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521B1 -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521B1
KR101998521B1 KR1020180078264A KR20180078264A KR101998521B1 KR 101998521 B1 KR101998521 B1 KR 101998521B1 KR 1020180078264 A KR1020180078264 A KR 1020180078264A KR 20180078264 A KR20180078264 A KR 20180078264A KR 101998521 B1 KR101998521 B1 KR 101998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escue
information
service server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홍
Original Assignee
이옥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홍 filed Critical 이옥홍
Priority to KR1020180078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a device worn by the person, e.g. a bracelet attached to the swim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2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2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B63B2728/0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신호 발생기가 부착된 구명조끼를 착용한 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기 설정된 지역을 벗어난 경우 자동 알람이 제공되며, 침수에 위한 위급상황 시 발생한 구조요청 정보를 구조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한 구조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Control method of underwater participants using rescue signal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신호 발생기가 부착된 구명조끼를 착용한 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기 설정된 지역을 벗어난 경우 자동 알람이 제공되며, 침수에 위한 위급상황 시 발생한 구조요청 정보를 구조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한 구조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상의 인명피해 및 참사로 인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정부 및 각 기업들은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및 신기술들을 앞다투어 개발해왔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나 사물 인터넷을 융합하여 적용하기에 이르고 있다.
그에 따라, 위급상황 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하여 구명조끼를 이용한 구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명조끼에 GPS모듈과 같은 장비를 내장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 및 기존 구명조끼를 사용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익수 등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 이후에 사용자의 위치정보 등을 구조단말기로 전송할 뿐이어서, 안전사고 자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는 미흡한 한계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4498호 (2016. 09. 25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신호 발생기가 부착된 구명조끼를 착용한 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기 설정된 지역을 벗어난 경우 자동 알람이 제공되며, 침수에 위한 위급상황 시 발생한 구조요청 정보를 구조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한 구조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팽창식 구명조끼의 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일정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 기 페어링한 이동단말기와 근거리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통신부의 송수신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조신호 발생기가 부착된 상기 팽창식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상기 이동단말기 인근에 위치한 수중활동 참여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가 관리단말기로부터 안전지역 설정정보 또는 위험지역 설정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일정한 조건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지역 설정정보 또는 위험지역 설정정보를 기준으로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이동단말기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기 알람정보를 상기 관리단말기로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활동 참여자의 관리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못한 경우, 상기 관리단말기로 상기 이동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활동 참여자의 관리방법은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가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여 송신한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가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한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는 수중활동 참여자의 체온정보를 적외선을 통해 감지하는 비접촉 체온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의 구조요청 개시신호 송신 시 상기 비접촉 체온감지부로부터 수득한 체온정보도 함께 상기 이동단말기로 송신하여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체온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구조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 발생기가 부착된 팽창식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구조신호 발생기와 페어링한 이동단말기를 소지한 수중활동 참여자로부터 관리단말기가 일정한 조건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전달받으므로 안전지역을 벗어나거나 또는 위험지역에 들어가는 것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이동단말기로도 알람정보가 전송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또한, 팽창식 구명조끼에 부착된 구조신호 발생기가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페어링한 이동단말기로 구조요청 개신신호를 송신하면, 이동단말기에서 위치정보나 체온정보 등이 포함된 구조요청 신호정보를 서비스 서버를 통해 관리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므로, 신속한 구조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 발생기의 압력감지부가 일정한 조건, 일예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적인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또는 추가적으로 수분감지부를 통해 수분을 감지한 경우, 또는 추가적으로 수압감지부를 통해 일정 이상의 수압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구조요청 개시신호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위급하지 않은 상황에서 오작동에 의한 불필요한 구조요청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 발생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 발생기가 장착된 팽창식 구명조끼의 외피 및 내피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단말기에서 이동단말기 위치가 보여지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 방법에 대한 순서도.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송”, “송신”, “수신"은 무선 방식을 전제로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유선 방식에 의한 것도 배제하지 않으며, 양자 간 직접적인 전송, 송신, 수신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채체를 두고 전송, 송신, 수신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 시스템(10, 이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시스템(10)은 크게 구조신호 발생기(100), 이를 부착한 팽창식 구명조끼(200), 구명조끼(200) 착용자 등이 소지한 이동단말기(300), 관리단말기(500)로부터 안전지역 설정정보 또는 위험지역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상황 시 이동단말기(300)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400), 수중활동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전달받고, 침수로 인해 구명조끼(200)가 팽창되어 발생한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단말기(500)를 기본으로 포함하며, 침수로 인한 구조요청 신호 발생 시, 즉각적인 구조활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구조단말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식 구명조끼(200)는 착용자가 수동으로 팽창시키거나 또는 수분감지, 수압감지 등에 의해 자동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일예로 자동 팽창식일 경우, 수압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하면 내부의 인플레이터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팽창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식 구명조끼(200)는 구조신호 발생기(100)를 수용하는 방수 가능한 팩 등을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팽창식 구명조끼(200)의 내피와 외피 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3과 같이 외피에도 부착할 수도 있다. 즉, 내피가 팽창하면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의 압력감지부(110)가 일정한 압력을 감지할 수만 있으면 문제되지 않는다.
