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994A - 골프 스코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코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994A
KR20150039994A KR20130118466A KR20130118466A KR20150039994A KR 20150039994 A KR20150039994 A KR 20150039994A KR 20130118466 A KR20130118466 A KR 20130118466A KR 20130118466 A KR20130118466 A KR 20130118466A KR 20150039994 A KR20150039994 A KR 20150039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information
sensor
analy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오
진상일
이호형
임헌동
최명철
진재호
이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13011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9994A/ko
Publication of KR2015003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2Absolute position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코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S 센서, 스윙 감지 센서, 상기 스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윙을 분석하는 스윙 분석부, 골프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상기 스윙 분석부로부터 수신한 스윙 분석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골프 스코어를 연산하는 스코어링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스코어링 장치{Golf Scoring Device}
본 발명은 골프 경기 진행 시 스코어를 자동으로 연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스윙을 분석하고 위치 정보를 결합하여 골프 스코어를 연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골프공을 타격하여 목표한 지점으로 보내는 것에 의해 스코어가 좌우되는 스포츠이다. 골프는 여러 홀을 이동하며 진행하는 스포츠로, 골프의 스코어는 각 홀에서 몇 번의 샷(타격)에 의해 공을 홀에 넣었는지, 종합적으로 몇 번의 타격에 의해 게임을 종료하였는지를 기준으로 매겨진다. 따라서, 홀 별로 각 플레이어의 골프 스코어를 기록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에는 이를 수기로 기록하거나 암기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였다.
한편, 골프는 공과 목표 지점(그린) 사이의 거리, 현재의 위치에 따라 공을 타격하는 방법을 전략적으로 결정하는데, 종래에는 캐디가 거리 등을 확인하여 주는 등 사람의 행위가 개입되어야만 경기가 진행, 기록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아래 선행기술 1은 종래 캐디의 역할을 대체하기 위한 장치로서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목표 지점까지 남은 거리를 안내해주는 장치이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의 경우, 거리만을 안내해 줄 뿐, 골프 경기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스코어를 연산하여 제공하지는 않았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9105호(2011.02.24. 공고)
본 발명은 골프 게임의 진행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스코어를 연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스윙을 분석하여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GPS 센서, 스윙 감지 센서, 상기 스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윙을 분석하는 스윙 분석부, 골프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상기 스윙 분석부로부터 수신한 스윙 분석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골프 스코어를 연산하는 스코어링부를 포함한다.
이 때 스윙 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스윙 분석부는 가속도 센서에서의 속도 정보, 자이로 센서에서의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스윙 여부 및 스윙 종류를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윙 분석부는 스윙 궤적 또는 스윙 템포를 분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윙 분석부는 가속도 센서에서 수신한 가속도 정보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수신한 각속도 정보가 일정 시간 특정 임계치 이하로 변동되지 않을 경우 어드레스 상태로 판단하고, 가속도 센서에서 수신한 가속도 정보의 순간 변화량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수신한 각속도 정보의 순간 변화량이 특정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임팩트 발생을 판단하며, 백스윙 또는 다운 스윙시의 속도 정보 또는 각도 정보, 임팩트 시의 가속도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퍼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윙 분석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타격음이 감지되는 경우 임팩트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코어링부는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스윙 분석 정보,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샷의 종류를 판단하고, 스윙 여부, 샷의 종류를 이용하여 골프 스코어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코어링부는 샷이 발생한 위치의 일정 반경 내에서 발생한 샷은 스코어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윙은 감지되었으나 임팩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스윙 분석부는 이를 연습 스윙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윙 분석 정보, 샷의 종류 또는 골프 스코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골프장 위치 정보와 골프 스코어를 연동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거리를 연산하는 위치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분석부는 현재 위치 정보, 골프장 위치 정보 및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샷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윙 분석부의 스윙 분석 결과 또는 상기 스코어링부에서 연산된 골프 스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하는 골프채 정보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이 때 메모리는 입력된 골프채 정보를 상기 스윙 분석 정보, 샷의 종류, 샷의 위치 또는 골프 스코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는 손목 밴드형 또는 장갑 탈착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 경기 진행 중 자동으로 스코어를 연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스윙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스윙을 점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정보를 누적적으로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의 플레이를 복기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골프 경기 진행에 따라 분석되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실력을 비교할 수 있으며, 골프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도 교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 내 스코어링부에서 스코어를 연산하는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 내 스윙 분석부에서 임팩트 발생을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 내 스윙 분석부에서 퍼팅과 샷을 구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스윙 정보와 위치 정보를 결합하여 샷을 분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코어링 장치는 GPS 센서, 스윙 감지 센서, 상기 스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윙을 분석하는 스윙 분석부, 골프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상기 스윙 분석부로부터 수신한 스윙 분석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골프 스코어를 연산하는 스코어링부를 포함한다.
