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412B1 - 계란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계란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412B1
KR101995412B1 KR1020190019385A KR20190019385A KR101995412B1 KR 101995412 B1 KR101995412 B1 KR 101995412B1 KR 1020190019385 A KR1020190019385 A KR 1020190019385A KR 20190019385 A KR20190019385 A KR 20190019385A KR 101995412 B1 KR101995412 B1 KR 101995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gg
water
water spray
eg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김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진 filed Critical 김수진
Priority to KR102019001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05Cleaning, washing of 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08Eg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계란 이송부, 상기 계란 이송부로 이송되는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계란을 세척하는 물분사 세척부를 포함하여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세척 과정에서 계란이 브러쉬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 중 계란의 손실을 줄이고, 계란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며, 고온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계란을 세척함과 동시에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여 별도의 삶은 과정 없이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함으로써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하는 데 소용되는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계란 세척 장치{APPARATUS FOR WASHING EGG}
본 발명은 계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계란으로 직접 분사하여 분사되는 물로 계란을 세척하여 세척 중 계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계란 세척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계란은 계란 세척 장치로 옮겨져 계란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이나 세균을 제거하는 세척과정을 거치고, 세척과정을 거친 계란은 크기나 중량별로 선별 및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유통된다.
계란의 세척은 계란 표면에 묻은 닭똥 등의 오염물질이나 세균을 제거하여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이고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정으로 계란을 판매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행해지는 공정이다.
통상의 계란 세척 장치는 브러쉬를 이용해서 계란을 이송시키면서 회전되는 브러쉬에 접촉시킴으로써 계란을 세척하고 있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0869호 '계란 세척 장치'에는 산란장에서 나온 계란을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브러시와 온수로 닦아주어서 오염물질을 세척하도록 구성되는 계란 세척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즉, 종래의 계란 세척 장치는 회전되는 브러쉬를 계란의 표면에 접촉시켜 묻은 닭똥 등의 오염물질이나 세균을 제거하고 있다.
종래의 계란 세척 장치는 계란 세척을 반복함에 따라 브러쉬에 계란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묻어 경화되면서 크기가 점점 커지게 되어 세척 중 브러쉬의 경화된 이물질에 의해 계란이 깨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브러쉬를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0001)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0869호 '계란 세척 장치'(2012.01.2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세척 과정에서 계란이 브러쉬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계란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란을 세척함과 동시에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계란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계란을 이송하는 계란 이송부, 상기 계란 이송부로 이송되는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계란을 세척하는 물분사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란 이송부는 외주면에 계란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위치되어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이송용 롤러부재 및 상기 이송용 롤러부재를 이송시키는 롤러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란은 2개의 상기 이송용 롤러부재의 사이에서 일부분이 어느 한 이송용 롤러부재의 안착홈에 안착되고,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한 이송용 롤러부재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는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계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 노즐부는 세척수를 나선형으로 분사하는 복수의 와류 분사형 노즐을 포함하여 세척수를 나선형으로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는 35℃ ~ 38℃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계란의 표면으로 분사하여 계란이 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는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계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부는 상기 계란 이송부로 이송되는 계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부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노즐부재, 상기 계란 이송부의 폭방향에서 양 측에 각각 위치되어 계란의 측방향에서 계란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측부 분사노즐부재 및 상기 계란 이송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아래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노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분사노즐부재, 상기 측부 분사노즐부재, 상기 상부 분사노즐부재는 각각 계란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노즐관에 이격된 복수의 분사 노즐이 구비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는 상기 하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측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는 상기 하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에서 세척된 계란에 에어를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계란의 표면에 잔류된 세척수와 함께 제거하는 에어 커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세척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 하우징부는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측면 개폐부가 위치되며, 상기 측면 개폐부는 상기 세척 하우징부의 측면에 복수로 위치되어 상기 세척 하우징부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와 상기 계란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 개폐부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개폐 감지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감지센서부에서 상기 측면 개폐부의 열린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계란 이송부와 상기 물분사 세척부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 개폐부는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세척 하우징부의 측면을 개방하며, 상기 세척 하우징부의 개방된 측면에는 세로로 지지 프레임이 위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측면 개폐부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여 상기 측면 개폐부를 열린 상태로 고정시키는 개폐 위치 고정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 위치 고정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관통되어 위치되고 전, 후 이동가능한 베이스 받침부,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앞 측에 세워져 이격되게 위치되어 사이로 상기 측면 개폐부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1도어 걸림부와 제2도어 걸림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전, 후 이동을 안내하는 받침 이동 안내 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받침부에는 지지 프레임이 관통되고 지지 프레임이 관통된 상태로 베이스 받침부가 전, 후 이동될 수 있도록 베이스 받침부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위치된 받침 이동 슬릿부가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받침부에는 상기 받침 이동 슬릿부의 후단부 측에 세워져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전진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는 제1물분사 세척부, 제2물분사 세척부, 제3물분사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는 각각 분사 노즐부와 상기 분사 노즐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에서 세척된 계란에 에어를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커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 커튼부는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 커튼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 커튼부 및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3에어 커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세척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세척 공간을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가 위치되는 제1세척 공간,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가 위치되는 제2세척 공간 및 제3물분사 세척부가 위치되는 제3세척 공간을 구분하는 복수의 구획판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세척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는 고온의 물을 분사하여 세척과 동시에 계란을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는 70℃ ~ 8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며,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며, 상기 계란 이송부는 5분 30초 ~ 8분 30초 동안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계란을 반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는 75℃ ~ 85℃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며,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며, 상기 계란 이송부는 7분 30초 ~ 10분 30초 동안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계란을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와 상기 계란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상기 계란 이송부의 계란의 이송속도를 개별적으로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로 세척된 계란을 건조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로 세척이 완료된 계란의 표면에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1공기 분사부, 상기 제1공기 분사부에서 1차 건조된 계란의 표면에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2공기 분사부 및 상기 제2공기 분사부에서 2차 건조된 계란의 표면에 가열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공기 분사부와 상기 제2공기 분사부는 각각 상기 계란 이송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계란의 상부 측에서 하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부 공기분사노즐부재; 및 상기 계란 이송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계란의 하부 측에서 상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하부 공기분사노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세척 과정에서 계란이 브러쉬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 중 계란의 손실을 줄이고, 계란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계란을 세척함과 동시에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여 별도의 삶은 과정 없이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함으로써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하는 데 소용되는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척 중 계란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설비 없이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할 수 있어 양계업자의 소득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에서 물분사 세척부의 일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에서 계란 이송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에서 개폐 위치 고정부의 일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에서 물분사 세척부(200)의 일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에서 계란 이송부(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계란을 이송하는 계란 이송부(100), 계란 이송부(100)로 이송되는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계란을 세척하는 물분사 세척부(200)를 포함한다.
