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427B1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427B1
KR101998427B1 KR1020130045903A KR20130045903A KR101998427B1 KR 101998427 B1 KR101998427 B1 KR 101998427B1 KR 1020130045903 A KR1020130045903 A KR 1020130045903A KR 20130045903 A KR20130045903 A KR 20130045903A KR 101998427 B1 KR101998427 B1 KR 101998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reel
tubular body
magnetic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741A (ko
Inventor
요시히토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구동부의 지지 구조 부분에서 수분이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은 핸들(2A)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부(7)와, 구동부(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6A)과, 구동부(7) 및 베어링(6A)을 외측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덮는 통 형상체(21)를 구비한다. 또한, 통 형상체(21)는 베어링(6A)과 대향하는 부위에, 통 형상체(21)의 내측 구멍(51)을 통해 베어링(6A)으로 도달하는 수분을 통 형상체(2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홈(52)을 갖는다.

Descrip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릴 본체에 설치한 권취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낚싯줄을 스풀에 권회하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의 회전 조작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의 지지 구조 부분을 릴 본체 내에 침입하는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구조에 특징을 갖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낚시용 릴은 핸들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낚싯줄을 스풀에 권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구에는 핸들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구동부)이 설치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구동축은 릴 본체에 설치한 볼 베어링(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낚시용 릴을 실제의 낚시터에서 사용할 때에는, 릴 본체에 해수, 모래, 이물질 등이 부착되기 쉽다고 하는 특유의 문제가 있어, 이들은 릴 본체 외부의 간극을 통해 내부에 침입하여,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에 부착ㆍ침입해 버린다. 그리고, 볼 베어링에 해수, 모래, 이물질 등이 부착되거나 침입하면, 볼 베어링이 부식되거나, 회전 성능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의 대책으로서, 볼 베어링에 근접하는 구동축의 외주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를 접촉시키거나, 혹은 자기 시일을 설치하는 것 등을 하여 볼 베어링의 방수, 방진을 도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19742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10256호
그러나,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구동축의 지지 구조 부분의 형태에 따라서는, 볼 베어링 부근에서 폐색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는, 릴 본체 내에 침입한 수분이 상기 폐색 공간에 저류되기 쉬워진다. 특히, 릴 본체 내에 침입하는 수분이 해수인 경우에는, 폐색 공간에 저류된 수분이 증발하여 이 부위에서 염분이 고화되어 버리면, 구동축의 회전 성능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베어링을 포함하는 구동부의 지지 구조 부분에서 수분이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의 회전 조작으로 스풀에 낚싯줄을 권회 가능하게 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구동부 및 베어링을 외측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덮는 통 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 형상체는 상기 베어링과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통 형상체의 내측 구멍을 통해 상기 베어링으로 도달하는 수분을 통 형상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릴 본체 내에 침입하여 통 형상체의 내측 구멍을 통해 베어링으로 도달하는 수분을 배수 홈을 통해 통 형상체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 부근에서 수분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녹이나 염분 등에 기인하는 구동부의 회전 성능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용 릴에 따르면, 베어링으로 도달하는 수분을 통 형상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홈의 존재에 의해, 베어링을 포함하는 구동부의 지지 구조 부분에서 수분이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닝 릴로서의 낚시용 릴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낚시용 릴의 리어 캡의 착탈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낚시용 릴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낚시용 릴의 통 형상체로서의 지지 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X방향 화살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릴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은, 특히 해수 등이 침입하기 쉬운 해안가 등에서 사용되는 로터 브레이크 방식의 스피닝 릴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닝 릴의 릴 본체(1)에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다리(1a)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9)와, 로터(9)의 회전 운동과 동기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10)이 배치되어 있다.
