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051B1 -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051B1
KR101995051B1 KR1020130022658A KR20130022658A KR101995051B1 KR 101995051 B1 KR101995051 B1 KR 101995051B1 KR 1020130022658 A KR1020130022658 A KR 1020130022658A KR 20130022658 A KR20130022658 A KR 20130022658A KR 101995051 B1 KR101995051 B1 KR 101995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output bus
bobbin
housing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862A (ko
Inventor
이종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0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보빈의 하면에 절연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버스바를 상호 절연시킬 수 있고, 상기 하우징과 변압기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COMBINING STRUCTURE OF HOUSING AND ELECTRIC TRANSFORMER}
본 발명은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보드에의해 발생되는 고온을 하우징으로 발열시키고, 변압기와 하우징의 조립이 용이한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과 모터로 구동하는 하이브리드자동차 및 모터만으로 구동하는 전기자동차에서 모터를 구동하려면 높은 전압과 전류가 필요하다.
따라서, 파워컨트롤유닛인 HPCU(Hybrid Power Control Unit)가 필요로 하다.
상기 HPCU는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 및 인버터(Inverter), HCU(Hybrid Control Unit)등과 같은 전원공급 제품으로 구성된다.
이중 상기 LDC는 크게 고전압 입력을 저전압 입력으로 변경하기 위한 파워부 및 상기 파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파워부는 파워보드와 변압기 및 출력보드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제어보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워부의 변압기는 상기 파워보드를 통해서 고전압이 변압기의 1 차측 입력에 인가되면 상기 1 차측 코일을 통해서 전류가 흘러 자성 코어 내부의 자속이 발생하고 2 차측 코일을 통과하면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런 원리를 통해서 1 차측의 에너지를 2 차측으로 전달을 한다.
상기 변압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코어(10)와, 입력 와이어(15)와, 출력 버스바(20) 및 상기 입력 와이어(15)와 출력 버스바(20)을 상호 절연하는 보빈(3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변압기는 동작시 발열에 의해, 상기 입력 와이어(15), 출력 버스바(20) 보빈(30)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입력 와이어(15)와 출력 버스바(20)를 상호 절연하는 상기 보빈(30)이 파괴되어 상기 입력 와이어(15)와 출력 버스바(20)간의 쇼트가 발생함으로써 LDC ASSY가 파손된다.
또한, 상기 출력 버스바(10)가 일정 온도 이상 높아지면 상기 출력 버스바(10)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트랜지스터가 파손되고 이와 같은 경우 역시 LDC ASSY가 파손이 되어 차량이 멈추는 현상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상기 출력 버스바(20)를 상기 변압기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60)과 연결함으로서 일정 온도 상승분을 상기 하우징(60)으로 전달하였다.
그러나 상기 출력 버스바(20)는 전류가 흐르는 (+)단이고 상기 하우징(60)은 접지인(-)단이기 때문에 상기 출력 버스바(30)와 하우징(60)을 연결하면 쇼트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출력 버스바(20)와 하우징(60) 사이에 절연지를 삽입 배치하여 쇼트를 방지하였다.
또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출력 버스바(20) 및 보빈(30)이 흔들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부재(40)를 이용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킨다.
상기 볼트부재(50)가 상기 출력 버스바(20)와 보빈(30)을 관통하여 결합될 때, 상기 출력 버스바(20)의 (+)단과 볼트부재(50)의 (-)단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출력 버스바(20)와 볼트부재(40) 사이에 부싱(50)을 삽입 배치하여 쇼트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 부싱(50)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일일히 수작업으로 조립을 하였고, 조립시 정확한 위치에 놓지 않으면 옆쪽으로 떨어져 작업이 지연되어 전체적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시 상기 부싱(50)의 구멍과 상기 출력 버스바(20)의 구멍이 정확하게 연통되지 않으면 상기 볼트부재(40)가 삽입 배치되는 과정에서 절연지를 움직이게 하여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997-0003117호(1997, 01, 2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빈 및 출력 버스바를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하우징에 결합시킬 때, 출력 버스바와 결합부재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보빈 및 출력 버스바를 하우징에 효과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고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파워보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변압기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상기 제1 결합공과 연통되는 제2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유도기전력이 흐르는 출력 버스바와, 상기 출력 버스바의 상부를 덮고,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과 연통되는 제3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보빈 및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 및 제3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출력 버스바 및 상기 보빈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빈에는 상기 출력 버스바와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상호 절연시키는 제1 절연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는, 상기 제3 결합공의 둘레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공과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보빈에는, 양측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력 버스바의 측면을 감싸는 제2 절연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 하단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절연 가이드부 하단부의 내측면에는, 상방향으로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빈에 상기 출력 버스바와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삽입배치되는 제1 절연 가이드부가 상기 보빈의 하면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출력 버스바와 결합부재를 상호 절연시키고, 상기 보빈 및 출력 버스바를 상기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결합공의 둘레에서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가 상기 제2 결합공과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결합공의 내주면과 결합부재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주면이 상기 출력 버스바의 측면 둘레와 같고, 상기 보빈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력 버스바의 측면을 감싸는 제2 절연 가이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빈과 상기 출력 버스바가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조립될 때, 상기 결합부재의 조임에 의해 상기 출력 버스바 또는 상기 보빈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출력 버스바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접촉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 및 제2 절연 가이드부의 하방향 끝단부에 경사면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빈이 상기 출력 버스바에 안착될 때, 상기 보빈의 안착 방향이 흐트러지지 안고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 버스바와 결합부재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출력 버스바와 결합부재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제1 절연 가이드부 및 보빈의 측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출력 버스바의 측면을 덮는 제2 절연 가이드부가 형성됨으로써, 출력 버스바와 결합부재의 상호 절연시키고, 보빈 및 출력 가이드를 하우징에 조립할 때 보빈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제1 절연 가이드부와 제2 절연 가이드부의 하방향 끝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보빈이 출력 버스바에 안착될 때 보빈의 안착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는 하우징(100)과, 변압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파워보드 및 상기 파워보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변압기(200) 등 각종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결합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공(11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변압기(200)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공(110)은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변압기(200)가 조립될 수 있는 곳이라면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 부분 외에 다른 위치에서 다양한 개수로 형성됨도 가능하다.