계란 이송부(100)는 외주면에 계란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홈(111)이 위치되어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이송용 롤러부재(110), 이송용 롤러부재(110)를 이송시키는 롤러 이송부(120)를 포함한다.
이송용 롤러부재(110)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안착홈(111)이 이격되게 위치되어 복수의 계란을 한번에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계란은 2개의 이송용 롤러부재(110)의 사이에서 일부분이 어느 한 이송용 롤러부재(110)의 안착홈(111)에 안착되고,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한 이송용 롤러부재(110)의 안착홈(111)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된다.
안착홈(111)은 평면 상에서 이송대상인 계란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선을 가지는 것으로 계란의 외곽 형상과 최대한 유사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밝혀둔다.
이송용 롤러부재(110)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되고, 쇼어 경도값 20 ~ 100을 가진다.
이송용 롤러부재(110)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되고, 쇼어 경도값 20 ~ 100을 가짐으로써 고압의 세척수 분사에 따른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계란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송 방향으로 위치된 복수의 이송용 롤러부재(110)는 어느 한 이송용 롤러부재(110)를 기준으로 앞측에 위치되는 다른 한 이송용 롤러부재(110)의 사이에서 계란을 안착시켜 이송할 수 있고, 뒷측에 위치되는 또 다른 한 이송용 롤러부재(110)의 사이에서 계란을 안착시켜 이송할 수 있다.
롤러 이송부(120)는 복수의 이송용 롤러부재(110)를 순환 이동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또는 벨트 컨베이어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롤러 이송부(120)는 이송용 롤러부재(11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체인 컨베이어부(121), 이송용 롤러부재(110)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체인 컨베이어부(122)를 포함하여 양 측의 체인 컨베이어부를 통해 복수의 이송용 롤러부재(110)를 순환 이동하면서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의 계란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계란 이송부(100)는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계란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각 계란이 물분사 세척부(200)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분사 세척부(200)는 세척수 공급부(22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계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210)를 포함하며, 분사 노즐부(210)는 세척수를 나선형으로 분사하는 복수의 와류 분사형 노즐을 포함하여 세척수를 나선형으로 분사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킨다.
와류 분사형 노즐은 유체를 나선형으로 분사할 수 있게 유도하여 강력한 유체 회오리의 생성이 가능한 공지의 노즐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분사 노즐부(210)에 의해 나선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계란의 표면이 브러쉬에 접촉되어 쓸리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켜 계란의 표면에 묻은 닭똥 등의 오염물질이나 세균을 브러쉬와 접촉시키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세척수 공급부(2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척수 저장부, 세척수 저장부 내 세척수를 분사 노즐부(210)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 라인부, 세척수 공급 라인부에 위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제어밸브, 세척수 공급 라인부에 위치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공급부(220)는 세척수 공급 라인부에 위치되어 물분사 세척부(200)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세척수 가열부 및 세척수 가열부로 가열된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부(220)는 계란의 표면에 묻은 닭똥 등의 오염물질이나 세균을 제거하는데 적당한 온도를 가지는 온수로 세척수를 가열하여 분사 노즐부(210)로 공급할 수 있다.
물분사 세척부(200)는 세척수 가열부로 세척수를 세척수 공급 라인부에서 가열시켜 분사할 수 있다.
물분사 세척부(200)는 계란 이송부(100)로 이송 중인 계란에 직접 세척수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나선형으로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을 세척한다.
세척수 공급부(220)는 세척수 가열부로 세척수를 35℃ ~ 38℃로 가열하여 분사 노즐부(210)로 분사하도록 한다.
물분사 세척부(200)는 35℃ ~ 38℃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계란의 표면으로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에서 건조되어 굳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물분사 세척부(200)는 세척수 가열부로 세척수를 세척수 공급 라인부에서 가열시켜 스팀을 발생시키고 스팀을 일시적으로 분사하거나 스팀과 세척수를 함께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을 살균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분사 노즐부(210)는 계란 이송부(100)로 이송되는 계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부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노즐부재(211), 계란 이송부(100)의 폭방향에서 양 측에 각각 위치되어 계란의 측방향에서 계란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측부 분사노즐부재(212)를 포함한다.
또한, 분사 노즐부(210)는 계란 이송부(100)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아래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노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분사노즐부재(211)는 계란의 이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하부 노즐관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측부 분사노즐부재(212)는 계란의 이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측부 노즐관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상부 분사노즐부재는 계란의 이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부 노즐관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일 예로 한다.
하부 분사노즐부재(211), 측부 분사노즐부재(212), 상부 분사노즐부재는 각각 계란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노즐관에 이격된 복수의 분사 노즐이 구비된 구조를 가져 계란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의 분사 노즐로 각각 세척수를 분사시켜 계란을 더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상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는 하부 분사 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은 양 단부 측이 하부 분사 노즐부재의 노즐관보다 길게 돌출되게 위치된다.
측부 분사노즐부재(212)의 노즐관 길이는 하부 분사 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하부 분사 노즐부재의 노즐관은 양 단부 측이 측부 분사노즐부재(212)의 노즐관보다 길게 돌출되게 위치된다.
정리하면, 상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은 하부 분사 노즐부재의 노즐관보다 길게 형성되고, 하부 분사 노즐부재의 노즐관은 상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중앙에 위치된다.
