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566B1 -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566B1
KR101995566B1 KR1020120096393A KR20120096393A KR101995566B1 KR 101995566 B1 KR101995566 B1 KR 101995566B1 KR 1020120096393 A KR1020120096393 A KR 1020120096393A KR 20120096393 A KR20120096393 A KR 20120096393A KR 101995566 B1 KR101995566 B1 KR 10199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ser
iris
camera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950A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리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리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리언스
Priority to KR1020120096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5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홍채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증 시스템은, 본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축부와,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부의 일측면에 감추어지는 제1 위치와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회전 이동 가능한 연장부와, 연장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정 얼굴 부위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연장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접촉부에 얼굴 부위를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구가 카메라의 최적 초점 위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Iris Identifying System with Guide}
본 발명은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홍채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안구를 손쉽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에 숨겨지거나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홍채는 인체에서 시각을 전달하는 기관으로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은 역할을 하며, 신체에서 가장 정교하고 복잡한 섬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섬유 조직에 나타나는 주름, 혈관 등은, 각 개인을 구분할 수 있는 고유한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홍채 인식 시스템은 인간 생체를 이용한 신분 인증 방식 중의 하나로, 홍채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검색한다. 홍채 인식 방식은, 살아있는 사용자에 의해서만 인식 가능하고, 도용이 불가능하므로, 보안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홍채 인식 시스템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홍채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CM 내외의 거리에 사용자의 눈이 위치해야 한다. 한편, 홍채 인식 시스템은 주로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최적의 홍채가 촬영될 수 있는 거리로 카메라 전방에서 머리 위치를 전후로 움직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안내 표시도 없는 허공에서 사용자가 카메라의 초점 거리에 눈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머리를 전후로 움직이는 것은 무척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쉽게 카메라의 초점 거리에 눈을 위치시킬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의 사용/미사용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돌출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어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여 홍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획득된 홍채 영상을 분석하여 홍채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추출된 홍채 특징 정보가 미리저장된 인증된 홍채 특징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인증 처리부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를 향하여 노출시킨 본체부를 포함하고, 더욱,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측면에 감추어지는 제1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회전 이동 가능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정 얼굴 부위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접촉부에 상기 얼굴 부위를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구가 상기 카메라의 최적 초점 위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의 상기 접촉부에 접촉하는 상기 얼굴 부위는, 눈 둘레 부위, 눈썹, 이마, 볼, 턱, 코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연장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접촉부에 접촉한 사용자의 홍채가 상기 카메라의 최적 초점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 각도,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접촉부의 길이 또는 형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될 수 있도록, 회전 제약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제약 수단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반원형 또는 원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또한, 상기 가이드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를 상기 제2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수단과, 상기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에 에너지가 저장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를 고정시키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가이드가 상기 에너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전력의 공급을 실행하는 전기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전기 스위치 수단에 의한 전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가이드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하나의 실시에에 따른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어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여 홍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획득된 홍채 영상을 분석하여 홍채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추출된 홍채 특징 정보가 미리저장된 인증된 홍채 특징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인증 처리부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를 향하여 노출시킨 본체부를 포함하고, 더욱,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길이가 수축된 상태의 제1 위치와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를 길이변경되면서 왕복 이동 가능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소정 얼굴 부위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접촉부에 상기 얼굴 부위를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구가 상기 카메라의 최적 초점 위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의 실시에에 따른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어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여 홍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획득된 홍채 영상을 분석하여 홍채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추출된 홍채 특징 정보가 미리저장된 인증된 홍채 특징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인증 처리부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를 향하여 노출시킨 본체부를 포함하는 홍채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측면에 감추어지는 제1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회전 이동 가능하며, 또한, 수축된 위치 및 연장된 위치로 길이변경되면서 왕복 이동 가능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정 얼굴 부위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접촉부에 상기 얼굴 부위를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구가 상기 카메라의 최적 초점 위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가 손쉽게 눈을 카메라 전방의 초점 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이드를 통해, 신속하고 쉽게 눈을 카메라의 초점 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카메라에서는 정확한 초점으로 홍채를 촬영할 수 있어서 홍채 인식 절차의 실패 확률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이드를 제거하거나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의 사용을 원치않는 사용자의 요구에도 부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홍채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a)는 가이드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의 홍채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하였고, (b) 및 (c)는 가이드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의 3가지 실시예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증 시스템에서 가이드의 설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이드에 구비된 접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증 시스템에서 가이드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증 시스템에서 가이드의 회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홍채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1(a)는 가이드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의 홍채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하였고, 도 1(b) 및 도 1(c)는 가이드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U)는 홍채 인식이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 홍채 인식 시스템에 배치된 카메라(110)의 전방에서 눈을 카메라를 응시하면서 머리를 카메라에 대하여 가깝게 또는 멀리 전후 이동시키면서 또한 카메라의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인증을 시도한다.
