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37B1 -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 Google Patents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37B1
KR102000637B1 KR1020170149026A KR20170149026A KR102000637B1 KR 102000637 B1 KR102000637 B1 KR 102000637B1 KR 1020170149026 A KR1020170149026 A KR 1020170149026A KR 20170149026 A KR20170149026 A KR 20170149026A KR 102000637 B1 KR102000637 B1 KR 102000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information
information
player
dynamic sensing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051A (ko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위즈
Priority to KR102017014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8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 라운딩 플레이어가 소지하거나 신체에 착용하여, 골프 플레이어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로서,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서 동적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적 감지 센서(140)와,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식별코드로 변환 처리하는 음성 인식 처리부(120)와, 골프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골프장 정보 저장부(160)와,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명령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25)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 수신부(130)와,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정보 저장부(170)와,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로부터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동적감지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음성정보 저장부(170)에 저장된 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쌍방향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서 플레이어에게 향상된 골프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A DEVICE FOR GOLF GAME}
본 발명은 골프 스코어 관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쌍방향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레이어에게 향상된 골프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장은 골프를 하기 위해 마련된 장소로서, 9 홀, 18홀(정규 홀) 등과 같이 복수의 홀을 구비하고 있다. 골프는 이러한 골프장에서 정해진 순서로 홀을 돌며 최소타로 홀컵에 공을 넣는 게임이다.
하나의 홀에서 플레이어[골퍼(golfer)]가 최소타로 공을 홀컵에 넣기 위해서는 해당 홀의 길이, 현재 공에서 홀컵까지의 거리, 해당 홀의 지형(높이 고저), 벙커나 수리지, 해저드 또는 OB(Out of Bound) 지역의 위치, 풍향, 풍속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종래에는 플레이어에게 공에서 홀컵까지의 거리를 표시하여 알리는 장치(즉, 골프 경기용 보조기)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골프 경기용 보조기의 일 예로, (주)데카시스템 앤 컨설팅에서 개발한 "GolfBuddy"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골프 경기용 보조기는 플레이어가 샷 중인 홀의 지형맵, 공과 홀컵까지의 거리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플레이어가 남은 거리를 확인하고 적절한 클럽을 선택하도록 하게 한다.
그런데, 이 경우에 화면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플레이어에게 육안으로 정보를 확인할 시간을 요하게 한다. 즉, 플레이어는 종래의 골프 경기용 보조기의 이용시 보조기를 꺼내고 육안으로 화면을 확인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골프 경기용 보조기의 이용은 플레이 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히 플레이어가 정확한 정보 확인을 위해 골프 경기용 보조기를 반복해서 확인하게 되면 시간 지연을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현재 국내 골프장은 최대 4인이 조를 이루어 1번 홀에서부터 플레이를 시작하고, 설정된 대기 시간 후 다음 조가 1번 홀에서부터 플레이를 시작한다. 그러므로 골프장에서는 다른 조의 진행 속도에 맞춰 적절한 빠른 진행이 요구된다.