이동단말기(300)는 구조신호 발생기(100)와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통신 수단을 통해 페어링되며, 이후 상호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내장 GPS 모듈(310)을 통해 수득한 위치정보를 일정한 조건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일정한 조건은 이동단말기(300)의 전력소비를 낮추기 위해 이동단말기(300)에서 관리단말기(500)가 설정한 안전지역 또는 위험지역 설정정보를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와 비교한 후 위험상황이라 판단되는 경우에만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익수 등에 의해 구명조끼(200)가 팽창되어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가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면, 이동단말기(300)는 이를 수신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400)는, 수중활동 참여자의 관리 서비스에 필요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서비스 서버(400)와 연동하는 다른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도록 연계하는 서버일 수 있다.
특별히 본 서비스 서버(400)는 관리본부나 인솔자의 관리단말기(500)에서 안전지역 또는 위험지역으로 설정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정보도 일정한 조건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저장한다. 또한, 이동단말기(300) 위치정보가 설정한 안전지역을 벗어나거나, 위험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단말기(300) 또는 관리단말기(600)로 알람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알람정보는 문자메시지 형태일 수 있으며, 경고음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못한 경우에는 관리단말기(500)로 상기 이동단말기(300)의 고유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가 비접촉 체온감지부(16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수중활동 참여자의 체온정보도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400)는 이동단말기(300)에서 위치정보 또는 착용자 체온정보 등의 구조요청 정보를 전송받아 가독성이 좋도록 그래픽 처리한 후 구조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단말기(500)에서 이동단말기(300)의 실시간 위치 파악을 위한 피드백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도록 상기 이동단말기(300)로 실시간 위치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400)는 이동단말기(300)의 신호가 없어지거나 약해질 때, 구조단말기(500)로 위급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400)는 수신한 구조요청 정보를 식별하여 구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수신한 구조요청 정보와 식별코드를 매칭하여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코드란 구조요청 정보를 전송한 이동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 접근하기 위해 설정한 로그인 정보 또는 사용자 개인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는 구조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단말기(300)의 고유번호는 전화번호, 단말기 시리얼 번호, 인터넷 포트 넘버 또는 IP 주소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400)는 서버통신 모듈(410), 사용자인증 모듈(420), 식별 모듈(430), 구분저장 모듈(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통신 모듈(410)은 이동단말기(300) 및 관리단말기(500), 구조단말기(6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며, 사용자인증 모듈(420)은 구조요청 정보를 저장하거나 접근하기 원하는 사용자의 회원가입, 로그인 시 사용자 인증 등을 담당한다. 또한, 향후 일정한 인증을 거친 단말기에 대하여 해당하는 구조요청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승인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여기서, 일정한 인증이란 통상적인 서비스 서버(400)에 접근하기 위한 로그인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제공한 이동단말기(300) 등에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한 비밀번호일 수도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300)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서버 관리자의 승낙을 받은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모듈(430)은 수신한 구조요청 정보와 식별코드와 매칭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여기서 식별코드란 구조요청 정보를 전송한 이동단말기(300)의 고유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 접근하기 위해 설정한 로그인 정보 또는 사용자 개인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일정한 인증을 거친 단말기가 해당 구조요청 정보의 접근 요청을 하는 경우, 매칭된 식별코드를 통해 신속하게 해당 구조요청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구분저장 모듈(440)은 수신한 초기 구조요청 정보의 저장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매칭된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게 된다.