이렇게 인증을 시도할 때, 카메라(110)는 전방을 한번 또는 여러번 촬영하고, 홍채 인식 시스템은 촬영된 영상들 중 사용자(U)의 눈이 가장 잘 촬영된 영상(즉, 홍채 영상)을 이용하여 홍채 인증을 실시할 것이다.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는 최적의 홍채 영상이라고 판정된 홍채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시도하고 인증 결과를 출력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U)가 카메라에 대하여 설정된 최적의 위치를 자신도 모르는 상태에서, 머리를 카메라(110)의 전방에서 움직이는 도중에, 사용자(U)가 인식하지 못한 시점에서 촬영된 홍채 영상으로는 정확한 사용자 인증이 처리될 수 없으므로, 홍채 인식 실패에 의한 사용자 인증 실패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1(b) 및 도 1(c)는 이러한 종래의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홍채 인식 시스템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회전하거나 수축/연장될 수 있는 가이드(150)를 적용한 형태를 보여준다.
도 1(b)에서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외형을 이루는 본체부(100)의 특정 부분(예를 들면, 옆쪽 측면 또는 위쪽 측면)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이 축으로부터 연장된 가이드(150)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용자(U)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본체부(100)의 옆면으로 감추어질 수 있는 구조의 홍채 인식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자(U)가 가이드(15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면과 같이 가이드(150)를 회전시켜 카메라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가이드(150)의 특정 부분에 눈(또는 사용자의 이마와 같은 얼굴 부위일 수 있음)을 접촉시키거나 가까이 가져감으로써 사용자(U)의 눈을 카메라의 초점 위치에 손쉽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U)가 가이드(150)를 사용하지 않고 임의로 촬영을 시도하고자 할 때에는, 가이드(150)를 본체부(100)의 옆면으로 회전시켜 감춤으로써(도시하지 않음) 가이드(150)를 카메라(110)의 전방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c)에서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외형을 이루는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길이가 연장 및 수축될 수 있는 형태의 가이드(15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가이드(150)는, 사용자가 사용을 원할 때 길이가 연장되어 카메라(1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U)는 가이드(150)에 눈 또는 얼굴 부위를 접촉시키거나 가까이 가져감으로써 카메라(110)의 초점 위치에 눈이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U)가 가이드(150)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가이드(150)를 수축시킴으로써, 가이드(150)를 본체부(100)의 내부에 숨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가이드들은, 회전 또는 연장되어 카메라의 전방으로 위치할 때, 카메라로부터 가이드의 일부분(즉, 접촉부(후술함))까지의 거리가 카메라의 최적 초점거리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최적 초점거리는, 예를 들면 10CM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의 3가지 실시예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150)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은, 카메라(110)와, 영상 처리부(120)와, 인증 처리부(130)와, 가이드(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은 홍채 인증 시스템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부(100)에 내장된다.