또한, 하부 분사노즐부재(211)의 노즐관은 측부 분사노즐부재(212)의 노즐관보다 길게 형성되고, 측부 분사노즐부재(212)의 노즐관은 하부 분사 노즐부재의 노즐관 중앙에 우치된다.
이는 하부 분사 노즐부재의 노즐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압력에 의해 계란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측부 분사노즐부재(212)의 노즐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세척수의 분사 압력에 의해 계란이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송용 롤러부재(110) 사이에서 안착홈(111)에 계란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송 중 세척에 따른 계란의 파손을 방지하고, 계란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물분사 세척부(200)가 내부에 위치되는 세척 하우징부(300)를 더 포함한다.
세척 하우징부(300)는 내부에 물분사 세척부(200) 및 계란 이송부(100)가 위치되는 세척 공간(301, 302, 303)이 위치되고, 세척 공간(301, 302, 303) 내에서 계란 이송부(100)로 이송되는 계란의 표면에 물분사 세척부(2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직접 접촉되면서 계란의 세척 작업이 이루어진다.
세척 하우징부(300)는 길이방향의 일 측에 계란을 세척 공간(301, 302, 303) 내로 유입시키는 계란 유입부가 위치되고, 길이방향의 타 측에 세척된 계란을 배출시키는 계란 배출부가 위치된다.
계란 이송부(100)는 세척 하우징부(300)의 계란 유입부에서 계란 배출부까지 위치되어 세척 대상인 계란을 계란 유입부를 통해 세척 하우징부(300)의 세척 공간(301, 302, 303) 내로 유입시킨 후 세척 하우징부(300)의 세척 공간(301, 302, 303)과 건조 공간(304, 305, 306)을 통과시킨 다음 세척 공간(301, 302, 303)의 출구로 계란 배출부를 통해 세척된 계란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세척 하우징부(300)는 내부에 물분사 세척부(200)가 위치되는 세척 공간(301, 302, 303)과, 물분사 세척부(200)로 세척된 계란을 건조하는 건조부(500)가 위치되는 건조 공간(304, 305, 306)이 위치된다.
한편, 세척 하우징부(300)에는 물분사 세척부(200)와 계란 이송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위치된다.
세척 하우징부(300)는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측면 개폐부(310)가 위치된다.
측면 개폐부(310)는 세척 하우징부(300)의 측면에 복수로 위치되어 세척 하우징부(30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개폐할 수 있다.
측면 개폐부(310)는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세척 하우징부(300)의 측면을 개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세척 하우징부(300)의 개방된 측면에는 세로로 지지 프레임(320)이 위치되고, 지지 프레임(320)에는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여 측면 개폐부(310)를 열린 상태로 고정시키는 개폐 위치 고정부(330)가 위치된다.
개폐 위치 고정부(330)는 세척 하우징부(300)의 측면 개방부 높이 대비 60 ~ 80%의 높이에서 위치되어 세척 하우징부(300)의 내부를 충분히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작업성을 가지는 넓이로 개방함과 아울러 측면 개폐부(310)가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지지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개폐 위치 고정부(330)는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를 받치고, 전면을 걸어 고정하는 고리 형태의 받침대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지지 프레임(320)에 회전되어 인출되거나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출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작업자는 측면 개폐부(31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개폐 위치 고정부(330)를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 측으로 인출시켜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를 걸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세척 하우징부(300)의 측면을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 위치 고정부(330)를 측면 개폐부(310)에서 분리하면 측면 개폐부(310)는 자체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되어 세척 하우징의 측면을 닫게 된다.
측면 개폐부(310)는 세척 하우징부(30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세척 하우징부(300) 내에 위치되는 물분사 세척부(200)의 점검 및 정비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측면 개폐부(310)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개폐 감지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하고, 개폐 감지센서부에서 측면 개폐부(310)의 열린 상태가 확인되면 계란 이송부(100)와 물분사 세척부(200)의 작동을 정지한다.
개폐 감지센서부는 도어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감지하는 공지의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계란 이송부(100)와 물분사 세척부(200)의 작동 중에 하우징부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측면 개폐부(310)를 여는 경우 물분사 세척부(200)에서 분사되는 온수 등이 작업자에게 튀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바닥에 물이 고여 작업환경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물분사 세척부(200)는 고온의 세척수와 스팀을 분사하여 이송 중인 계란을 세척과 동시에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물분사 세척부(200)의 작동 중에 측면 개폐부(310)가 열리는 경우 고온의 온수가 외부로 튀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큰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개폐 감지센서부로부터 측면 개폐부(310)가 열리는 것이 감지되면 계란 이송부(100)와 물분사 세척부(2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개방된 세척 하우징부(300)의 측면으로 세척수가 외부로 튀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 및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물분사 세척부(200)는 계란의 이송방향에서 복수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물분사 세척부(200)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 제2물분사 세척부(200b), 제3물분사 세척부(2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물분사 세척부(200a), 제2물분사 세척부(200b), 제3물분사 세척부(200c)는 각각 분사 노즐부(210)와 분사 노즐부(21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세척수 공급부(220)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세척수 공급부(221), 제2물분사 세척부(200b)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세척수 공급부(222), 제3물분사 세척부(200c)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3세척수 공급부(223)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물분사 세척부(200a), 제2물분사 세척부(200b), 제3물분사 세척부(200c)는 각각 제1세척수 공급부(221), 제2세척수 공급부(222), 제3세척수 공급부(223)에 의해 개별적으로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수의 분사 압력, 온도, 분사 시간 등이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세척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후술될 반숙 계란 또는 완숙 계란 제조 시 계란의 반숙 또는 완숙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노즐부의 실시예와 세척수 공급부(220)의 실시예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분사 세척부(200)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각 제1물분사 세척부(200a), 제2물분사 세척부(200b), 제3물분사 세척부(200c)는 세척 하우징부(300) 내에서 계란의 이송 방향에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제1물분사 세척부(200a), 제2물분사 세척부(200b), 제3물분사 세척부(200c)는 계란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계란에 노즐부를 통해 회오리 형태로 물을 각각 분사하여 계란을 각 단계별로 세척하여 세척 시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즉, 제1물분사 세척부(200a)는 세척 하우징부(300)에서 계란이 유입되는 입구 측에 위치되고, 제3물분사 세척부(200c)는 세척 하우징부(300)에서 세척된 계란이 배출되는 출구 측에 위치되고, 제2물분사 세척부(200b)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와 제3물분사 세척부(200c)의 사이에 위치된다.
