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805B1 - 전선 포장용 전선릴 - Google Patents

전선 포장용 전선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805B1
KR101999805B1 KR1020180058448A KR20180058448A KR101999805B1 KR 101999805 B1 KR101999805 B1 KR 101999805B1 KR 1020180058448 A KR1020180058448 A KR 1020180058448A KR 20180058448 A KR20180058448 A KR 20180058448A KR 101999805 B1 KR101999805 B1 KR 10199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body
reinforcing rib
side plate
reinforcing ribs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이나 지상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감아 운반하기 위한 전선릴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동형의 곡면판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는 릴몸체부(110)와; 상기 릴몸체부(110) 보다 더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릴몸체부(110)의 양측 단에 각각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판(120)과; 상기 측판(120)을 관통하여 조립되어 릴몸체부와 측판을 일체로 고정하게 되는 체결구(131)(132)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120)은, 상기 릴몸체부(110)의 단부가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원형의 요홈(121a)이 형성된 끼움돌기부(121)와; 상기 체결구의 관통 조립을 위한 복수의 조립공(122a)이 형성된 플랜지부(122)와; 상기 끼움돌기부(121)를 기준으로 내측 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보강리브(123)와; 상기 제1보강리브(123)와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복수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제2보강리브(124)와; 상기 끼움돌기부(121)을 기준으로 외측 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3보강리브(125)와; 상기 제3보강리브(125)와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제4보강리브(12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선 포장용 전선릴{CABLE RAPPING FOR WIRE REEL}
본 발명은 지중이나 지상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감아 운반하기 위한 전선릴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계통에 사용되는 전선이나 케이블은 가공지선이나 지중배선에 이용되고 있으며, 전기 포설작업을 위해 많은 양의 전선이나 케이블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선 보관 과정에서 절연물 피복체의 외상을 보호하며, 또한 전선의 취급 운반이나 포선작업을 위하여 현장(또는 작업장)으로 전선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양측에 측판이 설치된 전선릴에 전선을 감아서 보관과 운반이 이루어진다.
기존의 전선릴은 측판을 따라 양쪽에 목재로 이루어진 전선 보호판을 감싸고, 목재의 양쪽에 배치된 측판에 못과 같은 결속구로 고정시켜 전선을 보호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전선릴은 주로 목재로 이루어져 있어, 내구성에 상당히 취약하며, 특히 장기간 보관시 비와 같은 물에 노출될 경우 일부가 부식되거나 삭아버리는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 현장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중량물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동할 경우,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어 전선릴 내부에 위치하는 전선이 손상을 입게 되며, 사용한 전선릴은 재사용하기 곤란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물과 일정 충격에도 내구성이 강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전선릴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4524호 (공개일자:2012.07.30.)은 전선릴용 전선 보호판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또는 전선이 감겨 보관하는 전선릴의 양쪽에 형성한 측면판을 따라 고정하여 내부의 전선을 보관하며, 외측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고 여러 개의 전선 보호판이 절곡 연결부에서 유동되면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릴용 전선 보호대을 제안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5603호(공개일자: 2008.02.20.)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소재를 활용하여 전선릴를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이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전선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릴은, 다수 개의 동형의 곡면판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는 릴몸체부와; 상기 릴몸체부 보다 더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릴몸체부의 양측 단에 각각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을 관통하여 조립되어 릴몸체부와 측판을 일체로 고정하게 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은, 상기 릴몸체부의 단부가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원형의 요홈이 형성된 끼움돌기부와; 상기 체결구의 관통 조립을 위한 복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끼움돌기부를 기준으로 내측 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보강리브와; 상기 제1보강리브와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복수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제2보강리브와; 상기 끼움돌기부을 기준으로 외측 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3보강리브와; 상기 제3보강리브와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제4보강리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판은, 상기 끼움돌기부를 기준으로 외측에 원호를 따라서 관통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 가능한 끼움홀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홀은 양 선단에서 상기 측판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대칭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보강리브는 방사 방향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을 갖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면판과 조립공은 각각 회전 대칭(360°/N_n:N_n은 곡면판의 숫자)(360°/K_n:K_n은 조립공 숫자)되게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공의 숫자(K_n)는 1보다 큰 임의 정수 중에서 곡면판의 숫자(N_n)의 배수가 아니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공의 숫자(K_n)는 상기 곡면판의 숫자(N_n)의 약수의 배수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릴은 릴몸체부와, 측판과 릴몸체부와 측판을 일체로 조립하게 되는 체결구로 구성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소재의 활용이 가능하며, 또한 경량이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전선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전선릴의 측판과 릴몸체부의 조립 단면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릴에 있어서, 측판의 평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도 3의 (a)에서 A-A 선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릴에 있어서, 곡면판과 끼움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릴은 릴몸체부(110), 측판(120), 및 릴몸체부(110)와 측판(120)을 일체로 조립하게 되는 체결구(131)(132)를 포함한다. 체결구(131)(132)는 볼트(131)와 너트(132)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릴몸체부(110)는 다수 개의 동형의 곡면판(111)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 릴몸체부(110)는 4개의 곡면판(111)으로 구성됨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면판(111)의 숫자는 증감될 수 있다.