카메라(110)는, 주로 벽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홍채 인증 시스템의 본체부(100)에서 적어도 렌즈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본체부(100)의 전방으로는 사용자가 홍채 인증을 위하여 얼굴(특히, 눈)을 접근시키게 된다.
카메라(110)는, CCD 소자와 같은 촬상 소자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카메라(110)는 전방의 일정 거리(예를 들면, 10CM 내외)에 초점 거리가 설정될 수 있으며, 초점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안구(특히, 홍채)를 촬영하여 홍채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10)는, 사용자(U)의 접근을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전방으로 접근하여 최적 거리(초점 거리)에 들어왔을 때, 사용자의 안구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는 줌렌즈를 구비하여, 초점 거리를 어느 정도 가변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초점 거리로 머리를 위치시키기 위한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홍채 영상을 입력받고, 입력된 홍채 영상을 분석하여 홍채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홍채 특징 정보로는, 홍채에 형성된 주름, 혈관 패턴,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외부 밝기에 따라 변화하는 동공 크기에 따른 상기 특징들의 변화 패턴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홍채 특징 정보는 상용화된 다른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증 처리부(130)는, 현재 접근한 사용자로부터 분석된 홍채 특징 정보와, 기존에 등록된(인증된) 사용자로부터 미리 획득된 후 저장되어 있는 인증된 홍채 특징 정보를 서로 비교한다. 이를 위하여, 인증 처리부(130)는 인증된 홍채 특징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처리부(130)에서는, 현재 접근한 사용자로부터 분석된 홍채 특징 정보가 미리저장되어 있는 인증된 홍채 특징 정보 중 하나와 미리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현재 접근한 사용자를 인증된 사용자라고 판단하고, 후단의 특정 장치(예를 들면, 도어록과 같이 차단 및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인증 성공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현재 접근한 사용자로부터 분석된 홍채 특징 정보가 미리저장된 인증된 홍채 특징 정보 중 어느 하나와도 미리설정된 정도로 일치하지 않았다면, 현재 접근한 사용자는 부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간주하고, 인증 실패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가이드(150)는, 일례로서,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본체부(1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축부(151)와, 회전축부(151)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부(151)의 회전에 따라 본체부(100)의 일측면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본체부(100)의 측면에 감추어지는 제1 위치와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됨으로써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회전 이동 가능한 연장부(152)와, 연장부(152)에서 회전축부(151)의 반대쪽 부분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임의의 얼굴 부위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153)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3(a), 도 1(b) 및 1(c)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서 동작하는 가이드를 이용하면, 연장부(152)가 제2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접촉부(153)가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즉, 카메라(110)의 전방으로 위치될 때, 사용자가 접촉부(153)에 임의의 얼굴 부위(예를 들면, 이마, 눈 주위, 눈썹, 볼, 턱 등일 수 있음)를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구가 카메라(110)의 최적 초점 위치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110)는, 최적 초점 위치에 위치하는 안구를 촬영함으로써, 최상의 홍채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어지는 인증 처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가이드(150)의 회전 및 전후 이동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할 수도 있지만,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 수단(171)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동력을 이용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위치 수단(171)을 누르는 힘에 의하여 또는 가이드(150)의 일측에 배치된 소정의 에너지 저장 수단(161)에 의하여 반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b)에서는, 도 2(a)와 비교하여, 가이드에 연결된 에너지 저장 수단(161)과 스위치 수단(170)이 추가되었다. 도 2(b)에서의 홍채 인식 시스템은, 가이드의 일측에 가이드를 제1 위치 및/또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 에너지 또는 수축/축소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수단(161)을 포함하고, 이러한 에너지 저장 수단(161)은 스위치 수단(170)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에너지 저장 수단(161)의 일례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이동식 가이드의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스프링을 적용한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스프링(에너지 저장 수단)이 회전축부(15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스프링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제거되어 릴리즈된 상태에서는 가이드(150)를 제2 위치(카메라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이드(150)를 수동으로 또는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제1 위치(본체부의 측면으로 숨겨지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스위치 수단(170)이 가이드(150)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스위치 수단(170)을 동작시킴으로써, 다시 스프링(에너지 저장 수단)이 릴리즈되어 가이드(150)가 제2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c)과 같은, 연장/수축 방식으로 구동되는 가이드(150)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릴리즈된 경우에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c)에서는, 도 2(b)에 비하여, 가이드 이동 수단(162)과 스위치 수단(171)과 전원 공급부(172)가 추가되었다. 도 2(c)의 구성에서는, 전원의 온/오프 또는 전압/전류의 인가 방향에 따라 가이드(15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가이드 이동 수단(162)은, 입력되는 전원의 온/오프 또는 전압/전류의 인가 방향에 따라 가이드(150)의 회전 이동 또는 길이 연장/수축 이동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래크(rack), 전자기력 등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2)는, 직류 또는 교류 전력을 저장하고 회로의 구성에 따라서 저장된 전력을 방출한다.
