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659Y1 -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659Y1
KR200492659Y1 KR2020190002243U KR20190002243U KR200492659Y1 KR 200492659 Y1 KR200492659 Y1 KR 200492659Y1 KR 2020190002243 U KR2020190002243 U KR 2020190002243U KR 20190002243 U KR20190002243 U KR 20190002243U KR 200492659 Y1 KR200492659 Y1 KR 200492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edge
water tank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길
Original Assignee
두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2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는, 물탱크의 하부 바닥면 측을 안정적인 부분 받침 지지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로서,
물탱크 하부의 바닥면 측과 대응하는 부분 받침 지지면 중에서 가장자리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가장자리 프레임을 구비한 가장자리 프레임부와,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부의 둘레부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프레임 양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가장자리 지지면 측과 서로 평면을 이루는 제1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제1 내측 프레임을 구비한 제1 내측 프레임부와, 상기 제1 내측 프레임부의 제1 내측 프레임 측과 직교하는 연결 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가장자리 지지면 및 제1 내측 지지면 측과 서로 평면을 이루는 제2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제2 내측 프레임을 구비한 제2 내측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부, 상기 제1 내측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부 간의 연결 부분들을 각각 체결 상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rame Assembly For Supporting Water Tank}
본 고안은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물탱크들은 각종 용수(用水)와 같은 유체들이 탱크 내부에 담겨진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유체 압력이나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탱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물탱크의 설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려면, 기초 구조물 상에서 물탱크를 안정적인 받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받침 구조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물탱크의 하부가 불안정한 받침 상태로 지지되면, 물탱크의 비(非) 정상적인 형태 변형을 초래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받침 구조의 형태 변형이나 파손이 유발되면서 물탱크의 전도 사고와 같은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물탱크의 받침 지지에 사용되는 받침대들은 대부분 형강이나 파이프와 같은 금속 부재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체결 연결된 형태의 금속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물탱크용 받침대들은 기본적으로 물탱크의 설치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안정적인 받침 지지 구조가 요구되며, 이와 더불어 중량물인 대형 금속부재들을 체결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점을 감안할 때 장치의 경량화를 용이하게 구현하면서 조립 시공 편의성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0001) 특허등록 제10-1915707호_내진 물탱크.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용수(用水)가 담겨지는 대형 물탱크 측을 간단한 받침 지지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물탱크의 하부 바닥면 측을 안정적인 부분 받침 지지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로서,
물탱크 하부의 바닥면 측과 대응하는 부분 받침 지지면 중에서 가장자리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가장자리 프레임을 구비한 가장자리 프레임부;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부의 둘레부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프레임 양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가장자리 지지면 측과 서로 평면을 이루는 제1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제1 내측 프레임을 구비한 제1 내측 프레임부;
상기 제1 내측 프레임부의 제1 내측 프레임 측과 직교하는 연결 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가장자리 지지면 및 제1 내측 지지면 측과 서로 평면을 이루는 제2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제2 내측 프레임을 구비한 제2 내측 프레임부; 및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부, 상기 제1 내측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부 간의 연결 부분들을 각각 체결 상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부;
를 포함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물탱크 하부의 바닥면 측을 부분 받침 지지 상태로 받쳐줄 수 있는 받침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받침 지지를 위한 프레임 구조가 간단하여 장치의 경량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조립 시공시 한층 향상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는, 가장자리 프레임부(10), 제1 내측 프레임부(20), 제2 내측 프레임부(30), 및 프레임 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장자리 프레임부(10),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는 도 1에서와 같이 각종 용수가 담겨지는 대형 물탱크(T) 하부 바닥면(T1) 측을 안정적인 부분 받침 지지 상태로 받쳐줄 수 있는 부분 받침 지지면(S)을 형성하는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장자리 프레임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물탱크(T)의 하부 바닥면(T1) 측과 대응하는 부분 받침 지지면(S) 중에서 가장자리 지지면(S1)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가장자리 프레임부(10)는 가장자리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이 가장자리 프레임(12)은 네 개가 한 조로 구성되어 물탱크(T)의 바닥면(T1)의 사각 모양의 가장자리 부분과 대응하는 둘레부를 이루도록 연결 배열된다.
