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258B1 -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258B1
KR101999258B1 KR1020170086192A KR20170086192A KR101999258B1 KR 101999258 B1 KR101999258 B1 KR 101999258B1 KR 1020170086192 A KR1020170086192 A KR 1020170086192A KR 20170086192 A KR20170086192 A KR 20170086192A KR 101999258 B1 KR101999258 B1 KR 101999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cne
composition
extract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128A (ko
Inventor
이태후
박설웅
황은선
양정은
박상용
황정승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17008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2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동시에, 피부조직에서 발생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여, 여드름으로 인한 손상된 피부상태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Enzyme Treated Extract of Gastrodia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피부 염증 질환의 하나인 여드름은 호르몬의 작용, 과도한 피지 분비, 세균의 감염 등에 의한 모피지선, 모낭 및 주변 조직의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여드름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피지 분비의 증가, 피지선을 자극하는 호르몬(예를 들어, 안드로젠)과 모피지선에서 번식하면서 피지를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을 형성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한 염증 진전, 모낭 내 이상 각화, 유전적 소질 등의 주요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호기성 피부 상재균은 염증의 일차적 원인은 아니지만, 염증 발생 부위를 더욱 확장시켜 여드름이 악화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여드름의 치료는 국소 제제 도포 요법 및 경구 약물 복용 요법과 최근 시행되고 있는 레이저 시술, 박피술 등 수술 요법이 있다. 국소 도포 요법은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작용 목적으로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살리실산 등의 항균제를 사용하거나 면포 용해 작용을 위해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등을 외용 연고 타입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나, 이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고, 관련법규제 등으로 제품화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경구약물 복용요법은 피지선의 기능 억제와 모낭벽 파괴의 억제 목적으로 레티노이드, 부신피질 호르몬 등을 이용하는 방법인데, 이들 경구제제의 과량 복용시 피부 발적, 피부 과민반응, 피부 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천마(Gastrodia elata Blume, Gastrodia)는 난초과(Orcbid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엽록소가 없어서 탄소동화 작용을 이용한 영양 물질의 광합성이 불가능하고, 뿌리가 없는 관계로 뽕나무 버섯속(Armillarilla) 균사와 공생하며 땅속 괴경을 형성하며 영양을 공급받아 생장한다(Lee, Y. M (1990) In Oriental medicine dictionary, Sammundang, Seoul. p.814, Sin, K. G (1980) In Sinssi Herbology, Summunsa, Kor. pp.288-290). 또한, 천마는 적근, 귀독우, 난모, 신초, 정풍초 등의 다른 명칭으로 부르기도 하며, 주로 고혈압, 두통, 마비, 신경성 질환과 당뇨병 등의 심각한 성인병 뿐 아니라, 스트레스와 피로 등의 증상에 대하여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천마의 유효성분 중, 가스트로다이제닌(4-하이드록시 벤질알코올)의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편으로 조사되었다.
천마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등록 제10-0893912호 “작약 및 천마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은 작약 및 천마의 혼합분말을 열수추출하고, 감압농축 한 후, 다시 에탄올 추출하는 공정을 통해 생성된 추출물이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공지하고 있고, 특허공개 제10-2011-0116389호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알로에와 천마를 추출하고 유산균을 가하여 배양하고 얻어진 발효배양액을 여과하여 제조된 발효여과물이 손상된 피부장벽 복구, 피부세포성장 촉진, 주름개선 효과, 항염증 등의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천마를 단일 처리하여 여드름이 발생한 피부에서 피부상태를 종합적으로 개선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공지된 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마 단일 제제를 사용하면서도 여드름 피부의 원인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여드름 원인균 및 피부 상재균 들에 의해 손상된 여드름 피부의 상태 개선에 효과적인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여드름으로 손상된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여드름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동시에, 피부주름을 억제하고, 피부조직에서 발생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며,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여 종합적으로 피부상태를 개선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여드름 원인균 및 여드름 발생시 여드름의 악화에 영향을 주는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 동시에, 여드름 원인균 및 피부 상재균에 의해 손상된 피부 조직에서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에 효능이 있는 물질을 찾고자 항균활성을 갖는 여러 천연물질들 중에서 여드름으로 손상된 피부를 재생시키고, 여드름 증상을 확대하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데 유효한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천마 추출물을 당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는 경우, 4-하이드록시 벤질 알코올과 글루코오스를 α-글리코시드 형태로 결합시킨 알파 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4-알파-D-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4-α-D-glucopyranosyloxy benzyl alcohol)] 성분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고(도 1 참조), 알파 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 함량이 증가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이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에 효과적임을 발견하였고, 또한 피부에 적용시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여드름"은 피부의 모피지선, 모낭 및 주변 조직에서 발생하는 여드름 원인균 또는 피부상재균 등에 의해 감염되는 염증성 질환을 의미하며, 용어 "여드름 피부" 여드름 원인균 또는 피부상재균 등에 의해 여드름이 발생한 피부 또는 여드름 발생의 우려가 있는 피부를 의미한다.
