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056B1 -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 - Google Patents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056B1
KR101999056B1 KR1020180026371A KR20180026371A KR101999056B1 KR 101999056 B1 KR101999056 B1 KR 101999056B1 KR 1020180026371 A KR1020180026371 A KR 1020180026371A KR 20180026371 A KR20180026371 A KR 20180026371A KR 101999056 B1 KR101999056 B1 KR 101999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acupressure
hole
present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영진
Original Assignee
계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영진 filed Critical 계영진
Priority to KR102018002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 개의 지압 돌기가 상부면에 돌출된 하부 베개의 상부면에 추가 돌기와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상부 베개, 제2 상부 베개를 다층으로 적재함으로서 지압 돌기의 배치 밀도와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지압 돌기를 조절함으로써 원활한 지압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 {An acupressure pillow of multilayer loading}
본 발명은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 상단에 지압판이 형성되어 인체의 경락을 자극할 수 있고, 취침 중에 목을 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 목, 다리 등의 각 부위의 지압에 사용 가능한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혈은 경락상에 질병의 반응이 민감하게 나타나는 약 365개의 점이다. 한편, 인체의 두부를 지압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지압 베개가 제시된 바 있다.
지압 베개는 두부나 목 부위의 경혈, 경직된 뒷목 근육과 피부를 지압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관계없이 널리 애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지압기능을 가지는 베개들은 상부면에 지압 돌기를 형성하거나, 고정용 지압 돌기가 형성된 지압판을 부착 내지는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우선 지압 돌기의 높이와 배치 밀도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베개를 베거나 숙면을 취할 시, 이들 지압 돌기나 지압판이 두부나 경부에 배겨 이물감이나 통증을 심하게 유발시킴으로써, 지압 효과보다는 사용자에게 고통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개 사용의 불편함을 참으면서 그대로 사용하거나, 자신의 상태에 맞는 베개를 재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압 돌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압용 베개가 있지만, 이는 구동기어, 회전기어 및 핸들 등 다소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제조 공정이 번거롭다. 그리고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조 비용도 높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41203 (2016.07.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0349 (2012.06.20)
본 발명의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지압 돌기의 높이와 배치 밀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지압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조절하는데 있어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며, 베개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는, 다수 개의 지압 돌기가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하부 베개와, 하부면이 상기 하부 베개의 상부면에 대응되며, 상기 지압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 사이에 다수 개의 제1 추가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1 상부 베개와, 하부면이 상기 제1 상부 베개의 상부면에 대응되며, 상기 지압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추가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통공 사이에 다수 개의 제2 추가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2상부 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는, 다수 개의 지압 돌기가 상부면에 돌출된 하부 베개와 상부면에 추가 돌기와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상부 베개, 제2 상부 베개를 적재함으로서 지압 돌기의 높이와 배치 밀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를 해체하여 다수의 베개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단순한 구성을 통해 상술한 효과를 구현하므로 생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적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적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는 하부 베개(100)와 제1 상부 베개(200)로 구성되며, 이하 상기 각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첫번째로, 하부 베개(100)는, 상부면이 원호형의 곡면의 형상이며, 양측면은 상부면에 대응되도록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 베개(100)는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면이 목을 받쳐주는 경침으로 형성된다.
이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경침형상으로 인해, 경추를 바르게 교정하는 옛날 목침의 원리를 이용하며, 목뼈 곡선에 따라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목을 편안하게 받치도록 한다.
또한,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는 상기 하부 베개(100)는, 목의 혈관에 압력을 가해 머리로 들어가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므로 뇌가 좋아지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베개(100)가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경침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잠을 자거나 휴식하는 동안에 머리와 목을 자연스럽게 동시에 받쳐주어 경추와 두부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므로, 경추의 변위 예방 및 치료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부 베개(100) 상부면에는, 다수의 지압 돌기(110)가 형성된다.