릴몸체부(110)는 일정한 원호각을 갖는 다수의 곡면판(111)으로 구성되며, 각 곡면판(111)의 내측면에는 돌출 형성되어 서로 직교하는 돌기부(112)(113)가 마련되어 릴몸체부(110)에 권취되는 전선의 하중을 지탱한다.
각 곡면판(111)는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또는 동판이 사용될 수 있다.
측판(120)은 릴몸체부(110) 보다 더 큰 지름을 갖고 릴몸체부(110) 양측 단에 각각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원형 판재로서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측판(120)은 좌우 대칭된 구조를 갖고 좌우 구분이 없어서 현장에서 조립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전선릴의 측판과 릴몸체부의 조립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3을 참고하면, 측판(120)은 릴몸체부(110)의 단부(111a)가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요홈(121a)이 형성된 끼움돌기부(121)와, 체결구의 관통 조립을 위한 복수의 조립공(122a)이 형성된 플랜지부(122)와, 끼움돌기부(121)를 기준으로 하여 내측과 외측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보강리브(123)(124)(125)(126)를 포함한다.
요홈(121a)의 크기(직경)은 대략 릴몸체부(110)의 크기(직경)와 동일하며, 이러한 요홈(121a)은 측판(120)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부(121)에 의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립공(122a)은 측판(120)의 두께 보다 두꺼운 플랜지부(122)에 관통 형성되며, 끼움돌기부(121)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측판(120)은 끼움돌기부(121)를 기준으로 하여 릴몸체부(110)와의 조립면의 내측 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제1보강리브(123)와, 제1보강리브(123)와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복수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제2보강리브(12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보강리브(123)는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123s)을 가지며, 따라서 제1보강리브(123)는 릴몸체부(110)의 방사 방향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측판(120)은 끼움돌기부(121)를 기준으로 하여 외측 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제3보강리브(125)와, 제3보강리브(125)와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제4보강리브(126)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보강리브(123) 및 제2보강리브(124)는 제3보강리브(125) 및 제4보강리브(126)의 반대 면에 형성된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선릴에 있어서, 측판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에서 A-A 선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측판(120)은 끼움돌기부(121)를 기준으로 외측에 원호를 따라서 관통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 가능한 끼움홀(127)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끼움홀(127)은 릴몸체부와의 조립면의 양 선단에서 측판(120)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대칭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경사면(127a)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끼움홀(127)은 전선릴에 전선을 권취하는 과정에서 전선의 자유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끼움홀(127) 양단에 경사면(127a)이 형성되어 전선이 꺾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취급 과정에서 전선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끼움홀(127) 양 선단 모두에 경사면(127a)이 형성됨으로써 전선릴의 권취 방향을 고려하여 측판(120)의 방향(좌우)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서 조립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보강리브(123a)(123b)는 제2보강리브(124)에 의해 구획된 인너 제1보강리브(123a)와 아웃터 제1보강리브(123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아웃터 제1보강리브(123b)는 인너 제1보강리브(123a) 보다 많으며, 본 실시예에서 아웃터 제1보강리브(123b)는 인너 제1보강리브(123a)의 대략 2배로 구성된다. 