또한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은 여드름 원인균 또는 피부상재균 등에 의해 감염되는 염증성 질환에서 여드름 원인균 또는 피부상재균을 사멸시키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며, 여드름에 의해 손상된 피부조직 또는 피부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천마(Gastrodia elata Blume, Gastrodia)는 난초과(Orcbid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적근, 귀독우, 난모, 신초, 정풍초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식물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천마 추출물은, 천마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에서도 추출이 가능하며, 잎, 줄기, 뿌리, 꽃, 열매 등의 부위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당가수분해 효소(glycolytic enzyme)"는 해당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넓은 의미에서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탄닌, 펙틴 등의 올리고당을 분해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의 예로는 글루코실트랜스퍼라아제(CGTase,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ase), 셀룰라아제(cellu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및 탄나아제(tannase)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효소 또는 이들의 복합 효소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효소처리에 의해 천마 추출물의 여드름 피부의 피부 상태 개선 효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효소이면 본 발명의 당가수분해 효소에 포함된다. 상기 효소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효소들를 복합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된 천마 추출물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예시된 효소 이외에도 해당 반응을 촉매하는 당가수분해 효소로 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며,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은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속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 또는 항생제 내성이 있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에 항균 활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당가수분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시료로 처리한 군에서는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와 그 항생제 저항성 균주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드름 피부의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은 여드름 원인균 이외에도, 기발생된 염증 발생 부위를 더욱 확장시키고, 여드름이 악화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피부상재균들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상재균의 예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화농성 연쇄상구균(Sreptococcus pyogene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은 여드름 원인균 및 피부상재균에 의해 손상된 피부조직에서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고, 피부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세포의 콜라겐은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주름 형성 및 피부 손상 시 조직의 수복 또는 재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피부세포의 콜라겐 또는 프로콜라겐의 합성이 촉진되면, 피부 재생, 여드름으로 유발된 상처 치유,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여드름 피부의 상태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손상된 피부세포에 처리하는 경우, 손상된 피부세포 재생이 직접적으로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재생된 피부세포의 형태적인 모양에 있어서도 정상적인 피부세포와 동일하게 성장하는 것으로 관찰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당가수분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여드름 증상에 적용하는 경우, 재생된 피부조직이 주변의 정상 피부조직과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성형학적으로 여드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처부위가 덧나지 않게 하면서도 피부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은 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을 억제하고, IL-6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여드름의 원인균 및 피부상재균에 의해 발생된 여드름은 염증반응을 통해 더욱 확대되며, 피부 발적, 피부 과민반응, 또는 광과민 반응 등을 통해 임상적으로 여드름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여드름이 발생한 피부 상태의 효과적인 개선을 위해서 염증반응의 조기 차단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처리시 LPS로 유도된 산화질소 및 IL-6 단백질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산화질소 분비 및 IL-6 단백질 발현에 대한 억제능은 농도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매개 물질인 산화질소 및 IL-6 단백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여드름 발생 피부 주변의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여드름 피부의 상태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서, 상기 당가수분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로 피부에 직접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알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고분자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몰리엔트제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부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여 제조된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안료 및 천연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을 위한 화장품 또는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당가수분해 효소 처리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로 피부에 직접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외용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균과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 동시에,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고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고, 여드름 원인균 및 피부 상재균에 의해 손상된 피부 조직에서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 효과를 좀 더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와 여드름 발생시 여드름의 악화에 영향을 주는 피부 상재균인 황색포도상구균, 표피포도구균 및 화농성 연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발생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조직의 재생을 촉진한다.
