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232B1 -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232B1
KR101998232B1 KR1020170012656A KR20170012656A KR101998232B1 KR 101998232 B1 KR101998232 B1 KR 101998232B1 KR 1020170012656 A KR1020170012656 A KR 1020170012656A KR 20170012656 A KR20170012656 A KR 20170012656A KR 101998232 B1 KR101998232 B1 KR 10199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upling structure
protrusion
sharp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423A (ko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filed Critical 김광석
Publication of KR2017008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펜슬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별도로 마련되는 샤프심을 지속적으로 내부에 보충하여 필기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펜슬과 같이 샤프심을 보충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에 대하여, 샤프심이 투입되는 투입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투입부상에서 미닫이 구조로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샤프심 투입시 간편하게 한손으로 덮개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덮개가 떨어져 굴러다니거나 잃어버리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SLIDING COVER FOR WRITING INSTRUMENTS AND SHARP PENCI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샤프펜슬에 관한 것으로, 별도로 마련되는 샤프심을 지속적으로 내부에 보충하여 필기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도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샤프펜슬은 흑연(Graphite)재질로 가늘게 가공된 샤프심을 축을 이루는 내부에 넣고 그 끝 부분을 돌리거나 눌러 샤프심을 조금씩 밀어내어 쓰게 만든 필기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샤프펜슬은 내부에 샤프심을 넣고 축의 끝 부분을 돌리거나 눌러 심을 조금씩 밀어내어 샤프심의 끝단의 일부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샤프 메커니즘이 적용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샤프펜슬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샤프펜슬(1)은 필기도구로서 내부에 샤프심(2)이 투입되는 입구를 갖는 샤프 메커니즘부(미도시)가 수용되며, 샤프펜슬(1)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3), 몸체부(3) 하부에서 결합되어 샤프심(2)이 토출되는 선단촉(4), 몸체부(3)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샤프 메커니즘부의 입구를 폐쇄하는 덮개(5) 및, 몸체부(3)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걸쇠부(6)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샤프펜슬(1)에서 덮개(5)는 샤프 메커니즘부와 분리되어 있어 샤프심(2)을 보충하려면 샤프심(2)이 샤프 메커니즘부의 상부에 위치한 입구에 투입될 수 있도록 덮개(5)를 외부에 빼놓고 샤프심(2)의 투입 이후 다시 덮개(5)를 끼워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샤프펜슬(1)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샤프심(2)의 투입시 덮개(5)를 빼려면 양손을 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특히 빼놓은 덮개(5)가 떨어져 여기저기 굴러다니거나 잃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4999호("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5471호("샤프 펜슬")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1990호("일체화 샤프")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3856호("미닫이 샤프 뚜껑")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723호("샤프심 투입구가 스위치로 되어 있는 샤프")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7575호("샤프심을 쉽게 샤프 펜슬에 넣을 수 있는 샤프 펜슬 및 샤프심 통")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필기구의 덮개를 샤프심의 입구에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샤프심의 투입시 사용자가 간편하게 한손으로 덮개를 열고 닫을수 있으며, 덮개가 떨어져 굴러다니거나 잃어버릴 염려가 없는 샤프펜슬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가 투입부에 결합된 일체형 구조에서 덮개의 불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하고, 이동시 좌우회전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용 덮개를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는, 중앙에 샤프심이 삽입되는 입구가 배치되고, 제1 결합구조체가 형성되는 투입부; 및 제2 결합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투입부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은, 샤프심을 수용하고, 일 단의 가압에 의해 상기 샤프심을 인출하는 샤프 메커니즘부; 상기 샤프 메커니즘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부; 중앙에 샤프심이 삽입되는 입구가 배치되고, 제1 결합구조체가 형성되는 투입부; 제2 결합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투입부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샤프 메커니즘부와 결합하는 선단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펜슬과 같이 샤프심을 보충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에 대하여, 샤프심이 투입되는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투입부상에서 미닫이 구조로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샤프심 투입시 간편하게 한손으로 덮개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덮개가 떨어져 굴러다니거나 잃어버리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구와 일체형의 덮개부의 이동시 그 불필요한 좌우회전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샤프펜슬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의 측면, 정면 및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의 작동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의 결합 및 분해시의 구조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의 결합 및 분해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 "또는"등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면 및, 또는 단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면 및, 또는 단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면 또는 단을, 다른 영역, 면 또는 단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부품, 영역, 면 또는 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부품, 영역, 면 또는 단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가 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을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펜슬(100)는 제2 결합구조체가 형성되고, 투입부(30)의 상부에서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가 맞물림에 따라 투입부(30)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10), 중앙에 샤프심이 삽입되는 입구가 배치되고, 제1 결합구조체가 형성되는 투입부(30), 샤프심을 수용하고, 일 단의 가압에 의해 샤프심을 인출하는 샤프 메커니즘부(50), 샤프 메커니즘부(50)가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부(70) 및, 몸체부(70)의 하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샤프 메커니즘부와 결합하는 선단촉(90)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0)는 투입부(30)에 수용된 샤프심이 투입되는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은 폐쇄되어 있고 하단 양측으로는 고정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대(11)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두 개가 나란히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있고, 그 고정대(11)의 내측면으로는 하나이상의 제1 돌출부(12)가 형성된다.