스위치 수단(171)은, 전원 공급부(172)에 저장된 전력을 가이드 이동 수단(162)에 대하여 온/오프시키거나, 인가 방향을 스위칭하여 제공한다. 스위치 수단(171)은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스위치 수단(171)을 조작하여 가이드(150)를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150)는, 사용자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본체부(100)의 일측으로 숨겨지거나, 사용자가 스위치 수단(171)을 조작함으로써 본체부(100)에 숨겨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다음, 도 3(a) 및 3(b)을 참조하여 일례로서의 회전 동작하는 가이드의 구성 및 동작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을 참조하면, 가이드(150)는,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부(151)와, 회전축부(151)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52)와, 연장부(152)의 말단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얼굴 일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촉부(15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축부(151)의 회전은, 연장부(152)가 본체부(100)의 일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숨겨지게 되는 제1 위치와,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카메라(11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100)에는, 필요하다면, 제1 위치에서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1 돌기(158)와, 제2 위치에서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2 돌기(159)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연장부(152)는, 고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일 수 있으며, 원통의 내부에 또다른 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이 삽입되어 총 길이가 연장 및 수축될 수 있는 공지의 다단식 로드 안테나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장부(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 형태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곡선 형태로 굽은 형태 또는 꺾인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연장부(152)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접촉부(153)는, 연장부(152)의 끝부분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얼굴의 일부분을 접촉하거나 가까이 가져가게 되는 부분이다. 특히, 접촉부(153)는 가이드(150)가 제2 위치로 위치되었을때, 사용자가 얼굴 부위를 접촉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접촉부(15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 또는 반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접촉부(153)에 눈 둘레 부분을 접촉할 수 있다. 접촉부(153)는 가이드(15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카메라(110)의 최적 초점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2 위치에 있는 가이드의 접촉부(153)에 눈 주변을 접촉하게 되면, 그대로 사용자의 안구가 카메라의 전방에서 최적 초점 위치에 맞추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접촉부(153)의 형태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넓고 평탄한 사각형 형태, 'ㄱ' 또는 'ㄷ'형태로 꺾인 형태, 단순한 막대 형태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에 접촉시키는 얼굴 부위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눈 주변 부위뿐만 아니라, 윗눈썹, 이마, 광대뼈, 볼, 턱, 코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얼굴 부위에 따라 접촉부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b)을 참조하면, 제1 돌기(158) 및 제2 돌기(159)의 위치 관계, 제2 위치에서의 카메라와 가이드와의 위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가이드(150)가 본체부(100)의 측면과 거의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숨겨진 형태로 정의된다. 또한, 제2 위치는, 가이드(150)가 본체부(100)의 측면과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됨으로써, 접촉부(153)가 카메라(110)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이때, 접촉부(153)와 카메라(110)의 거리는 최적 초점 거리에 대응한다. 이러한 상태는 가이드(150)가 돌출된 상태로 정의된다.