관리단말기(500)는 수중활동 참여자의 안전을 담당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 또는 관리본부 등에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다. 관리단말기(500)에서 안전지역 또는 위험지역를 설정하여, 이에 대한 설정정보를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이동단말기(300)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데, 도 4와 같이 관리단말기(500)에서 안전지역 및 위험지역 설정정보가 보여지면서 동시에 수중활동 참여자의 이동단말기(300) 위치가 보여지므로 관리자는 다수의 수중활동 참여자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구조단말기(600)는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위급시 발생한 구조요청 정보를 전송받아 구조관리자 등이 신속한 구조활동을 가능하게 하여준다.
이하,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신호 발생기(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구성도다.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팽창식 구명조끼(2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명조끼(200)와 구분된 별개의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팽창식 구명조끼(200)에도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의 부착시켜 고정시키기만 하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구조신호 발생기(100) 일측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측에는 조명부(180)를 설치하여, 야간 구조작업 시 구조자가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팽창식 구명조끼(200)가 위험상황 등에서 자동으로 팽창되거나 또는 착용자에 의해 강제 팽창된 경우, 그 팽창에 의해 구조신호 발생기(100)로 가해지는 일정한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가압이 일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기 페어링된 이동단말기(300)로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기(300)가 외부의 서비스 서버(400)로 구조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신속한 구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구명조끼(200)의 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일정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감지부(110)는 외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압력감지부(110)는 구조신호 발생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보다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구명조끼(200)가 팽창 시 돌출된 압력감지부(110)가 눌려지면서 일정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압력감지부(110)는 구조신호 발생기(100) 외관보다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구명조끼(200)에 형성된 고정 수단은 상기 압력감지부(110)와 접촉되는 지점이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주변의 이동단말기(300)와 근거리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120)를 포함한다. 근거리통신부(120)는 초기 상기 이동단말기(300)와 페어링 신호를 송수신하며, 위급상황 시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이동단말기(300)로 송신하여 상기 이동단말기(300)의 내장 GPS모듈(310)에서 수득한 위치정보 등을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이동단말기(300)가 서비스 서버(400)를 거치지 않고 관리단말기(500) 또는 구조단말기(600)로 직접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부(120)는 대표적으로 블루투스 모듈, 비콘 모듈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단말기(300)와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 간에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페어링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구조신호 단말기(100)의 전원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근거리통신부(120)가 상시적으로 이동단말기(300)와 송수신하기 보다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로부터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이동단말기(300)로 송신하라는 제어신호를 받은 경우에만 활성화되어 이동단말기(300)와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이동단말기(300)가 근거리통신부(120)로부터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수신할 경우, 이동단말기(300)에 내장된 GPS모듈(310)이 수득한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조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구조요청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이동단말기(300)에서 서비스 서버(400)로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 구조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이동단말기(300)에 별도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상기 압력감지부(110)가 감지한 압력이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근거리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300)로 구조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압력감지부(110)가 감지한 압력이 구명조끼(200)의 팽창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외부에서 전달받은 압력에 의한 것인지 판단한다.