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601B1 -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601B1
KR101996601B1 KR1020190019263A KR20190019263A KR101996601B1 KR 101996601 B1 KR101996601 B1 KR 101996601B1 KR 1020190019263 A KR1020190019263 A KR 1020190019263A KR 20190019263 A KR20190019263 A KR 20190019263A KR 101996601 B1 KR101996601 B1 KR 10199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monoblock
mono
bas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우
고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명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명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명실업
Priority to KR102019001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15Layout or geometry of the track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모노블럭 침목을 철도궤도에 설치하는 설치공법으로서, 철로의 레일을 지지하도록 된 모노블럭을 형성하는 모노블럭 형성단계와, 상기 철로가 형성될 노면을 평단화하고 롤러를 통해 다지는 시공준비단계와, 상기 노면에 상기 모노블럭을 배치하는 모노블럭 배치단계와, 상기 노면의 상부를 따라 연결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 형성단계와, 상기 연결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타설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상기 모노블럭과 연결시키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블럭을 철근구조체가 마련된 베이스블럭과 레일이 설치되는 안착홈을 갖는 한쌍의 결착돌부로 구성시켜, 베이스블럭에 한쌍의 결착돌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결착돌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자갈도상에서 콘크리트도상으로 변경하는 시공이 용이하게 되며 콘크리트도상의 철로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표면에 노출되는 모노블럭을 균열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침목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Mono-block for improving metrology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자갈도상을 콘크리트도상화 하는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콘크리트도상 궤도시공에 사용하는 Bi-Block을 모노블럭화하여 운행선에서 도상 개량 작업을 위해 필요 충분 조건인 열차가 운행할 수 있는 임시궤광 가조립 상태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시공성을 개선하여 도상 개량 작업을 용이하게 한 것으로, 블록을 모노화함에 따라 부재의 휨강성이 증대되어 임시궤광 가조립 상태에서도 궤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확장된 블록 폭은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줄여 시공속도를 향상시키고 블록간 좁아진 공간으로 인해 도상 콘크리트 노출면이 감소됨에 따라 균열발생이 저감시키고 블록에 철근 구조체인 래티스거더가 마련되어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지지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설선 건설인 경우에는 열차가 운행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조립한 임시궤광은 열차하중에 의한 궤광의 변형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휨강성이 크지 않은 BI-Block 또는 독립 블록인 경우에도 써포트만으로도 콘크리트타설전까지 안정적인 궤광 유지가 가능하지만, 기존선과 같이 열차가 운행되는 조건에서는 궤광 유지가 불가능해진다. 때문에, 도상개량용으로 사용하는 블록은 통상 프리캐스트 슬래브로 형성된 패널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슬래브 패널은 사용하는 콘트리트침목 2개를 1개로 결합한 형태로서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며, 블록의 표면이 매끄러운 콘크리트면으로 마감되어 있어 신구 콘크리트간 결합력이 종종 문제가 되며, 블록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기존선에서 흔히 나타나는 블록 저부와 콘크리트 베이스층과의 공간이 좁아 블록이 콘크리트 베이스층에 닿는 등 도상콘크리트층을 형성할 수 없어 시공이 곤란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슬래브 패널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도상자갈로 설치된 자갈궤도를 철거하고 슬래브 패널을 침목으로 대체하여 궤광을 조립한 다음 슬래브 패널 측면에 거푸집을 대고 슬래브 패널과 기초콘크리트층 사이와 슬래브 패널과 슬래브 패널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매립시켜 지지력을 얻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시공방법은 슬래브 패널의 측면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됨에 따라 완전하게 매립되어 결합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선로 주변에 유동하는 물이 슬래브 패널과 콘크리트층 또는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 간에 침투하여 종종 신구 콘크리트간 분리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며 또한, 슬래브 패널을 제작하는 것은 단일 블록보다 제조 원가가 높기 때문에 재료비용이 상승하여 시공단가가 올라가 시공사의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91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 설치된 궤도 높이가 낮아 기존의 두꺼운 슬래브 패널을 적용하기 곤란하여 도상개량이 어려운 경우에도 이를 가능하도록 하며, 지지체인 콘크리트 구체의 측면까지도 콘크리트층에 완전히 매립되면서 철근 구조체인 래티스 거더로 콘크리트층과의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지지력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시공중 임시 궤광 조립상태에서도 충분한 휨강성을 갖도록 하여 열차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하며, 블록을 경량화하여 중장비 동원이 불필요하도록 하면서도 블록의 평면적을 확대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량을 최소화하면서 도상 노출면을 최소화하여 도상 균열을 억제할 수 있는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체형 모노블럭 