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399B1 -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399B1
KR101998399B1 KR1020170097673A KR20170097673A KR101998399B1 KR 101998399 B1 KR101998399 B1 KR 101998399B1 KR 1020170097673 A KR1020170097673 A KR 1020170097673A KR 20170097673 A KR20170097673 A KR 20170097673A KR 101998399 B1 KR101998399 B1 KR 101998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user
big data
store
comme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276A (ko
Inventor
도해용
Original Assignee
(주)레드테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드테이블 filed Critical (주)레드테이블
Priority to KR102017009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3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커머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모바일 커머스 상점 또는 상품의 랭킹 정보와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커머스 상점 또는 상품의 랭킹을 분석하고, 국가별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한 상점이나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및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MOBILE COMMERCE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BIG DATA}
본 발명은 모바일 커머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모바일 커머스 상점 또는 상품의 랭킹 정보와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상거래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일반적으로 기업과 기업 사이의 거래 (B2B ; Business to Business), 기업과 개인 사이의 거래 (B2C ; Business to Customer), 개인과 개인 사이의 거래 (C2C ; Customer to Customer) 및 기업과 정부 사이의 거래 (B2G ; Business to Government)로 구분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금전의 이동 뿐만 아니라, 물건의 구매와 배송과 마케팅, 서비스 제공 등의 일련의 행위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요즘은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모바일 단말기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커머스) 서비스도 널리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커머스의 경우, 결제가 이루어지는 상점에 대한 대량의 빅데이터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고, 특히 복수 국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의 경우에는 국가별 사용자의 언어나 관습, 성향, 감성 등의 차이로 인해 효율적인 서비스의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 10-0993818 호 (웹 크롤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우선 순위에 따라 시드 페이지(seed page)로부터 일반 웹사이트까지 분석 대상을 확장해 나가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에 필수적인 빅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0975502 호 (블로그 포스트의 랭킹 판단 방법 및 시스템) 는 블로그의 포스트에 권위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포스트 랭킹을 산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커머스 서비스 제공 상점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또는 국가별 성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02187 호 (개인 감성 및 상황 변화에 따른 맞춤형 감성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는 특정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대답을 이용하여 고객의 감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모바일 커머스 상점에 특화된 분석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0963996 호 (감성에 기반한 개인별 제품 추천 장치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는 날씨나 지역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을 예측하여 제품을 추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국가별 사용자의 성향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0993818 호 (2010.11.12) 등록특허공보 제 10-0975502 호 (2010.08.11)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02187 호 (2008.01.04) 등록특허공보 제 10-0963996 호 (2010.06.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모바일 커머스 상점 또는 상품의 랭킹 정보 또는 추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상점의 POS 단말기와 연동된 커머스 서버에서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커머스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빅데이터로부터 만족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상점 또는 상품에 대한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랭킹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상점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가 사용된 상점을 대상으로 정산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크롤러(crawler), 포커스드 크롤러(focused crawler), 토피컬 크롤러(topical crawler), 및 래퍼 기반 웹 크롤러(wrapper crawle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모바일 커머스와 관련없는 데이터를 제거하는 정제 단계와, 분석에 사용되지 않는 문자나 기호, 또는 숫자를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와, 명사를 중심으로 단어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단계는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명칭, 상품 명칭, 지역 명칭, 추천 숫자, 평가 점수, 매출액, 및 가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사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만족도는 상품의 품질(Quality of Food), 서비스의 품질(Quality of Service), 및 분위기 품질(Quality of Atmospher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향력은 사용자가 모바일 커머스 상품을 얼마나 최근에 구매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최근성, 얼마나 자주 상품을 구매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빈도성, 및 해당 상품의 인기가 언제까지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유행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대한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영향력에 대한 합계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평가된 만족도의 평균값을 더해서 랭킹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랭킹 정보는 상기 만족도의 평균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사용자의 국가 또는 지역의 언어, 관습, 성향, 또는 감성에 따라 달리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은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상점 또는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국가나 지역, 또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점 또는 상품이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상점의 POS 단말기와 연동하여,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커머스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빅데이터 모듈과, 수집된 빅데이터로부터 만족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상점 또는 상품에 대한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분석 모듈과, 상기 랭킹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상점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가 사용된 상점을 대상으로 정산을 진행하는 결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상점 또는 상품을 추천하는 추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상점의 POS 단말기와 연동하여,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커머스에 관련된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빅데이터로부터 만족도 및 영향력을 분석하여 상점 또는 상품에 대한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랭킹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상점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가 사용된 상점을 대상으로 정산을 진행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커머스 상점 또는 상품의 랭킹을 분석하고, 국가별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한 상점이나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머스 서버의 