가장자리 프레임(12)은 앵글 타입의 금속 각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프레임 길이방향 단부 측이 서로 체결되면서 사각 모양의 프레임 연결 배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가장자리 프레임(12)은 앵글 타입의 금속 각재 이외에도 예를 들어, 요구되는 받침 지지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받침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금속 각재나 형강,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자리 프레임(12)들의 프레임 길이방향 단부 측은 후술하는 프레임 고정부(40)에 의한 볼팅 체결 방식으로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가장자리 프레임(12)들의 상부면 즉, 가장자리 지지면(S1) 측에는 도1 에서와 같이 홀부(14)들이 간격을 띄우고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홀부(14)들은 물탱크(T)의 바닥면(T1)을 형성하는 패널(P)들의 플랜지부(P1) 측과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체결 연결되기 위한 홀부 역할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는 가장자리 프레임부(10) 측과 연계하여 물탱크(T) 하부의 바닥면(T1) 측을 부분 받침 지지 상태로 받쳐줄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사각 모양의 둘레부를 이루도록 연결 배열되는 가장자리 프레임부(10)의 둘레부 내측에서 물탱크(T)의 바닥면(T1) 중에서 가장자리 안쪽면 측을 부분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1 내측 프레임부(20)는 제1 내측 프레임(22)을 구비하고, 이 제1 내측 프레임(22)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가장자리 프레임부(10)의 둘레부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프레임(12) 간을 서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1열 이상이 배열된다.
제2 내측 프레임부(30)는 제2 내측 프레임(32)을 구비하고, 이 제2 내측 프레임(32)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가장자리 프레임부(10) 둘레부 내측에서 제1 내측 프레임(22)들 측과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프레임(12) 간을 서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1열 이상이 배열된다.
이때, 제2 내측 프레임부(30)의 각 열들의 제2 내측 프레임(32)은 제1 내측 프레임(22)들 사이사이 간격과 대응하는 프레임 길이를 갖도록 절단되어 분할된 형태로 연결 배열된다.
제1 내측 프레임(22) 및 제2 내측 프레임(32)은 예를 들어, 금속 사각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프레임 고정부(40)에 의한 볼팅 체결 방식으로 각 프레임들의 연결 부분들이 체결 연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제1 내측 프레임(22) 및 제2 내측 프레임(32)은 가장자리 프레임(12)과 서로 동일한 높이를 이룰 수 있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 프레임 부재(예: 사각 파이프)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측 프레임(22) 및 제2 내측 프레임(32)의 설치 개수나 이격 거리는 물탱크(T)의 바닥면(T1)을 형성하는 패널(P)들의 연결 배열 상태에 따라 이와 부합하도록 배열 셋팅된다.
예를 들어, 제1 내측 프레임(22)은 물탱크(T)의 바닥면(T1)을 형성하는 패널(P)들의 플랜지부(P1) 중에서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플랜지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배열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제2 내측 프레임(32)은 물탱크(T)의 바닥면(T1)을 형성하는 패널(P)들의 플랜지부(P1) 중에서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플랜지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배열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이 가장자리 프레임부(10)의 둘레부 내측에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를 연결 배열함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물탱크(T)의 하부 바닥면(T1) 측과 대응하는 부분 받침 지지면(S) 중에서 제1 내측 지지면(S2) 및 제2 내측 지지면(S3) 형성과 부합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프레임 고정부(40)는 가장자리 프레임부(10),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들 간을 체결 연결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프레임 고정부(40)는 도 4에서와 같이 체결 브래킷(42)을 구비하고, 이 체결 브래킷(42)은 두 개의 체결부(42a, 42b)가 서로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연결되고, 각 체결부(42a, 42b) 측에는 볼팅 처리를 위한 체결홀(42c)들이 형성된 브래킷 형태로 이루어진다.
체결 브래킷(42)은 내구성 및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통상의 밴딩 작업이나 프레스 작업 등을 거치면서 도 4에서와 같은 브래킷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브래킷(42)들은 도 1 내지 도 2, 도 4에서와 같이 가장자리 프레임(12), 제1 내측 프레임(22), 및 제2 내측 프레임(32)들 간의 각 연결 지점에서 내접 상태로 덧대어져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4)의 체결에 의해 프레임들 간을 체결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프레임 고정부(40)에 의해 가장자리 프레임(12), 제1 내측 프레임(22), 및 제2 내측 프레임(32)들이 서로 체결 연결 고정됨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물탱크(T)의 바닥면(T1) 측을 부분 받침 상태로 받쳐 주기 위한 부분 받침 지지면(S)을 갖는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가 형성된다.