침목을 철도궤도에 설치하는 설치공법으로서, 철로의 레일을 지지하도록 된 모노블럭을 형성하는 모노블럭 형성단계와, 상기 철로가 형성될 노면을 평단화하고 롤러를 통해 다지는 시공준비단계와, 상기 노면에 상기 모노블럭을 배치하는 모노블럭 배치단계와, 상기 노면의 상부를 따라 연결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 형성단계와, 상기 연결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타설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상기 모노블럭과 연결시키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노블럭은 철근구조체가 마련된 베이스블럭과, 레일이 안착된 후 고정되도록 안착홈을 갖는 결착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착돌부는 한쌍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블럭에는 양측에 상기 결착돌부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노블럭은 상기 철근구조체의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인서트되어 고정되며, 상기 철근구조체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철근과 외부에 배치되는 하부철근과 상기 상부철근과 상기 하부철근을 연결하는 연결철근으로 일어지며, 상기 상부철근에는 연장철근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은 모노블럭을 철근구조체가 마련된 베이스블럭과 레일이 설치되는 안착홈을 갖는 한쌍의 결착돌부로 구성시켜 베이스블럭에 한쌍의 결착돌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결착돌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휨강성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이기 때문에 자갈도상에서 콘크리트도상으로 변경하는 시공을 중장비 없이 인력으로도 용이하게 되며 콘크리트도상의 철로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표면에 노출되는 도상 면적이 작아 콘크리트 균열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침목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거푸집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콘크리트타설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에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거푸집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콘크리트타설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모노블럭에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침목 설치공법라 명명함)는 일체형 모노블럭 침목을 철도궤도에 설치하는 설치공법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설치공법은 모노블럭형성단계(S1)와 시공준비단계(S2)와 모노블럭배치단계(S3)와 거푸집형성단계(S4)와 콘크리트타설단계(S5)와 양생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노블럭형성단계(S1)는 철로의 레일(300)을 지지하도록 된 모노블럭(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모노블럭(10)은 현장이아닌 공장에서 사전에 프리케스트 방식에 의해 제조되어 현장에 이송시킨 후 시공하게 된다.
상기 모노블럭(10)은 철근구조체(21)가 마련된 베이스블럭(20)과, 레일(300)이 안착된 후 고정되도록 안착홈(31)을 갖는 결착돌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착돌부(30)는 한쌍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블럭(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착돌부(30)가 상기 베이스블럭(2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콘크리트타설단계(S5)에서 연결거푸집(20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양생시간을 줄일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노블럭(10)은 상기 철근구조체(21)의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인서트되어 고정되며, 상기 철근구조체(21)는 상기 베이스블럭(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철근(211)과 외부에 배치되는 하부철근(212)과 상기 상부철근(211)과 상기 하부철근(212)을 연결하는 연결철근(2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철근(211)에는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연장철근(211a)이 더 형성된다.
상기 상부철근(211), 상기 하부철근(212), 상기 연결철근(213) 및 상기 연장철근(211a)은 상호 용접 또는 철사에 의해 묶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철근구조체(21)의 양단부도 상기 모노블럭(10)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에 인서트된다.
상기 철근구조체(21)에 의해 상기 모노블럭(10)과 상기 콘크리트층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에서 상기 모노블럭(10)이 이동되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블럭(20)의 양측부는 상기 결착돌부(30)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타설단계에 의해 타설된 콘크리트와 양생 과정에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블럭(20)의 양측부가 상기 결착돌부(30)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모노블럭(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연결거푸집(20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시공준비단계(S2)는 상기 철로가 형성될 노면(100)을 평단화하고 롤러로 다지는 단계이다. 상기 노면(10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홈구조로 형성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준비단계(S2)는 노면(100)을 따라 시공하게 되며, 후술될 연결거푸집(200)이 설치될 면적보다 넓게 노면(100)을 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블럭 배치단계(S3)는 상기 연결거푸집(200)의 내부에 상기 모노블럭(10)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모노블럭(10)을 상기 연결거푸집(200)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거푸집(200)의 내부의 노면(100)과 상기 모노블럭(10)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목이나 지지철근을 배치하고, 상기 지지철근의 상부에 상기 모노블럭(10)의 철근구조체(21)가 지지되도록 배치하게 된다.