세척 하우징부(300)의 내부에는 세척 공간(301, 302, 303)을 제1물분사 세척부(200a)가 위치되는 제1세척 공간(301), 제2물분사 세척부(200b)가 위치되는 제2세척 공간(302) 및 제3물분사 세척부(200c)가 위치되는 제3세척 공간(303)을 구분하는 복수의 구획판부재(340)가 위치된다.
구획판부재(340)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와 제2물분사 세척부(200b) 사이에 위치되어 제1세척 공간(301)과 제2세척 공간(302)을 구분하는 제1구획판부재(341), 제2물분사 세척부(200b)와 제3물분사 세척부(200c) 사이에 위치되어 제2세척 공간(302)과 제3세척 공간(303)을 구분하는 제2구획판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부재(340)의 하부에는 계란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위치되고, 구획판부재(340)의 하단부는 최대한 계란 이송부(100)의 상부측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구획판부재(340)는 각각 하단부가 계란이 통과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제외하도록 위치되어 최대한 각 세척 공간(301, 302, 303)을 구분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구획판부재(340)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제2세척 공간(302)으로 튀어 제2세척 공간(302)에서 세척 중인 계란에 튀는 것을 방지하고 제2세척 공간(302)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제1세척 공간(301)과 제3세척 공간(303)에서 세척 중인 계란에 튀는 것을 방지하고, 제3세척 공간(303)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제2세척 공간(302)에서 세척 중인 계란에 튀는 것을 방지한다.
구획판부재(340)는 제1세척 공간(301), 제2세척 공간(302), 제3세척 공간(303) 내에서 각각 계란이 제1물분사 세척부(200a), 제2물분사 세척부(200b), 제3물분사 세척부(200c)로 각각 계란을 독립적으로 세척하여 계란의 표면에 묻은 닭똥 등의 오염물질이나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계란의 세척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세척 하우징부(300)의 하부에는 세척수 공급부(220)가 위치되는 세척수 공급공간이 위치된다.
더 상세하게 세척 하우징부(300)에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세척수 공급부(221)가 위치되는 제1세척수 공급공간(307)이 제1세척 공간(301)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2물분사 세척부(200b)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세척수 공급부(222)가 위치되는 제2세척수 공급공간(308)이 제2세척 공간(302)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3물분사 세척부(200c)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3세척수 공급부(223)가 위치되는 제3세척수 공급공간(309)이 제3세척 공간(303)의 하부에 위치된다.
측면 개폐부(310)는 제1세척수 공급공간(307)을 개폐하는 제1하부 도어부재(317), 제2세척수 공급공간(308)을 개폐하는 제2하부 도어부재(318), 제3세척수 공급공간(309)을 개폐하는 제3하부 도어부재(319)를 포함한다.
제1하부 도어부재(317) ,제2하부 도어부재(318), 제3하부 도어부재(319)는 세척 하우징부(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세척수 공급공간(307), 제2세척수 공급공간(308), 제3세척수 공급공간(309)을 각각 개폐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하부 도어부재(317) ,제2하부 도어부재(318), 제3하부 도어부재(319)는 세척 하우징부(30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세척수 공급공간(307), 제2세척수 공급공간(308), 제3세척수 공급공간(309)을 각각 개폐할 수도 있고, 공지의 개폐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1하부 도어부재(317) ,제2하부 도어부재(318), 제3하부 도어부재(319)는 제1세척수 공급공간(307), 제2세척수 공급공간(308), 제3세척수 공급공간(309)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내부에 독립적으로 위치되는 제1세척수 공급부(221), 제2세척수 공급부(222), 제3세척수 공급부(223)를 각각 개별적으로 점검하고, 정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물분사 세척부(200)에서 세척된 계란에 에어를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커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커튼부(600)는 제1세척 공간(301) 내에 위치되어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 커튼부(610), 제2세척 공간(302) 내에 위치되어 제2물분사 세척부(200b)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 커튼부(620), 제3세척 공간(303) 내에 위치되어 제3물분사 세척부(200c)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3에어 커튼부(630)를 포함한다.
제1에어 커튼부(610)는 제1세척 공간(301)과 제2세척 공간(302)을 구분하는 경계에 위치되고, 제2에어 커튼부(620)는 제2세척 공간(302)과 제3세척 공간(303)을 구분하는 경계에 위치되고, 제3에어 커튼부(630)는 제3세척 공간(303)과 건조 공간(304, 305, 306)을 구분하는 경계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에어 커튼부(600)는 물분사 세척부(200)에서 계란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한 후 계란의 표면에 잔류된 세척수 내에 포함되어 세척수와 함께 잔류되는 이물질을 에어를 분사하여 제거한다.
제1에어 커튼부(610)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수로 1차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잔류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2에어 커튼부(620)는 제2물분사 세척부(200b)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수로 2차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잔류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3에어 커튼부(630)는 제3물분사 세척부(200c)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수로 3차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잔류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에어 커튼부(600)는 제1에어 커튼부(610), 제2에어 커튼부(620), 제3에어 커튼부(630)로 각각 물분사 세척부(200)에 의해 세척수로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에 잔류된 세척수와 이물질을 각 세척 단계에서 제거함으로써 계란의 세척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계란의 표면을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는 물분사 세척부(200)로 세척된 계란을 건조하는 건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500)는 물분사 세척부(200)에서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을 건조한다.
세척 하우징부(300) 내에는 세척 공간(301, 302, 303)에서 세척된 계란이 계란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면서 건조되는 건조 공간(304, 305, 306)이 위치된다.