내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빅데이터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시스템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국가별로 제공되고 있는 제3의 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모바일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커머스 서버를 통하여 직접 모바일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 예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 및 특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통신 네트워크(200), 커머스 서버(300) 및 상점의 POS (Point-Of-Sale)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점은 음식을 판매하는 식당 뿐만 아니라, 의류나 기타 여러가지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가게가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본 발명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임의의 수 또는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로세서, 컨트롤러, 집적 회로,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회로, 또는 그 밖에 데이터베이스와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송신기와 수신기, 디스플레이, 및 여러가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데이터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 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전자 화폐 거래 방법에 있어서, 각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POS 단말기(400)에서 실행가능한 복수의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를 포함한다. 이 때, 모바일 커머스 방법의 각 단계는 도면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지만,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한 각 단계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단계들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일부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인터넷 서비스, 전자 메일 서비스,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팅 자원에 액세스 가능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온라인 자원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특유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그 밖의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프로세서와 관련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운영 체제를 구현할 수 있고, 명령어, 소프트웨어 코드, 실행파일(executable), 애플리케이션, 앱 등으로 알려져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기타,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보유할 수 있고, 텍스트,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이들의 조합,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또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라고 지칭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CDROM), DVD(Digital Video Disc) 등과 같은 광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이러한 메모리와 함께 복수의 하드 디스크, 네트워크 접속 저장소(network attached storage), 또는 별도의 저장소 네트워크(storage network)를 포함하는 파일 저장소(file stor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함), 워크 스테이션,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팜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스캐너, 키오스크, 프린터,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휴대폰, 핸드폰,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시각적 그래픽, 영상, 텍스트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음극선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전자 디스플레이를 가질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자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상호작용 및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GUI는 사용자(즉, 소비자, 커머스 사업자 대표, 또는 관리자)의 정보를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에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영역(display area)들을 터치하거나 가리키는 것에 의해 전자 디스플레이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디지털 영상 또는 비디오를 촬영하거나, 저장 및 전송할 수 있도록,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광학 스캐너 등과 같은 광학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들이 정보 및 명령들을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 터페이스는 버튼, 키보드, 스위치, 스크롤 휠, 마이크와 같은 음성 인식 요소, 및 마우스, 터치패드, 트랙볼(tracking ball), 및 스타일러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는 또한 가청 명령어들(audible instructions) 및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원격으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통신 구성요소, 이동식 메모리, 데이터 송수신기, 또는 송신기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전송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200)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고, 서버, 라우터, 스위치, 무선 수신기 및 송신기 등은 물론, 전기 전도성 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200)는 또한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 area network), 또는 WAN(wide area network)은 물론, 인터넷, 또는 다른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통신 네트워크(200)는 셀룰러 또는 이동 전화 네트워크는 물론, 일반 전화 네트워크(landline phone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광 섬유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모두 통신 네트워크(200)에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해 다른 모바일 단말기(100)나 POS 단말기(400) 등과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커머스 서버(300)와 POS 단말기(4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200)로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들의 제1 부분은 제1의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반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들의 제2 부분은 제2의 모바일 단말기(100)와 커머스 서버(300) 및 POS 단말기(4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들의 다른 부분들은 다른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에 특유한 정보가 커머스 서버(3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에 특유한 정보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원격적으로 액세스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정보의 일부분이 커머스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는 반면, 다른 부분의 정보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다양한 동작들, 분석들, 및 계산들이 실제로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부분들을 독립적으로 또는 협력하여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기(100), 커머스 서버(300) 또는 POS 단말기(40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독립형 프로그램으로 또는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웹 액세스 가능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독립형 프로그램의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가능한 버전이 커머스 서버(30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된 후에,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기(100)에 실행가능한 형식(executable format)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실행가능한 형태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모바일 앱 또는 웹 사이트와 같은, 전자 자원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한다. 웹 액세스 가능 컴퓨터 프로그램의 경우, 사용자는 간단히 모바일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200)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머스 서버의 내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머스 서버(300)는 빅데이터 시스템(310), 콘텐츠 시스템(320), 결제 시스템(330), 추천 시스템(340), 및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50)을 포함할 수 있다.