도 5는, 가이드가 본체부에 대하여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식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150)의 회전축부(151)는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본체부(10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연장된 회전축부(151)에는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여 자동으로 가이드(150)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수단(161)으로서의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회전축부(151)와 본체부(10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회전축부(151)에 대해 상대적인 탄성력에 의한 회전 모멘트를 본체부(100)에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은 릴리즈되었을 때, 가이드(15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스프링이 에너지를 저장한 상태에서 가이드(150)를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프링을 릴리즈시킬 수 있는 스위치 수단(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수단(170)과 스프링과의 연결은, 다양한 링크 수단, 걸림턱, 전자석 등과 같은 전기적인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단지 개념인 링크(L)로써 도시하였다.
한편, 에너지 저장 수단(161)에 대신하여, 모터 등과 같이 전력에 의해 운동 에너지를 생성하는 가이드 이동 수단(16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스위치 수단(171)은, 이러한 가이드 이동 수단(162)으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치되는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2(c)에서 설명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홍채 인증 시스템에서 가이드의 회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돌기(158) 및 제2 돌기(159)와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홀(160b) 및 제2홀(160c)과, 각 홀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볼(160a)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a)은 가이드(150)의 연장부(152)의 끝부분 주변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써, 연장부(152)의 끝부분이 회전축이 되도록 연장부(152)를 가로지르는 회전축부(151)를 구비하고, 연장부(152)의 가장 끝부분에는 본체부(100)로부터 밀려지는 탄성이 작용하도록 배치된 볼(160a)이 제2홀(160c)에 접촉하여, 연장부(152)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수직인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은 도 6(a)의 구조에 대한 측면도이다. 연장부(152)의 끝부분에 형성된 회전축부(151)에 대하여 거의 직각 위치에 제1홀(160b)과 제2홀(160c)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홀(160b)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52)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수평으로 위치하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연장부(152)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160a)이 끼워맞춰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홀(160c)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장부(152)가 제2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 및 제2홀, 그리고 볼을 이용하는 구성은, 단지 일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명된 것이 아니다.
또한, 상술한, 회전 방식으로 동작하는 가이드, 연장/수축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가이드 역시 일례로서 개시된 것으로서, 접촉부를 카메라 전방의 최적 초점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면, 다른 구조 및 구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가이드를 어떠한 형태로 구성했는가를 기술적 사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홍채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시 카메라의 최적 초점 위치로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어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여 홍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획득된 홍채 영상을 분석하여 홍채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추출된 홍채 특징 정보가 미리저장된 인증된 홍채 특징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인증 처리부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를 향하여 노출시킨 본체부를 포함하는 홍채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측면에 감추어지는 제1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회전 이동 가능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어, 사용자 얼굴의 눈 둘레 부위, 눈썹, 이마, 볼, 턱, 코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얼굴 부위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접촉부에 상기 얼굴 부위를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구가 상기 카메라의 최적 초점 위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를 상기 제2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수단;
    상기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에 에너지가 저장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를 고정시키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가이드가 상기 에너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어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하여 홍채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획득된 홍채 영상을 분석하여 홍채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추출된 홍채 특징 정보가 미리저장된 인증된 홍채 특징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인증 처리부를 내장하고, 상기 카메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를 향하여 노출시킨 본체부를 포함하는 홍채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측면에 감추어지는 제1 위치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회전 이동 가능하며, 또한, 수축된 위치 및 연장된 위치로 길이변경되면서 왕복 이동 가능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어, 사용자 얼굴의 눈 둘레 부위, 눈썹, 이마, 볼, 턱, 코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얼굴 부위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접촉부에 상기 얼굴 부위를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구가 상기 카메라의 최적 초점 위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를 상기 제2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수단,