로터(9)는 스풀(10)의 주위를 회전하는 한 쌍의 아암부(9c)를 구비하고 있고, 각 아암부(9c)의 각각의 전단부에는 베일(9a)의 기단부를 설치한 베일 지지 부재(9e)가 낚싯줄 권취 위치와 낚싯줄 방출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베일(9a)의 한쪽의 기단부는 베일 지지 부재(9e)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낚싯줄 안내부(9b)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피닝 릴에서는, 릴 본체(1)의 배면부[스풀(10)과 반대측의 부분]에 다른 형상의 리어 캡(90A, 90B)을 교환 가능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릴 본체(1)를 공통으로 하면서 의장면에서 차별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제1 리어 캡(90A)과,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제2 리어 캡(90B)을 릴 본체(1)의 배면부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리어 캡(90B)은 제1 리어 캡(90A)으로부터 릴 다리(1a)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102)를 부설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릴 본체(1)의 배면부에는 2종류(혹은, 그 이상의 종류여도 좋음)의 리어 캡(90A, 90B)을 착탈할 수 있도록, 캡(90A, 90B)이 동일 평면으로 접합할 수 있는 단차 형상의 접합면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리어 캡(90A, 90B)에 공통의 하측 접합면(1c)과, 제2 리어 캡(90B)에 전용의 상측 접합면(1b)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리어 캡(90A)을 나사 부재(95)를 사용하여 릴 본체(1)의 배면부에 설치하면, 제1 리어 캡(90A)의 하부 선단이 하측 접합면(1c)에 덧대어지고, 제1 리어 캡(90A)의 상부 선단과 상측 접합면(1b) 사이에 오목 형상의 단차부(91)가 남는다(도 1 참조). 한편, 제2 리어 캡(90B)을 나사 부재(95)를 사용하여 릴 본체(1)의 배면부에 설치하면, 제2 리어 캡(90B)의 하부 선단이 하측 접합면(1c)에 덧대어지는 동시에, 제2 리어 캡(90B)의 상부 선단이 상측 접합면(1b)에 덧대어진다[도 2의 (b) 참조]. 이때, 제2 리어 캡(90B)의 연장부(102)와 릴 본체(1) 사이에 간극(또는, 관통 구멍)(98)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리어 캡(90A, 90B)을 릴 본체(1)에 대해 설치하기 위한 나사 부재(95)는 헤드부(95a)와 나사축부(95b)로 이루어지고, 헤드부(95a)가 캡(90A, 90B)의 삽입 관통 구멍(97)에 매몰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나사축부(95b)가 릴 본체(1)의 배면의 나사 구멍(99)에 나사 결합된다.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닝 릴의 릴 본체(1)에는 핸들축(2)이 베어링(3A, 3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핸들축(2)의 단부에는 권취 조작되는 핸들(2A)이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3A, 3B)은 릴 본체(1)와 핸들축(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핸들축(2)을 릴 본체(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핸들축(2)에는 드라이브 기어(4)가 일체 회전 가능해지도록 외부 끼움되어 있고, 베어링(3A, 3B)은 드라이브 기어(4)에 일체 형성되는 통축부(구동부)(4a)와 릴 본체(1) 사이에 개재 삽입되어, 핸들축(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핸들축(2)은 릴 본체(1)에 대해, 좌우의 재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핸들축(2)의 선단측에는 릴 본체의 타방측으로부터 핸들축(2)을 빠짐 방지하는 비스(2a)가 스페이서(2b)를 개재시켜 나사 삽입되도록 암나사부(2e)가 형성되어 있다. 릴 본체(1)의 반핸들측에는 커버 부재(2c)가 릴 본체(1)에 대해 나사 결합되어 있어, 비스(2a)를 폐색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의 구성에 있어서 핸들을 재부착하는 경우, 커버 부재(2c)를 릴 본체(1)로부터 떼는 동시에, 비스(2a)를 풀어줌으로써, 핸들축(2)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거한 핸들축(2)을 반대측으로부터 통축부(4a)에 끼워 맞추고, 또한 그 반대측으로부터 스페이서(2b)를 개재시키고 비스(2a)를 나사 결합시켜, 최종적으로 커버 부재(2c)를 장착하면 된다.