상기 모노블럭 배치단계(S3)이후에는 상기 모노블럭(10)에 레일(300)을 설치하는 상기 레일설치단계가 더 추가된다. 상기 레일(300)은 모노블럭을 연결하며 상기 결착돌부에 앵커볼트에 의해 결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레일설치단계에서는 레일(300)을 상기 모노블럭(10)을 연결하며 결착돌부(30)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거푸집 형성단계(S4)는 상기 노면(100)을 따라 상부에 연결거푸집(2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연결거푸집(200)은 상기 모노블럭(10)을 고정시키면서 상기 시공준비단계에 의해 다져진 노면(100)에 일정한 높이로 콘크리트층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노면(100)에 틀구조로 형성시키게 되며, 일정구간 콘크리트층을 형성시킨 이후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층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타설단계(S5)는 상기 연결거푸집(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연결거푸집(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모노블럭(10)의 상면과 상기 결착돌부(30)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모노블럭(10)을 감싸면서 콘크리트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양생단계(S6)는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상기 모노블럭(10)과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콘크리트타설단계(S5)를 거쳐 타설된 콘크리트를 일정시간동안 양생되면서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모노블럭(10)의 외면 및 철근구조체(21)와 연결되어,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베이스블럭(20)의 외면에는 양생중 결속력을 높이도록 결속요철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결속요철부는 다수의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블럭(20)의 양측면에는 상기 결속돌부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부(2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의 일면에는 상기 일단에 확장캡(231)이 형성된 결속유닛(23)이 인서트되어 고정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에 상기 결속유닛(23)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노블럭(10)이 열차의 통행에 의해 이동되거나 콘크리트층과의 연결부위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결속유닛(23)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블럭(20)에 인서트되는 결속유닛(23)의 단부는 상기 상부철근(211)과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확장캡(231)은 원뿔의 캡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캡(231)에는 한쌍의 걸림캡(232)이 연결샤프트에 의해 고정되어, 콘크리트층에 인서트되어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재차 베이스블럭(20)이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블럭(20)의 내부에는 지지력 및 완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결착돌부(30)들 사이에 배치되게, " U "자 형상의 탄성지지패널(24)이 더 인서트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지지패널(24)이 하중을 지지하여 열차통행에 따라 베이스블럭(20)의 중간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모노블럭(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블럭(20)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22)의 내부에는 물결형상의 탄성지지부(221)가 더 인서트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상기 모노블럭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된다. 상기 탄성지지부(221)는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블럭(20)의 내부에는 진공완충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진공완충부는 진공튜브와 상기 진공튜브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고정홀과, 상기 진공튜브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탄성가압패널과 상기 진공튜브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탄성가압패널과, 상기 상부탄성가압패널과 상기 하부탄성가압패널을 연결함과 아울러 가압하는 탄성코일스프링들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코일스프링은 상기 상부탄성가압패널과 상기 하부탄성가압패널에 융착되어 고정되어, 상기 진공완충부에 의해 열차통행에 따른 진동을 완충시키게 되고, 소음을 흡음하여 진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노블럭(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은, 결착돌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철로의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표면에 노출되는 모노블럭을 균열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침목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침목에 균열일 발생하고 철로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타설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도상 개량용으로 사용되는 모노블럭 및 그 시공방법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도상 개량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신설선의 시공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1 : 모노블럭 형성단계 S2 : 시공준비단계
S3 : 모노블럭 배치단계 S4 : 거푸집 형성단계
S5 : 콘크리트타설단계 S6 : 양생단계
10 : 모노블럭
20 : 베이스블럭 21 : 철근구조체
211 : 상부철근 211a : 연장철근
212 : 하부철근 213 : 연결철근
22 : 돌출부 221 : 탄성지지부
23 : 결속유닛 231 : 확장캡
232 : 걸림캡 24 : 탄성지지패널
30 : 결착돌부 31 : 안착홈
100 : 노면 200 : 거푸집
300 : 레일

Claims (4)

  1. 삭제
  2. 철도궤도에 설치되는 모노블럭으로서,