빅데이터 시스템(310)은 모바일 커머스와 관련한 비정형 빅데이터, 정형 빅데이터, 및 매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비정형 빅데이터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추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웹을 통해 수집되고, 정제하여 처리된다. 정형 빅데이터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하는 소비자의 구매 행동 데이터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매출 빅데이터는 모바일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상점의 매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복수 국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여러 국가의 온라인 웹페이지에 산재되어 있는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콘텐츠 시스템(320)은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점에 대한 랭킹 분석을 위하여 관련 콘텐츠를 분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점의 랭킹 분석을 위해서 상점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와 상점 및 사용자의 영향력 수치를 활용할 수 있다.
결제 시스템(330)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점에서 거래를 하고, 구매 상품에 대한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여러 국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각 국가에서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또는 모바일 쇼핑몰과 연동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천 시스템(340)은 국가별 특성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모바일 커머스를 제공하는 상점 또는 상품을 추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여러 가지 속성을 고려하여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국가 또는 지역의 언어, 관습, 성향, 또는 감성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여 추천 상점이나 상품을 선정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50)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모바일 커머스 상점이나 상품에 대한 대화나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복수 국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SNS와 연동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공통 소프트웨어 모듈 서버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SNS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빅데이터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빅데이터 시스템(310)은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SNS에 실시간으로 게재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연어를 정형화하고 모바일 커머스 상점과 관련하여 의미있는 단어들을 선별하여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결제가 가능한 식당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음식점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키워드(예를 들어, 맛집, 식당 명칭, 상품, 추천 수, 평가 점수, 매출액, 가격 등)를 입력하는 경우에, 관련 질문과 후보 답변을 선별하여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정형화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모바일 커머스 상점과 관련하여 웹사이트나 블로그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작성한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여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 웹 크롤링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S311). 웹 크롤링(web crawling)은 인터넷 정보 검색 엔진에 쓰이는 것으로서, 웹 크롤러(web crawler)가 새로운 웹 페이지 또는 갱신된 웹 페이지를 찾고 이를 정보 검색 엔진에 다운로드하여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웹 크롤링은 각 웹 페이지의 접근 확률에 따라 웹 페이지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prioritizing), 우선 순위가 높은 웹 페이지부터 순차적으로 정보 검색 엔진에 우선적으로 다운로드하여 지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웹 크롤러는 일정한 주제의 웹 문서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크롤러(crawler), 포커스드 크롤러(focused crawler), 토피컬 크롤러(topical crawler), 래퍼 기반 웹 크롤러(wrapper crawler)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와 같이 일정한 주제의 웹 문서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집하는 데는 래퍼 기반의 웹 크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집 대상이 되는 웹사이트의 구조를 미리 분석해 두면, 웹 크롤러가 해당 데이터에 접근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복수 국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 대상 국가를 다수의 국가로 확장하고 모바일 커머스 상점과 관련된 웹사이트, 블로그 등으로부터 다국어의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영어나 중국어 등의 주요 언어에 대한 웹 크롤링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 크롤러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는 데이터 정제 과정을 통해서, 모바일 커머스와 관련이 없는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S312). 예를 들어, 음식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에, 컴퓨터나 의류 등의 관련성이 없는 단어의 빈도가 높은 텍스트는 수집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정제 과정을 통해서 선별된 텍스트는 분석에 사용되지 않는 문자나 기호, 숫자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진행한다(S313).