상기 지압 돌기(110)는, 상기 하부 베개(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베개(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압 돌기(110)는, 상기 하부 베게(100)의 상부 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며, 후술할 제1 상부 베개(200)의 제1 관통공(23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상부 배개(200)를 상기 하부 베개(100)의 상부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두번째로, 제1 상부 베개(200)는, 상기 하부 베개(100)와 동일한 재질과 형상을 가지며, 하부면은 상기 하부 베개(100)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적재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상부 베개(200)는, 제1 관통공(230)과 추가 돌기(210)로 구성된다.
먼저, 제1 관통공(230)은 상기 지압 돌기(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압 돌기(1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관통공(230)에 통과된 상기 지압 돌기(110)에 의해 상기 제1 상부 배개(200)가 상기 하부 베개(100)의 상부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추가 돌기(210)는 상기 제1 관통공(230) 사이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추가 돌기(210)의 높이는, 상기 지압 돌기(110)가 상기 제1 관통공(230)을 통해서 돌출된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며, 도 3과 도 4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제1 상부 배개(200)의 상부면에서 외향 돌출된 상기 추가 돌기(210)의 높이(①)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상기 지압 돌기(110)가 상기 제1 관통공(230)을 통해서 돌출된 높이(②)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3의 상기 추가 돌기(210)의 높이(①)와 같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적재 상태에서 제1 상부 배개(200)의 상부면에 돌출된 지압 돌기(110)와 추가 돌기(210)는 균일한 배치 밀도를 가진다.
즉, 상기 하부 베개(100)와 상기 제1 상부 베개(200)과 적재되면, 상기 추가 돌기(210)와 제1 관통공(230)을 통해 돌출된 지압돌기(110)의 동일한 높이와 균일한 배치 밀도로 인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도5 내지 도 7을 참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는, 하부 베개(100)와 제1 상부 베개(200)와 제2 상부 베개(300)로 구성되며, 이하 상기 각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 베개(100)와 상기 제1 상부 베개(200)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하부 베개(100)와 제1 상부 베개(2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제2 상부 베개(3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2 상부 베개(300)는 제1 상부 베개(200)와 동일한 재질과 형상을 가지며, 하부면은 상기 제1 상부 베개(200)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적재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상부 베개(300)는, 제2 추가 돌기(310), 제2 관통공(330), 제3 관통공(35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2 관통공(330)은 하부 베개(100)의 지압 돌기(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압 돌기(1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관통공(330)에 통과된 상기 지압 돌기(110)에 의해 상기 제2 상부 베개(300)가 상기 하부 베개(10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 관통공(350)은 제1 상부 베개(200)의 추가 돌기(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추가 돌기(210)은 제2 추가 돌기(310)에 구분하기 위해서, '제1 추가 돌기' 라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돌기(2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3 관통공(350)에 의해 통과된 상기 추가 돌기(210)에 의해 상기 제2 상부 베개(300)가 상기 제1 상부 베개(200)의 상부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제2 추가돌기(310)는 상기 제2 관통공(330)과 상기 제3 관통공(350) 사이에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 추가 돌기(310)의 높이는, 상기 추가 돌기(210)가 상기 제3 관통공(350)을 통해서 돌출된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며, 도 7에서 확인 가능하다.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라 절단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베개(100)와 상기 제1 상부 베개(200)와 상기 제2 상부 베개(30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면, 상기 제2 관통공(330)을 통해 돌출된 상기 지압 돌기(110)와 상기 제3 관통공(350)을 통해 돌출된 상기 추가 돌기(210)와 상기 제2 추가돌기(310)의 높이는 동일하다.