그런데 여러 조가 각 홀을 순차적으로 돌며 골프를 즐김에 있어서 자신의 조의 진행이 지연되어 골프장 관리자로부터 빠른 진행을 요구받게 되면, 골프장을 이용하는 고객의 입장에서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기술이 등록번호 10-1007885(공고일: 2011.01.14.)에 의한 "골프경기 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등록번호 10-1007885에 의한 "골프경기 보조기"는 많은 정보를 플레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일일이 정보를 입력해야 했고, 입력되는 정보와 데이터가 많아서 복잡했으며, 그 결과 입력과정에서의 불편함이 있었고 사용상 많은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007885호(공고일: 2011.01.14.)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1746662호(공고일: 2017.06.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의 목적은,
첫째, 플레이어의 움직임(플레이 동작을 포함하며 본 명세서 전체에 대해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됨)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플레어어에게 다음 행위를 요청하거나 또는 플레이어의 움직임과 관련된 골프 진행 안내 멘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플레어어에게 다음 행위를 요청함으로써, 골프 스코어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 입력을 누락 없이 그리고 적시에 또한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플레이어의 움직임과 관련된 골프 진행 안내 멘트를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에게 향상된 골프 라운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는, 골프 라운딩 플레이어가 소지하거나 신체에 착용하여, 골프 플레이어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로서,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서 동적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적 감지 센서와,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식별코드로 변환 처리하는 음성 인식 처리부와, 골프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골프장 정보 저장부와,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명령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 수신부와,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정보 저장부와, 상기 동적 감지 센서로부터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동적감지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음성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플레어어에게 다음 행위를 요청하거나 또는 플레이어의 움직임과 관련된 골프 진행 안내 멘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플레어어에게 다음 행위를 요청함으로써, 골프 스코어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 입력을 누락 없이 그리고 적시에 또한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플레이어의 움직임과 관련된 골프 진행 안내 멘트를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에게 향상된 골프 라운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음성정보 저장부(170)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를 이용하여 골프 경기를 하는 경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를 이용하여 골프 경기를 하는 경우의 다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를 이용하여 골프 경기를 하는 경우의 또 다른 동작 흐름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는, 골프 라운딩 플레이어가 소지하거나 신체에 착용하여, 골프 플레이어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로서, 동적 감지 센서(140)와 음성 인식 처리부(120)와 골프장 정보 저장부(160)와 오디오 출력부(125)와 위치정보 수신부(130)와 음성정보 저장부(170)와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서 동적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음성 인식 처리부(120)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식별코드로 변환 처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골프장 정보 저장부(160)는 골프장의 각 홀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이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명령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3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위치정보 수신부(130)는 GPS 위성좌표를 수신하여서 위치값을 획득하는 GPS 수신부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운용하는 위치정보제공수단에서 제공하는 셀 기반의 위치정보데이터를 받아서 운영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정보 저장부(170)는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로부터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동적감지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음성정보 저장부(170)에 저장된 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음성명령이 아닌 키 버튼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50)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50)는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모듈(19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근거리 통신모듈(190)의 구성 채택에 의해서 플레이어가 착용하는 블루투스 헤드셋(미도시)과 근거리 통신에 의해서 더욱더 원활하고 편리한 음성 입출력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플레이어 정보 저장부(16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이 플레이어 정보 저장부(165)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기초로 음성 인식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저장하고, 클럽별 비거리, 클럽별 거리정확도, 클럽별 온그린 분포 등을 저장하며, 클럽 정보에 매칭하여서 비거리 데이터를 저장하며, 골프장의 홀 단위의 스코어 데이터, 그린 적중률, 페어웨이 안착률, 기본적인 골프 스코어(홀별, 전체 타수), 샌드세이브율, 파세이브율, 평균 드라이버 비거리(최장타거리), 평균 퍼팅수(퍼팅수 합계) 등을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18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180)에는 평균타수[골프장별, 지역별(국가,시도별), 월별 등], 평균비거리(월별, 골프장별, 지역별 등), 평균퍼팅수(월별, 골프장별, 지역별 등), 그린적중률(월별, 골프장별, 지역별 등)을 연산 및 산출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 저장부(170)는, 제1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와, 제2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로부터 수신한 동적감지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2 음성정보 저장부(171,17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성정보를 리드하여서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 음성정보 저장부(171,172)는 별개의 기억매체에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기억매체에 섹터를 달리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의 크기에 비례하여 세기를 달리하는 동적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로부터 수신한 동적감지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제1,2 음성정보 저장부(171,172)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음성정보를 리드하여서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된 음성정보는, 골프 스코어 관리를 위해서는 플레이어가 반드시 해야 할 행위(예컨대 샷 위치 입력, 낙하점 입력, 클럽 정보 입력 등)로서 플레이어가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로의 입력 행위를 안내하기 위한 행위 요청 음성정보이다.
상기 행위 요청 음성정보의 예로는, 『티샷의 위치에서 버튼을 입력하세요~, 낙하 볼의 위치에서 버튼을 입력하세요~, 낙하 볼의 위치 영역(페어웨이, 오비, 벙커, 그린)를 말씀해 주세요, 클럽의 정보를 입력하세요』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 저장된 음성정보는, 플레이어에게 해당 움직임과 연관된 정보나 일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기 위한 진행 멘트 음성정보이다.