(ⅲ)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매개 물질인 산화질소 및 IL-6 단백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여드름 발생 피부 주변의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여드름 피부의 상태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도 1는 효소 미처리 천마 추출물과 효소처리 천마 추출물의 HLPC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인간 피부각질세포에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인간 피부각질세포에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타입 1 프로콜라겐 단백질의 발현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손상된 인간섬유아세포에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따른 세포 재생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마우스 대식세포주에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에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IL-6 단백질의 발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의 제조
1-1. 효소처리 천마 추출물의 제조
천마 전초 15kg을 분쇄한 뒤 50%에탄올을 10배수 첨가하여 70℃에서 4시간 환류 추출하여 약 0.92k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수득율 6.13%).
추출물 중 1g을 측량해서 HPLC 분석한 결과 4HBA(4-하이드록시 벤질알코올)의 함량은 12mg(추출물 대비 1.2 %)으로 분석되었다.
당가수분해 효소 반응은 당 수용체로서 천마 추출물 300g(4HBA기준 : 3.6g)을 사용하였고, 당 공여체로 수용성 전분(soluble starch) 4.6g을 사용하였다. 준비된 당 수용체와 공여체를 0.1 CaCl2 용액 0.91mL에 혼합하고, CGTase(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 2,250U를 가한 다음 0.1M phosphate 초산 완충용액(pH 6.0)을 가하여 700mL로 정용하였다.
상기 정용한 반응액을 50℃의 암소에서 교반하면서 48 시간 반응시킨 다음, 비등 수욕조에서 10분간 가열하여 CGTase 효소를 불활화 하였다.
이어서 CGTase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maltooligosylglucoside들을 monoglucoside를 가수분해시키기 위하여 1.0M 초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반응액의 pH를 5.0으로 조절하고,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ase)(80U)를 가하고 50℃에서 교반하면서 8시간 동안 가수분해하였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을 마친 반응액을 10분간 오토클래이브(Autoclaving) 하여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ase)를 불활화시킨 반응물을 여과하고, 그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추출하되, 효소 처리되지 않은 천마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1-2. 효소처리 유무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성분 비교 분석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한 천마 추출물과 효소처리하지 않은 천마 추출물 성분을 크로마토그래피(Dionex Chromelon Chromatography, Dionex, USA)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컬럼(Column)은 Sunfire C18(워터스, 4.6x250mm, 5micron)을 사용하였고, 컬럼 오븐 온도는 30℃, 검출기는 280nm 인젝션 볼륨 10uL, 유속 1.0mL/mi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효소 처리한 천마 추출물과 효소 처리하지 않은 천마 추출물은 주요성분 함량에 크게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효소 처리한 천마추출물에서는 4-하이드록시 벤질 알코올(4HBA)과 글루코오스를 α-글리코시드 형태로 결합시킨 알파 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알파가스트로딘, 4-알파-D-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4-α-D-glucopyranosyloxy benzyl alcohol)] 성분이 유의하게 증가함이 관찰되었다(도 1).