이때, 가장자리 프레임부(10),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는 프레임 고정부(40)에 의해 서로 체결 연결된 상태에서 프레임 전체 상부면은 물론이거니와 프레임 전체 하부면이 각각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예를 들어,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가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C) 상에 배치될 때 프레임 하부 측이 구조물(C) 상부 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놓여질 수 있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C)은 대부분 도 1에서와 같이 지면 상에 일정 높이의 받침면(C1)을 갖도록 형성되고,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의 프레임 연결방향과 대응하는 격벽 형태의 받침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체결 브래킷(42)들로 가장자리 프레임부(10),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 측을 체결 연결 고정함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가장자리 프레임부(10)의 상부면에 의해 물탱크(T)의 바닥면(T1) 측과 대응하는 부분 받침 지지면 중에서 가장자리 지지면(S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는 가장자리 프레임부(10)의 둘레부 내측에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체결 연결되면서 물탱크(T) 측과 대응하는 부분 받침 지지면(S) 중에서 탱크 바닥면(T1)을 이루는 패널(P)들의 가로 및 세로방향 플랜지부(P1)들과 대응하는 제1 내측 지지면(S2)과 제2 내측 지지면(S3)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는, 물탱크(T)가 얹혀진 상태에서 탱크 바닥면(T1) 측을 부분 받침 지지면(S)에 의해 부분 받침 지지 상태로 받쳐줄 수 있는 받침 프레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부분 받침 지지 구조는 프레임 구조가 간단하여 받침 프레임 장치의 경량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작 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자리 프레임부(10),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의 프레임들은 단순하게 일정 길이로 절단된 상태에서 단부 측이 프레임 고정부(40)에 의해 체결 연결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프레임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만족할 만한 조립 편의성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프레임 고정부(40)의 체결 브래킷(42)이 분리형 타입의 브래킷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레임 고정부(40)의 체결 브래킷(42)은 도 5에서와 같이 프레임들 단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타입의 브래킷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 개의 체결부(42a, 42b)는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프레임들 단부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제1 내측 프레임(22)과 제2 내측 프레임(32)들 간을 체결 연결할 때, 제1 내측 프레임(22)을 사이에 두고 연결 배열 상태로 배치되는 두 개의 제2 내측 프레임(32)들 측의 마주하는 체결 브래킷(42)들 간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볼팅 체결 방식으로 용이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고정부(40)의 체결 브래킷(42)이 일체형 타입의 브래킷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면,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를 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부의 모듈화와 더욱 부합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는, 변형 식별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 식별부(50)는 프레임 고정부(40) 측에 설치된 상태로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의 프레임 체결 연결 지점의 비(非) 정상적인 변형을 육안(肉眼)으로 용이하게 식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구조를 제공한다.
변형 식별부(50)는 두 개의 식별구(52a, 52b)를 구비하고, 이 두 개의 식별구(52a, 52b)는 탄성부재(54)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셋팅된다.
두 개의 식별구(52a, 52b)는 박막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되면서 프레임 고정부(40) 측의 체결 브래킷(42)의 두 개의 체결부(42a, 42b) 간을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54)는 예를 들어, 탄력적으로 휘어지거나 비틀어질 수 있는 리본 타입의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식별구(52a, 52b) 간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로 셋팅된다.
즉, 탄성부재(54)는 도 6에서와 같이 두 개의 식별구(52a, 52b) 사이를 가로지르는 연결방향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일측 식별구(52a) 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식별구(52b) 측에 고정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4)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두 개의 식별구(52a, 52b)의 평면의 배열 상태가 탄력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연결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두 개의 식별구(52a, 52b)는 도 6에서와 같이 체결 브래킷(42)의 두 개의 체결부(42a, 42b) 측에 끼움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식별구(52a, 52b) 측에는 각각 끼움돌기(52c)가 형성되고, 체결부(42a, 42b) 측에는 끼움 돌기(52c) 측과 대응하는 끼움 홈(52d)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 돌기(52c)와 끼움 홈(52d)은 수(手) 조작에 의해 서로 탄력적으로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는 돌기부 및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식별부(50)는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를 구성하는 가장자리 프레임부(10), 제1 내측 프레임부(20), 및 제2 내측 프레임부(30) 간의 프레임 체결 연결 부위의 비(非) 정상적인 변형 상태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변형 식별부(50)는 예를 들어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의 프레임 체결 연결 지점에 도 6에서와 같이 셋팅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제1 내측 프레임(22) 또는 제2 내측 프레임(32) 측이 처지거나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면 이와 대응하는 상태로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두 개의 식별구(52a, 52b) 간의 연결 위치(간격)나 자세 등이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C)의 격벽 받침부 사이의 통로를 통해서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의 프레임 체결 지점들의 비정상적인 변형 상태를 변형 식별부(50)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간편하게 식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식별부(50)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F)의 유지보수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는, 기초 구조물(C)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물탱크(T) 측을 받쳐줄 때, 탱크 바닥면(T1) 측을 부분 받침 상태로 지지하면서 물탱크(T)의 설치 안정성 확보와 부합하는 안정적인 상태로 받쳐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부분 받침 지지 구조는 받침 프레임 장치의 경량화와 부합할 뿐만 아니라, 조립 시공 편의성도 확보할 수 있는 받침 프레임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10: 가장자리 프레임부 20: 제1 내측 프레임부
