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882B1 -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882B1
KR101998882B1 KR1020190013449A KR20190013449A KR101998882B1 KR 101998882 B1 KR101998882 B1 KR 101998882B1 KR 1020190013449 A KR1020190013449 A KR 1020190013449A KR 20190013449 A KR20190013449 A KR 20190013449A KR 101998882 B1 KR101998882 B1 KR 10199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lacement
lamps
ceiling
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1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4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light source, e.g. turr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05Measures against vandalism, stealing or tamp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는, 건축물 고소공간에 위치되는 천정에 배치되며, 전등들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는 무한궤도를 이루는 레일부와; 상기 천정의 양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전등들의 작동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천정의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며, 정상 작동을 이루는 정상 전등들이 갖는 교체부; 및, 상기 전등들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된 이상 전등을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켜 상기 교체부 근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교체부를 구동시켜 상기 이상 전등을 상기 정상 전등으로 교체하도록 제어하는 교체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Bulb exchanging apparatus of the ceiling}
본 발명은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의 천정에 배치되는 전등이 이상 동작을 이루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교체하여 전등 교체 작업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사람의 손이 미치는 낮은 곳에 설치된 전구를 교체하려고 할 경우에는 별다른 장비를 사용할 필요없이 사람의 손을 이용하면 되지만 공장이나 대합실, 빌딩, 관람집회장, 공장 등 고소 공간 천정에 설치된 전구를 교체하려고 할 경우에는 사람의 손이 미치지 못하므로 사다리 등의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전구를 교체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사다리 등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높게 설치된 전구를 교체하는 경우, 작업자의 부주의로 추락 및 낙상 사고가 종종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189869호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종래에는 흡착기능이 있는 원형의 밀착기를 긴 막대기의 상단에 설치한 것을 전구 교체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설치되어 있는 전구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긴 막대기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밀착기의 표면에 교체하고자 하는 전구의 머리부분을 밀착하여 흡착시킨후 사람의 인력을 이용해 막대기를 회전시켜 전구를 탈착하였다.
이와 같이, 전구를 탈착시킨 다음 교체할 전구의 머리부분을 밀착기에 흡착시킨 후 사람의 인력을 이용해 긴 막대기를 전구를 탈착시킬때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전구를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연장과 같은 공간의 천정은 바닥으로부터 상당한 높이를 이룬다. 이와 같은 고소를 이루는 천정에는 다수의 조명기기 또는 전등들이 설치된다.
상기의 고소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등들은 종래의 교체 기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교체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교체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교체 기구의 길이가 상당한 길이를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자칫 전등 교체시 교체 기구의 몸체가 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바닥에 있는 사람들 또는 기구들로 낙하되어 2차적인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 들어 공연 문화가 발전됨에 따라 고소의 천정에 위치되는 전등들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5408호(등록일: 2014.11.24)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소의 천정에 배치되는 전등들 중 어느 하나의 전등이 고장나는 경우, 고장이 발생된 전등을 고소의 측벽부의 내부로 이동시켜 그 위치에 대기되는 교체부를 통해 정상 작동이 가능한 전등으로 교체하여 교체된 전등을 해당 위치로 재위치 시키도록 할 수 있는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는, 건축물 고소공간에 위치되는 천정에 배치되며, 전등들이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는 무한궤도를 이루는 레일부와; 상기 천정의 양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전등들의 작동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천정의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며, 정상 작동을 이루는 정상 전등들을 갖는 교체부; 및, 상기 전등들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된 이상 전등을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켜 상기 교체부 근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교체부를 구동시켜 상기 이상 전등을 상기 정상 전등으로 교체하도록 제어하는 교체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천정의 양측벽에는, 한 쌍의 대기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대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한 쌍의 대기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레일부의 양단을 회전 안내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대기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교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 모터는 모터축을 갖고, 상기 모터축은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축과 축 방식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등들은 일정의 광량을 출사하도록 발광하되,
