팅 작업 또는 광택 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종래의 광택 방법은 자동차의 클리어 코팅층을 광택기나 사포로 평탄화 하면서 스크래치나 스월마크를 제거하고, 도포 두께가 육안으로 측정되지 않는 화학성분의 왁스나 유분제를 적용하여, 반짝이는 효과를 연출한다.
다만, 최초 클리어 코팅층의 두께가 약 40 내지 50 미크론에 불과하기 때문에, 평탄화 작업은 2 내지 3회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평탄화 작업으로 클리어 코팅층이 소멸하면, 자외선 차단, 변색 차단 등의 클리어 코팅층 고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베이스 코트층을 보호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상된 자동차 도장면에 평탄화 작업 없이 직접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무연마 방식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것이 아닌 손상된 클리어층을 복원하고, 더 두꺼운 클리어층을 형성할 수 있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제로서, 아크릴 변성 수지, 유기 실리콘 수지, 첨가제, 레벨링제,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아크릴 변성 수지 30 내지 35 중량부, 유기 실리콘 수지 20 내지 35 중량부, 첨가제 0.5 내지 5 중량부, 레벨링제 2.5 내지 5 중량부, 광개시제 3 내지 7.5 중량부 및 용제 20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아크릴 변성 수지는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기 실리콘 수지는 디메틸 폴리실록산(di-methyl polysiloxane), 메틸페닐 폴리실록산(Methyl phenyl polysiloxane), 유기 변성 폴리실록산(Organic modifide polysiloxane) 및 실리콘 변성 폴리머의 용액(solution of a Silicone-modified 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첨가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Glycerin fatty acid est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광개시제는 메틸 n-아밀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용제는 자일렌, 아세톤, 에틸벤젠 및 n-부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팅 조성물에 의하면, 자동차에 직접 도포하여 무연마 방식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것이 아닌 손상된 클리어층을 복원하고, 더 두꺼운 클리어층을 형성함으로 손상된 클리어 코팅층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팅 조성물에 의하면, 자동차에 직접 도포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은 별도의 열 경화 또는 UV 경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쉽게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팅 조성물에 의하면, 클리어 코팅층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높은 광택, 높은 유연성, 내마모성 및 내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수성, 내열성, 내오염성,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주제로서, 아크릴 변성 수지, 유기 실리콘 수지, 첨가제, 레벨링제,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 변성 수지>
아크릴 변성 수지는 베이스 수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크릴 변성 수지는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 일 수 있다.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3,500 내지 18,000 범위이고, 분자량 분포(MWD)가 2.5 이하이며, 산가가 150 내지 300 mgKOH/g이다. 또한, 고형분 함량이 5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도막의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 수지를 변성시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모노머 등과 같은 이중결합을 갖는 여러 종류의 단량체들을 열분해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액내에서 라디칼 중합시켜 아크릴 수지를 제조한다.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모노머로는 비관능성 모노머, 카르복실계 모노머, 수산기계 모노머, 비닐계 모노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관능성 모노머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로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르복실계 모노머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말레익산, 이타콘산, 크로론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산기계 모노머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2-하이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닐계 모노머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 그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 수지를 스티렌과 반응시켜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를 얻는다.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는 -OH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서 동일한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는 다른 모노머 대비 경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도막의 외관 및 기계적 물성, 부착력, 내산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각종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수지로 변성되는 것일 수 있다.
아크릴 변성 수지는 코팅 조성물에 3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 변성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 형성을 위한 최소한의 경화밀도를 갖지 못해 도막의 부착력, 내산성, 내스크래치성 등의 각종 기계적 물성의 구현이 어려워지며, 또한 35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도막 평탄성의 저조로 인한 외관의 저하 및 작업성 조절이 어려워지고 도막이 지나치게 단단해져 내칩성 및 부착성 등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
<유기 실리콘 수지>
클리어 코팅 조성물은, 환경 상의 문제가 없고 내수성 및 내후성이 양호하며, 우수한 안정성의 확보를 위하여 유기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실리콘 수지의 일 예로서는, 디메틸 폴리실록산(di-methyl polysiloxane), 메틸페닐 폴리실록산(Methyl phenyl polysiloxane), 유기 변성 폴리실록산(Organic modifide polysiloxane) 및 실리콘 변성 폴리머의 용액(solution of a Silicone-modified 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실리콘 수지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기 실리콘 수지의 함유율이 높은 경우에는 고체 형상이라는 이유에서, 혹은 축합 반응성이 높은 경우에는 겔화되기 쉽다는 이유에서, 통상은 톨루엔이나 자일렌과 같은 유기 용제에 희석된 상태에서 취급할 수 있다.
