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604B1 - 리니어 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니어 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604B1
KR101998604B1 KR1020180173683A KR20180173683A KR101998604B1 KR 101998604 B1 KR101998604 B1 KR 101998604B1 KR 1020180173683 A KR1020180173683 A KR 1020180173683A KR 20180173683 A KR20180173683 A KR 20180173683A KR 101998604 B1 KR101998604 B1 KR 101998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aking
driving
bas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화
장덕진
최승희
김환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Priority to KR102018017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왕복 구동력에 의해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이동부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베이스부 및 이동부에 설치되며, 구동부의 구동 상태에 따라 구동될 때에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치합(齒合)에 의해 이동부를 정지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니어 모터 시스템{Linear motor system}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동부의 제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리니어 모터 시스템 및 관련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모터 시스템(Linear motor system)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로봇, 공작 기계, 정밀 기기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정밀도의 직선 이동 및 위치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슬라이더, Slider), 이동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Linear motion guide)로 구성된다.
또한,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구동부의 구동 방식에 따라,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볼 스크류 부재를 이용하여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볼 스크류 구동 방식과, 마그넷(Magnet)과 전자석(Electromagnet)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구동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구동부에 의해 이동부의 이동 및 위치를 제어하며, 가이드 레일의 양단에 구비된 스토퍼에 의해 이동부의 직선 이동 거리(왕복 행정 거리)를 제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정전, 구동부의 고장 등에 대비하여 이동부를 제동하기 위한 별도의 브레이크 유닛을 구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7226호(리니어 엑츄에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2005년 2월 22일 공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01150호(리니어모터 브레이크 장치)(2012년 1월 5일 공고) 등에는 브레이크 유닛과 가이드 레일의 마찰에 의해 이동부를 제동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즉,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7226호에는 솔레노이드 기구(8a)에 의해 슬라이드 블럭(16)을 구동시켜 이에 부착된 라이닝 부재(14)와 가이드 레일(4)의 마찰을 이용하여 테이블(3)을 제동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01150호에는 솔레노이드밸브(700)에 의해 리니어 클램퍼(600)의 클램핑 유닛(610)을 구동시켜 이에 구비된 마찰부재(612)와 LM 레일(300)의 마찰을 이용하여 새들(100)을 제동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이동부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유닛의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이동부의 제동을 위해 마찰력을 이용하므로 제동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리니어 모터 시스템이 수직하게 설치된 경우, 이동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정전, 구동부의 고장 등이 발생할 때에는 이동부의 중량에 의해 이동부가 자유 낙하하므로, 마찰력에 의해 이동부를 제동하더라도 관성에 의해 이동부가 즉각적으로 멈추지 않고 아래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동부의 제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리니어 모터 시스템 및 관련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이 요구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7226호 (리니어 엑츄에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 (2005년 2월 22일 공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01150호 (리니어모터 브레이크 장치) (2012년 1월 5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동부의 제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리니어 모터 시스템 및 관련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왕복 구동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 상태에 따라 구동될 때에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의 치합(齒合)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정지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마그넷(Magnet)으로 구성된 마그넷 트랙(Magnet track);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그넷 트랙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 트랙과 상호 작용에 의해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Electromagnet)이 구비된 마그넷 코어(Magnet co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치형(齒形, Tooth)이 형성된 제1 제동 블록;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일단에 상기 제1 제동 블록을 향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블록과 치합(齒合)하는 복수의 제2 치형이 형성된 제2 제동 블록; 및 상기 고정 블록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제동 블록을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제동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제동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 액츄에이터는 공압 실린더(Pneumatic cylind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따르면, 구동부의 구동 상태에 따라 제동부가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치합(齒合)에 의해 이동부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동부의 제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리니어 모터 시스템 및 관련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따르면, 정전 등으로 인해 마그넷으로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이동부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제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를 구성하는 제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를 구성하는 제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를 구성하는 제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를 구성하는 제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리니어 모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은 베이스부(100), 구동부(200), 이동부(300), 가이드부(400) 및 제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후술할 구동부(200) 및 가이드부(400)가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폭 방향 양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면 플레이트(120),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양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면 플레이트(1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한 쌍의 제1 측면 플레이트(120), 한 쌍의 제2 측면 플레이트(130)에 의해 내부에 수용 공간(101)이 형성되며, 후술할 이동부(300)는 수용 공간(101) 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이동부(300)를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구동시키기 위한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부(300)는 베이스부(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왕복 구동력에 의해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에서는 이동부(300)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가이드부(400)는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며, 이동부(300)의 왕복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00)는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는 LM 가이드 레일(Linear motion guide rail)(410)과, 이동부(300)에 설치된 상태로 LM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는 LM 블록(Linear motion block)(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 이동부(300) 및 가이드부(400)의 구조는 일반적인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200)는 마그넷(Magnet)과 전자석(Electromagnet)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구동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는 복수의 마그넷으로 구성된 마그넷 트랙(210)과, 전자석으로 구성된 마그넷 코어(220)로 구성될 수 있다. 