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에서는 명사를 중심으로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조사, 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등에 해당하는 품사는 전처리 과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내에 괄호([]), 이중 따옴표(""), 단일 따옴표(''), 샵(#), 물음표(), 느낌표(!) 등의 특수문자나 숫자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복수의 국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과 같이 언어의 특징을 반영하여 전처리 규칙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처리 과정을 거친 데이터에서 명사를 중심으로 단어를 추출한다(S314).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위치를 기반으로 모바일 커머스 상점을 추천하기 때문에, 정제 및 전처리된 데이터에서 상점의 명칭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필요가 있다(S315, S316). 상점의 명칭과 위치는 명사에 해당하기 때문에 명사를 중심으로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점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명칭도 이와 함께 추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빅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명칭과 위치, 상품에 관한 데이터는 상점 DB(312)에 별도로 저장될 수 있으며, 상점 DB(312)에 저장된 데이터는 콘텐츠 시스템(320)에서 상점의 랭킹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웹사이트나 블로그, SNS 등을 통해 특정 상점에 대한 의견을 개시한 사용자 이름(닉네임, 별칭 등 포함)과 평가 의견 중에서 추출된 데이터는 별도의 고객 DB(314)로 구분될 수 있다. 물론, 상점 DB(312)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고객 DB(314)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에는 상호 관련성이 있는 데이터나 중복된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DB로 구분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DB에 통합해서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시스템(320)은 모바일 커머스 상점에 대한 만족도와 영향력 수치를 이용하여 랭킹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모바일 커머스 상점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는 상품, 서비스, 및 분위기의 3가지 측면에 중점을 두고 속성을 분석함으로써 만족도 분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바일 결제가 가능한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만족도 분석을 위한 요소는 사용자가 해당 레스토랑을 이용한 뒤에 평가한 음식(상품)의 품질(Quality of Food), 서비스의 품질(Quality of Service), 및 분위기 품질(Quality of Atmosphere)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음식(상품)의 품질은 ‘맛’으로, 서비스 품질과 분위기 품질은 각각 서비스 만족도 및 레스토랑 내부의 분위기에 대한 평가 결과로 측정할 수 있다. 세부적인 평가 기준은 예를 들어, 정말 별로예요(1), 별로예요(1.5), 조금 부족해요(2), 그저 그래요(2.5), 보통이에요(3), 괜찮아요(3.5), 좋아요(4), 아주 좋아요(4.5), 최고예요(5)의 9 단계 척도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품질 및 분위기 품질도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만족도에 대한 최종 평점도 정말 별로예요(1), 별로예요(1.5), 조금 부족해요(2), 그저 그래요(2.5), 보통이에요(3), 괜찮아요(3.5), 좋아요(4), 아주 좋아요(4.5), 최고예요(5)의 9 단계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복수 국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국가별로 상품, 서비스, 또는 분위기의 가중치를 달리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국가별 사용자의 속성을 반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영향력은 사용자가 모바일 커머스 상품을 얼마나 최근에 구매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최근성, 얼마나 자주 상품을 구매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빈도성, 및 해당 상품의 인기가 언제까지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유행성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는 상품 뿐만 아니라 모바일 커머스 상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성은 사용자가 상점에서 상품을 구매한 후 작성한 평가 리뷰를 수집해서 가장 최근에 작성된 평가 리뷰의 작성일과 현재 날짜의 차이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빈도성은 사용자가 상점에서 상품을 구입한 후 작성한 평가 리뷰의 개수를 모두 합해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유행성은 사용자가 상점에 대한 평가 리뷰를 작성한 이후에, 다른 블로그나 웹 사이트, SNS 등에서 해당 상점이 언급된 회수를 기준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평가된 만족도와 영향력을 바탕으로 모바일 커머스 상점에 대한 랭킹 분석을 할 수 있다. 랭킹 분석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7074297573-pat00001
여기에서, PS는 사용자에 대한 상점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값이고, CS는 모바일 커머스 상점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j 상점의 랭킹 수치는 j 상점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사용자의 영향력을 모두 합산한 값과,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평가된 만족도의 평균값을 더해서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만족도에 대한 평균값은 국가나 지역의 특성, 또는 상품의 종류에 따른 특성에 따라 그 값의 편차나 범위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국가나 지역 또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아래의 (표1)은 동일한 지역에 위치하는 상점 1과 상점 2의 경우에 대하여, 랭킹 점수를 산출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점 1과 상점 2는 사용자에 대한 영향력은 동일하지만, 사용자의 만족도에 대한 평균값에 차이가 있어서, 랭킹 점수에 차등이 발생한 경우이다.
