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460B1 - 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460B1
KR101996460B1 KR1020170178087A KR20170178087A KR101996460B1 KR 101996460 B1 KR101996460 B1 KR 101996460B1 KR 1020170178087 A KR1020170178087 A KR 1020170178087A KR 20170178087 A KR20170178087 A KR 20170178087A KR 101996460 B1 KR101996460 B1 KR 101996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onnection
connector
space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357A (ko
Inventor
신승환
오정학
홍기철
이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7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4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내부공간이 형성된 로우어케이스;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커넥터; 상기 연결커넥터에 연결되고, 가지부가 형성된 와이어부; 상기 가지부 및 제1 기기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로우어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분리하는 분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개시하여, 제조 시 작업의 공수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켜 보다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모듈{CONNECTOR MODULE}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되는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는 엔진과 드라이브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차량의 속도의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장치이다. 변속기는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크러치를 사용하여 변속되는 수동 변속기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되는 자동 변속기가 있다.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의 가속 페달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 지는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폐하여 자동으로 변속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의 신호를 통해 전기적인 정보로 전달 받아 개폐되고, 이는 자동차에 전자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것으로 운전자가 보다 쉽게 운전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솔레노이는 밸브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바, 자동 변속기는 정확하고 정밀한 변속을 위해 오일의 압력 및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자동 변속기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뿐만 아니라, TCU 및 센서 등 다수 장치에 연결된다.
종래의 변속기용 커넥터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직접 압착 또는 저항 용접하는 방식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특수 어플리케이터의 제작이 필요하였으며, 다수 개의 와이어단을 하나의 케이스에 배치시켜 작업의 공수가 많아지고,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6672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1-28398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4781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커넥터 연결의 필요한 작업의 공수를 절감시키는 구조를 적용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여 보다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내부공간이 형성된 로우어케이스;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커넥터; 상기 연결커넥터에 연결되고, 가지부가 형성된 와이어부; 상기 가지부 및 제1 기기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로우어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분리하는 분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분리커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분리커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지부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지부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1 가지부, 제2 기기에 연결되는 제2 가지부, 제3 기기에 연결되는 제3 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은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온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지부는 상기 유온센서에 연결되는 제4 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우어케이스에는 상기 유온센서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우어케이스를 덮는 어퍼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요입된 경로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경로부를 따라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와이어부의 들뜸을 방지하는 방지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기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지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버스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가지부에 설치되는 연결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연결부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더는 상기 가지부가 수용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고정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와이어부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로우어케이스 및 상기 어퍼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의 상기 제1 기기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기는 변속기의 속도를 센싱하는 속도 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기기는 오일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은 로우어케이스에 분리커버를 설치하여,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분리하고, 와이어부에 형성된 다수의 가지부를 구분 배치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내부공간에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경로부가 더 형성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를 고정하여 차량 운행에 따른 각 기기에 전달되는 진동 stress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와이어와 각 기기를 저항 용접 또는 레이져 용접에 의해 연결가능한 구조를 가져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조립성 향상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로우어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리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로우어케이스에 가지부가 배치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B-B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방지클립 및 방지클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제1 연결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연결홀더에 제1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연결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속도센서의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제2 연결홀더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연결홀더에 와이어부가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2의 속도센서의 제2 연결홀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도 1의 와이어부에 연결커넥터 및 홀더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도 1의 보호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수용부와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19는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로우어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로우어케이스에 가지부가 배치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방지클립 및 방지클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커넥터 모듈(100)은 내부공간(821)이 형성된 로우어케이스(82),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커넥터(70), 상기 연결커넥터(70)에 연결되고, 가지부(31)가 형성된 와이어부(30), 상기 가지부 (31)및 제1 기기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커넥터(50) 및 상기 로우어케이스(82) 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821)을 분리하는 분리커버(91)를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31)는 상기 내부공간(82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우어케이스(82)는 내부공간(821) 및 유온센서(71)가 설치되는 삽입부(822)가 형성되고, 와이어부(30), 제1 커넥터(50) 등을 수용 고정하고, 외부 주변 다른 부품으로부터 보호한다.
내부공간(821)은 상측이 개방되어 가지부(31), 제1 커넥터(50) 등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경로부(823)가 형성되어 각 가지부(31)가 연결되는 기기측으로 배치되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한다.
따라서 경로부(823)는 가지부(31), 제1 커넥터(50) 등이 내부공간(821)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여러 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 설치된 기기에 연결되기 위해 로우어케이스(8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로부(823)는 가지부(31), 제1 커넥터(50) 등이 수용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821)에 요입되어 형성되고, 일 측에 위치하는 와이어부(30)로부터 여러 방향으로 형성되며, 외부에 설치된 기기에 연결되기 위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내부공간(821)은 분리커버(91)에 의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리된다. 제1 공간은 분리커버(91)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이며, 제2 공간은 분리커버(91)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가지부(31)를 구분 배치하여 커넥터 모듈(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가지부(31)가 내부공간(821)에 배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정의한 것으로, 로우어케이스(82)에 의해 형성되는 동일한 공간을 의미한다.