또한, 구동부가 되는 통축부(4a)에는 베어링(3A, 3B)에 인접하고, 후술하는 자기 시일 기구(30A)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 시일 기구(30A)는 릴 본체(1)[릴 본체(1)와 일체화되는 통 형상체로서의 커버 지지 부재(1d)]와 드라이브 기어(4)의 통축부(구동부)(4a) 사이에서, 통축부(4a) 상에 배치된 베어링(3B)을 시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핸들축(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는 드라이브 기어(4)에는 핸들축(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어링(6A, 6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구동부)(7)의 이부(7A)가 맞물려 있다. 피니언 기어(7)의 선단부에는 로터 너트(8)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베일(9a) 및 낚싯줄 안내부(9b)를 구비한 로터(9)가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7)는 축방향을 따라서 관통하고 있고, 그 내부에는 선단에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10)을 보유 지지한 스풀축(11)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스풀축(11)의 기단부측에는 공지의 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고, 핸들축(2)이 핸들(2A)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었을 때, 스풀축(11)은 축방향을 따라서 왕복 구동된다. 이 경우, 스풀축(11)에는 로터(9)를 피니언 기어(7)에 고정하는 로터 너트(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로터 너트(8) 사이에 베어링(13)이 개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풀축(11)은 피니언 기어(7)의 선단 테두리에 설치되는 컬러 부재(비자성 부재로 구성됨)(15)에 삽입 관통되어 있고, 베어링(13)은 컬러 부재(15)와 로터 너트(8)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컬러 부재(15)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이나 합성 수지재(예를 들어, POM재) 등으로 형성되고, 스풀축(11)의 외주에 회전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어, 베어링(13)의 내륜 내주에 다소 압입 형태로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컬러 부재(15)에는 베어링(13)에 인접하고, 후술하는 자기 시일 기구(30B)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핸들(2A)을 회전 조작하면, 상기 진동 기구를 통해 스풀(10)이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동시에, 로터(9)가 드라이브 기어(4) 및 피니언 기어(7)를 통해 회전 구동하므로, 스풀(10)에는 낚싯줄 안내부(9b)를 통해 낚싯줄이 균등하게 권회된다.
또한, 릴 본체(1) 내에는 로터(9)를 프리 회전 상태로 하고 있었을 때에 물고기가 걸리고, 로터(9)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역회전했을 때), 로터(9)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하는 공지의 제동 기구(20)가 배치되어 있다.
제동 기구(20)는 릴 본체(1)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통 형상체로서의 지지 부재(21)[정확하게는, 지지 부재(21)의 후술하는 지지부(21a)]에, 베어링(2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브레이크 로터(23)와, 브레이크 로터(2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일체 회전 가능하게 회전을 멈추어 끼워 맞추어지고, 스프링(24)에 의해 후방측으로 가압된 윤대 형상의 제동판(25)과, 이 제동판(25)을 끼움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압접편(26a) 및 브레이크 슈(26b)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압접편(26a)은 릴 본체(1)의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브레이크 슈(26b)는 압접편(26a)을 향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9)의 내면에는 래칫(9c)이 고정되어 있고, 이 래칫(9c)에는 브레이크 로터(2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토퍼(23a)가 결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7)에는 플랜지(27a)가 형성된 통 부재(27)가 외부 끼움되어 있고, 플랜지(27a)에는 스토퍼(23a)에 결합하는 마찰 스프링(28)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마찰 스프링(28)은 로터(9)가 역회전했을 때, 스토퍼(23a)를 래칫(9c)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로터(9)가 역회전하면, 마찰 스프링(28)에 의해, 스토퍼(23a)가 래칫(9c)과 결합하고, 제동판(25)은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로터(23)와 함께 일체적으로 역회전한다.