건조 공간(304, 305, 306)은 세척 하우징부(300) 내에서 세척 공간(301, 302, 303) 다음에 위치되고, 내부에 계란의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부(500)가 위치된다.
건조부(500)는 세척 하우징부(300) 내에서 계란이 배출되는 출구와 물분사 세척부(200) 사이 즉, 출구와 제3분사 세척부 사이에 위치되어 세척 공간(301, 302, 303) 내에서 물분사 세척부(200)로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에 잔류된 세척수를 제거한 후 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건조부(500)는 계란의 표면에 공기 즉, 열풍을 가해 계란의 표면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부(500)는 물분사 세척부(200)로 세척이 완료된 계란의 표면에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1공기 분사부(510), 제1공기 분사부(510)에서 1차 건조된 계란의 표면에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2공기 분사부(520), 제2공기 분사부(520)에서 2차 건조된 계란의 표면에 가열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부(530)를 포함한다.
제1공기 분사부(510)와 제2공기 분사부(520)는 각각 계란 이송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계란의 상부 측에서 하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부 공기분사노즐부재(500a), 계란 이송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계란의 하부 측에서 상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하부 공기분사노즐부재(500b)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공기 분사부(510)와 제2공기 분사부(520)는 상부 공기분사노즐부재(500a)와 하부 공기분사노즐부재(500b)로 계란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서 각각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계란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세척 하우징부(300)의 내부에는 제1공기 분사부(510)가 위치되는 제1건조 공간(304), 제2공기 분사부(520)가 위치되는 제2건조 공간(305), 열풍 분사부(530)가 위치되는 제3건조 공간(306)이 계란의 이송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즉, 계란은 계란 이송부(100)를 통해 입구를 통해 세척 하우징부(300) 내로 진입하고 제1세척 공간(301), 제2세척 공간(302), 제3세척 공간(303), 제1건조 공간(304), 제2건조 공간(305), 제3건조 공간(30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세척되고 건조된 후 출구를 통해 세척 하우징부(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건조부(500)는 제1건조 공간(304)과 제2건조 공간(305) 내에서 제1공기 분사부(510)와 제2공기 분사부(520)로 상온의 공기를 계란으로 분사하여 계란을 1차, 2차 건조하고, 열풍 분사부(530)로 최종적으로 계란에 열풍을 분사하여 계란을 최종적으로 건조시킨다.
건조부(500)는 상온의 공기를 계란으로 분사하여 계란을 1차, 2차 건조한 후 최종적으로 계란에 열풍을 분사하여 계란을 최종적으로 건조시킴으로써 계란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제1물분사 세척부(200a), 제2물분사 세척부(200b), 제3물분사 세척부(200c)는 고온의 물을 분사하여 세척과 동시에 계란을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1세척수 공급부(221), 제2세척수 공급부(222), 제3세척수 공급부(223)는 각각 세척수 가열부로 세척수를 75℃ 이상 100℃까지 가열한다.
그리고, 분사 노즐부(210)는 세척수 공급부(220)로부터 75℃ 이상 100℃로 가열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하여 계란을 세척과 동시에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할 수 있다.
물분사 세척부(200)는 계란을 계란 이송부(100)로 5분 30초 ~ 8분 30초 동안 또는 7분 30초 ~ 10분 30초 동안 제1세척 공간(301), 제2세척 공간(302), 제3세척 공간(303)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75℃ 이상 100℃로 가열된 세척수를 분사하여 계란을 세척과 동시에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한다.
더 상세하게 계란을 반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는 경우 제1물분사 세척부(200a)는 70℃ ~ 8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계란 이송부(100)는 1분 50초 ~ 2분 50초 동안 계란을 제1세척 공간(301)을 통과시키며, 제2물분사 세척부(200b)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계란 이송부(100)는 1분 50초 ~ 2분 50초 동안 계란을 제2세척 공간(302)을 통과시키며, 제3물분사 세척부(200c)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계란 이송부(100)는 1분 50초 ~ 2분 50초 동안 제3세척 공간(303)을 통과시킴으로써 계란을 반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계란을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는 경우 제1물분사 세척부(200a)는 75℃ ~ 85℃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계란 이송부(100)는 2분 50초 ~ 3분 30초 동안 계란을 제1세척 공간(301)을 통과시키며, 제2물분사 세척부(200b)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계란 이송부(100)는 2분 50초 ~ 3분 30초 동안 계란을 제2세척 공간(302)을 통과시키며, 제3물분사 세척부(200c)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계란 이송부(100)는 2분 50초 ~ 3분 30초 동안 제3세척 공간(303)을 통과시킴으로써 계란을 반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계란을 세척과 동시에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는 경우 제2물분사 세척부(200b)와 제3물분사 세척부(200c)의 분사 노즐부(210)는 각각 100℃의 온도로 가열된 세척수 및 스팀을 동시에 분사하여 계란을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물분사 세척부(200a)는 계란에 고온의 세척수를 분사할 때 70℃ ~ 8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 또는 75℃ ~ 85℃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계란을 예열하며, 제2물분사 세척부(200b)와 제3물분사 세척부(200c)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서 예열된 계란의 표면에 90℃ ~ 100℃의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계란이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계란에 90℃ ~ 100℃의 세척수를 처음부터 분사하는 경우 계란의 껍질이 깨지는 등 급격한 가열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서 70℃ ~ 8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 또는 75℃ ~ 85℃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계란을 예열시킴으로써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계란의 껍질이 파손되지 않고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는 제1세척 공간(301), 제2세척 공간(302), 제3세척 공간(303)을 계란이 통과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반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하거나,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계란의 세척 공정에서 계란을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동시에 제조할 수 있어 계란을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 제조하는 별도의 설비가 필요없고,
물분사 세척부(200)와 계란 이송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는 계란을 세척만 하는 세척 모드, 계란을 세척과 동시에 반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는 반숙 모드, 계란을 세척과 동시에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는 완숙 모드를 포함하여 각 모드에서 물분사 세척부(200)와 계란 이송부(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세척 모드에서 물분사 세척부(200)에서 35℃ ~ 38℃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계란의 표면으로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을 세척하도록 기설정된 세척수의 온도 및 계란의 이송속도가 저장된다.