즉, 상기 제2 상부 베개(300)의 상부면에 돌출된 상기 지압 돌기(110), 상기 추가 돌기(210), 상기 제2 추가 돌기(310)의 동일한 높이와 균일한 배치 밀도로 인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구성과 적재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종합적으로, 지압 돌기의 높이와 배치 밀도는 간단히 적재되는 베개의 층수를 변화시켜 조절하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3과 도 7를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적재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적재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의 최상층에 적재된 제1 상부 베개(200) 상부면에 상향 돌출된 추가 돌기(210)의 높이(①)와 비교해보면, 도 7의 최상층에 적재된 제2 상부 베개(300)의 상부면에 상향 돌출된 돌기의 높이(③)는 더 낮지만, 더 많은 수의 돌기들이 돌출되어 조밀한 배치 밀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개의 적재수를 변화시키며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서 지압 돌기의 높이와 배치 밀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도 8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의 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부 베개를 탈착 가능한 판의 형태로 변형시켜 제조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는 하부 베개(100), 제1 상부판(400), 제2 상부판(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부판(400)은 도 5에 도시된 제1 상부 베개(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2 상부판(500)은 도5에 도시된 제2 상부 베개(3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구성과 구성에 따른 적층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하부 베개
110 : 지압 돌기
200 : 제1 상부 베개
210 : 추가 돌기
230 : 제1 관통공
300 : 제2 상부 베개
310 : 제2 추가 돌기
330 : 제2 관통공
350 : 제3 관통공
400 : 제1 상부판
500 : 제2 상부판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지압 베개에 있어서,
    다수 개의 지압 돌기가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하부 베개;
    하부면이 상기 하부 베개의 상부면에 대응되며, 상기 지압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 사이에 다수 개의 제1 추가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1 상부 베개;
    하부면이 상기 제1 상부 베개의 상부면에 대응되며, 상기 지압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추가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통공 사이에 다수 개의 제2 추가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2 상부 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
KR1020180026371A 2018-03-06 2018-03-06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 KR10199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71A KR101999056B1 (ko) 2018-03-06 2018-03-06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71A KR101999056B1 (ko) 2018-03-06 2018-03-06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056B1 true KR101999056B1 (ko) 2019-07-10

Family

ID=6725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371A KR101999056B1 (ko) 2018-03-06 2018-03-06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0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24B1 (ko) * 2008-11-28 2011-05-25 백옥선 지압용 배게
KR101160349B1 (ko) 2012-05-23 2012-06-29 이우진 지압효율이 향상된 베개
KR101421402B1 (ko) * 2014-02-20 2014-07-18 선재광 경혈 자극을 위한 베개
JP3196999U (ja) * 2015-01-16 2015-04-16 恵子 冨永 指圧用押圧器
KR101641203B1 (ko) 2015-04-03 2016-07-20 주식회사 센텀소프트 지압용 베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24B1 (ko) * 2008-11-28 2011-05-25 백옥선 지압용 배게
KR101160349B1 (ko) 2012-05-23 2012-06-29 이우진 지압효율이 향상된 베개
KR101421402B1 (ko) * 2014-02-20 2014-07-18 선재광 경혈 자극을 위한 베개
JP3196999U (ja) * 2015-01-16 2015-04-16 恵子 冨永 指圧用押圧器
KR101641203B1 (ko) 2015-04-03 2016-07-20 주식회사 센텀소프트 지압용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750B2 (en) Multi-function cervical pillow
US7996940B1 (en) Custom therapeutic seat cushion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US20080104764A1 (en) Multi-airbag inflatable pillow
EP037161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massaging the human body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20090131973A1 (en) Device for relieving pain or tension
JP2012245312A (ja) 整形用枕
US10455944B2 (en) Seat cushion
JP2011516100A (ja) 多重構造を有する枕
JP2008517686A (ja) 人間工学的枕
US20140096777A1 (en) Sleeping Device to Prevent Snoring
RU183681U1 (ru) Подушка на сидение
KR101999056B1 (ko) 다층 적재형 지압 베개
US20090229055A1 (en) Ergonomic pillow for neck and upper shoulder muscle release
KR102154118B1 (ko)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US20210353080A1 (en) Functional pillow
KR101557145B1 (ko)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US20190328149A1 (en) Two-layer foam mattress with complementary body contours
TWI676448B (zh) 可調整擺位及支撐之涼感輔具
JP3605334B2 (ja) 改良敷ふとん
KR102545022B1 (ko) 베개
KR102503202B1 (ko) 베개
KR200190882Y1 (ko) 건강경추베개
KR20180050772A (ko)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