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압력감지부(110)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단말기(300)로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감지부(110)에 압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감도 모듈(111)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력감지부(110)가 감지한 압력이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이면서 동시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만 제어부(130)가 상기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를 구명조끼(200)에 부착할 때, 구명조끼(200)가 팽창하지 않았음에도 부착과정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구조신호 발생기(100)의 작동 개시 이후,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 강도를 압력감도 모듈(111)이 감지하고, 이를 구명조끼(200)와 부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식하여, 그 이상의 압력 강도가 발생한 경우에만 제어부(130)가 상기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압력감지부(110)가 압력을 감지한 경우 일정한 경보음 등을 발생시켜 착용자가 구조신호 발생기(100)에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는 것을 신속히 인지하여, 만약 외부의 잘못된 압력이 있는 경우 이러한 압력이 지속되지 않도록 하는 압력알림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감지부(150)는 구명조끼(200) 착용자가 물속에 빠졌을 때 일정한 수분을 감지하게 되므로, 압력감지부(110)만 존재하는 경우보다 착용자의 익수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감지부(150)를 구조신호 발생기(100) 내부에 위치하게 하고, 구조신호 발생기(100)에 적은 양의 물이 입수되도록 입수구를 작게 형성하면 침수에 의하지 않은 수분 감지 현상을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수분감지부(150)에서 수분을 감지하고, 동시에 압력감지부(110)가 감지한 압력이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근거리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300)로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감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압감지부(190)는 구명조끼(200) 착용자가 물속에 빠졌을 때 일정한 수압을 감지하게 되므로, 압력감지부(110)만 존재하는 경우보다 착용자의 익수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수압감지부(190)에서 수분을 감지하고, 동시에 압력감지부(110)가 감지한 압력이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근거리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300)로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제어부(130)는 수압감지부(190) 또는 수분감지부(150)로부터 각각 받은 정보를 토대로 상호 연동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판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는 구명조끼(200) 착용한 수중활동 참여자의 체온정보를 적외선을 이용하여 비접촉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 체온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물에 빠진 수중활동 참여자의 체온을 접촉방식으로 측정할 경우 차가운 물에 의해 정확히 체온을 측정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접촉 체온감지부(16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수중활동 참여자의 체온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물에 의한 간섭을 막기 위해서 상기 비접촉 체온감지부(160)를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의 상단에 위치하고, 비접촉 체온감지부(160)로부터 발생된 적외선이 상기 수중활동 참여자의 얼굴에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익수 상황으로 판단하여 근거리통신부(120)에서 이동단말기(300)로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수득한 체온정보도 함께 이동단말기(300)로 송신하도록 하고, 이후 이동단말기(300)가 서비스 서버(400)로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체온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활동 참여자의 관리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아래 관리방법은 구조신호 발생기(100)가 부착된 팽창식 구명조끼(200)를 착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등이 소지한 이동단말기(300)와 구조신호 발생기(100)간 페어링되어 상호간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전제로 하여야 한다.
먼저, 서비스 서버(400)가 관리단말기(500)로부터 안전지역 설정정보 또는 위험지역 설정정보를 전송받는다. (S100 단계) 이는 다수의 참여자를 관리 통솔함에 있어서 용이함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안전지역 또는 위험지역 설정은 관리단말기(500)에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관리단말기(500)에서 지도 이미지가 제공되고, 특정한 지점영역을 선택하여 안전지역 또는 위험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이에 대한 정보가 확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관리단말기(500)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를 안전지역으로, 일정 거리 이상을 위험지역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인솔자가 관리단말기(500)를 소지하며 이동하더라도 그에따라 안전지역 등이 실시간으로 설정되어 용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500)가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일정한 조건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S200 단계) 이 단계에서 이동단말기(300)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는 위급상황 발생에 따른 구조신호 발생기(100)의 구조요청 개시신호에 따른 것이 아니며, 참여자의 위치를 단순히 파악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300)에서 일정한 조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정한 조건이란 안전지역 또는 위험지역 설정정보와 연계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 예로 이동단말기(300) 위치가 안전지역 경계에서 일정 범위내로 접근되었을 때에만 또는 위험지역 경계에서 일정 범위 이상 이탈된 경우일 때에만, 이동단말기(300)에서 서비스 서버(500)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안전지역 또는 위험지역 설정정보를 이동단말기(300)도 전송받아 실시간 위치정보를 토대로 이동단말기(300) 자체적으로 판단한 후 일정 조건에 해당할 때만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럴 경우,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비해 전력소모 및 통신비용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400)는 안전지역 또는 위험지역 설정정보와 전송받은 이동단말기 위치정보를 대비한 후, 이동단말기(300) 위치가 