삽입부(822)는 유온센서(71)가 설치되어 변속기 내부 오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온센서(71)는 삽입부(822)에 삽입 고정되어 커넥터 모듈(100)과 일체로 밸브 바디에 고정될 수 있어, 종래 유온센서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던 브라켓 부품을 제외시켜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어퍼케이스(83)는 로우어케이스(82)에 결합하여 개방된 내부공간(821)의 상측을 덮어 외부와 구별되는 내부공간(821)을 형성하여, 내부공간(821)에 배치된 가지부(31), 제1 커넥터(50) 등을 외부로 부터 보호한다. 또한 복수 개의 마운팅부가 형성되어 커넥터 모듈(100)을 밸브 바디에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분리커버(91)는 로우어케이스(82)에 설치되어 내부공간(821)을 분리하고, 센서, 가지부(31) 등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가지부(31) 중 일부가 제1 공간에 배치된 후, 배치된 가지부(31)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배치된 가지부(31)가 수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분리커버(91)는 경로부(823)에 배치되고, 경로부(823)에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지부(31)가 절곡되는 부분과 같이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만 설치되어 커넥터 모듈(100)의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분리커버(91)는 내부공간(82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분리커버(91)는 일 예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100)은 분리커버(91)를 적용하여 내부공간(821)을 분리하고, 조립순서나 공정의 종류에 따라 가지부(31)를 구분 배치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공장별 특화된 공정들에 맞게 분리함으로써 대량 생산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한다.
방지클립(92)은 일 측에 끼움부가 형성되고, 끼움부에서 꺾어져 형성되는 방지부를 포함하여, 내부공간(821)의 특정위치에 끼움부를 가압하여 설치하고, 방지부를 가지부(31)의 상측에 위치시켜 들뜸을 방지한다.
따라서 방지클립(92)은 가지부(31)에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계에 따라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7를 참고하면, 가지부(31)가 제1 공간에 배치되고, 분리커버(91)가 설치된 후 방지클립(92)을 설치하여 배치된 가지부(31)를 고정하고, 가지부(31)가 제2 공간에 배치된 후 방지클립(92)을 분리커버(91)의 일 측에 끼움 결합하여 내부공간(821)의 외측으로 가지부(31)가 들뜨지 않도록 고정한다.
와이어부(30)는 여러 기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와이어는 분류되어 가지부(31)를 형성한다. 또한 와이어부(30)의 일 측은 연결커넥터(70)가 연결되고, 타 측은 가지부(31)를 통해 여러 기기와 연결되어 각 기기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가지부(31)는 와이어부(30)에서 분기되어 제1 공간과 제2 공간에 구분되어 배치되고, 경로부(823)에 수용되어 여러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기기에 연결된다. 이때 각 가지부(31)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어 기기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한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가지부(31)는 제1 커넥터(50)에 연결되는 제1 가지부, 제2 기기(40)에 연결되는 제2 가지부, 제3 기기에 연결되는 제3 가지부 및 유온센서(71)에 연결되는 제4 가지부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100)은 여러 기기에 연결되는 커넥터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보다 향상된 조립성을 제공한다.
도 8은 도 1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제1 연결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연결홀더에 제1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연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속도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의 제2 연결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연결홀더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2의 속도센서의 제2 연결홀더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50)는 바디부(51), 제1 연결부(52) 및 제2 연결부(53)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52)와 제2 연결부(53)는 바디부(51)를 관통하는 버스바로 형성되어 제1 기기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버스바는 바디부(51)를 관통하고, 양 측으로 돌출되어 제1 연결부(52)와 제2 연결부(53)를 형성하고,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해 한 쌍으로 형성되어 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버스바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기 전도성이 있는 금속 물질로 형성되고, 전기 전도성이 높은 동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기기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관장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단 변속을 위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50) 또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51)는 기존 양산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50)는 복수 개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52)와 제2 연결부(53)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2 연결부(53)는 서로 다른 제1 커넥터(50)에 형성된 한 쌍의 버스바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연결되어 제1 연결부(52)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지부(31)와의 용접부위를 축소시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커넥터(50)는 버스바를 확장한 구조를 가져 연결부의 강성이 향상되고, 제1 기기와의 연결 공차를 상쇄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연결홀더(60,160)는 가지부(31)를 수용하는 고정홈(611,1611)이 형성된 홀더부(61,161) 및 홀더부(61,161)에 결합하는 커버부(62,162)를 포함하고, 커버부(62,162)에는 고정홈(611,1611)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홀(621,1621)이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연결홀더(60)의 홀더부(61)에는 이격되어 요입된 고정홈(611)이 복수 개 형성되고, 고정홈(611)의 일 측에는 가지부(31)를 형성하는 와이어가 각각 수용되고, 타 측에는 제2 연결부(53)가 각각 수용되어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의 말 단에는 와이어를 압착하는 압착부와 돌출되어 제2 연결부(53)와 연결되는 돌출면이 형성되는 연결단자가 결합된다. 연결단자의 압착부는 상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양 측에서 가압하여 휨 변형에 의해 와이어에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의 단면은 압착부가 서로 맞닿아 물방울 형상을 갖는다.