즉, 덮개부(10)는 본 발명의 미닫이 덮개가 투입부(30)에 결합된 상태로 샤프펜슬의 최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투입부(30)는 상부로 덮개부(10)가 결합되고, 하부로 샤프 메커니즘부(50)과 고정 결합되어 그 입구로부터 투입되는 샤프심을 샤프 메커니즘부(50)에 전달하는 것으로, 덮개부(10)의 하부와 미닫이 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상부와 접하여 걸쇠(1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쇠(19)는 사용자가 샤프펜슬(100)의 이용시 주머니 등에 꽂을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투입부(30)는 양측 외주면으로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하나이상의 이동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상에 덮개부(10)의 고정대(11)가 밀착되고, 상기 제1 돌출부(12)가 이동홈(32)내 삽입됨에 따라 덮개부(10)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이동홈(32)의 일 끝단에는 고정대(11)의 측단에 대응하는 높이의 제2 돌출부(31)가 형성되어 있어 투입부(30)상에서 덮개부(10)가 이동할 때 그 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즉, 제2 돌출부(31)는 덮개부(10)의 초과이동을 방지하고, 덮개부(10)의 불필요한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투입부(30)의 내부로는 샤프 메커니즘부(50)과 관통하여 끝단까지 연결됨에 따라 샤프심이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투입부(30) 및 덮개부(1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샤프펜슬용 미닫이 덮개를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결합 구조체를 이루게 된다. 상세하게는, 제1 결합구조체는 투입부(30)의 양 외주면에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이동홈(32) 및, 이동홈(32)의 일 끝단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3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구조체는 덮개부(10)의 양 외주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대(11) 및, 이동홈(32)내 삽입되어 이동홈(32)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돌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 메커니즘부(50)는 투입부(30)를 통해 투입되는 하나이상의 샤프심이 수용되며, 일단에서 가압이 발생하면 수용된 샤프심을 선단촉(90)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샤프 메커니즘부(50)은 몸체부(70)에 수용되고, 타단으로는 선단촉(90)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나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단면은 원형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샤프 메커니즘부(50)은 투입부(30)의 하부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회전 방지대(5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방지대(51)는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좌우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샤프 메커니즘부(50)은 몸체부(70)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됨에 따라 샤프 메커니즘부(50) 뿐만 아니라, 이에 결합된 투입부(30) 및 그와 결합된 덮개부(10)의 불필요한 좌우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샤프 메커니즘부(50)의 타단으로는 샤프 메커니즘으로서 일 끝단의 가압시 수용된 샤프심을 배출하는 스프링부재(55) 및 선단촉(90)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결합부(5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메커니즘부(50)와 몸체부(70)사이에는 보호관(60)이 더 삽입될 수 있다. 보호관(60)은 샤프펜슬(100) 사용시 샤프메커니즘부(50)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 될 수 있도록 일정두께로 형성되며, 회전방지대(51)가 관통하는 관홀(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관(60)은 샤프펜슬의 사용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샤프 메커니즘부(50)의 파손을 최초화 하는 기능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서는 샤프 메커니즘부(50)는 단면이 원형인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70)의 내부 단면이 샤프 메커니즘부(5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내부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70)는 샤프 메커니즘부(50)가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임의의 외력에 의해 샤프 메커니즘부(5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회전방지대(51)가 삽입되는 삽입홈(7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71)은 회전 방지대(51)보다 일정길이 길게 확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덮개부(10)의 가압에 의해 샤프심 인출시 샤프 메커니즘(50)이 이동하면서 샤프 메커니즘(50)의 회전 방지대(51)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몸체부(7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기구로서 전체 외관을 이루게 된다.