GPS 센서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이용하여 골프 스코어링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시간 정보와 매칭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GPS 센서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스코어링부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GPS 센서는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제공하므로 스코어링 장치에서 위치 분석, 스윙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스코어를 연산할 때 시간 순서에 따른 분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윙 감지 센서는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사용함에 따라 스윙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윙 감지 센서의 일 예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스윙하는 경우, 골프클럽은 일종의 단진자 운동과 같은 형태로 움직이므로 가속도(속도) 및 각속도(각도)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골프 클럽의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하여 스윙 감지 센서는 속도 정보 및 각도 정보를 획득하여 스윙 분석부에 제공한다.
스윙 분석부는 스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윙을 분석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스윙 여부, 스윙의 종류, 샷의 종류 등을 분석하는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골프장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골프장의 위치 정보를 스코어링부에 제공함으로써 스코어링부는 이를 GPS 센서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현재 사용자가 골프장의 어느 위치(예를 들어, 3번 홀의 티박스, 5번 홀의 페어웨이, 6번 홀의 그린 및 이와 유사한 상세 위치)에 있는지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스코어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스코어링부는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상기 스윙 분석부로부터 수신한 스윙 분석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골프 스코어를 연산한다. 스코어링부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골프장의 위치 정보, 사용자가 각 위치에서 어떠한 스윙을 하였는지를 분석한 스윙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골프장의 어느 위치에서 어떠한 샷(퍼팅인지 스윙인지, 샷의 종류는 무엇인지 등)을 날렸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누적적으로 연산하여 골프 스코어를 카운트한다. 스코어를 연산하는 상세한 실시예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윙 분석부는 스윙 감지 센서 내의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속도 정보 및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스윙 여부 및 스윙 종류를 분석한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골프 스윙은 기본적으로 단진자 운동의 형태를 따르므로 골프 스윙을 한 때와 그렇지 않은 때의 속도 정보 및 각도 정보는 확연한 패턴 차이를 드러낸다(통상적으로 스윙 시에는 일정한 단진자 운동 형태의 속도, 가속도 정보, 스윙하지 않는 경우에는 랜덤한 속도, 가속도 정보가 획득됨). 따라서 스윙 분석부는 스윙으로 판단할 수 있는 속도/각도 정보가 획득되는지에 따라 스윙 여부를 판단하고, 스윙 시 속도/각도 정보의 패턴에 따라 스윙의 종류를 분석한다.
이하에서는 스윙 분석부에서 스윙 여부, 스윙 종류를 판단하는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나의 골프 스윙은 크게 어드레스(골프공 근처에서 골프 클럽을 멈추어 대고, 스윙을 가늠하기 위한 동작), 백 스윙(힘을 가하기 위한 준비 동작으로 어드레스 후 골프 클럽을 뒤로 당기는 동작), 다운 스윙(백 스윙 이후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하여 내리 휘두르는 동작) 및 팔로우 스윙(골프공을 타격한 이 후 공을 앞으로 밀어내기 위한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골프 스윙 여부를 판단하고 스윙 종류를 분석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가장 먼저 현재 사용자의 움직임이 어드레스 동작을 취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어드레스 시 사용자는 골프 클럽을 골프공 근처에서 일정 시간 동안 멈추는 동작을 취한다. 즉, 어드레스 시에는 골프 클럽의 속도/각도가 유지되거나 변화량이 특정 임계치 이하로 유지된다. 따라서, 스윙 분석부는 스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속도/각도 정보가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임계치 이하로 변동되지 않을 경우 이를 어드레스 상태로 판단한다.