유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은, 아크릴 변성 수지 3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기준으로 코팅 조성물에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유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수성 및 내후성이 떨어지고, 표면으로 열이 전달되는 경우 열을 잘 견뎌야 하는 내열성이 낮아지며, 코팅이 영구적이 아니라 변질이나 변형되는 성질의 대하여 내구성이 약해짐과 동시에 표면에 긁힘이나 스크래치의 대한 경도 측면에서 약해진다. 또한, 유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이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이 지나치게 잘 흘러 모든 부위에 일정하게 도포되지 않으며, 버핑시 작업 방식과 시간조절에 대해 불편하고, 경화시간이 길어져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첨가제>
클리어 코팅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 조절, 외부 유해 물질로부터 보호하고, 마찰을 줄여 코팅의 발열 및 손상을 방지하며 코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으며, 첨가제의 함량은, 아크릴 변성 수지 3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기준으로 코팅 조성물에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점도조절이 어려우며, 외부 유해 물질을 보호하질 못하고, 코팅의 발열 및 손상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효과를 보지 못하며, 또한, 첨가제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버핑시 작업 방식과 시간조절에 대해 불편하고, 경화시간이 길어져 이러한 측면에서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 레벨링제 >
레벨링제는 클리어 코팅층 표층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표면에 향상된 습윤(wetting) 특성을 부여하여 안정적인 레벨링을 가져 수려한 외관을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원액의 레벨링제를 사용할 경우 도막의 표면장력을 지나치게 떨어드리는 위험이 있으므로 레벨링제는 용제류에 희석시켜 레벨링제의 농도가 10 내지 20 중량%가 되도록 희석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벨링제는 아크릴계의 레벨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아밀 프로미오네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레벨링제의 함량은, 아크릴 변성 수지 3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기준으로 코팅 조성물에 3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레벨링제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장면에 대해 슬립성과 레벨링성의 효과가 저하되어 레벨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또한, 7.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장면과의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 광개시제 >
클리어 코팅 조성물은 올리고머의 이중결합 개시를 위해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성분이다.
광개시제로는 벤조 페논계, 벤질 디메틸케탈계, 아세토페논계, 아드라퀴논계, 티옥산톤계 아실 포스핀 옥사이드계, 아미노 알킬페논계, 하드록시 알킬페논계, 디알콕시 아세토페논계, 벤질 케톤계, 케톤계 등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틸 n-아밀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광개시제의 함량은, 아크릴 변성 수지 3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기준으로 코팅 조성물에 3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한 반응성 저하로 건조가 느려지게 되고, 또한, 7.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 도막의 외관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개시제는 메틸 n-아밀 케톤 0.5 내지 2.5 중량부, 메틸 n-아밀 케톤 0.5 내지 2.5 중량부를 기준으로 메틸 이소부틸 케톤 2.5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용제>
용제로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의 중합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벤젠, 톨루엔, 자일렌, 크실렌, 코코졸#100, #150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에틸프로필케톤과 같은 케톤계 용제,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에톡시 프로피오네이트 등과 같은 에스테르계 용제, n-부탄올, 프로판올, 1-메톡시-2-프로판올 같은 알코올계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일렌, 아세톤, 에틸벤젠 및 n-부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용제의 함량은, 아크릴 변성 수지 3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기준으로 코팅 조성물에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용제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미약하여 원하는 코팅층의 두께를 형성할 수 없고, 또한,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포가 원활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제는 자일렌 10 내지 15 중량부, 자일렌 10 내지 15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세톤 10 내지 15 중량부, 에틸벤젠 0.5 내지 2.5 중량부, n-부틸 아세테이트 0.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경화제>
클리어 코팅 조성물은 2액형으로서 전술한 주제 외에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화제로는 수지 성분의 관능기를 경화할 수 있는 성분으로서, 통상의 공지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르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Homopolymer of HDI(liquid aliphatic Diisocyanate) 또는 Homopolymer of IPDI(Isophorone Diisocyanate)를 이용할 수 있다.