선단촉(90)은 샤프펜슬(100)의 펜촉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몸체부(70)의 하부로 분리가능 하도록 고정 결합된다. 일 예로서, 샤프 메커니즘부(50)의 하부와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게 된다.
선단촉(90)의 중앙은 샤프 메커니즘부(50)와 연결 중공되어 샤프 메커니즘부(50)에 의해 샤프심이 밀려 나오면, 샤프심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샤프심의 외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필기시 샤프심이 부러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은 최상부에서부터 최하부까지 덮개부(10), 투입부(30), 샤프 메커니즘부(50), 몸체부(70) 및 선단촉(90)의 순으로 결합되게 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은 덮개부가 투입부상에 일체형 미닫이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덮개를 간편하게 한손으로 개폐할 수 있고, 덮개가 떨어져 굴러다니거나 잃어버릴 염려없이 샤프펜슬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펜슬에 포함되는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의 측면, 정면 및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필기구용 덮개는 샤프펜슬과 같은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로서, 투입부(30)의 상부로 결합되며 하부 방향으로 고정대(11)가 형성되고, 고정대(11)의 내측면에 제1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이동홈(32)에 삽입됨에 따라 투입부(30)의 상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덮개부(10) 및, 샤프심이 삽입되는 입구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이상의 이동홈(32)이 형성되는 투입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0)는 샤프펜슬과 같이 흑연심 또는 기타 필기용 심이 보충되는 형태의 필기구에서 보충된 심이 투입되는 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투입부(30)와 미닫이 구조로 결합됨에 따라 하나의 필기구용 덮개를 이루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10)의 양측면은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두 개의 고정대(11)가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고정대(11)는 직선 또는 곡선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대(11)의 하부면 즉,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는 소정높이의 제1 돌출부(12)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12)가 후술하는 투입부(30)의 이동홈(32)에 삽입되는 형태로 덮개부(10)와 투입부(30)가 결합되게 된다.
특히, 고정대(11)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그재그 형상에서 볼록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투입부(30)상에 형성된 제2 돌출부(31)가 삽입됨에 따라 투입부(30)의 입구를 완전 개방한 상태 및 완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투입부(30)는 샤프 메커니즘부(50)의 일 끝단이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중공되어 입구와 샤프 메커니즘부(50)의 내부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부로 덮개부(10)가 결합되며, 하부로 보호관(6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양측면으로는 고정대(11)가 밀착 결합되어 하나의 필기구용 덮개를 이루게 되며,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하나이상의 이동홈(31)이 형성됨에 따라, 덮개부(1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그 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동홈(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각 이동홈(31)마다 제1 돌출부(12)가 삽입되어 덮개부(10)가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이동홈(31)의 끝단에는 제2 돌출부(32)가 형성됨에 따라 덮개부(10)가 이동시 투입부(30)를 완전히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32)는 덮개부(10)의 완전 개방 또는 폐쇄상태에서 고정대(11)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됨에 따라 덮개부(10)의 현재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는 덮개부가 투입부상에 일체형 미닫이 구조를 가지며, 흑연심뿐만 아니라 액체형 심을 이용하는 기타 필기구의 덮개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의 작동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은 덮개부(10), 투입부(30), 샤프 메커니즘부(50), 보호관(60), 몸체부(70) 및 선단촉(90)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구조이고, 입구(38)의 개방시 덮개부(10)가 외부로 분리되는 것이 아닌, 투입부(30)상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덮개부(10) 및 투입부(30)의 외측면이 서로 일치되면 입구(38)의 완전 폐쇄상태가 되며(ㄱ), 폐쇄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덮개부(10)의 상부로 힘이 가해지면, 보호관(60) 및 샤프 메커니즘부(50)가 몸체부(70)내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선단촉(90)을 통해 샤프심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회전방지대(51)는 샤프 메커니즘부(5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며, 삽입홈(71)에 의해 샤프 메커니즘부(50)의 하부방향이동이 일정거리까지로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샤프심을 보충하려는 경우, 덮개부(10)의 일측단 방향에서 힘을 가하면, 덮개부(10)가 투입부(30)의 상부에서 이동하여 그의 끝단까지 진행하게 됨으로써, 완전 개방상태가 되어 입구(38)가 외부로 노출된다(ㄴ).