안전지역을 이탈하거나 위험지역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S300 단계), 이동단말기(300)로 알람정보를 전송한다. (S400 단계) 여기서 알람정보는 참여자가 위험상태에 있다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문자서비스, 경고음 발생신호, 통화를 위한 착신신호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400)는 이러한 위험상태를 관리자도 인지할 수 있도록 이동단말기(300)가 상기 알람정보를 관리단말기(500)로도 전송한다. (S500 단계) 이를 통해, 관리자는 상기 이동단말기(300)로 통화를 하여 해당 참여자가 즉시 안전지역으로 들어도록 하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이동단말기(300) 위치로 찾아가서 해당 참여자를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언급한 각 단계의 순서와 무관하게, 구조신호 발생기(100)의 압력감지부(110)가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였는지 판단하고(S100‘ 단계), 그에 해당하면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300)로 송신하고(S200’ 단계), 그 당시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한다.(S300’ 단계) 참고로, 구조요청 개시신호 발생과 관련한 세부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참여자가 물에 빠져 상기 구명조끼(200)가 팽창될 경우, 구조신호 발생기(100)의 압렴감지부(110)는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하며, 제어부(130)에서 기 설정된 일정 조건에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일정 조건은 일 예로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인 압력이나 또는 일정 강도 이상의 압력 등일 수 있다. 만약 일정 조건에 충족할 경우 제어부(130)가 근거리통신부(120)를 통해 페어링한 이동단말기(300)로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100)가 수분감지부(150) 또는 수압감지부(190)를 포함하고 있다면, 이들로부터 수신한 일정한 감지신호도 함께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압력감지부(110)가 감지한 압력이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상기 수분감지부(150)가 일정 이상의 수분도 감지하는 경우 또는 상기 수압감지부(190)가 일정 이상의 수압도 감지하는 경우, 근거리통신부(120)가 이동단말기(300)로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구조신호 발생기(100)에 비접촉 체온감지부(160)가 설치된 경우, 수득한 체온정보도 이동단말기(300)로 함께 송신하여 이동단말기(300)가 상기 체온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정보를 서비스 서버(4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참여자를 침수에 의해 위급상황에서 구조하기 위하여, 서비스 서버(400)는 수신한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관리단말기(500) 또는 구조단말기(600)로 전송한다. (S400‘ 단계) 이를 통해 관리자 또는 구조자는 신속히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구조활동을 펼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 구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구조신호 발생기
110 : 압력감지부 111: 압력감도 모듈
120 : 근거리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압력알림부 150 : 수분감지부
160 : 비접촉 체온감지부 170 : 손잡이부
180 : 조명부 190 : 수압감지부
200 : 구명조끼 300 : 이동단말기
310 : GPS 모듈 320 : 무선통신모듈
400 : 서비스 서버 410 : 서버통신모듈
420 : 사용자 인증 모듈 430 : 식별모듈
440 : 구분저장모듈 500 : 구조단말기
600 :: 외부 단말기

Claims (5)

  1. 팽창식 구명조끼의 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일정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 수분감지부; 수압감지부; GPS 모듈이 내장된 이동단말기와 기 페어링된 상태에서 근거리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통신부의 송수신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조신호 발생기가 부착된 상기 팽창식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를 소지한 수중활동 참여자의 안전지역 이탈여부 및 침수에 따른 위험상황 여부를 관리하는 수중활동 참여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중활동 참여자의 안전지역 이탈여부는
    서비스 서버가 관리단말기로부터 안전지역 설정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안전지역 설정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안전지역 설정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GPS 모듈로부터 받은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안전지역 경계에서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하면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안전지역 설정정보를 기준으로 위험상황으로 판단하면, 상기 이동단말기 및 관리단말기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위치정보를 전송받지 못한 경우, 상기 관리단말기로 상기 이동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중활동 참여자의 침수에 따른 위험상황 여부는
    상기 압력감지부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수분감지부가 일정 이상의 수분을 감지하며 상기 수압감지부가 일정 이상의 수압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구조요청 개시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득한 위치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한 상기 구조요청 정보를 상기 관리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활동 참여자의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단말기로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활동 참여자의 관리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는 수중활동 참여자의 체온정보를 적외선을 통해 감지하는 비접촉 체온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신호 발생기의 구조요청 개시신호 송신 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비접촉 체온감지부로부터 수득한 체온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체온정보를 포함한 구조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활동 참여자의 관리방법.