상기 감시부는, 상기 다수의 전등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전등들 각각에서 출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교체 제어부로 전송하는 광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 제어부는, 측정되는 상기 광량이 기설정되는 기준 광량 이하를 이루는 경우,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전등을 상기 이상 전등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의 다수 위치에는, 상단이 상기 레일부의 다수 위치에 고정되고, 하단에 힌지단이 형성되는 제 1고정 부재들과, 상단이 상기 힌지단에 힌지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전등들 각각이 고정되는 제 2고정 부재들과, 상기 힌지단에 축 연결되어 상기 제 2고정 부재들을 상하를 따라 회전시키는 모터들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전등들은, 다각 형상의 전등갓과, 상기 전등갓 내부에 설치되는 전등을 포함하고,
상기 전등갓은, 상기 제 2고정 부재의 하단과 스크류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교체부는, 직립되는 주 회전축을 갖는 주 회전 모터와,
상기 주 회전축의 상단에 중심이 연결되며, 수평 방향을 따르는 십자 형상의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되는 4개의 보조 회전 모터와, 상기 4개의 보조 회전 모터와 축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제 2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4개의 제 2지지대의 단부에는 상기 정상 전등들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정상 전등들 각각은 상기 4개의 제 2지지대의 단부에 스크류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 회전축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교체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 1교체축의 단부에는 교체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 1교체축은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교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교체축을 수평 방향을 따라 신축시키고,
상기 교체 모터는, 제 2교체축과 축 연결되고,
상기 제 2교체축의 단부에는, 다각 형상을 이루어 상기 전등갓의 둘레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교체 모터는, 상기 교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교체축을 회전시킨다.
상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고소의 천정에 배치되는 전등들 중 어느 하나의 전등이 고장나는 경우, 고장이 발생된 전등을 고소의 측벽부의 내부로 이동시켜 그 위치에 대기되는 교체부를 통해 정상 작동이 가능한 전등으로 교체하여 교체된 전등을 해당 위치로 재위치 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고소의 천정에 배치되는 전등이 이상 동작을 이루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교체하여 전등 교체 작업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이상 전등을 정상 전등으로 교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는 건축물 고소공간에 위치되는 천정(1)에 배치되며, 전등들(10)이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는 무한궤도를 이루는 레일부(100)와, 상기 천정(1)의 양측벽(2)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00)와, 상기 전등들(10)의 작동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감시부(300)와, 상기 천정(1)의 양측벽(2)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며, 정상 작동을 이루는 정상 전등들을 갖는 교체부(400)와, 상기 전등들(10)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된 이상 전등을 상기 회전부(200)를 구동시켜 상기 교체부(400) 근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교체부(400)를 구동시켜 상기 이상 전등을 상기 정상 전등으로 교체하도록 제어하는 교체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천정(1)의 양측벽(2)에는, 한 쌍의 대기 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10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대기 공간(3)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한 쌍의 대기 공간(3)에 위치되는 상기 레일부(100)의 양단을 회전 안내하는 한 쌍의 회전축(210)과, 상기 한 쌍의 대기 공간(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교체 제어부(5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회전축(21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22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모터(220)는 모터축을 갖고, 상기 모터축은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축(210)과 축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등들(10)은 일정의 광량을 출사하도록 발광한다.
상기 감시부(300)는 상기 다수의 전등들(10)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전등들(10) 각각에서 출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교체 제어부(500)로 전송하는 광센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교체 제어부(500)는 측정되는 상기 광량이 기설정되는 기준 광량 이하를 이루는 경우,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전등을 상기 이상 전등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100)의 다수 위치에는, 상단이 상기 레일부(100)의 다수 위치에 고정되고, 하단에 힌지단(111)이 형성되는 제 1고정 부재들(110)과, 상단이 상기 힌지단(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전등들(10) 각각이 고정되는 제 2고정 부재들(120)과, 상기 힌지단(111)에 축 연결되어 상기 제 2고정 부재들(120)을 상하를 따라 회전시키는 모터들(130)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전등들(10)은, 다각 형상의 전등갓(11)과, 상기 전등갓(11) 내부에 설치되는 전구(12)을 포함한다.