    상기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에 에너지가 저장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를 고정시키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가이드가 상기 에너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KR1020120096393A 2012-08-31 2012-08-31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KR10199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393A KR101995566B1 (ko) 2012-08-31 2012-08-31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393A KR101995566B1 (ko) 2012-08-31 2012-08-31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950A KR20140028950A (ko) 2014-03-10
KR101995566B1 true KR101995566B1 (ko) 2019-07-03

Family

ID=5064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393A KR101995566B1 (ko) 2012-08-31 2012-08-31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4901B2 (en) 2006-06-27 2013-12-10 Eyelock, Inc. Ensuring the provenance of passengers at a transportation facility
US8280120B2 (en) 2006-10-02 2012-10-02 Eyelock Inc. Fraud resistant biometric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WO2008131201A1 (en) 2007-04-19 2008-10-30 Global Rainmakers, Inc. Method and system for biometric recognition
US8953849B2 (en) 2007-04-19 2015-02-10 Eyelock, Inc. Method and system for biometric recognition
US9117119B2 (en) 2007-09-01 2015-08-25 Eyelock, Inc. Mobile identity platform
US8212870B2 (en) 2007-09-01 2012-07-03 Hanna Keith J Mirror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biometric data
US8553948B2 (en) 2007-09-01 2013-10-08 Eyelock, Inc. System and method for iris data acquisition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US9036871B2 (en) 2007-09-01 2015-05-19 Eyelock, Inc. Mobility identity platform
WO2009158662A2 (en) 2008-06-26 2009-12-30 Global Rainmakers, Inc. Method of reducing visibility of illimination while acquiring high quality imagery
US10043229B2 (en) 2011-01-26 2018-08-07 Eyelock Llc Method for confirming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while shielding that individual's personal data
CN103477351B (zh) 2011-02-17 2019-06-28 眼锁有限责任公司 用于采用单个传感器采集场景图像和虹膜图像的高效方法和系统
US9124798B2 (en) 2011-05-17 2015-09-01 Eyeloc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an iris with visible light for biometric acquisition
US9928422B2 (en) * 2014-10-15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IRIS recogni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052B1 (ko) * 1999-09-03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인식장치
US20090161827A1 (en) * 2007-12-23 2009-06-25 Oraya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controlling, and predicting radiation deliv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052B1 (ko) * 1999-09-03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인식장치
US20090161827A1 (en) * 2007-12-23 2009-06-25 Oraya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controlling, and predicting radiation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950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566B1 (ko) 안구 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구비한 홍채 인증 시스템
KR101500940B1 (ko) 탈부착 가능한 홍채 이미지 캡쳐 장치
JP2006338236A (ja) 眼画像撮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認証装置
US201100436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3d image
US10592740B2 (en) Control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4265269A (ja) 個人認証装置
US20200167549A1 (en) Skin analysis apparatus
CN106845333A (zh) 用于无适配器智能手机眼睛成像的投影仪和相关方法
JP2009211370A (ja) 虹彩認証装置
KR101548624B1 (ko) 홍채의 포커싱이 자동 조절되는 홍채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11360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26287A (ja) 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3596996B2 (ja) 生体の特徴を用いた個人認識装置およびこの個人認識装置を用いた自動取引システム
JP2009211597A (ja) 虹彩認証装置及び装着具
JP2007082655A (ja) 眼画像撮影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生体判別装置、認証装置および登録装置ならびに眼画像撮影方法
KR20150117883A (ko) 홍채 인식 모듈 및 방법
JP2020099374A (ja) 光照射装置
KR20190064273A (ko) 의료용 레이저 장치 및 의료용 레이저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JP2008052317A (ja) 認証装置および認証方法
CN114253396A (zh) 一种目标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160116106A (ko) 홍채 촬영 전용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209646A (ja) 誘導装置、撮影装置および認証装置ならびに誘導方法
CN219480327U (zh) 一种皮肤处理器及其附属头和主机
KR102114180B1 (ko) 동물의 귀 정맥 영상 촬영 장치
JP7355213B2 (ja) 画像取得装置、画像取得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