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158A -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158A
KR20130068158A KR1020110134382A KR20110134382A KR20130068158A KR 20130068158 A KR20130068158 A KR 20130068158A KR 1020110134382 A KR1020110134382 A KR 1020110134382A KR 20110134382 A KR20110134382 A KR 20110134382A KR 20130068158 A KR20130068158 A KR 20130068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bridge
arch
arch bridg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환중
Original Assignee
주환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환중 filed Critical 주환중
Priority to KR102011013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158A/ko
Publication of KR2013006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4/00Arch-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교량받침이 불필요하고, PS 강선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착구 및 PS 강선 적용에 따른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거더(30)와 하부구조인 교각(20)을 상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벽체기둥(50)으로 일체화 한 콘크리트 아치교(10)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장대레일 부가축 응력 저감, 장대레일 축응력 저감, 초기비용 절감 및 유지관리비용 절감, 동적안전성 향상, 경관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철도 및 교량 관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Reinforced concrete arch bridge of girder type uniting with superstructure and substructure and its automatic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대레일 부가축 응력 저감, 초기비용 절감 및 유지관리비용 절감, 동적안전성 향상, 경관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철도 및 교량 관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철도교에서는 장대레일과 교량의 상호작용에 의한 장대레일 안전성, 경제적인 효율성, 효율적인 시공성, 미적 아름다움 등이 교량형식과 경간구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장대레일 및 동적 안전성, 경제성, 시공성을 통한 최적 교량의 계획, 설계 내용은 중요하다고 하겠다.
상기와 같이 철도교의 장대레일 도상을 통하여 상부구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교량과 레일은 하중에 의해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온도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교량과 레일에 압축(壓軸) 혹은 신장(伸長)이 발생하는데 레일은 체결구, 침목, 도상 등의 궤도 구성품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신축 이완이 억제되어 레일의 축력이 축적됨은 물론 교량 상판의 하중이 도상을 통하여 레일로 전달되어 장대레일상의 축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교량상에서는 열차의 시동 또는 제동하중에 의하여 축력이 발생하며 연직하중에 의한 상판 휨의 변화에 의하여서도 단부 각 변화와 축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하중에 의하여 장대레일의 축력이 과다하게 축적되면 궤도의 좌굴, 레일의 파단, 교량에 과대한 응력 등이 발생하여 철도구조물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과 레일의 변위로 인해 도상자갈이 이완되고 궤도 불량개소가 발생하여 궤도와 교량구조물에서 장대레일 궤도 유지보수 비용증가와 구조 안전상 열차주행상의 위험 요인이 야기된다.
철도교 교량상에서 적합한 상세 해석에 의해 장대레일 적합성이 확인되어지지 않는 한 다음과 같은 교량 최대 고정점간 거리 제한 값을 두고 있다.
첫째, 레일신축이음장치(Rail Expansion Joint: R.E.J)를 가지지 않는 콘크리트 및 강합성형 교량에서 장대레일 궤도의 고정점간 거리를 80m로 제한.
둘째, R.E.J를 가지지 않는 강교량에서는 장대레일의 궤도의 고정점간 거리를 60m로 제한.
셋째, 교량상에 1개의 R.E.J가 있는 불연속 궤도의 고정점간 거리는 400m로 제한.