    상기 모노블럭은 철근구조체가 마련된 베이스블럭과, 레일이 안착된 후 고정되도록 안착홈을 갖는 결착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착돌부는 한쌍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에는 양측에 상기 결착돌부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모노블럭은 상기 철근구조체의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인서트되어 고정되며, 상기 철근구조체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철근과 외부에 배치되는 하부철근과 상기 상부철근과 상기 하부철근을 연결하는 연결철근으로 일어지고, 상기 상부철근에는 연장철근이 더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블럭의 양측면에는 상기 결착돌부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는 상기 일단에 확장캡이 형성된 결속유닛이 인서트되어 고정되어, 콘크리트층에 상기 결속유닛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노블럭이 열차의 통행에 의해 이동되거나 콘크리트층과의 연결부위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확장캡은 원뿔의 캡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확장캡에는 한쌍의 걸림캡이 연결샤프트에 의해 고정되어, 콘크리트층에 인서트되어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재차 베이스블럭이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블럭의 내부에는 상기 결착돌부들 사이에 배치되게, " U "자 형상의 탄성지지패널이 더 인서트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지지패널이 하중을 지지하여 열차통행에 따라 베이스블럭의 중간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3. 삭제
  4. 삭제
KR1020190019263A 2019-02-19 2019-02-19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99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63A KR101996601B1 (ko) 2019-02-19 2019-02-19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63A KR101996601B1 (ko) 2019-02-19 2019-02-19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601B1 true KR101996601B1 (ko) 2019-10-01

Family

ID=6820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63A KR101996601B1 (ko) 2019-02-19 2019-02-19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519A (ko) * 2020-05-29 2021-12-07 문정복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09B1 (ko) 2015-05-12 2016-10-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궤도용 아스팔트 포장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70053959A (ko) * 2015-11-09 2017-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철도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콘크리트 장침목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09B1 (ko) 2015-05-12 2016-10-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궤도용 아스팔트 포장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70053959A (ko) * 2015-11-09 2017-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철도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콘크리트 장침목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519A (ko) * 2020-05-29 2021-12-07 문정복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KR102416416B1 (ko) * 2020-05-29 2022-07-04 문정복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7361C2 (ru) Твердое дорожное полотно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0703134B1 (ko) 조립식 피시 빔 교량 및 그것의 시공 방법
KR101507523B1 (ko) 격자형 어프로치 블록을 구비한 철도 슬래브 궤도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762148B1 (ko) 프리캐스트 psc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AU2007211764B2 (en) Ballastless track for railway vehicles
CN110761119A (zh) 减振地段的含冷压纵连的装配式无砟轨道结构及装配方法
KR20130068158A (ko)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788275B1 (ko)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갖는 교량 구조
KR100603901B1 (ko) 기존 거더의 일부를 활용한 판형교 유도상 구조 및 시공방법
JP2008531871A (ja) 軌道車両用固定軌道
KR100454405B1 (ko)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 치환시켜 유도상화하는공법
KR10070405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KR101996601B1 (ko) 도상 개량용 모노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34973B1 (ko) 프리캐스트 블록 연결에 의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08547209B (zh) 一种单孔预制空心板无伸缩缝桥梁及其施工方法
KR101187282B1 (ko) 2주식교대 구조를 이용한 철도 교량 시공방법
KR100690395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의 연속화 방법
JP2002194704A (ja) 桁の構築方法
KR20040086653A (ko) 일체식 복합교대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4162291B2 (ja) 鉄道工事桁用受台、及び鉄道工事桁用受台の施工方法
JP4477467B2 (ja) 橋梁の構造およびその架け替え方法
KR101038714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를 이용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097122B1 (ko) 궤도지지말뚝용 프리캐스트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시공방법
JP3788774B2 (ja) 鉄道の軌道構造、および鉄道の軌道構築方法
JP2004324245A (ja) フローティングラダーマクラギ、フローティングラダー軌道及びその敷設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