이때, 덮개부(10)의 이동시 고정대(11)의 제1 돌출부(12)는 이동홈(32)내 삽입된 상태에서 진행함에 따라, 덮개부(10)의 흔들림은 최소화되며, 제2 돌출부(31)에 의해 고정대(11)가 투입부(30)를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덮개부(10) 및 투입부(30)에는 각각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자력수단(15, 35)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력수단(15, 35)은 입구의 완전 개방상태 또는 완전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인력이 작용하여 원하지 않은 상태로 덮개부(10)가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 하게 된다. 이러한 자력수단(15, 35)의 상세한 구조를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의 결합 및 분해시의 구조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펜슬은 몸체부(70)의 외관은 대략적인 원통형으로 동일하나{(ㄱ),(ㄴ),(ㄷ),(ㄹ),(ㅁ)}, 그의 내부면 및 수용되는 샤프 메커니즘부(50)의 외측면의 형상이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의 샤프 메커니즘부(50)는 단면이 일반적인 원형뿐만 아니라, 오각형(50a), 타원형(50b), 육각형(50c), 삼각형(50d) 및 사각형(50e)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몸체부(70)의 내부면 음각에 대한 단면이 오각형(75a), 타원형(75b), 육각형(75c), 삼각형(75d) 및 사각형(75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샤프 메커니즘부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ㄱ),(ㄴ),(ㄷ),(ㄹ),(ㅁ)}는, 샤프 메커니즘부(50a ~ 50e)에 대하여 상하방향이 아닌, 회전방향의 힘이 인가되었을 때, 그 회전에 따라 샤프 메커니즘부(50a ~ 50e)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선단촉(90)과 분리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샤프 메커니즘부(50a ~ 50e)는 전체부분이 전술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전단 및 후단의 두 부분으로 구획되어 후단은 전술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전단은 그 폭이 후단보다 좁게 형성되되, 서로 다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의 내부면(75a ~ 75e)도 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d 내지 도 5e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샤프 메커니즘부(50) 및 몸체부(70)는 그 단면이 직선 또는 원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뿐만 아니라, 곡선과 같은 평면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포함하는 샤프펜슬의 샤프 메커니즘부(50)는, 단면이 일반적인 원형뿐만 아니라, 양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부의 측면이 경사진 형태(50a), 양측이 함몰된 형태(50b), 일측으로 경사를 갖도록 돌출된 형태(50c), 일측으로 단차를 갖도록 돌출된 형태(50d) 및 일측으로 단차를 갖도록 돌출된 형태(50e)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몸체부(70)의 내부면 음각에 대한 단면이 양측으로 함몰되어 측면이 경사진 형태(75a), 양측에서 돌출된 형태(75b), 일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함몰된 형태(75c), 양측으로 단차를 갖도록 함몰된 형태(75d) 및 일측으로 단차를 갖도록 돌출된 형태(75e) 등, 다양한 평면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샤프 메커니즘부(50)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하부방향으로의 이동시 별도의 회전방지대(도 2b의 51)가 없이도 그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샤프 메커니즘부(50) 및 몸체부(70)사이에는 샤프 메커니즘부(50)의 상하운동에 따라 그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관(도 4의 60)이 더 삽입될 수 있으며, 그 보호관 또한 샤프 메커니즘부(50) 및 몸체부(7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의 결합 및 분해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는 육면체 구조의 제2 결합구조체를 갖는 덮개부(110) 및, 제1 결합구조체를 갖는 투입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구조체는 투입부(130)의 양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이동홈(131), 제1 이동홈(131)의 하단에 투입부(130)의 내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음각부(132), 상부면에 돌출되는 제1 돌출부(133) 및, 상기 제1 돌출부(133)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구조체는 덮개부(11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면이 제1 이동홈(131)과 접촉하는 고정대(111), 고정대(11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음각부(132)에 삽입되는 제3 돌출부(112), 상기 하부면에 서로 나란히 형성되는 제2 이동홈(114) 및, 상기 제2 이동홈(114)내 외측방향으로 두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돌출부(134)가 삽입되는 함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덮개부(110)가 투입부(130)의 상부로 배치되어 결합되면, 제1 돌출부(133)가 제2 이동홈(114)에 삽입되고, 제3 돌출부(112)가 음각부(132)에 삽입되어 맞물리게 됨에 따라 하나의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덮개부(110)의 이동시 제1 돌출부(133) 및 고정대(111)가 각각 제2 및 제1 이동홈(114, 131)에 의해 가이드되어 입구(138)를 개폐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는 육면체 구조의 제2 결합구조체를 갖는 덮개부(210) 및 제1 결합 구조체를 갖는 투입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구조체는, 상기 투입부(2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231), 제1 