상기 변압기(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파워보드를 통해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턴비를 조절하여 승압 및 감압할 수 있으며 입력 와이어(미도시)와 출력 버스바(210) 및 보빈(2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변압기(200)에 유도기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변압기(20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된 온도의 일부는 상기 출력 버스바(210)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0)으로 발열시킨다.
아울러, 상기 출력 버스바(210)는 전류가 흐르는 (+)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0)은 (-)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하우징(100)이 접촉되면 쇼트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하우징(100) 사이에는 절연지를 배치하여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하우징(100)을 상호 절연시킨다.
또한, 상기 입력 와이어는 상기 파워보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는 것으로서, 이는 공지된 기술과 동일한 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르지 않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출력 버스바(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유도기전력이 흐른다.
따라서, 상기 출력 버스바(210)는 유도기전력이 흐를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가능하다.
상기 출력 버스바(210)는 상기 파워보드를 통해서 고전압이 상기 입력 와이어로부터 인가되면 입력 코일을 통해서 전류가 흘러 자성코어(300) 내부의 자속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자속은 출력 코일을 통과하면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런 원리를 통해 발생된 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버스바(210)에는 제2 결합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공(211)은 상기 제1 결합공(110)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부재(230)가 관통삽입되어 상기 보빈(220)과 결합된 후 상기 하우징(100)에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230)는 바람직하게는 나사형식으로 형성되고,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 버스바(210) 및 보빈(220)이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변압기(200)의 상승된 온도 일부는 상기 결합부재(23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과 출력 버스바(210)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0)으로 발열된다.
상기 보빈(220)은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상기 자성코어(300) 사이를 절연하고, 상기 출력 버스바(210)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빈(220)에는 상기 제1 결합공(110) 및 제2 결합공(211)과 연통되는 제3 결합공(221)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3 결합공(221)은 상기 제1 결합공(110) 및 제2 결합공(211)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30)가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출력 버스바(210)는 전류가 흐르는 (+)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230)는 (-)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상기 결합부재(230)가 접촉되면 쇼트가 발생되어 상기 변압기(200)의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빈(220)의 하면에는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상기 결합부재(230) 사이에 제1 절연 가이드부(222)가 형성되어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상기 결합부재(230)를 상호 절연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222)는 상기 제3 결합공(221)의 둘레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제2 결합공(211)과 상기 결합부재(230)의 사이에 삽입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빈(220)에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상기 결합부재(230) 사이에 삽입배치되는 제1 절연 가이드부(222)가 상기 보빈(2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결합부재(230)를 상호 절연시킨다.
또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30)과 결합부재(40) 사이를 절연시키기 위해 크기가 작은 부싱(50)이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 졌다.
따라서, 크기가 작고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부싱(50)을 상기 결합부재(40)와 출력 버스바(20) 사이에 조립시, 오조립과 분실로 인해 생산성이 낮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절연 가이드부(222)는 제3 결합공(221)의 하면 둘레에서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보빈(220) 및 하우징(100)간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상기 출력 버스바(210) 및 보빈(220)을 상기 하우징(100)의 조립시 부싱(50)에 대한 오조립을 줄여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보빈(220) 및 하우징(100)간의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부싱(50)을 조립하는 공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 가이드부(222)가 상기 제2 결합공(21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230)를 상기 제1 결합공(110)에 삽입시, 보다 정확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재(230)가 상기 절연지를 건드려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222)를 상기 제3 결합공(221)의 하면으로부터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222)가 상기 제2 결합공(211)과 상기 결합부재(230)를 상호 절연시키고 상기 보빈(220)으로 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면, 상기 제3 결합공(221)의 하면 둘레로부터 다수개 이격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빈(220)의 하면에는 양측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측면을 감싸는 제2 절연 가이드부(223)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절연 가이드부(223)의 내주면이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측면 둘레와 같은 크기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빈(220)의 하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측면을 감싼다.