브레이크 슈(26b)는 릴 본체(1)의 릴 다리(1a)(도 1 참조)에 대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100)(도 1 참조)를 견인 조작함으로써, 압접편(26a)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로터(9)가 역회전했을 때에 조작 레버를 견인 조작함으로써, 압접편(26a)과 브레이크 슈(26b) 사이에서 제동판(25)을 끼움 지지하여 로터(9)에 대해 원하는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베어링(3A, 3B)(13, 22)을 시일하는 전술한 자기 시일 기구[30A(30B, 30C)]는 비자성의 통축부(4a)[컬러 부재(15), 브레이크 로터(23)]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링 형상 자석(31)과, 링 형상 자석(31)을 양측으로부터 보유 지지하는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자기 링)(32)와, 통축부(4a)[컬러 부재(15), 브레이크 로터(23)]에 끼워 맞추어져(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끼움되어 있음), 적어도 보유 지지 부재(32)와 대향하는 길이를 갖는 동시에, 보유 지지 부재(32)와의 사이에서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통 형상의 자성체(33)와, 링 형상 자석(31)과 통 형상의 자성체(33)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자성유체(3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보유 지지 부재(32)는 링 형상 자석(31)을 끼움 지지하여 보유 지지하고, 또한 링 형상 자석(31)의 내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오목부가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링 형상 자석(31)을 끼움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32)는 통 형상의 자성체(33)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의 자성체(33)는 철계의 재료, 예를 들어 강재, SUS 430, SUS 440C, SUS 630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링 형상 자석(31)에 의해, 이것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32) 및 통 형상의 자성체(33) 사이에는 자기 회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의 자성체(33)의 길이에 대해서는, 상기한 자기 회로가 생길 정도의 길이(자성유체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으면 좋고, 보유 지지 부재(32)가 커버되도록, 보유 지지 부재(32)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다소 길게 형성되어 있다.
자성유체(35)는, 예를 들어 Fe3O4와 같은 자성 미립자를, 계면 활성제 및 베이스 오일로 분산시켜 구성된 것으로, 점성이 있고 자석을 근접시키면 반응하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성유체(35)는 링 형상 자석(31), 이것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32) 및 통 형상의 자성체(33)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회로에 의해, 상기 오목부 내 및 상기 간극 내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되어, 베어링을 시일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동 기구(20)를 지지하는 통 형상체로서의 전술한 지지 부재(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로서의 피니언 기어(7) 및 베어링(6A)을 외측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덮고 있고,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기구(20)를 지지하는[직접적으로는 베어링(22)을 지지함] 지지부(21a)와, 베어링(6A) 또는 이것을 지지하는 릴 본체(1)의 지지 부위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덧대어 베어링(6A)의 빠짐 방지를 행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21b)를 갖고 있고, 릴 본체(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이 고정 상태에서는, 통 형상의 지지부(21a)의 내측 구멍(51)의 내경이 피니언 기어(7)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통 부재(27)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지지부(21a)의 내면과 통 부재(27)의 외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 부재(21)는, 특히 그 선단측(도 3에서는 상측)으로부터 지지부(21a)의 내면과 통 부재(27)의 외면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가 베어링(6A)에 도달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베어링(6A)과 대향하는 부위,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방지부(21b)의 내면 부위에, 베어링(6A)으로 도달하는 수분을 지지 부재(21)의 외부[지지 부재(21)의 기단부측(도 3의 하측)]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홈(52)을 갖는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홈(52)이, 지지 부재(2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릴 본체(1) 내에 침입하여 지지 부재(21)의 내측 구멍(51)을 통해 베어링(6A)으로 도달하는 수분을 배수 홈(52)을 통해 지지 부재(2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6A) 부근에서 수분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녹이나 염분 등에 기인하는 피니언 기어(7)의 회전 성능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피닝 릴에서는, 스풀(10)을 상향 형태로 하여 실을 권취하는 동작을 하는 경우가 많고, 그때에, 수분이 지지부(21a)의 내면과 통 부재(27)의 외면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가 베어링(6A)에 도달하기 쉽지만, 배수 홈(52)에 의해 수분을 