돌출부(2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232) 및, 제2 돌출부(232)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3 돌출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구조체는, 덮개부(210)의 하부면에 서로 나란히 형성되어 제1 돌출부(231)가 삽입되는 이동홈(211), 이동홈(211)내 측단에 투입부(2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제2 돌출부(232)가 접촉하는 음각부(212) 및, 음각부(212)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제3 돌출부(233)가 삽입되는 함몰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덮개부(210)는 하부면 내측으로 11자형으로 이동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홈(211)의 내부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음각이 더 형성되는데, 하부면에서 일정깊이로 음각부(212)가 형성되고, 그 음각부(212)의 양 모서리로 더 함몰되는 함몰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부(230)는 그 상부면상에 이동홈(211)에 대응하는 두 개의 제1 돌출부(23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으로는 중공된 입구(23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231)상에는 외측면으로 서로 단차를 갖는 제2 돌출부(232)가 더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232)는 제1 돌출부(231)의 외측면에서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또한, 제3 돌출부(233)는 제2 돌출부(232)상에 그와 단차를 갖도록 더 돌출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덮개부(210)가 투입부(230)의 상부로 배치되어 결합되면, 제1 돌출부(231)가 이동홈(211)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232)가 음각부(212)에 맞닿아 고정되어 하나의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덮개부(210)의 이동시 제1 돌출부(231)가 이동홈(211)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됨에 따라 입구(238)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제2 돌출부(232)는 덮개부(210)가 투입부(2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제3 돌출부(233)는 덮개부(210)의 완전 폐쇄 및 개방시 함몰부(213)내에 삽입됨에 따라 그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는 육면체 구조의 제2 결합구조체를 갖는 덮개부(310) 및 제1 결합 구조체를 갖는 투입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구조체는, 투입부(330)의 양 외주면에 형성되는 이동홈(331), 이동홈(331)의 하단상에 투입부(330)의 내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음각부(332) 및, 음각부(332)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함몰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구조체는 덮개부(31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면이 이동홈(331)과 접촉하는 고정대(311), 고정대(31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음각부(332) 또는 함몰부(333)에 삽입되는 돌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덮개부(310)는 하부로 일측단에 나란히 노출되는 두 개의 고정대(311) 및 그 고정대(311)의 내부면으로 돌출부(312)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투입부(330)는 양 외측면이 고정대(311)에 대응되도록 이동홈(331)가 형성되며, 그 이동홈(331)에서 돌출부(312)에 대응하는 깊이로 음각부(332)이 형성되고, 음각부(332)의 양 끝단에는 소정깊이로 더 함몰되는 함몰부(333)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으로는 중공된 입구(3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덮개부(310)가 투입부(330)의 상부로 배치되어 결합되면, 고정대(311)가 이동홈(331)에 접촉되어 하나의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덮개부(310)의 이동시 고정대(311)가 이동홈(331)에 의해 가이드 되어 입구(338)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312)는 덮개부(310)가 투입부(33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덮개부(310)의 완전 폐쇄 및 개방시 함몰부(333)내에 삽입됨에 따라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기구적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는 덮개부(110) 및 투입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덮개부(110)의 양측단 하부로 고정대(111)가 투입부(130)의 양 외측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투입부(130)의 하부는 몸체부(70)내 삽입된 보호관(60)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110) 및 투입부(130)에 각각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제1 및 제2 자력수단(115, 13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자력수단(115)은 덮개부(110)의 전단 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자력수단(135)은 투입부(130)의 전단 및 후단에 인접하여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10)가 입구(138)를 완전히 폐쇄하는 상태에서는 제1 자력수단(115)과 전단의 제2 자력수단(135a)간의 인력에 의해 현재상태가 고정되며, 덮개부(110)가 입구(138)를 완전히 개방하는 상태에서는 제1 자력수단(115)과 후단의 제2 자력수단(135b)간의 인력에 의해 현재상태가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자력수단(115, 135)은 각각 극성이 서로 다른 자석이 이용되거나, 혹은 제1 및 제2 자력수단(115, 135) 중, 어느 하나에만 자석이 이용되고 나머지에는 자석에 대응하여 인력이 작용하는 금속 등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 덮개부 11: 고정대