j
Figure 112017074297573-pat00002
AVG(CSj) AVG(CSj)*ω RANK
상점 1 51 3.38 3.38*15=50.63 101.63
상점 2 51 4.17 4.17*15=62.50 113.5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국가별로 제공되고 있는 제3의 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모바일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커머스 서버를 통하여 직접 모바일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은 상품을 구입하고 결제할 수 있는 모바일 쇼핑몰을 통하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쇼핑몰은 오프라인의 커머스 상점과 상품을 관리하고,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한 사용자의 상품 주문 및 결제를 지원하며, 커머스 상점 및 사용자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는 커머스 상품의 등록, 커머스 상품의 재고 관리 및 배송 관리, 날짜 및 기간별 매출 관리 등의 통계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에서 국가별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제3의 결제 시스템과 연동하는 경우에는 도 5의 흐름으로 결제 및 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모바일 커머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커머스 서버(300)에 접속한 후, 커머스 상품 또는 상품권의 종류를 선택하여 주문 요청을 한다. 이 때, 사용자는 상품이나 상품권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결제 수단은 개별 국가의 관련 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결제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카카오페이, 중국의 알리페이, 일본의 라인페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커머스 서버(300)는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전달받은 결제 시스템은 결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를 제공받는다. 사용자의 결제 승인 정보를 전달받은 커머스 서버(300)는 오프라인 커머스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을 이용하여 커머스 상점에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커머스 상점의 POS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을 인식하여 결제 처리를 하고, 사용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산을 커머스 서버(300)와 진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커머스 서버가 커머스 상점과 직접 연동하여 모바일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모바일 커머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커머스 서버(300)에 접속한 후, 커머스 상점 및 구매하고자 하는 커머스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 요청을 한다. 커머스 서버(300)는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해당하는 커머스 상점(400)에 전송하면, 커머스 상점(400)은 주문된 상품의 재고 현황 등을 확인하고, 주문 접수 상태를 커머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커머스 서버(300)는 주문이 완료된 경우에 해당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저장된 주문 정보를 지참하고 지정된 커머스 상점(400)을 방문하여 주문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 주문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모바일 상품 구매에 따른 후기 등의 리뷰를 작성할 수 있으며, 커머스 서버(300)는 사용자가 작성한 리뷰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커머스 상점(400)에 전달함으로써, 커머스 상점(400)이 판매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서버(300)의 응용 모듈(380)은 모바일 커머스와 관련한 비정형 빅데이터, 정형 빅데이터, 및 매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빅데이터 모듈(381)과,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점에 대한 랭킹 분석을 위하여 관련 콘텐츠를 분석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콘텐츠 분석 모듈(382),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점에서 거래를 하고, 구매 상품에 대한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 모듈(383), 및 국가별 특성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모바일 커머스를 제공하는 상점 또는 상품을 추천하는 추천 모듈(38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모듈(380)을 포함하는 모바일 커머스 서버(300)는 다양한 OS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361)에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38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커머스 서버(300)는 API(361)로부터 제공되는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대응하는 각 응용 모듈(380)을 식별하고, 하이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곳으로 제공하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를 포함한다. 응용모듈 제어부(370)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각 응용 모듈(3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는 API(361)를 통하여 제공된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는 응용 모듈(380)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고, 대응되는 응용 모듈(38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응용 모듈(38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매핑부(371, 373, 375, 377)에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따라서, 응용 모듈 제어부(370)는 빅데이터 모듈(381)과, 콘텐츠 분석 모듈(382), 결제 모듈(383), 및 추천 모듈(384)에 대한 매핑부(371, 373, 375, 377)와 인터페이스부(372, 374, 376, 378)를 각각 포함한다.
빅데이터 모듈 매핑부(37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로부터 블로그 또는 SNS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를 정제하고 처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의 명령어를 제공받아, 빅데이터 모듈(381)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로 매핑하고, 빅데이터 모듈 인터페이스부(372)를 통하여 빅데이터 모듈(381)로 제공한다.
콘텐츠 분석 모듈 매핑부(373) 및 콘텐츠 분석 모듈 인터페이스부(374)는 수집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커머스 상점에 대한 만족도와 영향력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커머스 상점의 랭킹 분석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콘텐츠 분석 모듈 매핑부(373)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로부터 콘텐츠 분석 모듈(382)을 이용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이를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콘텐츠 분석 모듈 인터페이스부(374)를 통하여 콘텐츠 분석 모듈(382)로 제공한다.
결제 모듈(383)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된 상품 주문 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결제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결제 모듈 매핑부(375)는 사용자의 요청에 커머스 상품의 결제를 위하여,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를 통하여 인가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결제 모듈(383)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로 매핑시킨다.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는 결제 모듈 인터페이스부(376)를 통하여 결제 모듈(383)로 제공된다.