커버부(62)는 홀더부(61)의 상측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고정하고, 연결단자의 맞닿은 가압부가 고정홀(621)을 관통하여 와이어를 다시 한번 고정한다.
제1 연결홀더(60)는 복수 개의 제1 연결홀더(60)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어, 2개 이상의 제1 커넥터(50)와 와이어의 연결을 가이드하고, 용접 부위를 고정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연결홀더(160)의 홀더부(161)에는 이격되어 요입된 고정홈(1611)이 복수 개 형성되고, 고정홈(1611)에는 가지부(31)를 형성하는 와이어가 각각 수용된다. 이때 와이어의 말 단에는 연결단자가 결합되고, 연결홀더 외측으로 돌출면이 배치되어 제2 기기와 연결된다.
커버부(162)는 홀더부(161)의 일 측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홀더부(161)의 상측에 배치 결합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며, 연결단자의 맞닿은 압착부가 고정홀(1621)을 관통하여 와이어를 다시 한번 고정한다.
제2 연결홀더(160)는 와이어와 돌출면을 연결하고, 돌출면과 제2 기기(40)가 직접 용접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켜 대량 생산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2 기기(40)는 하측으로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홈(41)이 요입 형성되고, 외부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홀(42)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기기(40)는 변속기의 속도를 센싱하는 속도센서(40)로 형성될 수 있다.
속도 센서(40)는 변속기의 입력속도센서와 출력속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변속기의 내측에 장착된다. 입력속도센서는 클러치 하우징 어셈블리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에 입력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출력속도센서는 파킹키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TCU에 출력축 정보를 제공한다. TCU는 입력축과 출력축의 정보를 전달받아 변속시기 및 기어비를 결정한다.
연결홈(41)은 하측에 요입 형성되고, 와이어의 일 말단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결홈(41)은 2개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와이어에 각각 연결되어 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연결홈(41)에는 와이어가 연결된 돌출면이 위치하여 용접된다.
연결홀(42)은 밸브 바디에 연결 고정되는 부분으로 커넥터 모듈(1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6은 도 1의 와이어부에 연결커넥터 및 홀더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의 보호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수용부와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1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연결커넥터(70)는 와이어부(30)와 외부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 측은 와이어부(30)가 삽입 고정되고 타 측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와 같은 외부 장치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연결커넥터(70)와 외부 장치의 연결만으로도 각 와이어부(30)에 연결된 다수의 기기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보호커버(93)는 원통형상으로 양 측으로 개방부가 형성되어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분리된 양 커버가 와이어부(30)의 외측에서 결합된다. 또한 연결커넥터(70)의 하측에 연결되어, 내부공간(821)에 배치되지 않고 로우어케이스(82)의 외측에 배치되는 와이어부(30)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보호커버(93)의 외측에는 수용부(934)가 형성되고, 수용부(934)는 로우어케이스(82) 및 어퍼케이스(83)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824)를 각각 수용하여 보호커버(93)를 고정한다. 이때 수용부(934)와 결합부(824)는 밀착 고정되지 않고 소정 간격 흔들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조립 시 파손 등을 방지한다.