또한 일부 아웃터 제1보강리브(123b)는 인너 제1보강리브(123a) 사이에 배치되어 릴몸체부의 방사 방향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조립공(122a)이 형성된 구간에는 별도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고 있는 반면에, 도 4의 (b)에서 측판(120)의 외측 일면에는 조립공(122a)이 위치하는 측판(120)의 반경 안쪽까지 제3보강리브(125)와 제4보강리브(126)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릴에 있어서, 곡면판과 끼움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곡면판의 숫자와 체결구가 관통 조립되는 조립공의 숫자는 임의 정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곡면판은 동형으로서 회전 대칭(360°/N_n:N_n은 임의 정수)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조립공 역시도 측판(20)에 회전 대칭(360°/K_n:K_n은 임의 정수)되게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곡면판의 숫자(N_n)와 조립공의 숫자(K_n)은 서로 동일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서와 같이, 곡면판의 숫자(N_n)와 조립공의 숫자(K_n)은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전선릴의 작업 과정에서 곡면판 사이의 경계에 조립공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립된 전선릴은 조립공에 취부되는 체결구가 곡면판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곡면판과 조립공의 배치는 도 5의 (b)에서와 같이, 각 곡면판의 사이의 경계가 아닌 중간 부위에 조립공이 배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서 전선릴의 조립 시에 곡면판과 조립공의 위치를 도 5의 (b)와 같이 배치하여 조립하는 것은 상당히 힘들며, 특히 전선릴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조립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곡면판과 조립공의 숫자를 적절히 제한함으로써 전선릴의 조립 과정에서 직접 곡면판과 조립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조립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조립공의 숫자(K_n)는 1보다 큰 임의 정수 중에서 곡면판의 숫자(N_n)의 배수가 아닌 것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판의 숫자(N_n)가 4개인 경우에 조립공의 숫자(K_n)는 4의 배수가 아닌 2,3,5,6,7,9,...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곡면판과 조립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조립하지 않더라도 조립공은 곡면판 사이의 경계에 최소한으로 일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립공의 숫자(K_n)는 곡면판의 숫자(N_n)의 약수의 배수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 1]
Figure 112018050580663-pat00001
[표 1]은 곡면판이 6개(N_n=6)의 경우에 조립공의 개수별 배치각을 보여주는 것이며, 편의상 첫 번째 곡면판 사이의 경계에 첫 번째 조립공이 위치(이하, "기준점"이라 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표 1]을 참고하면, 곡면판의 총 6개(N_n=6)인 경우에, 조립공의 숫자는 6의 약수인 2,3의 배수가 아닌 것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즉, 6의 약수인 2,3의 배수에 해당하는 조립공의 숫자인 6,8,9에서는 기준점(0°) 이외에 다수의 배치각에서 곡면판 사이의 경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반면에, 6의 약수인 2,3의 배수가 아닌 조립공의 숫자인 5,7에서는 기준점(0°)이외에 배치각이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곡면판이 6개인 경우에 조립공의 개수는 5 또는 7에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론적으로 곡면판과 조립공의 상한값은 제한이 없으나, 실질적으로 곡면판과 조립공의 숫자는 20개를 넘지는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릴몸체부 111 : 곡면판
120 : 측판 121 : 끼움돌기부
121a : 요홈 122 : 플랜지부
122a : 조립공 123 : 제1보강리브
124 : 제2보강리브 125 : 제3보강리브
126 : 제4보강리브 127 : 끼움홀
127a : 경사면 131, 132 : 체결구

Claims (7)

  1. 다수 개의 동형의 곡면판(111)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는 릴몸체부(110)와;
    상기 릴몸체부(110) 보다 더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릴몸체부(110)의 양측 단에 각각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판(120)과;
    상기 측판(120)을 관통하여 조립되어 릴몸체부(110)와 측판(120)을 일체로 고정하게 되는 체결구(131)(132)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120)은,
    상기 릴몸체부(110)의 단부가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원형의 요홈(121a)이 형성된 끼움돌기부(121)와;
    상기 체결구(131)(132)의 관통 조립을 위한 복수의 조립공(122a)이 형성된 플랜지부(122)와;
    상기 끼움돌기부(121)를 기준으로 내측 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되, 방사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123s)을 갖는 복수의 제1보강리브(123)와;
    상기 제1보강리브(123)와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복수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제2보강리브(124)와;