12: 제1 돌출부 19 : 걸쇠
30: 투입부 31: 제2 돌출부
32: 이동홈 50: 샤프 메커니즘부
51: 회전방지대 55 : 스프링부재
57 : 나사결합부 60: 보호관
61 : 관홀 70: 몸체부
71: 삽입홈 90: 선단촉
100: 샤프펜슬

Claims (13)

  1. 삭제
  2.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로서,
    중앙에 샤프심이 삽입되는 입구가 배치되고, 제1 결합구조체가 형성되는 투입부(30); 및
    제2 결합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3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투입부(30)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구조체는,
    상기 투입부(30)의 양 외주면에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홈(32) 및, 상기 이동홈(32)의 일 끝단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구조체는,
    상기 덮개부(10)의 양 외주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대(11) 및, 상기 이동홈(32)내 삽입되어 상기 이동홈(32)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돌출부(31)
    를 포함하는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3.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로서,
    중앙에 샤프심이 삽입되는 입구가 배치되고, 제1 결합구조체가 형성되는 투입부(130); 및
    제2 결합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13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투입부(130)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구조체는,
    상기 투입부(130)의 양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이동홈(131), 상기 제1 이동홈(131)의 하단에 상기 투입부(130)의 내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음각부(132), 상부면에 돌출되는 제1 돌출부(133) 및, 상기 제1 돌출부(133)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제2 돌출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구조체는,
    상기 덮개부(11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면이 상기 제1 이동홈(131)과 접촉하는 고정대(111), 상기 고정대(11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음각부(132)에 삽입되는 제3 돌출부(112), 상기 하부면에 서로 나란히 형성되는 제2 이동홈(114) 및, 상기 제2 이동홈(114)내 외측방향으로 두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돌출부(134)가 삽입되는 함몰부(115)
    를 포함하는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4.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로서,
    중앙에 샤프심이 삽입되는 입구가 배치되고, 제1 결합구조체가 형성되는 투입부(230); 및
    제2 결합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23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투입부(230)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구조체는,
    상기 투입부(2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231), 상기 제1 돌출부(23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232) 및, 상기 제2 돌출부(232)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3 돌출부(2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구조체는,
    상기 덮개부(210)의 하부면에 서로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231)가 삽입되는 이동홈(211), 상기 이동홈(211)내 측단에 상기 투입부(2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돌출부(232)가 접촉하는 음각부(212) 및, 상기 음각부(212)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돌출부(233)가 삽입되는 함몰부(213)
    를 포함하는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5.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로서,
    중앙에 샤프심이 삽입되는 입구가 배치되고, 제1 결합구조체가 형성되는 투입부(330); 및
    제2 결합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33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투입부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구조체는,
    상기 투입부(330)의 양 외주면에 형성되는 이동홈(331), 상기 이동홈(331)내 하단상에 상기 투입부(330)의 내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음각부(332) 및, 상기 음각부(332)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함몰부(333)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310)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면이 상기 이동홈(331)과 접촉하는 고정대(311), 상기 고정대(31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음각부(332) 또는 함몰부(333)에 삽입되는 돌출부(312)
    를 포함하는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부에 의해 상기 입구가 상기 폐쇄된 상태에서 서로간의 자력으로 상기 덮개부의 이동을 억제하는 자력수단
    을 더 포함하는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7. 샤프심을 수용하고, 일 단의 가압에 의해 상기 샤프심을 인출하는 샤프 메커니즘부(50);
    상기 샤프 메커니즘부(50)가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부(70);
    중앙에 샤프심이 삽입되는 입구가 배치되고, 제1 결합구조체가 형성되는 투입부(30);