마그넷 트랙(Magnet track)(210)은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며,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마그넷으로 구성되고, 마그넷 코어(Magnet core)(220)는 이동부(300)에 설치되며, 마그넷 트랙(2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마그넷 트랙(210)과 상호 작용에 의해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Electromagnet)(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200)가 마그넷 구동 방식인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구동부(200)는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볼 스크류 부재를 이용하여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볼 스크류 구동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을 구성하는 제동부(500)는 베이스부(100) 및 이동부(300)에 설치되며, 구동부(200)의 구동 상태에 따라 구동될 때에 베이스부(100)와 이동부(300) 사이의 치합(齒合)에 의해 이동부(3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동부(5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은, 구동부(200)의 구동 상태에 따라 제동부(500)가 베이스부(100)와 이동부(300) 사이의 치합(齒合)에 의해 이동부(300)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동부(300)의 제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리니어 모터 시스템(1) 및 관련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전 등으로 인해 마그넷으로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1)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이동부(300)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제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을 구성하는 제동부(5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를 구성하는 제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를 구성하는 제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를 구성하는 제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부(500)는 제1 제동 블록(510), 고정 블록(520), 제2 제동 블록(530) 및 구동 액츄에이터(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동 블록(510)은 베이스부(100)에 설치되며,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치형(齒形, Tooth)(5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동 블록(510)은 가이드부(400)의 LM 가이드 레일(410)과 인접한 위치에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제동 블록(510)이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제동 블록(510)은 LM 가이드 레일(410) 또는 LM 가이드 레일(410)이 설치된 레일 고정 블록(411)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 블록(520)은 이동부(300)에 설치되며, 후술할 제2 제동 블록(530) 및 구동 액츄에이터(540)를 이동부(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서는 고정 블록(520)이 이동부(300)에 형성된 개구부(301)에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블록(520)은 이동부(300)의 개구부(301)에 결합되는 제1 고정 블록(521), 후술할 제2 제동 블록(530)을 향하도록 제1 고정 블록(521)에 결합되는 제2 고정 블록(522), 제2 고정 블록(522)의 내부에 삽입되어 후술할 제2 구동 샤프트(553)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시(5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제동 블록(530)은 고정 블록(520)의 일단에 제1 제동 블록(510)을 향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제동 블록(510)과 치합(齒合)하는 복수의 제2 치형(5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동 블록(530)은 후술할 제2 구동 샤프트(553)에 연결되며, 구동 액츄에이터(540)로부터 전달되는 직선 왕복 구동력을 제공받아 제2 고정 블록(522)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 부시(523)의 안내를 받아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동 블록(510)에 형성된 제1 치형(511)과 제2 제동 블록(530)에 형성된 제2 치형(531)은 인접한 두 변이 일정한 각도 θ(대략 45도)를 이루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치형(511) 및 제2 치형(531)의 형상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구동 액츄에이터(540)는 고정 블록(520)의 타단에 설치되며, 제1 제동 블록(5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제동 블록(530)을 왕복 구동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액츄에이터(540)는 동력 전달 부재(550)에 의해 제2 제동 블록(530)에 직선 왕복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머, 이러한 동력 전달 부재(550)는 제1 구동 샤프트(551), 제1 구동 샤프트(551)에 연결된 구동 블록(552), 구동 블록에 연결된 제2 구동 샤프트(5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액츄에이터(54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공압 실린더(Pneumatic cylind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액츄에이터(540)를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리니어 모터 시스템(1)에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진공압을 이용하여 제2 제동 블록(530)을 구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부(500)는 고정 블록(520)과 제2 제동 블록(530)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제동 블록(5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제동 블록(5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제동 블록(530)은 구동 액츄에이터(540)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왕복 구동력과 탄성 부재(560)에 의해 탄성력에 의해 제1 제동 블록(510)과 치합(齒合)함으로써, 이동부(300)에 대한 제동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리니어 모터 시스템(1)에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제동 블록(530)을 구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 시스템를 구성하는 제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서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이 정상적으로 구동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의 (b)에서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1)이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서 제동부(500)가 구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동 상태에서는 제2 제동 블록(530)이 제1 제동 블록(51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동 액츄에이터(5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제2 제동 블록(530)을 제1 제동 블록(510)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시켜 제1 치형(511)과 제2 치형(531)이 서로 치합(齒合)하여 이동부(300)를 정지시키도록 구동 액츄에이터(5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액츄에이터(54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2 제동 블록(530)은 탄성 부재(560)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제1 제동 블록(510)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니어 모터 시스템
100: 베이스부 200: 구동부
210: 마그넷 트랫 220: 마그넷 코어
300: 이동부 400: 가이드부
500: 제동부 510: 제1 제동 블록
520: 고정 블록 530: 제2 제동 블록
540: 구동 액츄에이터 550: 동력 전달 부재
560: 탄성 부재

Claims (5)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왕복 구동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 상태에 따라 구동될 때에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의 치합(齒合)에 의해 상기 이동부를 정지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치형(齒形,Tooth)이 형성된 제1 제동 블록;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일단에 상기 제1 제동 블록을 향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블록과 치합(齒合)하는 복수의 제2 치형이 형성된 제2 제동 블록; 및
    상기 고정 블록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제동 블록을 왕복 구동시키는 공압 실린더(Pneumatic cylinder)를 포함하며,
    상기 공압 실린더는, 상기 구동부에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순간적으로 상기 제2 제동 블록을 상기 제1 제동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복수의 제1 치형과 상기 복수의 제2 치형이 서로 치합하여 상기 이동부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마그넷(Magnet)으로 구성된 마그넷 트랙(Magnet track);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그넷 트랙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 트랙과 상호 작용에 의해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Electromagnet)이 구비된 마그넷 코어(Magnet co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제동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제동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시스템.