상기 장대레일 교량상에 부설되는 경우에는 부가응력과 변위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철도교량에서의 장대레일의 안전성을 위한 규제가 적용되고 있는 현실에서 아치교량의 특성상 작용하는 아치효과(Arching Effect)에 의하여 온도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종방향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고정점 위치가 경간 중앙에 위치하여 구조물의 변위가 단부 양방향으로 발생함으로써 일반적인 교량에서 발생하는 종방향 변위의 1/2만 발생하게 되어, 철도교에서의 장대레일과 구조물의 변위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장대레일 부가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경간별로 아치교량으로 볼 때 연속 경간 구조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단부에 신축이음 설치로 인하여 단경간교와 유사한 거동을 유도하게 함으로써 장대레일 발생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의 교량구조물에서는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는 경간장의 길이 제한이 따를 수 밖에 없어 PS(pre/post strand)강연선을 활용한 PSC(prestress concrete)구조물, 강재를 이용한 강구조물 등의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구조물들이 거의 대부분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PSC박스교량, PSC거더교량 등과 동등한 경간장을 확보하면서 철근과 콘크리트만으로 구성된 철근콘크리트를 적용하게 되면 PS강재, 정착구, 교량받침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가설시의 초기비용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발생 요인도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치구조물의 특성상 상하부 구조물을 일체화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데, 기존에 적용된 철근콘크리트 아치 구조물은 아치 리브 단면이 내공이 채워져 있든 채워져 있지 않던 간에 폐합형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거더형태의 아치리브 벽체 기둥만을 설치하고 가로보를 설치함으로써 폐합형태를 유지하지 않으면서도 구조적인 강성확보 뿐만 아니라 사용성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구조물보다 물량절감이 가능한 형식이다. 벽체 기둥의 높이를 통한 상재하중 및 철도열차의 주기적인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확보를 통한 동적안전성 효율성도 고려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존 철근콘크리트 아치구조물을 가설하고자 할 때에는 가설벤트를 설치하게 되는데, 가설벤트는 설치 및 해체에 따른 공기소요 및 비용발생이 크게 발생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 가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시공상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다음의 선행기술 1, 2 가 있다. 즉, 선행기술 1은, 특허등록 제1074868호(출원번호 제2008-0107360호)(명칭: 장대레일 부가축력을 제어하는 복합연속아치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 2는, 특허등록 제1062967호(출원번호 제2008-0096145호)(명칭: 온도고정점을 분할시킨 장경간 상로 아치 교량구조)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장대레일 부가축 응력 저감, 초기비용 절감 및 유지관리비용 절감, 동적안전성 향상, 경관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부거더와 하부구조인 교각을 상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벽체기둥으로 일체화 한 콘크리트 아치교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양 교각의 사이에 놓이는 상부거더와 장대레일 상호간의 변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장대레일 부가축응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3목적은 교량상판에 작용하는 온도하중, 시동하중 및 제동하중에 의한 변형을 아치교량 단부에 신축이음을 설치함으로써 장대레일 축응력을 저감시키고자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철근콘크리트 아치를 적용함으로써 현재의 기존 적용교량들보다 초기비용 절감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상하부 구조물을 일체화하여 구조물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철도교량에서 중요한 열차 주행에 따른 동적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6목적은 외관상 심플하면서도 곡선적인 이미지를 부각한 아치교량으로서 경관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형식이며,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철도 및 교량 관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과 교각 사이에 상부거더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아치교에 있어서, 교량받침이 불필요하고, PS 강선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착구 및 PS 강선 적용에 따른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거더와 하부구조인 교각을 상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벽체기둥으로 일체화 한 콘크리트 아치교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각과 교각 사이에 상부거더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아치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연약지반 치환 및 지반을 평탄화하는 단계; 기초 현장 타설 말뚝을 시공하는 단계; 교각기초 터파기 및 교각을 가설하는 단계; 자동화거푸집 기초 및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자동화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자동화거푸집 탈형 및 이동하는 단계;를 거쳐 RC아치교를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거더와 하부구조인 교각을 상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벽체기둥으로 일체화 한 콘크리트 아치교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양 교각의 사이에 놓이는 상부거더와 장대레일 상호간의 변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장대레일 부가축응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교량상판에 작용하는 온도하중, 시동하중 및 제동하중에 의한 변형을 아치교량 단부에 신축이음을 설치함으로써 장대레일 축응력을 저감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아치를 적용함으로써 현재의 기존 적용교량들보다 초기비용 절감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하부 구조물을 일체화하여 구조물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철도교량에서 중요한 열차 주행에 따른 동적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외관상 심플하면서도 곡선적인 이미지를 부각한 아치교량으로서 경관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형식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철도 및 교량 관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의 단면도.
도 3(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의 조감
도 및 횡단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의 시공 순서
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의 구조적 거
동 및 기존 교량과의 장단점 비교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와 기존 교량
과의 유지관리비용 절감 비교표.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의 균열방지
대책표.