경화제의 함량은 주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35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20 중량부 미만이면 주제 수지와 반응 시 불완전한 경화로 인하여 경도, 내용제성 등의 도막 물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며, 35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경화로 인하여 부착성, 내충격성의 도막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도막 내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잔존하여 기타 물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주제 및 경화제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코팅 조성물은 열 경화 또는 UV 경화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자연경화가 가능하면서, 균일한 클리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어서, 작업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과 유해 가스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표 1에 제시된 조성으로 혼합하고, 1500rpm으로 20분 이상 교반하여 클리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부, g)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아크릴 변성 수지
30.0
35.0
33.0
40.0
25.0
20.0
35.0
유기 실리콘 수지
30.0
25.0
30.0
20.0
30.0
40.0
15.0
첨가제
5.0
5.0
3.0
5.0
5.0
5.0
5.0
레벨링제
5.0
5.0
2.5
5.0
5.0
5.0
5.0
광개시제
5.0
5.0
4.5
5.0
5.0
5.0
5.0
용제
25.0
25.0
27.0
25.0
30.0
25.0
35.0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경화제
25
25
25
25
25
25
25
아크릴 변성 수지 : Modified styrene acrylic polymer의 혼합물
유기 실리콘 수지 : Dimethylpoly siloxane
첨가제 : Glycerin fatty acid ester
레벨링제 : Amyl propionate
광개시제 : Methyl isobutyl ketone, Methyl n-Amyl ketone의 혼합물
용제 : Xylene, Acetone, n-Butyl Acetate, Amyl propionate, Ethylbenzene의 혼합물
경화제: IPDI(Isophorone Diisocyanate), 주제 100 중량부 대비
<실험예> 도료 도장조건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도료 조성물을 하기 도장조건으로 수행하여 도료물성을 측정하였다.
① 핸드건(Handgun) 스프레이
② 노즐구경: 1.5mm, 공기압: 4.5kgf/㎠내외로 일정 유지
③ 노즐입구와 시편의 거리를 2-30cm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평으로 40-50cm/sec 속도로 등속으로 움직이며 도장함.
④ 도장 후, 130℃×20분 소부 경화 후 도막 물성(경도, 부착성, 내수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용제성 등) 측정하였다.
1. 경도
측정방법: 연필 경도법으로 측정하였다(3B, 2B, B, HB, F, H, 2H, 3H, 4H, 5H, 6H, 7H, 8H, 9H 각각의 연필로 도막에 손상을 주지 않는 경도 측정)
연필경도가 열세에서 우수한 순서로 3B, 2B, B, HB, F, H, 2H, 3H, 4H, 5H, 6H, 7H, 8H, 9H 로 표기하였다.
2. 부착성
측정방법: 상도 도장까지 완성된 도장시편을 열처리 사이클로 처리한 뒤 상온 24시간 방치 후 0.2mm 간격의 바둑목법으로 부착력을 측정하였다.
열처리 사이클: 150℃×20분, 20분 상온방치의 과정을 3번 반복하고, 그 결과 부착성이 우수에서 열세한 순서로 M-1, M-2, M-3, M-4, M-5로 표기하였다.
3. 내수성
측정방법: 시편을 40℃ 항온수조에 240시간 침적 후 1시간 상온에서 방치한 뒤 바둑목 부착성 평가로 박리시험을 행하며 외관의 이상 유무를 육안 관찰하였다.
판정방법: 시험 후 외관은 연화, 백화, 광택불량, 벗겨짐, 부풀음, 변색 등이 없어야 하며 침적부와 미침적부 외관 차이가 없어야 하고 부착성 평가를 실시하여 총 박리면적이 5% 미만이어야 한다.
그 결과, 내수성의 우수에서 열세한 순서로 M-1, M-2, M-3, M-4, M-5로 평가하였다.
4. 내산성
측정방법: 시험편에 0.1N 황산 0.2㎖씩 적하한 후 승온 오븐(Gradient Oven)의 온도를 35-40℃로 설정하여 150분간 가열하였다.
판정방법: 황산용액을 떨어뜨린 시험편의 부위에 육안으로 에칭, 얼룩, 부풀음의 발생여부를 확인하여 손상이 생기지 않은 최고온도를 내산성 온도로 판정하였다.
5. 내스크래치성
측정방법: Amtec Kistler 장비를 이용하여 10회 왕복 실시하였다.
판정방법: 시편의 초기 20도 광택을 측정하고, 10회 왕복실시 후 20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측정 실시 전의 광택을 측정 후의 광택으로 나누어 광택유지율을 계산하였다.
6. 내용제성
측정방법: 시편에 시험용 용제(XYLENE)을 묻힌 면포를 올려둔 뒤 매 1분마다 손톱으로 2Kg 힘으로 4회 긁어 하층 도막면이 나타난 시간을 기록하였다.
7. 광택복원율
측정방법: 내스크래치성 시험 시편을 40℃에서 1시간 방치 후, 광택을 재측정하여, 내스크래치성 평가 광택상승분을 측정 전 광택으로 나누고 광택복원율로 표현한다.