제어부(400)는 물분사 세척부(2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와 계란 이송부(100)로 이송되는 계란의 이송 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2물분사 세척부(2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3물분사 세척부(200c)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및 제1세척 공간(301), 제2세척 공간(302), 제3세척 공간(303)을 계란이 통과하는 시간 즉, 계란의 이송속도를 표시한다.
제어부(400)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2물분사 세척부(2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3물분사 세척부(200c)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각각 입력할 수 있는 온도 입력 모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제1세척 공간(301), 제2세척 공간(302), 제3세척 공간(303)을 계란이 통과하는 시간 즉, 계란의 이송속도를 입력하는 이송 속도 입력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2물분사 세척부(2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3물분사 세척부(200c)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각각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 제2디스플레이부, 제3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계란의 이송속도를 표시하는 제4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온도 입력 모드로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제1온도 입력부, 제2물분사 세척부(2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제2온도 입력부, 제3물분사 세척부(200c)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제3온도 입력부, 이송 속도 입력모드로 계란의 이송 속도를 입력할 수 있는 이송 속도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1온도 입력부로 제1물분사 세척부(200a)의 세척수 온도를 입력할 수 있고, 제2디스플레이부와 제2온도 입력부로 제2물분사 세척부(200b)의 세척수 온도를 입력할 수 있고, 제3디스플레이부와 제3온도 입력부로 제3물분사 세척부(200c)의 세척수 온도를 입력할 수 있고, 제4디스플레이부와 이송 속도 입력모드로 계란의 이송 속도를 입력할 수 있다.
작업자는 세척되는 계란의 크기 및 계란을 익히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2물분사 세척부(2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3물분사 세척부(200c)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계란의 이송속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세척 모드에서 기저장된 세척수 온도 및 계란의 이송 조건, 반숙 모드에서 기저장된 세척수 온도 및 계란의 이송 조건, 완숙 모드에서 기저장된 세척수 온도 및 계란의 이송 조건으로 계란을 각각 세척하거나, 세척하면서 반숙 또는 완숙의 계란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입력한 제1물분사 세척부(200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2물분사 세척부(2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제3물분사 세척부(200c)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계란의 이송속도로 계란을 세척하거나 세척하면서 반숙 또는 완숙의 계란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측면 개폐부(310)는 제1세척 공간(301)을 개폐하는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제2세척 공간(302)을 개폐하는 제2측면 개폐도어부재(312), 제3세척 공간(303)을 개폐하는 제3측면 개폐도어부재(313)를 포함하여 각 세척 공간(301, 302, 303)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측면 개폐부(310)는 제1건조 공간(304)을 개폐하는 제4측면 개폐도어부재(314), 제2건조 공간(305)을 개폐하는 제5측면 개폐도어부재(315), 제3건조 공간(306)을 개폐하는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측면 개폐도어부재(314), 제5측면 개폐도어부재(315),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는 각 건조 공간(304, 305, 306) 즉, 제1건조 공간(304), 제2건조 공간(305), 제3건조 공간(306)을 개별적으로 열어 제1건조 공간(304), 제2건조 공간(305), 제3건조 공간(306) 내의 각 설비를 점검하고, 보수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각 측면 개폐도어 즉,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가 각각 열릴 때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 감지센서부를 포함한다.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로 개폐되는 세척 하우징부(300)의 제1측면 개방부 내지 제6측면 개방부에는 각각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개폐 감지센서부가 위치된다.
개폐 감지센서부는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리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하고, 제어부(400)는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리면 물분사 세척부(200)와 계란 이송부(100)의 작동을 정지시켜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열리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는 각각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됨으로써 개폐 시 소요되는 공간이 최소화되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는 각각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개폐 위치 고정부(330)에 의해 하부가 받쳐져 열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는 열린 상태에서 개폐 위치 고정부(33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하면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되어 자연스럽게 닫히게 된다.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로 개폐되는 세척 하우징(300)의 제1측면 개방부 내지 제7측면 개방부에는 각각 세로로 세워진 지지 프레임(320)이 위치되고, 각 지지 프레임(320)에는 개폐 위치 고정부(330)가 위치된다.
개폐 위치 고정부(330)는 각 지지 프레임(320)에 위치되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된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를 각각 열린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세척 장치에서 개폐 위치 고정부(330)의 일 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개폐 위치 고정부(330)는 지지 프레임(320)이 관통되어 위치되고 전, 후 이동가능한 베이스 받침부(331), 베이스 받침부(331)의 앞 측에 세워져 이격되게 위치되어 사이로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1도어 걸림부(332)와 제2도어 걸림부(333), 지지 프레임(320)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베이스 받침부(331)의 전, 후 이동을 안내하는 받침 이동 안내 레일부(321)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 받침부(331)에는 지지 프레임(320)이 관통되고 지지 프레임(320)이 관통된 상태로 베이스 받침부(331)가 전, 후 이동될 수 있도록 베이스 받침부(331)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위치된 받침 이동 슬릿부(331a)가 위치된다.
받침 이동 안내 레일부(321)는 베이스 받침부(331)가 사이로 삽입되는 상부 레일부와 하부 레일부를 포함하고, 베이스 받침부(331)는 상부 레일부와 하부 레일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부 레일부와 하부 레일부 사이에서 전, 후진 이동된다.
베이스 받침부(331)는 전진되어 측면 개폐부(310) 즉,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의 하부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되거나, 후진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측면 개폐부(310) 즉,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의 하부에 걸리지 않도록 위치된다.