상기 행위 요청 음성정보는 제1 동적감지신호에 매칭되어서 저장되어 있는데, 실제 구현시에는 실제 플레이어의 움직임이나 플레이의 패턴을 분석한 후에, 해당 동적 움직임의 패턴을 세분화하여 그 세분화한 패턴의 움직임이나 플레이와 일대일로 매칭되는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진행 멘트 음성정보는, 플레이어의 플레이 및 움직임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예컨대, 도보 이동을 감지한 직후에, 『샷이 잘 날아 갔나요?", "이제 공이 있는 위치까지 편안히 걸어가시면서 다음 공을 어떻게 칠지 생각해 보세요~』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로부터 제1 세기 영역과, 제2 세기 영역과 제3 세기 영역으로 구별되어서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제3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한 제3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가 제1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후에 수신한 경우에는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며, 수신한 제3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가 제2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후에 수신한 경우에는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의 세기는 설정된 시간 내의 움직임의 회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의 세기는 "움직임 횟수/초"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는, 가속도 센서 또는 변위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세기 영역은 미세(작은) 움직임 영역으로서 예컨대, 샷플레이를 위한 준비동작(작은 움직임에 의한 이동), 스윙연습을 위한 준비동작(작은 움직임에 의한 이동), 어드레스를 위한 준비동작(작은 움직임에 의한 이동)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그 크기는 예컨대, 1~2 회/초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기 영역은 큰 움직임 영역으로서 필드 내 도보이동, 홀 간 이동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그 크기는 2회 이상/초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세기 영역은 정지에 근접하는 영역으로서, 필드 위에서의 정지 또는 카트 이동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크기는 0 회/초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골프장이 선택되고, 골프장의 홀 번호가 선택된다(S310).
골프장이 선택되고 홀 번호가 선택되면 해당 골프장과 홀의 정보가 오디오 출력부(125)를 통해서 음성으로 출력된다(S312).
스윙 연습, 어드레스와 같이 제1 동적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S314), 제어부(110)는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고, 이 음성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25)는 해당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행위 요청 음성정보를 출력한다(S316).
행위 요청 음성정보 예컨대 "티샷 위치에서 티샷이라고 말하세요"라고 할 수 있다.
플레이어로부터 요청한 음성정보(위 예의 티샷)가 수신되면(S318), 수신한 음성정보에 관련된 데이터(티샷인 경우에는 티샷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320).
그리고, 행위 요청 음성정보 예컨대 "클럽 정보를 입력하세요"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요청한 음성정보(위 예의 클럽 정보)가 수신되면(S318), 수신한 클럽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클럽 정보인 경우에는 클럽 명칭)를 저장한다(S320).
한편, 제2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S322), 제2 동적감지신호에 매칭된 진행 멘트 음성정보를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서 리드하여서 출력한다(S324).
예컨대,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움직임이 매우 커서 제2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 저장된 음성 정보 예컨대 "굿샷이 되셨나요? 이제 공의 위치까지 가볍게 걸어가면서 다음 샷을 생각해보세요"라는 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를 통해서 출력한다.
그리고 제2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진행 멘트 음성정보를 출력한 후에
작은 움직임을 감지한 제1 동적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S326), 제어부(110)는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고, 이 음성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25)는 해당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행위 요청 음성정보를 출력한다(S328).
이때의 행위 요청 음성정보 예컨대 "볼이 낙하한 지점에서 '착지'라고 말하세요"라고 할 수 있다.
플레이어로부터 요청한 음성정보(위 예의 착지)가 수신되면(S330), 수신한 음성정보에 관련된 데이터('착지'인 경우에는 착지한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332).
그리고, 순차적으로 또 다른 행위 요청 음성정보 예컨대 "클럽 정보를 입력하세요"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요청한 음성정보(위 예의 '클럽 정보')가 수신되면(S330), 수신한 클럽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클럽 정보인 경우에는 클럽 명칭)를 저장한다(S332).
도 4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어로부터 '착지' 음성 정보가 입력된 경우, 낙하 공의 위치 영역을 요청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410).
페어웨이 또는 그린이라는 음성 정보가 입력되면(S412), 입력된 페어웨이와 그린에 매칭된 음성 정보 예컨대,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샷을 준비하세요"가 출력된다(S414).