또한 와이어는 보호커버(93)에서 내부공간으로 절곡되어 배치되는바, 로우어케이스(82) 및 어퍼케이스(83)에는 곡면을 갖는 보호부(935)가 더 형성되어,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와이어부(30)의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커넥터 모듈(100)은 유온센서(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기기는 오일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온센서(71)는 자동 변속기 내부의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여 변속시점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고, 압력센서는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고 피드백 방식으로 솔레노이드의 밸브의 개폐하며 변속기의 변속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100)은 외부 장치와 연결커넥터(70)의 연결만으로 각 기기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연결에 필요한 작업의 공수를 최소화하고,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하여 보다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0 커넥터 모듈
30 와이어부 31 가지부 32 제2 커넥터
40 제2 기기,속도센서 41 연결홈 42 연결홀
50 제1 커넥터 51 바디부 52 제1 연결부
53 제2 연결부 60 제1 연결홀더 160 제2 연결홀더
61,161 홀더부 62,162 커버부 611,1611 고정홈
621,1621 고정홀 70 연결커넥터 71 유온센서
82 로우어케이스 83 어퍼케이스 821 내부공간
822 삽입부 823 경로부 824 결합부
91 분리커버 92 방지클립 93 보호커버
934 수용부 935 보호부
B 용접봉

Claims (13)

  1. 내부공간(821)이 형성된 로우어케이스(82);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연결커넥터(70);
    상기 연결커넥터(70)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821)에 배치되는 가지부(31)가 형성된 와이어부(30);
    상기 가지부(31) 및 제1 기기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커넥터(50); 및
    상기 로우어케이스(82) 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821)을 분리하는 분리커버(9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50)는
    바디부(51);
    상기 바디부(51)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기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52); 및
    상기 바디부(51)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지부(31)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5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52)와 상기 제2 연결부(53)는 상기 바디부(51)를 관통하는 버스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821)은
    상기 분리커버(91)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분리커버(9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31)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 구분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31)는
    상기 제1 커넥터(50)에 연결되는 제1 가지부;
    제2 기기(40)에 연결되는 제2 가지부; 및
    제3 기기에 연결되는 제3 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4. 제3항에 있어서,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온센선(7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31)는 상기 유온센선(71)와 연결되는 제4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케이스(82)는 상기 유온센선(71)가 설치되는 삽입부(82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로우어케이스(82)를 덮는 어퍼케이스(8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821)에는 요입된 경로부(823);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부(30)는 상기 경로부(823)를 따라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30)의 들뜸을 방지하는 방지클립(9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31)에 설치되는 연결홀더(60,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53)가 상기 제1 연결부(52)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더(60,160)는
    상기 가지부(31)가 수용되는 고정홈(611,1611)이 형성된 홀더부(61,161); 및
    상기 홀더부(61,161)에 결합되는 커버부(62,162);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62,162)는 상기 고정홈(611,1611)의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홀(621,1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30)를 외측에서 감싸는 보호커버(9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93)는 상기 로우어케이스(82) 및 상기 어퍼케이스(83)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40)는 변속기의 속도를 센싱하는 속도 센서이고,
    상기 제3 기기는 오일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모듈(100).
KR1020170178087A 2017-12-22 2017-12-22 커넥터 모듈 KR101996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87A KR101996460B1 (ko) 2017-12-22 2017-12-22 커넥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87A KR101996460B1 (ko) 2017-12-22 2017-12-22 커넥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57A KR20190076357A (ko) 2019-07-02
KR101996460B1 true KR101996460B1 (ko) 2019-07-04

Family

ID=6725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087A KR101996460B1 (ko) 2017-12-22 2017-12-22 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4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5724A (ja) * 2004-04-01 2005-10-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08039117A (ja) * 2006-08-08 2008-02-21 Jat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における油圧制御装置
US20170223836A1 (en) * 2014-11-07 2017-08-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nector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3983A (ja) 2000-03-28 2001-10-12 Eiryo Ko ケーブルコネ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3899873B2 (ja) * 2000-09-27 2007-03-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電子制御ユニット付自動変速機
KR101214606B1 (ko) 2011-02-17 2012-12-27 주식회사 경신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5724A (ja) * 2004-04-01 2005-10-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08039117A (ja) * 2006-08-08 2008-02-21 Jat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における油圧制御装置
US20170223836A1 (en) * 2014-11-07 2017-08-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necto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57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641B2 (en) Connecting element and associated fluid assembly
EP2248228B1 (en) Connector
EP2319131B1 (en) Connector
JP4153549B1 (ja) 防水型コネクタ、防水型コネクタの実装構造、および防水型コネクタの実装方法
JP5727525B2 (ja) 壁貫通型の密閉電気接続部の製造装置
US5474108A (en) Electromagnetic valve unit
US20080242150A1 (en) Fuse and power circuit breaker including the same
KR101756477B1 (ko) 압력센서
JP4830662B2 (ja) 金属プレート付き樹脂成形品
US20090053943A1 (en) Bringing a cable into contact with a flexible strip conductor
CN102197243B (zh) 对控制单元安装电子部件的安装结构
JP6701931B2 (ja) 油圧センサの取付け構造
JPH0955235A (ja) 電気接続用配線板
JP4640986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JPH0999749A (ja) 自動変速機
JP4138804B2 (ja) コントロールモジュール
US1094422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housing and a flange plate
KR101996460B1 (ko) 커넥터 모듈
US9769945B2 (en) Covering device for a contacting portion of a printed circuit board, control system for a mechatronic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 system
US7086308B2 (en)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US6371166B1 (en) Solenoid valve device
KR101964821B1 (ko) 커넥터 모듈
EP1548893B1 (en) Connecting a solenoid to a lead frame
CN111406140A (zh) 车门把手
US5957548A (en) Electrohydraulic unit for regulating brake pressure in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