하측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유익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동부가 되는 피니언 기어(7)에는 베어링(6A)에 인접하고, 자기 시일 기구(30D)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자기 시일 기구(30D)도, 전술한 자기 시일 기구(30A, 30B, 30C)와 마찬가지로, 비자성의 피니언 기어(7)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링 형상 자석(31)과, 이것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자기 링)(32)와, 피니언 기어(7)에 끼워 맞추어지고(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끼움되어 있음), 적어도 보유 지지 부재(32)와 대향하는 길이를 갖는 통 형상의 자성체(33)와, 링 형상 자석(31)과 통 형상의 자성체(33)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자성유체(3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동 기구(20)를 지지하는 통 형상체로서의 전술한 지지 부재(21)[배수 홈(52)을 가짐]가, 구동부로서의 피니언 기어(7) 및 베어링(6A)을 외측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수 홈(52)과 대향하는 부위에 자기 시일 기구(30D)가 개재되므로, 베어링(6A)의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이 부위에 도달하는 수분의 배출도 행할 수 있어, 피니언 기어(7)의 높은 회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2A)측의 전술한 통 형상체로서의 커버 지지 부재(1d)가 지지 부재(21)와 마찬가지로 배수 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지지 부재(1d)는 핸들(2A)에 부설되는 캡 부재(94) 내에 간극을 두고 들어가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방향 통부(63)와, 축방향 통부(63)로부터 자기 시일 기구(30A) 및 베어링(3B)과 대향하도록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62)와, 테이퍼 형상의 외면을 갖고 단차부(62)로부터 자기 시일 기구(30A) 및 베어링(3B)과 대향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방향 통부(6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단차부(62) 및 제2 축방향 통부(61)의 내면에는 제1 축방향 통부(63)의 외면과 핸들(2A)의 캡 부재(94)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제1 축방향 통부(63)의 내측 구멍에 침입하여 베어링(3B)으로 도달하는 수분을 커버 지지 부재(1d)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속하는 계단 형상의 배수 홈(82, 81, 8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릴 본체(1) 내에 침입하여 커버 지지 부재(1d)의 내측 구멍을 통해 베어링(3B)으로 도달하는 수분을 배수 홈(82, 81, 83)을 통해 커버 지지 부재(1d)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3B) 부근에서 수분이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녹이나 염분 등에 기인하는 핸들축(2)[드라이브 기어(4)]의 회전 성능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수 홈의 형상, 배치 형태 및 수는 임의이고, 요컨대 통 형상체 내에 들어간 수분을 외부(바람직하게는 배수 전용의 구멍 또는 홈 등의 배수부)로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1 : 릴 본체
1d : 커버 지지 부재(통 형상체)
2A : 핸들
3A, 3B, 6A, 6B : 베어링
4 : 드라이브 기어
4a : 통축부(구동부)
7 : 피니언 기어(구동부)
9 : 로터
10 : 스풀
20 : 제동 기구
21 : 지지 부재(통 형상체)
21a : 지지부
21b : 빠짐 방지부
30A, 30B, 30C, 30D : 자기 시일 기구
32 : 보유 지지 부재
33 : 자성체
35 : 자성유체
51 : 내측 구멍
52 : 배수 홈

Claims (5)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의 회전 조작으로 스풀에 낚싯줄을 권회 가능하게 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구동부 및 베어링을 외측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덮는 통 형상체와,
    상기 구동부, 상기 베어링 및 상기 통 형상체를 내부에 수납하는 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 형상체는, 상기 베어링과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통 형상체의 내측 구멍을 통해 상기 베어링으로 도달하는 수분을 통 형상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회전하여, 스풀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부를 갖는 로터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터의 회전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 형상체가 상기 제동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가 상기 베어링의 빠짐 방지를 행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를 갖고, 이 빠짐 방지부에 상기 배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홈이 상기 통 형상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을 시일하도록 배치되는 자기 시일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자기 시일 기구는 자석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 사이에서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석과 상기 자성체 사이에 보유 지지되는 자성유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130045903A 2012-04-27 2013-04-25 낚시용 릴 KR101998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2109A JP5749215B2 (ja) 2012-04-27 2012-04-27 魚釣用リール