30: 제2 내측 프레임부 40: 프레임 고정부
T: 물탱크 C: 기초 구조물

Claims (5)

  1. 물탱크의 하부 바닥면 측을 안정적인 부분 받침 지지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부분 받침 지지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로서,
    물탱크 하부의 바닥면 측과 대응하는 부분 받침 지지면 중에서 가장자리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가장자리 프레임을 구비한 가장자리 프레임부;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부의 둘레부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프레임 양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가장자리 지지면 측과 서로 평면을 이루는 제1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제1 내측 프레임을 구비한 제1 내측 프레임부;
    상기 제1 내측 프레임부의 제1 내측 프레임 측과 직교하는 연결 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가장자리 지지면 및 제1 내측 지지면 측과 서로 평면을 이루는 제2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제2 내측 프레임을 구비한 제2 내측 프레임부;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부, 상기 제1 내측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부 간의 연결 부분들을 각각 체결 상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고정부; 및
    두 개의 식별구와, 이 두 개의 식별구 간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고정부 측에 배치되는 변형 식별부;
    를 포함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부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들이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 가장자리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연결 배열되면서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들의 상부면들에 의해 상기 부분 받침 지지면 중에서 가장자리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셋팅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부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부의 둘레부 내측에서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들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 배열되면서 이 프레임들의 상부면들에 의해 상기 부분 받침 지지면 중에서 제1 내측 지지면 및 제2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셋팅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는,
    체결 브래킷을 구비하고, 이 체결 브래킷은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 상기 제1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들 간의 체결 연결 지점에 덧대어진 상태에서 볼팅 체결 방식에 의해 각 체결 연결 지점을 연결 고정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5. 삭제
KR2020190002243U 2019-05-31 2019-05-31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KR200492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43U KR200492659Y1 (ko) 2019-05-31 2019-05-31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43U KR200492659Y1 (ko) 2019-05-31 2019-05-31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659Y1 true KR200492659Y1 (ko) 2020-11-18

Family

ID=7357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43U KR200492659Y1 (ko) 2019-05-31 2019-05-31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299A (ko) * 2021-04-14 2022-10-21 (주)아쿠아 시공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한 물탱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84B1 (ko) * 2008-06-27 2009-01-13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1915707B1 (ko) 2018-05-30 2018-11-06 우지흠 내진 물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84B1 (ko) * 2008-06-27 2009-01-13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1915707B1 (ko) 2018-05-30 2018-11-06 우지흠 내진 물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299A (ko) * 2021-04-14 2022-10-21 (주)아쿠아 시공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한 물탱크
KR102613311B1 (ko) * 2021-04-14 2023-12-13 (주)아쿠아 시공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한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1789B2 (ja) 天井ブレース取付金具
US10047528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ccess floor panel
US10000919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and method for connecting column and beam
KR200492659Y1 (ko)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US20180094433A1 (en) Multiple element support beam
KR20170037252A (ko) 파이프 고정용 슈받침 장치
CA2247226C (en) System for supporting pipes in service galleries
KR101367429B1 (ko) 직접접촉방식의 유류증발방지용 커버구조
KR101833293B1 (ko)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포스트
KR20200128831A (ko) 천장연결철물 및, 천장시스템
JP6213892B2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US20200115912A1 (en) Head for a prop
US20230129103A1 (en) Pipe vibration-proof channel
KR101499690B1 (ko)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KR200468857Y1 (ko) 내진구조를 갖는 가대
KR200493468Y1 (ko)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JP2006016910A (ja) クリーンルームにおける機器の設置構造
KR101570280B1 (ko) 유체 제어 장치
CN203797162U (zh) 一种小间隙可调节管道支撑装置
KR102551667B1 (ko) 곡선형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내진성을 강화한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
JP6171889B2 (ja) スライド支承部材
JP4354390B2 (ja) 木質系住宅用の制振装置
KR102052419B1 (ko) 천장판넬 내진장치
KR102387045B1 (ko) 2단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US20220316202A1 (en) Column-to-beam connection systems including a shear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