어드레스 상태라고 판단된 이후에는 이어서 백 스윙 동작 및 다운 스윙 동작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 앞서 언급한 대로 골프 스윙 특히 백 스윙, 다운 스윙, 팔로우 스윙은 사용자의 상체를 중심축으로 하는 단진자 운동이므로, 어드레스 상태 이후에 이러한 단진자 운동 형태의 속도/각도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백 스윙/다운 스윙/팔로우 스윙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각 스윙의 궤적을 분석할 수 있고, 시간 정보와 결합하는 경우 스윙 템포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골프 경기 중 대개의 플레이어는 한 번에 골프공을 타격하지 않고 수 차례의 연습 스윙을 거치기 마련이다. 그러나 골프 스코어를 정확하게 연산하기 위해서는 연습 스윙과 실제 골프공을 타격한 스윙을 구분해야 한다. 이를 구분하지 않으면 연습 스윙도 모두 골프 스코어에 반영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하여 스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속도(가속도), 각도 정보를 분석하여 골프공에 임팩트가 가해졌는지(타격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연습 스윙과 실제 스윙을 구분한다. 이 후 이를 기초로 실제 스윙만을 골프 스코어에 반영한다. 골프공에 임팩트가 가해졌는지 여부는 가속도 정보의 순간 변화량 또는 각속도 정보의 순간 변화량을 이용한다.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 3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 내 스윙 분석부에서 임팩트 발생을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다운 스윙 후 가속도 센서의 시간에 따른 출력을 나타낸 것이다. 3차원 공간 상의 x, y, z축에서의 가속도 값 변화량이 나타나 있으며 대략 1200번 째 샘플에서 가속도의 순간 변화량이 그 이외의 시간 대에 비하여 특정 임계치 이상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프 클럽의 헤드가 골프공과 접촉되는 순간, 스윙에 따른 힘을 골프공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골프 클럽의 가속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실제 스윙과 연습 스윙을 구분할 수 있다. 연습 스윙 때에는 골프공과 골프 클럽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가속도 변화량은 특정 임계치 범위 내로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윙 분석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타격음이 감지되는 경우 임팩트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골프공 타격 시, 즉 임팩트가 발생하는 경우 골프 클럽 헤드와 골프공이 부딪히면서 소리가 발생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타격음을 감지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임팩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스윙 감지 센서의 정보 및 마이크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각각 이용하여 임팩트 발생을 분석하거나 또는 동시에 이용하여 이중으로 임팩트 발생을 판단하는 경우,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알고리즘에 따라 연습 스윙과 실제 스윙을 구별하고 실제 스윙만 골프 스코어에 반영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게 골프 스코어를 연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스윙 분석부는 일 실시예에서 스윙(샷)과 퍼팅을 구분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이는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 내 스윙 분석부에서 퍼팅과 샷을 구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퍼팅 시의 골프 클럽의 움직임을 간략하게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샷일 때 골프 클럽의 움직임을 간략하게 나타낸 그래프이다.
샷이 골프공을 그린 근처로 보내기 위한 일종의 장타라면, 퍼팅은 그린 내에서 공을 홀 컵으로 넣기 위한 단타에 해당한다. 따라서 퍼팅과 샷은 스윙의 궤적, 범위, 타격 시의 가속도 정보, 가속도 변화량 등을 이용하여 구분한다.
퍼팅은 샷에 비하여 백 스윙, 다운 스윙, 팔로우 스윙의 각도가 작으며, 스윙의 속도 또한 느리다. 한편, 임팩트 시 강도가 약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스윙 중 감지되는 속도(v1, v2), 각도 정보(θ1, θ2) 및 임팩트 순간의 가속도 변화량(△a1, △a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각각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는 퍼팅으로, 그 이상인 경우에는 샷으로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윙 시 속도/각도 정보 뿐만 아니라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골프장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스윙의 종류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티박스인 경우에는 티 샷으로, 페어웨이인 경우에는 페어웨이 샷으로, 그린인 경우에는 퍼팅으로 판단한다. 위치 정보에 기반한 샷 판단 정보와 속도/각도 정보를 이용한 샷 판단 정보를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스윙 여부, 샷의 종류 등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골프 스코어링 장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확하게 골프 스코어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보와 스윙 분석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 못지 않게 각 홀 별로 게임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만약 이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각 홀 별 기록이 뒤죽박죽 되어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에서는 각 홀에서 게임을 시작하였는지(티 샷이 이루어졌는지). 종료하였는지(홀 컵 안에 공을 넣었는지)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 내 스코어링부에서 스코어를 연산하는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보면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골프장에 위치하는 지 여부, 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홀에 진입하여 첫 번째 티 샷을 친 이후부터 스코어를 연산하기 시작한다. 1 홀에서 경기가 끝났는지는 홀 아웃 여부에 따라 판단되는데, 홀 인과 홀 아웃을 판단하는 기준의 일 실시예로 먼저 홀 인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골프장 위치 정보와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현재 어느 홀에 진입하고 위치하였는지 판단한다. 