상기 전등갓(11)은 상기 제 2고정 부재(120)의 하단과 스크류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등갓(11)은 스크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2고정 부재(120)의 하단에 결합 또는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체부(400)는 직립되는 주 회전축(411)을 갖는 주 회전 모터(410)와, 상기 주 회전축(411)의 상단에 중심이 연결되며, 수평 방향을 따르는 십자 형상의 제 1지지대(420)와, 상기 제 1지지대(420)의 단부에 설치되는 4개의 보조 회전 모터(430)와, 상기 4개의 보조 회전 모터(430)와 축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제 2지지대(440)를 포함한다. 교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회전 모터(430)는 해당 제 2 지지대를 정력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상기 4개의 제 2지지대(440)의 단부에는 상기 정상 전등들(20)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정상 전등들(20) 각각은 상기 4개의 제 2지지대(440)의 단부에 스크류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 회전축(411)의 상단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교체축(450)이 설치된다.
상기 제 1교체축(450)의 단부에는 교체 모터(46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교체축(450)은 실린더(470)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470)는, 상기 교체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교체축(450)을 수평 방향을 따라 신축시킨다.
상기 교체 모터(460)는, 제 2교체축(480)과 축 연결된다.
상기 제 2교체축(480)의 단부에는, 다각 형상을 이루어 상기 전등갓(11)의 둘레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490)가 설치된다.
상기 교체 모터(460)는 상기 교체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교체축(480)을 회전시킨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이상 전등을 정상 전등으로 교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 하여, 전등 교체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이상 전등(10)이 설정되며, 교체 제어부(500)는 이상 전등(10)이 대기 공간(3)에 위치되도록 회전부(200)를 사용하여 레일부(100)를 이동시킨다. 이에 이상 전등(10)은 대기 공간(3)에 배치된다.
교체 제어부(500)는 교체부(400)를 구동시킨다.
실린더(470)는 제 1교체축(450)을 신장 또는 돌출시킨다. 이에, 제 2교체축(480)의 단부에 설치된 결합 부재(490)는 이상 전등(10)의 전등갓(11)에 결합된다.
이어, 교체 모터(460)는 제 2교체축(480)을 역방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이상 전등(10)은 제 2고정 부재(120)의 단부에서 결합이 해제되어 분리된다. 분리된 이상 전등(10)은 대기 영역(3)을 통해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통해 낙하되어 일정 보관소에 보관된다.
주 회전 모터(410)는 회전된다. 이에, 제 2지지대(440)의 단부에 결합된 정상 전등(20)은 상기 제 2고정 부재(120)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대(420)는 별도의 다른 실린더(미도시)를 통해 신장 또는 돌출된다. 이에, 정상 전등(20)은 제 2고정 부재(120)의 단부에 결합 전 상태에 위치된다.
이어, 보조 회전 모터(430)는 제 2지지대(440)를 정 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따라서, 정상 전등(20)은 상기 제 2고정 부재(120)의 하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교체 제어부(500)는, 해당 이상 전등(10)의 위치에 교체된 정상 전등이 위치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회전부(200)를 구동시켜 레일부(10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상 전등(10) 및 정상 전등(20)은 모터(130)의 회전에 따라 제 2고정 부재(120)가 상하 회전되어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교체 위치는 상기 이상 전등(10)이 수평을 따라 위치되도록 제 2고정 부재(120)가 수평 상태로 회전된 상태인 것이 좋다.