본 발명에 적용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 상부거더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아치교에 있어서, 교량받침이 불필요하고, PS 강선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착구 및 PS 강선 적용에 따른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거더(30)와 하부구조인 교각(20)을 상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벽체기둥(50)으로 일체화 한 콘크리트 아치교(10)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부거더(30)는 장대레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대레일의 온도고정점 위치를 경간 중앙에 위치함과 아울러 슬래브형태의 판구조에 거더형태의 복부 벽체로 구성하여 아치효과(Arching Effects)를 반영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RC아치교는 구조물과 장대레일간의 상대변위를 최소화하여 장대레일의 부가축응력을 저감시키도록 교량단부를 끊어 경간별로 신축이음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아치리브벽체기둥(50)에는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직문양의 줄무늬(70)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부거더(30)는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고자 상부거더(30)의 단부에서 시공하여 경간 중앙부에 키세그(Key-Seg)(60)에 의해 폐합되도록 구성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아치리브벽체기둥(50)과 또 다른 아치리브벽체기둥(50)의 사이에는 균열 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실런트(40)가 채워짐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RC아치교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아치복부, 아치하부, 슬래브상면에 와이어매쉬(8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장대레일 부가축 응력 저감, 초기비용 절감 및 유지관리비용 절감, 동적안전성 향상, 경관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과 교각 사이에 상부거더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아치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연약지반 치환 및 지반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본 발명은 기초 현장 타설 말뚝을 시공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본 발명은 교각기초 터파기 및 교각을 가설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본 발명은 자동화거푸집 기초 및 레일(90)을 설치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자동화거푸집(95)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본 발명은 자동화거푸집 탈형 및 이동하는 단계;를 거쳐 RC아치교를 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에는 상부거더(30)와 하부구조인 교각(20)을 상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벽체기둥(50)으로 일체화 한 콘크리트 아치교(10)를 시공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본원발명의 단계를 거친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장대레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대레일의 온도고정점 위치를 경간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콘크리트 아치교(concrete arch bridge)를 제공하기 위해 상부거더(30)가 교각(20)과 교각(20) 사이에 위치하며, 상부거더(30)는 하부구조인 교각과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조물의 강성을 증가시켜 동적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특히 상부거더(30)와 교각(20)을 연결함으로써 일반적인 교량에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교량받침이 불필요하게 되며, PS 강선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착구 및 PS강선 적용에 따른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한 특징을 지닌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도 5 는 장대레일 부가축력을 저감시키는 아치교의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일반적인 철도교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PSC박스거더교에 비하여 장대레일 부가축응력 저감 효과, 동적안전성 우수 효과, 경제성 및 시공시 품질관리 용이 등의 장점을 나타낸 도표이다. 기존 PSC박스거더교는 콘크리트 강도가 40MPa로 본 발명에서 제안한 형식에서의 콘크리트 강도 27MPa를 적용하여 품질관리가 용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RC 아치교를 적용함에 있어 교량 단부를 끊어 경간별로 신축이음을 설치하게 함으로써 구조물과 장대레일간의 상대변위를 최소화하여 장대레일의 부가축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형식이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RC 아치교(10)는 단부에서 시공하여 경간 중앙부에서 키세그(60)에 의하여 폐합되는 구조를 지닌다. 즉, 본 발명에서 개발한 교량 형식을 시공함에 있어 동바리를 설치하고 경간 중앙부의 상부거더(30)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의 영향을 줄이고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세그(Key-Seg)(60)를 설치하였다.