낙하 공의 위치 영역을 요청하는 음성신호를 출력(S410)한 후에, '오비' 또는 '헤저드'가 입력되면(S416), 입력된 음성정보('오비' 또는 '헤저드')에 매칭되어서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 저장된 음성정보(예컨대, 안타깝네요, 다음 샷에서는 더 좋은 샷기 되길 바랍니다)를 리드하여 출력한다(S418).
낙하 공의 위치 영역을 요청하는 음성신호를 출력(S410)한 후에, '오비' 또는 '헤저드'가 입력가 아닌 다른 음성 정보가 입력되면 그에 매칭되어서 저장된 진행 멘트 음성정보를 리드하여 출력한다(S420).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를 이용하여 골프 경기를 하는 경우의 또 다른 동작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경기 중에 제3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S510)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이 수행된다. 제3 동적감지신호는 플레이어가 거의 정지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수신하는 신호이다.
제3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S510), 직전에 수신한 동적감지신호가 어떤 신호인지에 따라서 출력되는 음성정보가 달라진다.
즉, 제3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S510), 직전에 수신한 동적감지신호가 제1 동적감지신호인 경우에는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되어 있는 행위 요청 음성정보 신호를 출력한다(S514).
예컨대, 위 경우에는 작은 움직임이 있은 후에 멈춤 상태로 있는 경우이므로 플레이어가 필드 위에서 있는 경우이므로, 플레이어에게 다음 행위를 요청하는 음성정보(예컨대, 샷을 하시려면 클럽과 볼의위치를 말씀하여주세요)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3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S510), 직전에 수신한 동적감지신호가 제2 동적감지신호인 경우에는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 저장되어 있는 진행 멘트 음성정보 신호를 출력한다(S514).
예컨대, 위 경우에는 큰 움직임이 있은 후에 멈춤 상태로 있는 경우이므로 플레이어가 카트 위에서 정지해 있는 경우이므로, 플레이어에게 단순히 진행 멘트 음성정보(예컨대, 즐거운 플레이가 되고 있으신가요?)를 출력한다.
진행 멘트 음성 정보는 플레이어에게 특정 행위를 요청하는 음성신호가 아니고, 플레이어에게 플레이를 즐기게 하거나 플레이어의 컨디션을 좋게 하기 위한 멘트이므로, 그 컨텐츠의 내용은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며, 예컨대 음악, 날씨 정보, 뉴스 정보, 골프장 주변 맛집 정보 등 다양한 컨텐츠가 가능하며, 어느 경우에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제어부 120 : 음성 인식 처리부
125 : 오디오 출력부 130 : 위치정보 수신부
140 : 동적 감지 센서 150 : 입력부
155 : 표시부 160 : 골프장 정보 저장부
170 : 음성정보 저장부 171 : 제1 음성정보 저장부
172 : 제2 음성정보 저장부 180 :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
190 : 근거리 통신모듈

Claims (4)

  1. 골프 라운딩 플레이어가 소지하거나 신체에 착용하여, 골프 플레이어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로서,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서 동적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적 감지 센서(140)와,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인식하고 이 수신한 음성신호를 식별코드로 변환 처리하는 음성 인식 처리부(120)와,
    골프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골프장 정보 저장부(160)와,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명령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25)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 수신부(130)와,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정보 저장부(170)와,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로부터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동적감지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음성정보 저장부(170)에 저장된 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성정보 저장부(170)는,
    제1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와,
    제2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로부터 수신한 동적감지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2 음성정보 저장부(171,17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성정보를 리드하여서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며,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의 크기에 비례하여 세기를 달리하는 동적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로부터 수신한 동적감지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제1,2 음성정보 저장부(171,172)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음성정보를 리드하여서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며,
    상기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된 음성정보는, 플레이어가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에로의 입력 행위를 안내하기 위한 행위 요청 음성정보이고,
    상기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 저장된 음성정보는, 플레이어의 움직임이나 플레이와 관계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진행 멘트 음성정보이며,
    상기 진행 멘트 음성정보는, 플레이어의 플레이 및 움직임에 따라서 결정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동적 감지 센서(140)로부터 제1 세기 영역과, 제2 세기 영역과 제3 세기 영역으로 구별되어서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며,