따라서, 해당 이상 전등(10)은 정상 전등(20)으로 자동으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고소의 천정에 배치되는 전등들 중 어느 하나의 전들이 나는 경우, 고장이 발생된 전등을 고소의 측벽부의 내부로 이동시켜 그 위치에 대기되는 교체부를 통해 정상 작동이 가능한 전등으로 교체하여 교체된 전등을 해당 위치로 재위치 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소의 천정에 배치되는 전등이 이상 동작을 이루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교체하여 전등 교체 작업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레일부
200 : 회전부
300 : 감시부
400 : 교체부
500 : 교체 제어부

Claims (4)

  1. 건축물 고소공간에 위치되는 천정에 배치되며, 전등들이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는 무한궤도를 이루는 레일부;
    상기 천정의 양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전등들의 작동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감시부;
    상기 천정의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며, 정상 작동을 이루는 정상 전등들을 갖는 교체부; 및,
    상기 전등들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상이 발생된 이상 전등을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켜 상기 교체부 근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교체부를 구동시켜 상기 이상 전등을 상기 정상 전등으로 교체하도록 제어하는 교체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의 양측벽에는,
    한 쌍의 대기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대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한 쌍의 대기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레일부의 양단을 회전 안내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대기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교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 모터는 모터축을 갖고, 상기 모터축은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축 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들은 일정의 광량을 출사하도록 발광하되,
    상기 감시부는,
    상기 다수의 전등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전등들 각각에서 출사되는 광량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교체 제어부로 전송하는 광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 제어부는,
    측정되는 상기 광량이 기설정되는 기준 광량 이하를 이루는 경우,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전등을 상기 이상 전등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다수 위치에는,
    상단이 상기 레일부의 다수 위치에 고정되고, 하단에 힌지단이 형성되는 제 1고정 부재들과,
    상단이 상기 힌지단에 힌지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전등들 각각이 고정되는 제 2고정 부재들과,
    상기 힌지단에 축 연결되어 상기 제 2고정 부재들을 상하를 따라 회전시키는 모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KR1020190013449A 2019-02-01 2019-02-01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KR10199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449A KR101998882B1 (ko) 2019-02-01 2019-02-01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449A KR101998882B1 (ko) 2019-02-01 2019-02-01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882B1 true KR101998882B1 (ko) 2019-07-10

Family

ID=6725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449A KR101998882B1 (ko) 2019-02-01 2019-02-01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990B1 (ko) 2021-01-12 2021-06-02 (주)세정이에프씨 건축 관람집회시설 고소공간 전등기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678A (ja) * 1996-05-21 1997-12-0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かご内照明装置
KR200475408Y1 (ko) 2013-05-21 2014-12-03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소지 천정 전등 교체기구
KR20170122129A (ko) * 2016-04-26 2017-11-03 (주)대한엔지니어링 등명기용 전구교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678A (ja) * 1996-05-21 1997-12-0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かご内照明装置
KR200475408Y1 (ko) 2013-05-21 2014-12-03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소지 천정 전등 교체기구
KR20170122129A (ko) * 2016-04-26 2017-11-03 (주)대한엔지니어링 등명기용 전구교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990B1 (ko) 2021-01-12 2021-06-02 (주)세정이에프씨 건축 관람집회시설 고소공간 전등기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KR102298156B1 (ko)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확인시스템
CN104285091B (zh) 用于更换路灯灯具的系统
US6464190B1 (en) Self-winding-type fixture-lifting/lowering device
JP7242982B2 (ja) ワイヤー及びケーブル方式で連結されて昇降自在であり、空気清浄機が取り付けられた灯器具装置
KR101998882B1 (ko) 건축물 고소공간 천정 전등 자동교체장치
KR20190047587A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159993A (zh) 建筑工地照明装置
KR101831855B1 (ko) 천장 이동형 실내 조명장치
KR101883453B1 (ko) 조명기구 무빙 시스템
KR102071279B1 (ko) 등명기
JP2000123613A (ja) 誘導装置
JP2782571B2 (ja) 照明装置
JP2010009996A (ja) 埋込型照明装置
KR101063160B1 (ko) 나선형으로 지시방향이 조절되는 구동장치
KR101694508B1 (ko) 빔 프로젝터 리프트
KR102533640B1 (ko)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레일구조
CN214501027U (zh) 一种可万向拼接的模块式吸顶灯
KR102280972B1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20870780U (zh) 一种防烟消防应急照明灯具
CN219300548U (zh) 一种用于舞台灯光源的活动调节机构
CN115302243B (zh) 绝缘子拆装装置
CN208687546U (zh) 吊灯装置
JP2004345835A (ja) 昇降装置及び同期回転出力軸装置
CN105896353A (zh) 一种变压器用的安装设备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