더하여 본 발명은 장대레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대레일의 온도고정점 위치를 경간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콘크리트 아치교 형태의 상부거더(30)는 슬래브형태의 판구조에 거더형태의 복부 벽체로 구성되어 아치효과(Arching Effects)를 반영할 수 있는 RC아치교로서,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아치 구조물의 아치 리브 단면이 내공이 채워져 있든 채워져 있지 않던 간에 폐합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형식과는 달리 거더형태의 아치리브 벽체 기둥(50)만을 설치하고 가로보를 설치함으로써 폐합하지 않으면서도 구조적인 강성확보 뿐만 아니라 사용성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를 적용한 철근콘크리트(RC) 아치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RC아치교를 적용함에 있어 교량 단부를 끊어 경간별로 신축이음을 설치하게 함으로써 구조물과 장대레일간의 상대변위를 최소화하여 장대레일의 부가축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교량에 적용되는 PSC박스교량, PSC거더교량 등과 동등한 경간장을 확보하면서 철근과 콘크리트만으로 구성된 철근콘크리트를 적용하게 되어 PS강재, 정착구가 불필요하며, 상부거더(30)와 교각(20)을 일체화함으로써 교량받침의 적용을 배제함으로써 가설시의 초기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발생 요인을 최소화한 경제적인 RC 아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대레일 부가축력을 저감시키는 RC아치교를 적용할 때 일반적인 철도교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거더교에 비하여 장대레일 부가축응력이 저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RC 아치교는 상부구조(30)와 하부구조인 교각(20)을 일체화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열차하중에 의한 시제동하중 등에 대한 종방향 저항성능과 지진시 내진성능이 우수하여 구조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교량과 비교할 때 주행열차의 승차감(진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RC아치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RC 아치교는 상부구조(30)와 하부구조인 교각(20)을 일체화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 높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생 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아치 리브 벽체에 수직문양(콘크리트의 표면균열을 제어)의 줄무늬(70)를 도입, 무수축콘크리트(60)인 Key Seg 분할 타설(건조수축 균열방지), 아치스프링잉부 신축줄눈과 실런트 채움, 아치복부와 슬래브 상면, 아치리브 하면에 와이어메쉬(80) 설치 등의 대책을 동시에 적용하는 RC아치교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교각(20)과 교각(2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거더(30)를 가설하기 위하여 가설벤트를 매 경간마다 설치 및 해체하는 반복과정을 거침으로써 이에 따른 공사기간 및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므로 자동화거푸집(가설벤트)(95)를 다음 경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레일(90) 설치를 통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설벤트 설치 및 해체에 따른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 절감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RC 아치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RC아치교 20: 교각
30: 상부거더 40: 실런트
50: 아치리브벽체기둥 60: 무수축콘크리트
70: 줄무늬 80: 와이어매쉬
90: 레일 95: 자동화거푸집

Claims (9)

  1. 교각과 교각 사이에 상부거더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아치교에 있어서,
    교량받침이 불필요하고, PS 강선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착구 및 PS 강선 적용에 따른 유지관리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거더(30)와 하부구조인 교각(20)을 상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벽체기둥(50)으로 일체화 한 콘크리트 아치교(10)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더(30)는,
    장대레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대레일의 온도고정점 위치를 경간 중앙에 위치함과 아울러 슬래브형태의 판구조에 거더형태의 복부 벽체로 구성하여 아치효과(Arching Effects)를 반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RC아치교는,
    구조물과 장대레일간의 상대변위를 최소화하여 장대레일의 부가축응력을 저감시키도록 교량단부를 끊어 경간별로 신축이음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아치리브벽체기둥(50)에는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직문양의 줄무늬(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5.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더(30)는,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고자 상부거더(30)의 단부에서 시공하여 경간 중앙부에 키세그(Key-Seg)(60)에 의해 폐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아치리브벽체기둥(50)과 또 다른 아치리브벽체기둥(50)의 사이에는 균열 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실런트(40)가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RC아치교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아치복부, 아치하부, 슬래브상면에 와이어매쉬(8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8. 교각과 교각 사이에 상부거더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아치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연약지반 치환 및 지반을 평탄화하는 단계;
    기초 현장 타설 말뚝을 시공하는 단계;
    교각기초 터파기 및 교각을 가설하는 단계;
    자동화거푸집 기초 및 레일(90)을 설치하는 단계;
    자동화거푸집(95)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자동화거푸집 탈형 및 이동하는 단계;를 거쳐 RC아치교를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에는 상부거더(30)와 하부구조인 교각(20)을 상호 거더형태의 아치리브벽체기둥(50)으로 일체화 한 콘크리트 아치교(10)를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의 시공방법.