베이스 받침부(331)에는 받침 이동 슬릿부(331a)의 후단부 측에 세워져 지지 프레임(320)의 후면에 지지되어 베이스 받침부(331)의 전진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334)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부(334)는 베이스 받침부(331)의 전진 이동 범위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받침부(331)의 앞 측에서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할 때 지지 프레임(320)의 후면에 지지되어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베이스 받침부(331)가 측면 개폐부(310)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 이동 슬릿부(331a)가 위치된 베이스 받침부(331)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받침부(331)는 스토퍼부(334)가 지지 프레임(320)의 후면에 밀착될 때까지 전진이동될 수 있고, 스토퍼부(334)가 지지 프레임(320)의 후면에 밀착되면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가 제1도어 걸림부(332)와 제2도어 걸림부(33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받침부(331)는 후진되어 제2도어 걸림부(333)가 지지 프레임(320)의 전면에 밀착되면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에 걸리지 않도록 위치되어 측면 개폐부(310) 즉,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가 자체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되어 닫힐 수 있다.
베이스 받침부(331)는 측면 개폐부(310) 즉,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311) 내지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316) 중 어느 하나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전진 이동되어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가 제1도어 걸림부(332)와 제2도어 걸림부(333)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를 지지하여 측면 개폐부(310)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 받침부(331)는제1도어 걸림부(332)와 제2도어 걸림부(333) 사이에 삽입되어 열려진 상태의 측면 개폐부(310)를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즉, 측면 개폐부(310)가 제1도어 걸림부(332)와 제2도어 걸림부(333) 사이에서 분리된 후 후진되어 측면 개폐부(310)의 하부에 걸리지 않도록 위치되며 이 때 측면 개폐부(310)는 자체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되어 닫혀지게 된다.
본 발명은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세척 과정에서 계란이 브러쉬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 중 계란의 손실을 줄이고, 계란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계란을 세척함과 동시에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여 별도의 삶은 과정 없이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함으로써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하는 데 소용되는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하고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 중 계란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설비 없이 반숙 또는 완숙의 삶은 계란을 제조할 수 있어 양계업자의 소득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계란 이송부 110 : 이송용 롤러부재
120 : 롤러 이송부 121 : 제1체인 컨베이어부
122 : 제2체인 컨베이어부 200 : 물분사 세척부
200a : 제1물분사 세척부 200b : 제2물분사 세척부
200c : 제3물분사 세척부 210 : 분사 노즐부
211 : 하부 분사노즐부재 212 : 측부 분사노즐부재
213 : 상부 분사노즐부재 220 : 세척수 공급부
221 : 제1세척수 공급부 222 : 제2세척수 공급부
223 : 제3세척수 공급부 300 : 세척 하우징부
301, 302, 303 : 세척 공간 304, 305, 306 : 건조 공간
307 : 제1세척수 공급공간 308 : 제2세척수 공급공간
309 : 제3세척수 공급공간 310 : 측면 개폐부
311 : 제1측면 개폐도어부재 312 : 제2측면 개폐도어부재
313 : 제3측면 개폐도어부재 314 : 제4측면 개폐도어부재
315 : 제5측면 개폐도어부재 316 : 제6측면 개폐도어부재
317 : 제1하부 도어부재 318 : 제2하부 도어부재
319 : 제3하부 도어부재 320 : 지지 프레임
321 : 받침 이동 안내 레일부 330 : 개폐 위치 고정부
331 : 베이스 받침부 331a : 받침 이동 슬릿부
332 : 제1도어 걸림부 333 : 제2도어 걸림부
334 : 스토퍼부 340 : 구획판부재
400 : 제어부 500 : 건조부
500a : 상부 공기분사노즐부재 500b : 하부 공기분사노즐부재
510 : 제1공기 분사부 520 : 제2공기 분사부
530 : 열풍 분사부 600 : 에어 커튼부
610 : 제1에어 커튼부 620 : 제2에어 커튼부
630 : 제3에어 커튼부

Claims (20)

  1. 계란을 이송하는 계란 이송부;
    상기 계란 이송부로 이송되는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계란을 세척하는 물분사 세척부;
    상기 물분사 세척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세척 하우징부; 및
    상기 물분사 세척부와 상기 계란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하우징부는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측면 개폐부가 위치되며,
    상기 측면 개폐부는 상기 세척 하우징부의 측면에 복수로 위치되어 상기 세척 하우징부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개폐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 개폐부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는 개폐 감지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감지센서부에서 상기 측면 개폐부의 열린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계란 이송부와 상기 물분사 세척부의 작동을 정지하며, ,
    상기 측면 개폐부는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세척 하우징부의 측면을 개방하며,
    상기 세척 하우징부의 개방된 측면에는 세로로 지지 프레임이 위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측면 개폐부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여 상기 측면 개폐부를 열린 상태로 고정시키는 개폐 위치 고정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란 이송부는,
    외주면에 계란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위치되어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이송용 롤러부재; 및
    상기 이송용 롤러부재를 이송시키는 롤러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란은 2개의 상기 이송용 롤러부재의 사이에서 일부분이 어느 한 이송용 롤러부재의 안착홈에 안착되고, 나머지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한 이송용 롤러부재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는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계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 노즐부는 세척수를 나선형으로 분사하는 복수의 와류 분사형 노즐을 포함하여 세척수를 나선형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는 35℃ ~ 38℃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계란의 표면으로 분사하여 계란이 표면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는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계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부는,
    상기 계란 이송부로 이송되는 계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부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노즐부재;
    상기 계란 이송부의 폭방향에서 양 측에 각각 위치되어 계란의 측방향에서 계란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측부 분사노즐부재; 및
    상기 계란 이송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아래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노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사노즐부재, 상기 측부 분사노즐부재, 상기 상부 분사노즐부재는 각각 계란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노즐관에 이격된 복수의 분사 노즐이 구비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는 상기 하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측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는 상기 하부 분사노즐부재의 노즐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에서 세척된 계란에 에어를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계란의 표면에 잔류된 세척수와 함께 제거하는 에어 커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위치 고정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관통되어 위치되고 전, 후 이동가능한 베이스 받침부;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앞 측에 세워져 이격되게 위치되어 사이로 상기 측면 개폐부의 하부가 삽입되는 제1도어 걸림부와 제2도어 걸림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전, 후 이동을 안내하는 받침 이동 안내 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받침부에는 지지 프레임이 관통되고 지지 프레임이 관통된 상태로 베이스 받침부가 전, 후 이동될 수 있도록 베이스 받침부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위치된 받침 이동 슬릿부가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받침부에는 상기 받침 이동 슬릿부의 후단부 측에 세워져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받침부의 전진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12. 계란을 이송하는 계란 이송부;