한편, 홀 아웃 여부는 GPS 위치 정보와 골프장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한다. 일 예로 그린 주변에서 일정 시간 머무른 후 그린에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홀 아웃으로 인식한다. 홀 아웃으로 인식되는 경우, 해당 홀에서의 스코어를 마감하여 연산한다. 이로써 홀 별 스코어를 구분하여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코어링 판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샷이 발생한 위치의 일정 반경 내에서 재차 발생한 샷은 스코어에 반영하지 않는다. 다만, 샷이 발생한 위치가 그린 주변인 경우에는 일정 반경 내라 하더라도 샷을 스코어에 포함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윙 분석 정보, 샷의 종류, 샷의 위치 또는 골프 스코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스윙 분석부 및 스코어링부에서 분석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경기를 복기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메모리에 저장된 누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골프장, 특정 홀에서의 기록이 어떠한지 분석할 수 있고, 각 샷 별 비거리, 퍼팅의 정확도 등을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 스윙 시 스윙 템포, 스윙 궤적 또한 복기할 수 있다. 만약, 특정 홀에서의 사용자 기록이 자신의 예전 기록에 비하여 현저히 높다면 스코어링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함으로서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스코어 정확도 판단의 기초 자료로 삼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는 골프장의 위치 정보와 골프 스코어를 연동하여 저장하며, 각 스윙 별 데이터도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거리를 연산하는 위치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골프 경기에 있어서 각 샷 별로 어느 정도의 비거리가 나오는 지는 매우 중요한 정보 중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하는 샷 사이의 위치 정보, 골프장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샷이 어느 정도의 비거리를 기록하였는지 또는 목표 지점(그린)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남았는지 등을 연산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가 캐디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 분석부는 현재 위치 정보, 골프장의 위치 정보 및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샷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페어웨이에서 그린까지의 거리,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클럽 별 비거리, 메모리에 저장된 예전 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에서 예전에 사용했던 클럽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샷의 종류를 분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예에서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스윙 분석부, 스코어링부에서 분석/연산된 정보,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등을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예, 스마트폰, PC, 서버 등)에서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골프 스코어링 장치 내부 구성을 업데이트 하기 위한 파일 등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스윙 분석부의 스윙 분석 결과, 스코어링부에서 연산된 골프 스코어, 각 홀 별 게임의 시작/종료 여부를 출력한다. 출력부는 스피커(음성 신호), 디스플레이(시각 신호)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현재 샷에 사용하는 골프채 정보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메모리는 입력된 골프채 정보를 상기 스윙 분석 정보, 샷의 종류, 샷의 위치 또는 골프 스코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골프 클럽별로 자신의 스윙 정보, 비거리 정보를 분석, 복기할 수 있고, 골프 경기 진행 중 어느 시점에 어떤 클럽을 이용하였는지 등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는 사용자의 스윙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 분석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손목 밴드형 또는 장갑 탈착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손목 밴드형은, 예를 들어 손목 시계와 같은 형태로 손목에 부착하여 골프 클럽의 회전 축이 되는 손목에 골프 스코어링 장치를 위치시켜 스윙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다른 실시예로 장갑 탈착형의 경우 골프 게임시 착용하는 장갑에 벨크로(velcro)등을 이용하여 골프 스코어링 장치를 탈부착 시킬 수도 있다. 장갑 탈착형의 경우 골프 스코어링 장치가 손목보다 바깥에 부착되므로 손목의 스냅 동작 까지 반영하여 스윙을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골프 스코어링 장치는 일 실시예로 GPS 센서, 스윙 감지 센서, 상기 스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윙을 분석하는 스윙 분석부, 골프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거리를 연산하는 위치 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골프 코스 중 한 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A, B, C, D는 한 홀 내에 다양한 위치를 표시한다. A는 골프 경기의 시작 지점인 티박스, B, C는 페어웨이, D는 그린, 깃발 모형은 홀 컵의 위치를 나타낸다.
스윙 분석부는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지리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골프장 내의 어느 위치에서 어떠한 스윙을 하였는지를 분석한다. 스윙인지 퍼팅인지, 스윙의 종류는 무엇인지(티 샷, 페어웨이 샷 등)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A 지점과 B 지점 모두 스윙이 이루어지나 A 지점에서의 스윙은 티 샷, B 지점에서의 스윙은 페어웨이 샷이 된다.