따라서, 상기 제2 절연 가이드부(223)는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보빈(220)이 상기 결합부재(230)의 조임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될 때,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측면에 맞닿는 상기 제2 절연 가이드부(223)의 저항에 의해 상기 출력 버스바(210) 또는 상기 보빈(220)의 회전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절연 가이드부(223)는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측면을 덮음으로써, 상기 출력 버스바(210)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접촉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222) 하단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절연 가이드부(223) 하단부의 내측면에는 상방향으로 경사면(22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24)은 상기 보빈(220)이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상부에 안착될 때, 상기 경사면(224)이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접촉되는 면을 따라 안착 조립됨으로써, 상기 보빈(220)의 안착 방향이 흐트러지지않고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변압기(200)의 결합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 즉, 상기 보빈(30)과 크기가 작은 부싱(50)이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보빈(30)과 출력 버스바(20) 및 하우징(60)간의 조립시, 오조립 및 부싱(50)의 분실로 인해 생산성이 낮았던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빈(220)과 제1 절연 가이드부(222)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빈(220)과 결합부재(230) 사이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결합공(211)의 내주면과 결합부재(230)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보빈(220) 및 하우징(100)간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상기 출력 버스바(210) 및 보빈(220)을 상기 하우징(100)의 조립시 부싱(50)에 대한 오조립을 줄여 상기 출력 버스바(210)와 보빈(220) 및 하우징(100)간의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부싱(50)을 조립하는 공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 가이드부(222)가 상기 제2 결합공(21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230)를 상기 제1 결합공(110)에 삽입시, 보다 정확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재(230)가 상기 절연지를 건드려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절연 가이드부(223)는 상기 출력 버스바(210)의 측면을 덮음으로써, 상기 출력 버스바(210)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의 접촉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222) 하단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절연 가이드부(223) 하단부의 내측면에는 상방향으로 경사면(224)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빈(220)이 상기 출력 버스바(210)에 안착될 때, 상기 경사면(224)이 상기 출력 버스바의 접촉되는 면을 따라 조립되어 상기 보빈(220)의 안착 방향이 흐트러지지않고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제1 결합공
200: 변압기 210: 출력 버스바
211: 제2 결합공 220: 보빈
221: 제3 결합공 222: 제1 절연 가이드부
223: 제2 절연 가이드부 224: 경사면
230: 결합부재 300: 자성코어

Claims (4)

  1. 제1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고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파워보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변압기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상기 제1 결합공과 연통되는 제2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유도기전력이 흐르는 출력 버스바;
    상기 출력 버스바의 상부를 덮고,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과 연통되는 제3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보빈; 및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 및 제3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출력 버스바 및 상기 보빈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빈에는, 상기 보빈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력 버스바와 상기 결합부재를 상호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제3 결합공의 둘레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출력 버스바와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연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는,
    양측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력 버스바의 측면을 감싸는 제2 절연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가이드부 하단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절연 가이드부 하단부의 내측면에는, 상방향으로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KR1020130022658A 2013-03-04 2013-03-04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KR101995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658A KR101995051B1 (ko) 2013-03-04 2013-03-04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658A KR101995051B1 (ko) 2013-03-04 2013-03-04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862A KR20140108862A (ko) 2014-09-15
KR101995051B1 true KR101995051B1 (ko) 2019-07-01

Family

ID=5175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658A KR101995051B1 (ko) 2013-03-04 2013-03-04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82B1 (ko) 2014-11-10 2016-08-01 보명테크 주식회사 분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의 설치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61B1 (ko) * 2006-03-13 2007-08-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조인트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547B2 (ja) 1995-06-06 2002-03-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直接アクセス記憶装置に記録する定義済み情報を、エラー訂正コードを利用しエラー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018625B1 (ko) * 2008-08-22 2011-03-03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맞춤형 트랜스포머 및 인덕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61B1 (ko) * 2006-03-13 2007-08-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조인트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862A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0267B2 (en) Reactor, converter and power conversion device
US7710231B2 (en) Ignition coil
JP5557343B2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US10707628B2 (en) Noise filter and noise reduction unit
WO2011101976A1 (ja) 電磁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53204A (ja) 点火コイル
US20150041263A1 (en) Magnetic viscous fluid damp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assembly used therefor
JP2015185725A (ja) トランス
JP4978497B2 (ja) 点火コイル
US8564392B1 (en) Ignition coil
KR101995051B1 (ko) 하우징과 변압기의 결합구조
JP2009299614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2034656B1 (ko) 변압기
JP4747987B2 (ja) 点火コイル
JP3910087B2 (ja) トランス
US10438740B2 (en) Ignition coi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70014740A (ko) 차량용 전원제어장치
KR20150133503A (ko) 크랙 방지용 보빈을 갖는 변압기, 이를 적용한 저전압 직류 변환기, 및 이의 조립 방법
US20160111206A1 (en) Transformer
CN113261180B (zh) 马达
US11289267B2 (en) Ignition coil including a center iron core and side iron cores
JP4462076B2 (ja) 点火コイル
JP4624394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KR102528422B1 (ko) 전력변환장치
WO2020066563A1 (ja) コイル装置及び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