    상기 끼움돌기부(121)을 기준으로 외측 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3보강리브(125)와;
    상기 제3보강리브(125)와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제4보강리브(126)와;
    상기 끼움돌기부(121)를 기준으로 외측에 원호를 따라서 관통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 가능한 끼움홀(127)이 형성되되, 상기 끼움홀(127)은 양 선단 모두에서 상기 측판(120)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대칭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경사면(127a)이 형성되며,
    상기 곡면판(111)과 조립공(122a)은 각각 회전 대칭(360°/N_n:N_n은 2 이상의 곡면판의 숫자)(360°/K_n:K_n은 2 이상의 조립공 숫자)되게 배치되며, 상기 조립공의 숫자(K_n)는 1보다 큰 임의 정수 중에서 곡면판의 숫자(N_n)의 배수가 아니고, 1을 제외한 약수의 배수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58448A 2018-05-23 2018-05-23 전선 포장용 전선릴 KR101999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48A KR101999805B1 (ko) 2018-05-23 2018-05-23 전선 포장용 전선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48A KR101999805B1 (ko) 2018-05-23 2018-05-23 전선 포장용 전선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805B1 true KR101999805B1 (ko) 2019-07-12

Family

ID=6725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448A KR101999805B1 (ko) 2018-05-23 2018-05-23 전선 포장용 전선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8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10Y1 (ko) * 2000-05-04 2000-09-15 제룡산업주식회사 전선포장용 드럼
KR200417779Y1 (ko) * 2006-03-22 2006-06-01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권취용 드럼
KR20080015603A (ko) 2006-08-16 2008-02-20 주식회사 미래피앤아이 선재 권취용 드럼
KR20080098329A (ko) * 2007-05-04 2008-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권취하는 보빈과, 이를 구비하는박스형 보빈 조립체 및, 박스형 보빈 조립체를 이용한케이블의 권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10Y1 (ko) * 2000-05-04 2000-09-15 제룡산업주식회사 전선포장용 드럼
KR200417779Y1 (ko) * 2006-03-22 2006-06-01 제룡산업 주식회사 전선권취용 드럼
KR20080015603A (ko) 2006-08-16 2008-02-20 주식회사 미래피앤아이 선재 권취용 드럼
KR20080098329A (ko) * 2007-05-04 2008-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권취하는 보빈과, 이를 구비하는박스형 보빈 조립체 및, 박스형 보빈 조립체를 이용한케이블의 권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5626B2 (ja) 外装部材と後付け部品との取り付け構造
US20120132465A1 (en) Wire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CN103855660B (zh) 接线盒
JP5804744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保護管、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保護部材
US20050133247A1 (en) Protector cover for terminal group
US6938305B2 (en) Electrical assembly including an electrical tie
KR101999805B1 (ko) 전선 포장용 전선릴
US6010804A (en) Protective cover and connection device for batteries
US11377047B2 (en) Cover member and wire harness
KR100700045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클립 구조
US11817687B2 (en) Cable tray clip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2007266214A (ja) ノイズ吸収装置
US11529912B2 (en) Wire harness
JP3127687B2 (ja) ハーネスサポート
KR100493456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20180106618A (ko) 전선 포장용 전선릴
JP257417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分岐部構造体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CN108511165B (zh) 一种紧凑型变压器
JP2005237071A (ja) 電線ケーブル用プロテクタ
US11018489B2 (en) Terminal structure of armored cable and armor wire anchoring device
JP4166418B2 (ja) 絶縁用カバーのスペーサ
TW202415911A (zh) 散熱型線槽連接件
KR20210000712U (ko) 선박용 케이블 서포터
WO2017203990A1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