    상기 제3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한 제3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가 제1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후에 수신한 경우에는 제1 음성정보 저장부(171)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며, 수신한 제3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가 제2 세기 영역의 동적감지신호를 수신한 후에 수신한 경우에는 제2 음성정보 저장부(172)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리드하여 오디오 출력부(125)로 출력하며,
    상기 플레이어의 움직임의 세기는, 설정된 시간 내의 움직임의 회수로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기 영역은, 샷플레이를 위한 준비동작과 스윙연습을 위한 준비동작과 어드레스를 위한 준비동작을 포함하는 미세 움직임 영역이고,
    상기 제2 세기 영역은, 필드 내 도보이동와 홀 간 이동을 포함하는 큰 움직임 영역이며,
    상기 제3 세기 영역은, 필드 위에서의 정지와 카트 이동을 포함하는 정지에 근접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3. 삭제
  4. 삭제
KR1020170149026A 2017-11-09 2017-11-09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KR102000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026A KR102000637B1 (ko) 2017-11-09 2017-11-09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026A KR102000637B1 (ko) 2017-11-09 2017-11-09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51A KR20190053051A (ko) 2019-05-17
KR102000637B1 true KR102000637B1 (ko) 2019-07-16

Family

ID=6667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026A KR102000637B1 (ko) 2017-11-09 2017-11-09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056A (ja) * 2003-01-31 2004-08-19 Yamaha Motor Co Ltd ゴルフアシスタント携帯端末装置、ゴルフアシスタントシステム、ゴルフアシスタント方法、プログラム
KR101007885B1 (ko) 2010-03-22 2011-01-14 정선태 골프경기 보조기
KR101145717B1 (ko) 2011-09-20 2012-05-14 주식회사 블루콤 골프 경기 보조 장치
JP2016116598A (ja)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ソフトウェア・ファクトリー ゴルフ支援装置
KR101746662B1 (ko) * 2016-04-27 2017-06-21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솔루션 골프 정보 제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505A (ja) * 2005-05-31 2006-12-14 Sony Corp 音楽再生装置および処理制御方法
KR20150039994A (ko) *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골프 스코어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056A (ja) * 2003-01-31 2004-08-19 Yamaha Motor Co Ltd ゴルフアシスタント携帯端末装置、ゴルフアシスタントシステム、ゴルフアシスタント方法、プログラム
KR101007885B1 (ko) 2010-03-22 2011-01-14 정선태 골프경기 보조기
KR101145717B1 (ko) 2011-09-20 2012-05-14 주식회사 블루콤 골프 경기 보조 장치
JP2016116598A (ja)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ソフトウェア・ファクトリー ゴルフ支援装置
KR101746662B1 (ko) * 2016-04-27 2017-06-21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솔루션 골프 정보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51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1420C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JP2020036979A5 (ko)
US96430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ed gameplay based on a geospatial position
CA2785986C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providing putting guide
CN109982754B (zh) 多功能高尔夫引导系统
WO2018035821A1 (zh) 台球击球辅助方法、台球击球辅助系统及便携式电子设备
EP2863377A1 (en) Golf ball sensing and caddie system
CN102365115B (zh) 虚拟高尔夫模拟设备及其方法
JP2016529945A (ja) ゴルフ用データの収集システム
KR102088335B1 (ko) 학습과 운동이 동시에 가능한 혼합 현실 기반의 학습 게임 제공 시스템
CN108905182B (zh) 一种智能眼镜和台球摄像定位瞄准方法
US10894194B2 (en) Ear-wearable device providing golf advice data
KR101359570B1 (ko) 외부 감지 장치를 이용한 운동동작 분석 장치 및 운동동작 분석 방법
KR102058547B1 (ko) 사용자 대전 방식의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KR20130047965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000637B1 (ko)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KR100927656B1 (ko) 골프 실연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JP2012090709A (ja) ゴルフの打数をカウントする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145717B1 (ko) 골프 경기 보조 장치
US20220339495A1 (en) Golf analysis device with calibration function
KR101255354B1 (ko) 지피에스와 고도 정보를 이용한 골프 클럽 선택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102066806B1 (ko) 운동 지원 시스템 및 운동 지원 방법
KR101145718B1 (ko) 장착이 용이한 골프 경기 보조 장치
KR20130134921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골프거리 측정 및 스코어링 관리시스템
KR101121952B1 (ko)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 퍼팅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