본 실시예처럼 위치 정보를 결합하여 스윙을 분석하는 경우 위와 같은 샷을 구분할 수 있다. C 지점과 D 지점에서의 샷, 즉 칩 샷과 퍼팅도 같은 방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즉, 스윙 정보를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샷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위치에서의 스윙 템포, 궤적 등을 분석할 수 있으므로, 샷의 종류에 따라 각 사용자의 스윙을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한 부분까지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GPS 센서;
    스윙 감지 센서;
    상기 스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윙을 분석하는 스윙 분석부;
    골프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상기 스윙 분석부로부터 수신한 스윙 분석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골프 스코어를 연산하는 스코어링부;
    를 포함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 분석부는 가속도 센서에서의 속도 정보, 자이로 센서에서의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스윙 여부 및 스윙 종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분석부는 스윙 궤적 또는 스윙 템포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분석부는 가속도 센서에서 수신한 가속도 정보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수신한 각속도 정보가 일정 시간 특정 임계치 이하로 변동되지 않을 경우 어드레스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분석부는 가속도 센서에서 수신한 가속도 정보의 순간 변화량 또는 자이로 센서에서 수신한 각속도 정보의 순간 변화량이 특정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임팩트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윙 분석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타격음이 감지되는 경우 임팩트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분석부는 백스윙 또는 다운 스윙시의 속도 정보 또는 각도 정보, 임팩트 시의 가속도 변화량를 분석하여 샷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분석부는 백스윙 또는 다운 스윙시의 속도 정보 또는 각도 정보, 임팩트 시의 가속도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퍼팅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부는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스윙 분석 정보,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샷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부는 스윙 여부, 샷의 종류를 이용하여 골프 스코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부는 샷이 발생한 위치의 일정 반경 내에서 발생한 샷은 스코어에 반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2.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분석부는 스윙은 감지되었으나 임팩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연습 스윙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스윙 분석 정보, 샷의 종류, 샷의 위치 또는 골프 스코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골프장 위치 정보와 골프 스코어를 연동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거리를 연산하는 위치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위치 분석부는 현재 위치 정보, 골프장 위치 정보 및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샷의 종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분석부의 스윙 분석 결과 또는 상기 스코어링부에서 연산된 골프 스코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사용하는 골프채 정보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입력된 골프채 정보를 상기 스윙 분석 정보, 샷의 종류, 샷의 위치 또는 골프 스코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프 스코어링 장치는 손목 밴드형 또는 장갑 탈착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21. GPS 센서;
    스윙 감지 센서;
    상기 스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스윙을 분석하는 스윙 분석부;
    골프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GPS 센서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골프장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거리를 연산하는 위치 분석부;
    를 포함하는 골프 스코어링 장치
KR20130118466A 2013-10-04 2013-10-04 골프 스코어링 장치 KR20150039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466A KR20150039994A (ko) 2013-10-04 2013-10-04 골프 스코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466A KR20150039994A (ko) 2013-10-04 2013-10-04 골프 스코어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94A true KR20150039994A (ko) 2015-04-14

Family

ID=5303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8466A KR20150039994A (ko) 2013-10-04 2013-10-04 골프 스코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999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984A (ko) * 2016-07-26 2018-02-05 민경록 헤드업 자세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골프스윙 어드바어저
WO2018190483A1 (ko) * 2017-04-10 2018-10-18 최종락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골프 가이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제공 시스템
KR20190053051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제이엔위즈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JP2021058760A (ja) * 2021-01-19 2021-04-15 株式会社ユピテル 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146082A1 (ko)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브이씨 샷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984A (ko) * 2016-07-26 2018-02-05 민경록 헤드업 자세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골프스윙 어드바어저
WO2018190483A1 (ko) * 2017-04-10 2018-10-18 최종락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골프 가이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제공 시스템
KR20190053051A (ko) * 2017-11-09 2019-05-17 주식회사 제이엔위즈 대화형 골프 경기 보조 기기
JP2021058760A (ja) * 2021-01-19 2021-04-15 株式会社ユピテル 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146082A1 (ko)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브이씨 샷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16576A (ko) *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브이씨 샷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54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or analyzing swing information
US10173114B2 (en) Data collection during a game
US20190134488A1 (en) System for collecting data for golf
KR20150065431A (ko) 골프 스윙 분석 장치
JP2017035452A (ja) スポーツ器具を解析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KR101952402B1 (ko) 모바일 골프 진행 관리 시스템
KR20150039994A (ko) 골프 스코어링 장치
US20210346782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golf swings and tracking statistics during a golf round
JP6097386B2 (ja) ゴルフクラブ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CN104740861A (zh) 状态估计装置以及状态估计方法
US10001563B2 (en) Tracking and virtual reconstruction of activities
WO2018025418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30003724A (ko) 다양한 스윙 모션 분석 가능한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