KR1020110134382A 2011-12-14 2011-12-14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68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382A KR20130068158A (ko) 2011-12-14 2011-12-14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382A KR20130068158A (ko) 2011-12-14 2011-12-14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58A true KR20130068158A (ko) 2013-06-26

Family

ID=4886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382A KR20130068158A (ko) 2011-12-14 2011-12-14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15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2937A (zh) * 2014-12-09 2015-04-29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拱形连续梁桥的临时转铰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252201A (zh) * 2018-03-23 2018-07-0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四片桁拱圈与双柱式拱上钢立柱的连接构造
CN108385521A (zh) * 2018-01-10 2018-08-10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多点同轴转铰焊接拼装及其辅助测量工艺
CN108625272A (zh) * 2018-06-27 2018-10-09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大跨度混凝土拱桥拱圈裂缝控制方法及构造
CN110593075A (zh) * 2019-09-09 2019-12-20 苏州园林设计院有限公司 一种拱桥石拱券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627054A (zh) * 2021-02-01 2021-04-09 中铁大桥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拱桥多孔拱圈同步对称施工方法
CN113139993A (zh) * 2021-06-22 2021-07-20 中铁大桥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超宽超大跨桥梁线性数据智能识别方法
CN113430907A (zh) * 2021-05-26 2021-09-24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铁路格构式拱上立柱
CN113668358A (zh) * 2021-08-19 2021-11-1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芯板式钢-混组合拱肋结构及其施工方法与应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2937A (zh) * 2014-12-09 2015-04-29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拱形连续梁桥的临时转铰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385521A (zh) * 2018-01-10 2018-08-10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多点同轴转铰焊接拼装及其辅助测量工艺
CN108252201A (zh) * 2018-03-23 2018-07-0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四片桁拱圈与双柱式拱上钢立柱的连接构造
CN108252201B (zh) * 2018-03-23 2023-08-2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四片桁拱圈与双柱式拱上钢立柱的连接构造
CN108625272A (zh) * 2018-06-27 2018-10-09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大跨度混凝土拱桥拱圈裂缝控制方法及构造
CN110593075A (zh) * 2019-09-09 2019-12-20 苏州园林设计院有限公司 一种拱桥石拱券固定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627054A (zh) * 2021-02-01 2021-04-09 中铁大桥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拱桥多孔拱圈同步对称施工方法
CN113430907A (zh) * 2021-05-26 2021-09-24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铁路格构式拱上立柱
CN113139993A (zh) * 2021-06-22 2021-07-20 中铁大桥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超宽超大跨桥梁线性数据智能识别方法
CN113139993B (zh) * 2021-06-22 2021-12-14 中铁大桥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桥梁线性数据智能识别方法
CN113668358A (zh) * 2021-08-19 2021-11-1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芯板式钢-混组合拱肋结构及其施工方法与应用
CN113668358B (zh) * 2021-08-19 2023-02-2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芯板式钢-混组合拱肋结构及其施工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8158A (ko) 거더형태의 상하부 일체형 rc아치교 및 그 시공방법
JP2008520867A (ja) 橋の補強方法
KR101762148B1 (ko) 프리캐스트 psc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02086629B (zh) 纵向可滑动的钢-混凝土抗掀起连接件及其施工方法
CN103938546A (zh) 简支变连续施工方法及其结构
JP2007016594A (ja)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CN103711067A (zh) 一种少支架横向拼装波形钢腹板组合箱梁及施工方法
WO2018193483A1 (en) System for construction of composite u shaped reinforced girders bridge deck and methods thereof
CN103046463A (zh) 装配式马鞍壳形底板连续箱梁桥及其建造方法
KR100603901B1 (ko) 기존 거더의 일부를 활용한 판형교 유도상 구조 및 시공방법
CN110396919B (zh) 一种装配式钢结构-混凝土组合桥梁及其施工方法
KR100454405B1 (ko)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 치환시켜 유도상화하는공법
CN108316150B (zh) 斜拉桥主塔及钢锚梁的施工系统和施工方法
KR101601675B1 (ko) 복합 라멘교 시공공법
CN105735099A (zh) 施工期采用体外预应力的先简支后连续梁桥及其施工方法
CN103835238B (zh) 一种高墩斜拉桥0号块无支架施工方法及施工中的结构
CN113322771A (zh) 一种基于超高韧性水泥基复合材料的无缝桥梁结构及施工方法
KR100621928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시공방법
CN110258190B (zh) 一种普速及重载铁路波形钢腹板挡砟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87282B1 (ko) 2주식교대 구조를 이용한 철도 교량 시공방법
CN103669193B (zh) 一种横向拼装波形钢腹板组合t梁及施工方法
KR100613862B1 (ko) 경량 피씨-강합성형 유도상 구조 및 시공법
KR102050553B1 (ko) 합성구조로 제작된 하로형 철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241401B1 (ko) 콘크리트 가로보를 이용한 강합성 연속교 시공방법
KR101062967B1 (ko) 온도고정점을 분할시킨 장경간 상로 아치 교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