추천 모듈(384)은 사용자의 국적이나 구매 성향 등을 반영하여 커머스 상점 또는 상품을 추천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추천 모듈 매핑부(375)는 사용자에 따른 추천 정보를 선별하기 위하여,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를 통하여 인가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추천 모듈(384)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로 매핑시킨다.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는 추천 모듈 인터페이스부(378)를 통하여 추천 모듈(384)로 제공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PI(361)에 대한 세부적인 함수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개방 API(Open API)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모바일 상점이나 상품에 대한 정보, 랭킹 정보 및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에 따른 결제를 위한 응용 모듈(380)의 세션을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폐쇄 API(Close API)는 사용된 응용 모듈에 대한 세션을 종료하는데 사용된다. 검색 API(Retrieve API)는 커머스 상점이나 상품, 랭킹 정보, 추천 정보, 위치 정보 등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는데 사용된다. 상태 API(Status API)는 각 응용 모듈(38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초기화 API(Initialize API)는 응용 모듈(380)을 호출할 수 있도록 초기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리스트 API(List API)는 커머스 상점이나 상품, 랭킹 정보, 추천 정보, 리뷰 정보 등을 위하여 실행가능한 명령어 리스트 등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기록 API(Register API)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내역이나 리뷰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다. 삭제 API(Unregister API)는 사용자의 요청 사항이나 수행 동작 등의 정보를 삭제하는데 사용된다. 결국, 사용되는 응용 모듈(380)이나 메시지 전송 형태에 따라 개별적인 API(361)가 실행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인식이나 위치 판단, 목적지 안내 및 공기 정화 기능의 실행을 위한 응용 모듈(380)의 실행될 것이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응용 모듈 및 그 기능은 커머스 서버(300)에서 모두 수행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와 그 모듈을 분산하여 설치됨으로써 일부의 기능을 분담하여 처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바일 단말기 200: 통신 네트워크
300: 커머스 서버 400: POS 단말기
310: 빅데이터 시스템 312: 상점 DB
314: 고객 DB 320: 콘텐츠 시스템
330: 결제 시스템 340: 추천 시스템
350: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361: API
362: 하이레벨 명령어 처리부
370: 응용모듈 제어부 380: 응용모듈
371: 빅데이터 모듈 매핑부
372: 빅데이터 모듈 인터페이스부
373: 콘텐츠 분석 모듈 매핑부
374: 콘텐츠 분석 모듈 인터페이스부
375: 결제 모듈 매핑부
376: 결제 모듈 인터페이스부
376: 추천 모듈 매핑부
377: 추천 모듈 인터페이스부
381: 빅데이터 모듈 382: 콘텐츠 분석 모듈
383: 결제 모듈 384: 추천 모듈

Claims (17)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상점의 POS 단말기와 연동된 커머스 서버에서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커머스에 관련된 비정형 빅데이터, 정형 빅데이터 및 매출 빅데이터로 이루어진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빅데이터로부터 상기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만족도 및 영향력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영향력에 대한 합계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평가된 만족도의 평균값을 더해서 상점 또는 상품에 대한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랭킹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상점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가 사용된 상점을 대상으로 정산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비정형 빅데이터는 사용자의 추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정형 빅데이터는 소비자의 구매 행동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매출 빅데이터는 모바일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상점의 매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랭킹 정보는 상기 만족도의 평균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하고,
    상기 가중치는 사용자의 국가 또는 지역의 언어, 관습, 성향, 또는 감성에 따라 달리 부여되는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크롤러(crawler), 포커스드 크롤러(focused crawler), 토피컬 크롤러(topical crawler), 및 래퍼 기반 웹 크롤러(wrapper crawle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모바일 커머스와 관련없는 데이터를 제거하는 정제 단계;
    분석에 사용되지 않는 조사, 관사, 전치사, 접속사 및 감탄사에 해당하는 품사의 명사, 특수문자, 기호, 또는 숫자를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및
    상기 전처리 과정을 거친 데이터에서 명사를 중심으로 하여 상점의 명칭과 위치 및 상품의 명칭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포함하는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도는 상품의 품질(Quality of Food), 서비스의 품질(Quality of Service), 및 분위기 품질(Quality of Atmospher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향력은 사용자가 모바일 커머스 상품을 얼마나 최근에 구매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최근성, 얼마나 자주 상품을 구매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빈도성, 및 해당 상품의 인기가 언제까지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유행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평가가 이루어지는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국가 또는 지역의 언어, 관습, 성향, 또는 감성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여 추천 상점이나 상품을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상점 또는 상품을 추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상점의 POS 단말기와 연동하여,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커머스에 관련된 비정형 빅데이터, 정형 빅데이터 및 매출 빅데이터로 이루어진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빅데이터 모듈;
    수집된 빅데이터로부터 상기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만족도 및 영향력을 분석하고, 상기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영향력에 대한 합계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평가된 만족도의 평균값을 더해서 상점 또는 상품에 대한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분석 모듈; 및