    제2 결합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부(3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가 맞물림에 따라 상기 투입부(30)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10); 및
    상기 몸체부(70)의 하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샤프 메커니즘부(50)와 결합하는 선단촉(90)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 메커니즘부(50)는,
    외측면이 상기 몸체부(70)의 내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단면이 상기 몸체부(70)의 내부 단면에 대응되는 샤프펜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0)는,
    상부끝단이 측단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쇠부(19)
    를 더 포함하는 샤프펜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70)는,
    내부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및 평면도형 중, 어느 하나인 샤프펜슬.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부(10)에 의해 상기 입구가 상기 폐쇄된 상태에서 서로간의 자력으로 상기 덮개부(10)의 이동을 억제하는 자력수단
    을 더 포함하는 샤프펜슬.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구조체는, 각각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제1 및 제2 자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자력수단은,
    상기 입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자력수단과 접촉하는 전단 자력수단 및, 상기 전단 자력수단과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입구가 패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자력수단과 접촉하는 후단 자력수단으로 구분되는 샤프펜슬.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70)는 내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 길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71)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 메커니즘부(50)는,
    외측면상에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샤프 메커니즘부(50)의 회전을 방지하는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지대(50)
    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KR1020170012656A 2016-01-26 2017-01-26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KR101998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725 2016-01-26
KR20160009725 2016-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23A KR20170089423A (ko) 2017-08-03
KR101998232B1 true KR101998232B1 (ko) 2019-10-01

Family

ID=5965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656A KR101998232B1 (ko) 2016-01-26 2017-01-26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2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590A (ja) * 2000-04-28 2001-11-06 Mitsubishi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の替芯収納ケース
JP2006175792A (ja) * 2004-12-24 2006-07-06 Tombow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723U (ko) 2009-11-05 2011-05-12 김재호 샤프심 투입구가 스위치로 되어있는 샤프
KR20110127575A (ko) 2010-05-19 2011-11-25 정세웅 샤프심을 쉽게 샤프 펜슬에 넣을 수 있는 샤프 펜슬 및 샤프심 통
KR20120004999U (ko) 2010-12-30 2012-07-10 이지민 고깔구조를 갖는 샤프
KR20130075471A (ko) 2011-12-27 2013-07-05 이희진 샤프 펜슬
KR20130113856A (ko) 2012-04-08 2013-10-16 김형진 미닫이 샤프 뚜껑
KR20150011990A (ko) 2013-07-24 2015-02-03 이규호 일체화 샤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590A (ja) * 2000-04-28 2001-11-06 Mitsubishi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の替芯収納ケース
JP2006175792A (ja) * 2004-12-24 2006-07-06 Tombow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23A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232B1 (ko) 필기구용 미닫이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US20080003051A1 (en) Pen with rotatable cap
JP5284899B2 (ja) 筆記具
JP4925898B2 (ja) リフィールホルダ
KR200409257Y1 (ko) 샤프심케이스가 결합된 샤프펜슬
KR101839984B1 (ko) 필기구용 클립형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펜슬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KR200227220Y1 (ko) 브러시 수납식 화장품 케이스
JP442260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20050113100A (ko) 고무지우개
KR101906537B1 (ko) 잉크 충전호스 일체형 만년필 잉크병
KR100786897B1 (ko) 차량의 펜 홀더
JP2006159433A (ja) チョークホルダ
KR200208923Y1 (ko) 가방 뚜껑의 고정장치
KR100326153B1 (ko) 측면녹크식 필기구
JP3119154U (ja) 清掃用ブラシ構造
KR200172652Y1 (ko) 안전볼펜
KR200191003Y1 (ko) 연필깍기가 구비된 필통
KR200313259Y1 (ko) 휴대용 색연필꽂이 겸용 색연필 케이스
JPH0444392Y2 (ko)
JPH0133357Y2 (ko)
KR200381188Y1 (ko) 연필깍이
KR20010055642A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KR200391850Y1 (ko) 지우개가 내장된 샤프
KR200228911Y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