<도료 조성물의 도막 물성 평가>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경도
9H
8H
9H
8H
7H
9H
6H
부착성
M-1
M-2
M-1
M-3
M-4
M-2
M-4
내수성
M-1
M-3
M-2
M-4
M-3
M-3
M-5
내산성
43℃↑
40℃↑
41℃↑
41℃↑
38℃↑
39℃↑
36℃↑
내스크래치성
72%
63%
64%
55%
52%
52%
59%
내용제성
10분
이상
8분
10분 이상
8분
6분
9분
5분
광택복원율
9%
5%
7%
2.5%
2.5%
2.8%
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8)

  1. 주제로서, 아크릴 변성 수지, 유기 실리콘 수지, 첨가제, 레벨링제,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Glycerin fatty acid ester)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아크릴 변성 수지 30 내지 35 중량부, 유기 실리콘 수지 20 내지 35 중량부, 첨가제 0.5 내지 5 중량부, 레벨링제 2.5 내지 5 중량부, 광개시제 3 내지 7.5 중량부 및 용제 20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20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변성 수지는 스티렌 변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리콘 수지는 디메틸 폴리실록산(di-methyl polysiloxane), 메틸페닐 폴리실록산(Methyl phenyl polysiloxane), 유기 변성 폴리실록산(Organic modifide polysiloxane) 및 실리콘 변성 폴리머의 용액(solution of a Silicone-modified 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메틸 n-아밀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자일렌, 아세톤, 에틸벤젠 및 n-부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클리어 코팅 조성물.
KR1020190066373A 2019-06-05 2019-06-05 클리어 코팅 조성물 KR102000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73A KR102000753B1 (ko) 2019-06-05 2019-06-05 클리어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73A KR102000753B1 (ko) 2019-06-05 2019-06-05 클리어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753B1 true KR102000753B1 (ko) 2019-07-16

Family

ID=6747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373A KR102000753B1 (ko) 2019-06-05 2019-06-05 클리어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750B1 (ko) * 2023-01-06 2023-05-30 주식회사 엠팸 다기능성 가죽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584A (ko) * 2009-11-30 2011-06-08 유한회사 피피지코리아 자동차용 듀얼 경화 이액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20110124637A (ko) * 2010-05-11 2011-11-17 유한회사 피피지코리아 아크릴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듀얼 경화 일액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듀얼 경화 시스템
KR20140085863A (ko) * 2012-12-28 2014-07-08 (주)노루페인트 자동차 보수용 논샌딩 프라이머-서페이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584A (ko) * 2009-11-30 2011-06-08 유한회사 피피지코리아 자동차용 듀얼 경화 이액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20110124637A (ko) * 2010-05-11 2011-11-17 유한회사 피피지코리아 아크릴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듀얼 경화 일액형 클리어 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듀얼 경화 시스템
KR20140085863A (ko) * 2012-12-28 2014-07-08 (주)노루페인트 자동차 보수용 논샌딩 프라이머-서페이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 보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750B1 (ko) * 2023-01-06 2023-05-30 주식회사 엠팸 다기능성 가죽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8891B2 (ja) 塗料組成物、塗料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無機酸化物ゾルの分散体の製造方法
JP2869443B2 (ja) 上塗り塗料組成物
JP6866007B2 (ja) 水性2液型クリヤ塗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塗装体の補修塗装方法。
TWI498391B (zh) 透明被覆膜形成用塗佈液及附有透明被覆膜之基材
JP5208378B2 (ja) 塗料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複層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品
CN112175506A (zh) 紫外光固化涂料及其制备方法
WO2020125328A1 (zh) 一种超耐磨自清洁涂层及其制备方法
KR101724918B1 (ko) 핫스탬핑 필름용 클리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US10150883B2 (en)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them
GB2074588A (en) Acrylic coating compositions
CN113527992A (zh) 一种超耐磨防滑耐污地板紫外线固化涂装体系
TWI494388B (zh) A coating composition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2000753B1 (ko) 클리어 코팅 조성물
Zhang et al. A substrate-independent transparent UV-curable coating with excellent anti-smudge performance
TW201829615A (zh) 活性能量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積層膜
TW201817756A (zh) 具有防污性之輻射可硬化組合物
KR100513825B1 (ko) 비오염성 광고스티커 부착방지용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35969B1 (ko) 자동차 보수용 논샌딩 프라이머-서페이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 보수 방법
EP3399002B1 (en) Highly scratch resistant one-pack type paint composition
KR101869203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302217B1 (ko) 비산 방지용 코팅제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이 코팅된 유리
CN115403969B (zh) 一种uv固化的高耐磨高疏水涂层及其制备方法
CN112236484B (zh) 水性基料组合物、包含该水性基料组合物的涂料组合物、涂覆基材的方法和经涂覆的基材
CN117343249B (zh) 一种有机硅改性光固化生物基聚丙烯酸酯分散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867856A (ja) 含フッ素共重合体ワニス組成物と塗布膜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