  5. 삭제
KR1020180173683A 2018-12-31 2018-12-31 리니어 모터 시스템 KR101998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83A KR101998604B1 (ko) 2018-12-31 2018-12-31 리니어 모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83A KR101998604B1 (ko) 2018-12-31 2018-12-31 리니어 모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604B1 true KR101998604B1 (ko) 2019-07-10

Family

ID=6725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83A KR101998604B1 (ko) 2018-12-31 2018-12-31 리니어 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6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971A (ja) * 1996-10-03 1998-04-28 Fanuc Ltd リニアモータ走行軸の機械ブレーキ機構
KR20050017226A (ko) 2003-08-11 2005-02-22 미키풀리주식회사 리니어 엑츄에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
KR20050039669A (ko) * 2003-10-22 2005-04-29 가부시끼가이샤 닛페이도야마 리니어 모터 이송 슬라이더의 잠금 메커니즘 및 가공 기계
KR101101150B1 (ko) 2010-08-24 2012-01-05 (주)유지인트 리니어모터 브레이크 장치
JP2016036229A (ja) * 2014-08-04 2016-03-17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のブレーキ装置
KR101730974B1 (ko) * 2015-10-19 2017-04-28 주식회사에이엠피코리아 수직형 리니어모터의 낙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971A (ja) * 1996-10-03 1998-04-28 Fanuc Ltd リニアモータ走行軸の機械ブレーキ機構
KR20050017226A (ko) 2003-08-11 2005-02-22 미키풀리주식회사 리니어 엑츄에이터의 브레이크 시스템
KR20050039669A (ko) * 2003-10-22 2005-04-29 가부시끼가이샤 닛페이도야마 리니어 모터 이송 슬라이더의 잠금 메커니즘 및 가공 기계
KR101101150B1 (ko) 2010-08-24 2012-01-05 (주)유지인트 리니어모터 브레이크 장치
JP2016036229A (ja) * 2014-08-04 2016-03-17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のブレーキ装置
KR101730974B1 (ko) * 2015-10-19 2017-04-28 주식회사에이엠피코리아 수직형 리니어모터의 낙하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1075B2 (en) Emergency safety actuator for an elevator
JP4491702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7492066B2 (en) Machining apparatus
US7901167B2 (en) Machining apparatus with mechanism for retaining axial position of guide member
KR20080075216A (ko) 리니어 모터 액추에이터
US5950773A (en) Braking apparatus for a linear motion guiding apparatus
US8770077B2 (en) Punch press device
JPH114508A (ja) リニアモータテーブルの制動装置
KR101998604B1 (ko) 리니어 모터 시스템
JP2020054213A (ja) 滑り台装置
CN113685439A (zh) 一种用于天车龙门直线电机的自动制动装置
CA2636171C (en) Linear vibratory conveyor
JP2015230024A (ja) ベルトアクチュエータのブレーキ装置
KR102168148B1 (ko) 리니어 스테이지
ES2190165T3 (es) Dispositivo para mover como minimo un componente u otro objeto.
JP2002258950A (ja) 平面型x−yテーブル
KR101256870B1 (ko) 반발력 보상 선형 구동 시스템
KR100462577B1 (ko) 자수기의 수틀 구동장치
JP5440982B2 (ja) 部品振り分け装置
KR101101150B1 (ko) 리니어모터 브레이크 장치
KR101756800B1 (ko) 이동 가능한 테이블 시스템
JPH1162955A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16078152A (ja) 把持装置
JPH08200464A (ja) 直線往復動装置
JP2005291398A (ja) オフブレーキ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る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