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925B1 -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925B1
KR101994925B1 KR1020170148340A KR20170148340A KR101994925B1 KR 101994925 B1 KR101994925 B1 KR 101994925B1 KR 1020170148340 A KR1020170148340 A KR 1020170148340A KR 20170148340 A KR20170148340 A KR 20170148340A KR 101994925 B1 KR101994925 B1 KR 10199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vertical column
vertical
air resistan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555A (ko
Inventor
이희동
이용철
손혜종
김희택
이태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9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 열 사이에 래싱 브리지로 인해 갭이 형성되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싱 브리지의 제1 수직기둥 및 제2 수직기둥의 외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갭의 입구를 차단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갭 차단부재; 상기 갭 차단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수직기둥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1 밀착부재; 및 상기 갭 차단부재와 상기 제1 밀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갭 차단부재를 상기 제1 수직기둥 및 제2 수직기둥에 구속하고,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APPARATUS FOR REDUSING AIR RESISTANCE FOR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의 상갑판 상에는 컨테이너가 복수의 열로 적재되고, 컨테이너 열 사이에는 컨테이너를 결박하기 위한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결과, 컨테이너 열 사이에는 래싱 브리지가 설치되는 갭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갭은 약 15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갭이 컨테이너선의 속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바람이 컨테이너선의 정면에서 불어올 경우에는 자유 흐름(free stream)이 형성되므로 공기저항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반면, 바람이 컨테이너선의 측면에 경사지게 불어올 경우에는 갭의 입구에서 고압이 작용함과 동시에 갭의 출구에서 유동 박리와 정체유동이 발생하여 공기저항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8212호(2014.03.28, 선박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래싱 브리지로 인해 컨테이너 열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막아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 열 사이에 래싱 브리지로 인해 갭이 형성되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싱 브리지의 제1 수직기둥 및 제2 수직기둥의 외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갭의 입구를 차단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갭 차단부재; 상기 갭 차단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수직기둥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1 밀착부재; 및 상기 갭 차단부재와 상기 제1 밀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갭 차단부재를 상기 제1 수직기둥 및 제2 수직기둥에 구속하고,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갭 차단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수직기둥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2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밀착부재 및 상기 제2 밀착부재는 평평한 플레이트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밀착부재와 상기 제2 밀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직기둥 및 상기 제2 수직기둥의 내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부재는, 상기 갭 차단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수직기둥의 전면에 밀착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갭 차단부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수평판의 단부와 상기 갭 차단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직기둥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은 상기 수직판의 단부에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착부재는, 상기 수평판이 최대 길이로 연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갭 차단부재는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레이트 형상의 갭 차단부재에 의해 갭의 입구를 차단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와이어를 이용하여 갭 차단부재를 래싱 브리지의 제1 수직기둥 및 제2 수직기둥에 구속할 수 있어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컨테이너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래싱 브리지에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래싱 브리지에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평판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컨테이너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선(10)의 상갑판 상에는 컨테이너(C)가 복수의 열로 적재될 수 있고, 컨테이너 열(11, 13) 사이에는 컨테이너(C)를 결박하기 위한 래싱 브리지(15)가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컨테이너 열(11, 13) 사이에는 래싱 브리지(15)가 설치되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래싱 브리지(15)는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컨테이너선(10)의 상갑판에서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기둥(17, 19)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20, 30)는 래싱 브리지(15)에 결합되어 갭(G)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래싱 브리지에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20)는 복수의 갭 차단부재(100), 제1 밀착부재(200), 제2 밀착부재(300) 및 복수의 와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갭 차단부재(10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면이 제1 수직기둥(17)과 제2 수직기둥(19)의 외 측면에 밀착되어 갭(G)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다.
복수의 갭 차단부재(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갭 차단부재(100) 별로 분할 설치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설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1 밀착부재(200) 및 제2 밀착부재(300)는 갭 차단부재(100)의 일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평한 플레이트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밀착부재(200)는 제1 수직기둥(17)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고, 제2 밀착부재(300)는 제2 수직기둥(19)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와이어(400)는 제1 밀착부재(200)와 제2 밀착부재(300)에 결합되어 갭 차단부재(100)를 제1 수직기둥(17) 및 제2 수직기둥(19)에 구속할 수 있다. 즉, 제1 수직기둥(17) 및 제2 수직기둥(19)은 갭 차단부재(100), 제1 밀착부재(200), 제2 밀착부재(300) 및 와이어(40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공간에 구속될 수 있다.
재1 밀착부재(200)와 제2 밀착부재(300)에는 와이어(400)가 삽입되는 관통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400)의 양단에는 와이어(400)가 관통 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리 형상의 죔쇠(fastener)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400)는 제1 수직기둥(17)과 제2 수직기둥(19)의 내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와이어(400)는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400)는 갭 차단부재(100)에 결합되어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를 래싱 브리지에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30)는 복수의 갭 차단부재(100), 제1 밀착부재(200) 및 복수의 와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갭 차단부재(10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면이 제1 수직기둥(17)과 제2 수직기둥(19)의 외 측면에 밀착되어 갭(G)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다.
복수의 갭 차단부재(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갭 차단부재(100) 별로 분할 설치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설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1 밀착부재(200)는 수직판(210) 및 수평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판(210)은 갭 차단부재(100)에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고, 수평판(220)은 수직판(210)의 단부에 결합되어 갭 차단부재(100)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수직판(210) 및 수평판(2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평한 플레이트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판(210)은 제1 수직기둥(17)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고, 수평판(220)은 제1 수직기둥(17)과 제2 수직기둥(19)의 내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와이어(400)는 수평판(220)의 단부와 갭 차단부재(100)에 결합되어 갭 차단부재(100)를 제1 수직기둥(17) 및 제2 수직기둥(19)에 구속할 수 있다. 즉, 제1 수직기둥(17) 및 제2 수직기둥(19)은 갭 차단부재(100), 제1 밀착부재(200) 및 와이어(40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공간에 구속될 수 있다.
갭 차단부재(100)와 수평판(220)에는 와이어(400)가 삽입되는 관통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400)의 양단에는 와이어(400)가 관통 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리 형상의 죔쇠(fastener)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400)는 제2 수직기둥(19)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고, 스틸(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400)는 갭 차단부재(100)에 결합되어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수평판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판(220)은 수직판(210)의 단부에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수평판(220)은 상호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저항 감소장치(30)를 선수 - 선미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갭 차단부재(100)와 수평판(220) 사이에 제1 수직기둥(17)과 제2 수직기둥(19)을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밀착부재(200)는 수평판(220)이 최대 길이로 연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230)은 수평판(220)이 제1 수직기둥(17)과 제2 수직기둥(19)에 동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고, 바람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 내지 감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 컨테이너 G: 갭
10: 컨테이너선 11, 13: 컨테이너 열
15: 래싱 브리지 17, 19: 수직기둥
20, 30: 공기저항 감소장치 100: 갭 차단부재
200: 제1 밀착부재 210: 수직판
220: 수평판 230: 스프링
300: 제2 밀착부재 400: 와이어