실시예 2 항균활성의 측정
2-1. 호기성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력 측정
천연물질 중 항균활성을 갖고, 여드름 피부의 상태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후보물질들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호기성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력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표피포도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및 화농성 연쇄상구균(Sreptococcus pyogenes, 및 ATCC 12353)을 선발하여 배지(Muller-Hiton broth)에서 37℃, 18시간 동한 배양한 후 실험하였으며, 화농성 연쇄상구균(S. pyogenes)은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각각의 접종 균은 2×106 CFU/well의 농도로 후보물질의 시료와 함께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육안 및 현미경으로 균의 성장을 관찰하였고, 흡수파장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순수 배양액의 흡광도 값과 같은 결과를 얻은 것을 최소억제농도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시료로 처리한 군에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낮은 농도(㎍/㎖ 단위)에서도 피부 상재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드름 피부의 개선에 사용될 수 있는 후보물질로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
Figure 112017065016673-pat00001
2-2.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증
본 발명의 여드름 피부의 상태 개선용 조성물의 후보물질로 선발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이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직접적인 항균활성이 있는지를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와 항생제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의 내성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균주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을 위해 액체배지 희석법에 의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와 그 내성균주에 대한 최소 성장억제농도(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먼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와 그 내성균주를 5% 양피(sheep blood)를 첨가한 TS(trypticase soy) 브로스를 사용하여 35℃에서 48시간 동한 혐기 조건으로 배양한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와 그 내성균주를 2×106 CFU/well 농도로 접종한 후,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 시료와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육안 및 현미경으로 균의 성장을 관찰하였고, 흡수파장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순수배양액의 흡광도 값과 같은 결과를 얻은 것을 최소억제농도로 결정하였다(표 2 참조).
[표 2]
Figure 112017065016673-pat00002
그 결과,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시료로 처리한 군에서는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균주(13㎍/㎖ 단위 이하)와 그 항생제 저항성 균주(31㎍/㎖ 단위 이하)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드름 피부의 개선에 사용될 수 있는 후보물질로 더욱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피부세포 성장 및 콜라겐 단백질 발현과 관련된 효능 검증
여드름 피부의 상태 개선을 위한 물질로 사용하기 위해서 피부 상재균 및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중요한 요건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여드름이 발생하여 손상된 여드름 피부의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손상된 피부세포의 재생 및 콜라겐 합성이 충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물질 후보로 선발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이 피부세포의 성장 및 콜라겐 단백질 발현과 관련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인간 각질세포(HEK, human epidermal keratinocyte)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우선, 10% FBS(fetal bovine serum, Cambrex)가 포함된 전용 배지인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피부각질세포를 40mm 크기의 세포 배양 접시에 1.2×105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37℃, 5% CO2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무혈청 DMEM 배지로 희석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농도 별(1, 10, 100 ㎍/㎕)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후, 1 mg/mL의 MTT를 처리하고 2시간 후, 세포에 MTT 처리로 인해 생성된 포마잔(formazan)을 DMSO로 녹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도 2).
또한, 콜라겐 단백질의 발현량은 콜라겐 분석 키트(collagen assay kit)를 이용하여 효소결합 면역흡수 분석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간 피부각질세포에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이 세포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도 2 참조), 이를 통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이 인간 피부각질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각 각질세포에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의 처리로 인해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은 여드름 발생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피부 상처 모델에서 세포 재생과 관련된 효능 검증
세포배양 100㎜ 디쉬에 1차 배양 피부 세포인 NHDF(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가 80% 증식했을 때, 멸균된 tip(200ul)의 끝단을 이용하여 피부 세포에 상처를 주고,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각각 1 ~ 100㎍/㎖ 농도로 주입한 후 세포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때, 세포 증식의 측정은 MTT(methylthiazole-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 방법과 디프 퀵 스테인(Diff quic stain)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염색 후 현미경으로 확인하고 정상세포와 비교하여 정량화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손상된 피부세포에 처리하는 경우, 손상된 피부세포 재생이 직접적으로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재생된 피부세포의 형태적인 모양에 있어서도 정상적인 피부세포와 동일하게 성장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여드름 증상에 적용하는 경우, 재생된 피부조직이 주변의 정상 피부조직과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성형학적으로 여드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처부위가 덧나지 않게 하면서도 피부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피부 면역 활성에 작용하는 효과 검증
여드름의 원인균 및 피부상재균에 의해 발생된 여드름은 염증반응을 통해 더욱 확대되며, 피부 발적, 피부 과민반응, 또는 광과민 반응 등을 통해 임상적으로 여드름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여드름이 발생한 피부 상태의 효과적인 개선을 위해서 염증반응의 조기 차단은 여드름 증상의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피부상태 개선의 후보물질로 선발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이 염증반응과 면역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5-1. 염증매개물질인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분비의 억제 효과 검증
마우스 대식세포주(mouse macrophage)인 RAW264.7 세포를 준비한 다음, 세포활성 및 염증유발인자로서 LPS(1 ㎍/㎖)를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처리하였고, 24시 간 배양한 후 세포 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산화질소 공여자(nitric oxide donor)와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함께 처리하고, 시간경과 후 나타나는 산화질소(nitric oxide)를 정량함으로써 NO 분비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실험에서는 지정된 시간에 관찰되는 산화질소(nitric oxide)양을 정량하기 위해 각각의 농도별로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처리한 후, 37℃에서 2시간 배양(incubation)한 후, 산화질소 탐색시약인 그리스 시약을 섞어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 처리시 LPS로 유도된 산화질소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산화질소 분비 억제능은 농도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도 5).