JPJP-P-2012-102109 2012-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741A KR20130121741A (ko) 2013-11-06
KR101998427B1 true KR101998427B1 (ko) 2019-07-09

Family

ID=4945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903A KR101998427B1 (ko) 2012-04-27 2013-04-25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49215B2 (ko)
KR (1) KR101998427B1 (ko)
CN (1) CN103371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9370B2 (ja) * 2014-03-28 2018-09-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419020B2 (ja) * 2015-04-28 2018-11-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133263B2 (ja) * 2017-09-29 2022-09-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磁性流体シール装置及び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
JP6871141B2 (ja) * 2017-12-12 2021-05-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547038B2 (ja) * 2018-05-07 2019-07-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113707B2 (ja) * 2018-09-14 2022-08-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3035653A (ja) * 2021-09-01 2023-03-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カラー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433A (ja) * 1998-12-02 2000-06-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017037A (ja) 1999-07-07 2001-01-23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締結部材回り止め構造
JP2008539769A (ja) 2005-05-20 2008-11-20 張海燕 組合せ式釣り糸リールのリールユニット
JP2010166890A (ja) * 2009-01-26 2010-08-05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1276A (en) * 1984-03-28 1987-07-2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JP2000262195A (ja) * 1999-03-19 2000-09-26 Mamiya Op Co Ltd 釣用リール
JP2003070398A (ja) * 2001-08-31 2003-03-11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3319742A (ja) 2002-05-07 2003-11-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回転支持構造
JP4011400B2 (ja) * 2002-05-17 2007-11-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US7226607B2 (en) * 2003-09-11 2007-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a dispersant and microcapsules containing an active material and a stabilizer
JP2006262853A (ja) * 2005-03-25 2006-10-05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732953B2 (ja) * 2006-05-24 2011-07-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943406B2 (ja) * 2008-11-06 2012-05-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433A (ja) * 1998-12-02 2000-06-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017037A (ja) 1999-07-07 2001-01-23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締結部材回り止め構造
JP2008539769A (ja) 2005-05-20 2008-11-20 張海燕 組合せ式釣り糸リールのリールユニット
JP2010166890A (ja) * 2009-01-26 2010-08-05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49215B2 (ja) 2015-07-15
CN103371134B (zh) 2015-02-25
CN103371134A (zh) 2013-10-30
JP2013226109A (ja) 2013-11-07
KR20130121741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427B1 (ko) 낚시용 릴
KR102583871B1 (ko) 낚시용 릴
US9829045B2 (en) Fishing reel
JP4943406B2 (ja) 魚釣用リール
US9091350B2 (en) Spinning reel waterproofing member and spinning reel using the same
KR102444009B1 (ko) 낚시용 릴
EP3124835B1 (en) Magnetic seal device and fishing reel including the seal device
JP5677211B2 (ja) 魚釣用リール
US10993425B2 (en) Rotor drive unit waterproof structure and spinning reel
JP5330326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2172827A (ja) プーリ装置
US10451115B2 (en) Magnetic fluid sealing device and magnetic fluid sealed bearing
JP5254823B2 (ja) 魚釣用リール
JP5300999B2 (ja) 魚釣用リール
JP626197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6636236B2 (ja) ハンドルキャップ
JP626197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317265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ラインローラユニット
TW202215952A (zh) 電動捲線器
JP2004121176A (ja) 魚釣用リール
KR20230141550A (ko) 낚시용 릴
JP2014087322A (ja) 魚釣用リール
JP2016101096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