KR1020180078264A 2018-07-05 2018-07-05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 KR101998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64A KR101998521B1 (ko) 2018-07-05 2018-07-05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64A KR101998521B1 (ko) 2018-07-05 2018-07-05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521B1 true KR101998521B1 (ko) 2019-10-01

Family

ID=6820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64A KR101998521B1 (ko) 2018-07-05 2018-07-05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5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991B1 (ko) * 2019-12-31 2020-06-01 (주)오엔케이알트레이딩 구명 조끼를 이용한 안전 사고 관제 시스템
KR102197671B1 (ko) * 2020-06-22 2020-12-31 대한민국 수난 구조 대원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64092A (ko) * 2020-11-11 2022-05-18 에이치웨이 주식회사 스마트 경광등 시스템
KR102628542B1 (ko) 2022-10-06 2024-01-23 대한민국 인공지능 기반 해양 구조신호 자동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446A (ko) * 2006-06-15 2007-12-20 주식회사 엘림시스 개인형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조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0639B1 (ko) *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4498A (ko) 2015-02-26 2016-09-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Gps장착 구명조끼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해난방지 안전 시스템
KR101870208B1 (ko) * 2017-07-24 2018-07-20 이옥홍 Gps 기반 수상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446A (ko) * 2006-06-15 2007-12-20 주식회사 엘림시스 개인형 긴급 위치정보 송신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조난자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0639B1 (ko) *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4498A (ko) 2015-02-26 2016-09-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Gps장착 구명조끼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해난방지 안전 시스템
KR101870208B1 (ko) * 2017-07-24 2018-07-20 이옥홍 Gps 기반 수상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991B1 (ko) * 2019-12-31 2020-06-01 (주)오엔케이알트레이딩 구명 조끼를 이용한 안전 사고 관제 시스템
KR102197671B1 (ko) * 2020-06-22 2020-12-31 대한민국 수난 구조 대원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64092A (ko) * 2020-11-11 2022-05-18 에이치웨이 주식회사 스마트 경광등 시스템
KR102439178B1 (ko) 2020-11-11 2022-09-01 에이치웨이 주식회사 스마트 경광등 시스템
KR102628542B1 (ko) 2022-10-06 2024-01-23 대한민국 인공지능 기반 해양 구조신호 자동 식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521B1 (ko)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
US10154401B2 (en) Safety device utilizing a beacon
KR101886158B1 (ko)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US11188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KR101729775B1 (ko) 대피경로 제공 기능을 구비한 실내 재난 통신 시스템 및 실내 재난 통신 방법
US1014281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KR101804129B1 (ko) 안전 부표
KR101875377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102116563B1 (ko) 선박의 승객 조난 탐지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79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ght-based identification
CN107251119B (zh) 徘徊通知服务器以及徘徊通知系统
KR101870208B1 (ko) Gps 기반 수상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87457B1 (ko) 라우터를 갖는 인명구조함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구조 시스템
CN104464196A (zh) 一种安全游泳系统
US10093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an overboard situation
ITVR20100008A1 (it) Capo d'abbigliamento per la sorveglianza e il pattugliamento e sistema di sorveglianza territoriale
JP2000505216A (ja) 自己探索型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40124685A (ko) 스마트와치 연동에 의한 취약지역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4350A (ko) 조난신호 발생장치
KR102513984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1509924B1 (ko) 범죄 예방 휴대장치, 이를 포함한 범죄 감시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1292B1 (ko) 위치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실내 재난 통신 시스템 및 실내 재난 통신 방법
JP2023524377A (ja) 移動体の監視のためのモバイルベー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407829B1 (ko) 탈부착 가능한 조난 대비용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JP2020004242A (ja) 置き去り対応制御装置および置き去り対応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