5-2. IL-6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 검증
피부세포 손상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반응 메커니즘에서 IL-6 등의 염증매개 물질들이 관여하게 되며, 염증매개 물질들의 작용에 의해 염증반응이 증폭되게 되며,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경우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이 IL-6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마우스 대식세포주(mouse macrophage)인 RAW264.7 세포를 대상을 실험을 수행하였다. RAW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0×105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37℃, 5% CO2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PBS 용액으로 세척한 후, 각 well에 LPS 1㎍/㎖을 단독 혹은 다양한 농도의 시료와 함께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정상 대조군에는 배지만을 처리하였다.
배양이 끝나고, 상등액을 취하여 IL-6 단백질 생성량을 효소결합 면역흡수 분석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 처리시 LPS로 유도된 IL-6 단백질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IL-6 단백질 생성 억제능은 농도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도 6).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은 염증매개 물질인 산화질소 및 IL-6 단백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여드름 발생 피부 주변의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여드름 피부의 상태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수용성 전분 및 천마 추출물을 글루코실트랜스퍼라아제(CGTase,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 효소로 1차 효소 처리하여 생성된 효소반응 산물에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ase) 효소로 2차 효소 처리하여 생성된 효소 처리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표피포도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화농성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고,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을 억제하고, IL-6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7.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8.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170086192A 2017-07-07 2017-07-07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99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92A KR101999258B1 (ko) 2017-07-07 2017-07-07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92A KR101999258B1 (ko) 2017-07-07 2017-07-07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128A KR20190006128A (ko) 2019-01-17
KR101999258B1 true KR101999258B1 (ko) 2019-07-12

Family

ID=6527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192A KR101999258B1 (ko) 2017-07-07 2017-07-07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2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09B1 (ko) * 2004-12-22 2006-09-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천마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93912B1 (ko) * 2007-10-05 2009-04-20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약 및 천마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여드름&등드름 관리 천연 팩으로 해결해볼까? (2013.06.28.)(2018.07.23. 검색)(인터넷 URL:http://blog.naver.com/chunmanii/2019061329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128A (ko)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078B1 (ko) 바다제비집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의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24956B1 (ko) 효소 처리된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8340A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9661B1 (ko) 효소 처리된 싸주아리 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19038760A (ja) 皮膚外用剤
KR1016272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999258B1 (ko)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77047B1 (ko) 효소 처리된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139156B1 (ko) 효소처리된 홍삼 및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34790B1 (ko) 클로로겐산, 미르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41843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953358B1 (ko) 알파 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77049B1 (ko) 효소 처리된 안젤리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04468B1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863299B1 (ko) 미르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951A (ko) 효소처리된 클로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04803B1 (ko) 진세노사이드 f2 및 4-알파-d-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91936B1 (ko) 효소처리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94314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7048B1 (ko) 효소 처리된 성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150701A (ko) 타트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외용 조성물
KR20090121950A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