    상기 랭킹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및 상점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구매 요청에 따라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상품권 또는 주문 정보가 사용된 상점을 대상으로 정산을 진행하는 결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형 빅데이터는 사용자의 추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정형 빅데이터는 소비자의 구매 행동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매출 빅데이터는 모바일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상점의 매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랭킹 정보는 상기 만족도의 평균값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하고,
    상기 가중치는 사용자의 국가 또는 지역의 언어, 관습, 성향, 또는 감성에 따라 달리 부여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2 항에 있어서,
    모바일 커머스 상점의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국가 또는 지역의 언어, 관습, 성향, 또는 감성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여 추천 상점이나 상품을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상점 또는 상품을 추천하는 추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17. 삭제
KR1020170097673A 2017-08-01 2017-08-01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998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673A KR101998399B1 (ko) 2017-08-01 2017-08-01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673A KR101998399B1 (ko) 2017-08-01 2017-08-01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276A KR20190013276A (ko) 2019-02-11
KR101998399B1 true KR101998399B1 (ko) 2019-07-09

Family

ID=6537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673A KR101998399B1 (ko) 2017-08-01 2017-08-01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3814B1 (en) * 2020-02-18 2021-06-01 Coupang Corp.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categoriz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40029945A (ko) * 2022-08-29 2024-03-07 네이버 주식회사 아이템 원부 플랫폼을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29946A (ko) * 2022-08-29 2024-03-07 네이버 주식회사 아이템 원부 플랫폼을 통해 정제된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996B1 (ko) * 2009-06-29 2010-06-15 주식회사 모임 감성에 기반한 개인별 제품 추천 장치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KR101218141B1 (ko) * 2011-09-27 2013-01-03 (주)레드테이블 랭킹 계산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187A (ko)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감성 및 상황 변화에 따른 맞춤형 감성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975502B1 (ko) 2008-01-30 2010-08-11 엔에이치엔(주) 블로그 포스트의 랭킹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100993818B1 (ko) 2009-02-18 2010-11-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크롤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5896B1 (ko) * 2012-07-20 2014-05-15 (주)아이비베리 소셜커머스에서의 매매보호를 위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754124B1 (ko) * 2014-08-01 2017-07-26 (주)레드테이블 레스토랑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KR20160015859A (ko) * 2014-08-01 2016-02-15 (주)레드테이블 레스토랑 마케팅 시스템 및 그의 마케팅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996B1 (ko) * 2009-06-29 2010-06-15 주식회사 모임 감성에 기반한 개인별 제품 추천 장치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KR101218141B1 (ko) * 2011-09-27 2013-01-03 (주)레드테이블 랭킹 계산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276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400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정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10977694B2 (en) Predictiv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price boosting
US2022023763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a business need via a promotional system
JP6725549B2 (ja) 通信セッションの状態の保存
US20170323335A1 (en) Method for advertising or selling products on basis of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activity
KR101761226B1 (ko) 수취인에게 관심 있는 선물의 크라우드-소싱을 위한 상황적 관련성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정보의 선택적 공유
US20220366454A1 (en) Mobile chat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promotional systems
US20220012768A1 (en) Iteratively improving an advertisement response model
CN110799980B (zh) 在线体验中的绘文字理解
US202102565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matic analysis of consumer sentiment with regard to attribute descriptors
WO2013155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nt modeling and prediction
US20210319017A1 (en) Mobile search
IL299553A (e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keyword recommendation
US202102486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ponsored search results placement in a search results page
CN106447419A (zh) 基于特征选择的拜访者标识
KR101998399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6841539B2 (ja) 行動促進方法、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及び行動促進システム
CN111787042B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201984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matic generation of survey queries
US9947021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duct for identifying a service need via a promotional system
KR20220102054A (ko) 사용자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는 커머스 플랫폼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149200A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JP2019149035A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US1127578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ferring device rendered object interaction behavior
US20230267465A1 (en) Method to solicit a user generated response to determine if a consumer made a purc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