    상기 계란 이송부로 이송되는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계란을 세척하는 물분사 세척부; 및
    상기 물분사 세척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세척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분사 세척부는 제1물분사 세척부, 제2물분사 세척부, 제3물분사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는 각각 분사 노즐부와 상기 분사 노즐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는 70℃ ~ 8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며,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며,
    상기 계란 이송부는 5분 30초 ~ 8분 30초 동안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계란을 반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에서 세척된 계란에 에어를 분사하여 계란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커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 커튼부는,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 커튼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 커튼부; 및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에 의해 세척된 계란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3에어 커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세척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세척 공간을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가 위치되는 제1세척 공간,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가 위치되는 제2세척 공간 및 제3물분사 세척부가 위치되는 제3세척 공간을 구분하는 복수의 구획판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계란을 이송하는 계란 이송부;
    상기 계란 이송부로 이송되는 계란의 표면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계란을 세척하는 물분사 세척부; 및
    상기 물분사 세척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세척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분사 세척부는 제1물분사 세척부, 제2물분사 세척부, 제3물분사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는 각각 분사 노즐부와 상기 분사 노즐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는 75℃ ~ 85℃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며,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는 90℃ ~ 100℃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를 분사하며,
    상기 계란 이송부는 7분 30초 ~ 10분 30초 동안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계란을 완숙의 삶은 계란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18.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와 상기 계란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물분사 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상기 제2물분사 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상기 제3물분사 세척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온도, 상기 계란 이송부의 계란의 이송속도를 개별적으로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19. 청구항 1, 청구항 12,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 세척부로 세척된 계란을 건조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물분사 세척부로 세척이 완료된 계란의 표면에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1공기 분사부;
    상기 제1공기 분사부에서 1차 건조된 계란의 표면에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2공기 분사부; 및
    상기 제2공기 분사부에서 2차 건조된 계란의 표면에 가열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 분사부와 상기 제2공기 분사부는 각각 상기 계란 이송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계란의 상부 측에서 하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부 공기분사노즐부재; 및
    상기 계란 이송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계란의 하부 측에서 상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하부 공기분사노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세척 장치.
KR1020190019385A 2019-02-19 2019-02-19 계란 세척 장치 KR101995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385A KR101995412B1 (ko) 2019-02-19 2019-02-19 계란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385A KR101995412B1 (ko) 2019-02-19 2019-02-19 계란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412B1 true KR101995412B1 (ko) 2019-07-02

Family

ID=6725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385A KR101995412B1 (ko) 2019-02-19 2019-02-19 계란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4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39B1 (ko) * 2020-08-03 2020-10-2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영림유통 선별장치
CN112568148A (zh) * 2020-12-08 2021-03-30 罗源县洪洋乡人民政府 一种鸡蛋喷淋清洗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8071A1 (en) * 1989-03-11 1990-09-19 Uff Enterprises Limited Egg-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29615A (ko) * 2009-09-16 2011-03-23 최관수 계란세척기
KR101110869B1 (ko) 2009-07-08 2012-06-27 대한민국 계란 세척 장치
KR20130070486A (ko) * 2011-12-19 2013-06-27 지철묵 자동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170004368U (ko) * 2016-06-16 2017-12-27 전수봉 계란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8071A1 (en) * 1989-03-11 1990-09-19 Uff Enterprises Limited Egg-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110869B1 (ko) 2009-07-08 2012-06-27 대한민국 계란 세척 장치
KR20110029615A (ko) * 2009-09-16 2011-03-23 최관수 계란세척기
KR20130070486A (ko) * 2011-12-19 2013-06-27 지철묵 자동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170004368U (ko) * 2016-06-16 2017-12-27 전수봉 계란 세척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39B1 (ko) * 2020-08-03 2020-10-2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영림유통 선별장치
CN112568148A (zh) * 2020-12-08 2021-03-30 罗源县洪洋乡人民政府 一种鸡蛋喷淋清洗机构
CN112568148B (zh) * 2020-12-08 2023-01-31 罗源县洪洋乡人民政府 一种鸡蛋喷淋清洗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412B1 (ko) 계란 세척 장치
CN100563545C (zh) 传送带式餐具清洗机及其运行方法
KR101134473B1 (ko) 상자 자동 세척 및 건조장치
CN1972623B (zh) 传送带式餐具清洗机及其运行方法
US20100200020A1 (en) Bottle cleaning machine
US20110142731A1 (en) Device for sterilizing closures
KR101034978B1 (ko) 농수축산물 및 자동차 부품 박스 컨테이너 자동세척기
KR200459890Y1 (ko) 컨테이너 세척장치
CN1972621A (zh) 传送带式餐具清洗机及其运行方法
JP2009544312A (ja) 家禽用熱処理装置及び家禽用熱処理方法
KR20190125628A (ko) 전자동 취반장치 및 전자동 취반운영시스템
US3360817A (en) Egg cleaning machine
CN1972620A (zh) 传送带式餐具清洗机及其运行方法
JP2008271883A (ja) 過熱水蒸気による食品の加熱調理方法及び加熱調理装置
EP3623064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storage containers
KR101910427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세척장치
KR101764223B1 (ko) 즉석밥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64440B1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KR101809701B1 (ko) 연속식 자동 증숙장치
KR101218672B1 (ko) 스팀살균 세척장치
JPH09187376A (ja) 連続穀類処理装置
JP7364865B2 (ja) 加熱処理装置
EP2799372A1 (en) A method and a processing station for processing shell eggs
JP3859560B2 (ja) 物品処理装置
US1540820A (en) Conveying mechanism for can wash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