Claims (6)

  1. 컨테이너 열 사이에 래싱 브리지로 인해 갭이 형성되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싱 브리지의 제1 수직기둥 및 제2 수직기둥의 외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갭의 입구를 차단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갭 차단부재;
    상기 갭 차단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수직기둥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1 밀착부재; 및
    상기 갭 차단부재와 상기 제1 밀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갭 차단부재를 상기 제1 수직기둥 및 제2 수직기둥에 구속하고,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밀착부재는,
    상기 갭 차단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수직기둥의 전면에 밀착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갭 차단부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수평판의 단부와 상기 갭 차단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수직기둥의 후면에 밀착되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은 상기 수직판의 단부에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착부재는,
    상기 수평판이 최대 길이로 연장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갭 차단부재는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20170148340A 2017-11-08 2017-11-08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199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340A KR101994925B1 (ko) 2017-11-08 2017-11-08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340A KR101994925B1 (ko) 2017-11-08 2017-11-08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555A KR20190052555A (ko) 2019-05-16
KR101994925B1 true KR101994925B1 (ko) 2019-07-01

Family

ID=6667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340A KR101994925B1 (ko) 2017-11-08 2017-11-08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9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8212A (ko) 2012-09-20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2115781B1 (ko) * 2016-03-08 2020-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래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555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74634B (zh) 车辆冲击吸收构件
US9346341B2 (en) Door stop
JP2015522219A5 (ko)
KR101913838B1 (ko) 휀스
US20150197367A1 (en) Coil cradle
KR101994925B1 (ko)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DK1740042T3 (da) Anordning til at forhindre fugle i at få adgang til en beboelig del af en struktur
KR101510824B1 (ko)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KR101994955B1 (ko)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US9156413B2 (en) Fixing mount of bicycle carrier
US20170050578A1 (en) Atv and four-wheeler rack extension
KR102016721B1 (ko)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JP6331957B2 (ja) エレベーター用レール固定装置
KR101753002B1 (ko) 파이프 적재장치
JP6566674B2 (ja) 建ち調整治具
CN106289878A (zh) 采样装置及输煤采样设备
KR20190052907A (ko) 선박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US20190085586A1 (en) Fence support system
KR200492659Y1 (ko)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JP6032154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い重り
US10927562B2 (en) Fence support system
KR200479380Y1 (ko) 유기성 고형연료용 마그네틱 필터
US9556642B1 (en) Fence post puller
KR20200033686A (ko)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CN105883612A (zh) 一种夹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