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468Y1 -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 Google Patents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468Y1
KR200493468Y1 KR2020190004772U KR20190004772U KR200493468Y1 KR 200493468 Y1 KR200493468 Y1 KR 200493468Y1 KR 2020190004772 U KR2020190004772 U KR 2020190004772U KR 20190004772 U KR20190004772 U KR 20190004772U KR 200493468 Y1 KR200493468 Y1 KR 200493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ter tank
support
fasten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길
Original Assignee
두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4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20Frames or nets, e.g. for flexi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을 개시한다.
이러한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은, 세 가지의 금속 프레임부들의 연결 고정에 의해 형성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으로서,
사각모양의 둘레부를 이루는 배열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테두리 부재들을 구비한 테두리 프레임부, 상기 테두리 프레임부의 둘레부 중에서 대향하는 둘레부 측의 테두리 부재 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 고정되는 횡 부재들을 구비한 횡 프레임부, 및 상기 횡 프레임부의 횡 부재 측과 서로 각을 이루는 배열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종 부재들을 구비한 종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Frame For Supporting Water Tank}
본 고안은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물탱크들은 대용량의 각종 용수(用水)가 내부에 담겨진 상태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대형 물탱크들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담겨진 용수의 압력이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자체 내구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대형 물탱크의 시공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이려면, 물탱크 자체의 내구성 확보는 물론이거니와, 지면의 받침 구조물 상에 안정적으로 놓여진 받침 지지 상태로 설치 시공되어야 한다.
물탱크용 받침 구조물은 크게 금속 프레임 구조물 형태와,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가 있으며, 대부분 물탱크의 설치 여건이나 환경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어느 한 가지 구조물 형태로 시공된다.
상기한 두 가지 형태의 받침 구조물 중에서 특히 금속 프레임 형태의 구조물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을 거쳐야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금속 프레임 형태의 받침 구조물은 여러 개의 금속 부재(형강, 파이프)들을 볼트 체결이나 용접 접합으로 연결 고정하는 작업 방식으로 제조 및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한층 더 향상된 작업 효율성을 확보하려면 특히 금속 부재들의 규격화 및 단순화 구현과 부합하는 방향으로 구조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0001) 특허등록 제10-1915707호_내진 물탱크.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 프레임 구조물 형태로 물탱크를 지면 상에서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으며, 특히 프레임 구조물 형성을 위한 금속부재들의 조립 효율성이 한층 더 향상된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세 가지의 금속 프레임부들의 연결 고정에 의해 형성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으로서,
사각모양의 둘레부를 이루는 배열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테두리 부재들을 구비한 테두리 프레임부;
상기 테두리 프레임부의 둘레부 중에서 대향하는 둘레부 측의 테두리 부재 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 고정되는 횡 부재들을 구비한 횡 프레임부; 및
상기 횡 프레임부의 횡 부재 측과 서로 각을 이루는 배열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종 부재들을 구비한 종 프레임부;
를 포함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금속 프레임 형태로 물탱크 측을 지면 상에서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으며, 특히 세 가지의 프레임부들의 연결 고정에 의한 조립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은, 테두리 프레임부(10),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은,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지면 측에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대(S) 측에 놓여진 상태로 대형 물탱크(T)의 하부 바닥면(T1) 측을 안정적인 받침 지지 상태로 받쳐줄 수 있도록 배열 셋팅될 수 있다.
특히, 테두리 프레임부(10),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는 부재의 규격화 및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는 프레임부 구조를 갖도록 각각 형성된다.
테두리 프레임부(10)는 물탱크(T)의 하부 바닥면(T1)의 테두리 부분 측과 대응하는 테두리 지지면(A1)을 형성할 수 있는 프레임부 구조로 이루어진다.
테두리 프레임부(10)는 테두리 부재(12)들을 구비하고, 이 테두리 부재(12)들은 네 개가 한 조로 구성된다.
즉, 테두리 부재(12)들은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부재 길이방향 단부 측이 서로 연결 고정되는 상태로 배열되면서 물탱크(T)의 하부 바닥면(T1)의 사각 모양의 테두리 부분과 대응하는 둘레부 구간을 이루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두리 부재(12)들이 서로 연결 고정되는 상태로 배열되면서 물탱크(T)의 하부 바닥면(T1) 측의 테두리 부분과 대응하는 테두리 지지면(A1)을 이루는 상태로 테두리 프레임부(10)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부재(12)들은 예를 들어, "ㄱ"자 단면을 갖는 금속 형강(찬넬)이 사용될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받침 지지력을 확보가 가능한 다양한 단면 모양의 금속 형강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는 테두리 프레임부(10) 측과 연계하여 물탱크(T) 하부의 바닥면(T1) 둘레부 내측 부분을 받침 지지 상태로 받쳐줄 수 있는 프레임부 구조를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다.
횡 프레임부(20)는 복수 개의 횡 부재(22)를 구비하고, 이 횡 부재(22)들은 테두리 프레임부(10)의 둘레부 중에서 서로 대향하는 지점에 위치된 테두리 부재(12) 간을 연결 고정하는 상태로 셋팅된다.
즉, 횡 부재(22)들은 도 2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테두리 프레임부(10)의 둘레부 중에서 좌,우측 방향으로 대향하는 둘레부 측의 테두리 부재(12) 간을 횡(橫)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결 고정하는 상태로 1열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종 프레임부(30)는 복수 개의 종 부재(32)들을 구비하고, 이 종 부재(32)들은 테두리 프레임부(10) 둘레부 내측에 1열 이상이 배열되는 횡 부재(22) 측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횡 부재(22) 및 테두리 부재(12) 측과 연결 고정되는 상태로 셋팅된다.
즉, 종 부재(32)들은 도 2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테두리 프레임부(10)의 둘레부 중에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둘레부 측의 테두리 부재(12) 간을 종(縱)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결하는 상태로 1열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되, 상,하 방향의 테두리 부재(12) 사이에 1열 이상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횡 부재(22)들 사이사이 간격을 연결 고정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횡 부재(22) 및 종 부재(32)들이 테두리 프레임부(10)의 둘레부 내측에 연결 고정되는 상태로 셋팅되면서, 도 2에서와 같이 물탱크(T)의 바닥면(T1)의 테두리 안쪽 부분과 대응하는 횡 지지면(A2)을 이루는 상태로 횡 프레임부(20)가 형성되고, 종 지지면(A3)을 이루는 상태로 종 프레임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횡 부재(22) 및 종 부재(32)는 금속 사각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각 파이프를 사용하되, 물탱크(T)의 받침 지지와 부합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파이프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횡 부재(22) 및 종 부재(32)들은 도 2에서와 같이 테두리 프레임부(10의 둘레부 내측에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배열되되, 물탱크(T)의 바닥면(T1)을 형성하는 패널들의 플랜지부(미도시) 개수 및 배열과 이와 부합하는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받침 지지 면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테두리 프레임부(10),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의 연결 고정 부분들은 체결부(40)에 의한 볼트 체결 방식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체결부(40)는 연결부재(42) 및 체결부재(44)를 구비하고, 각 프레임부(10, 20, 30)들의 연결 고정 부분을 볼트 체결력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결부재(42)는 예를 들어, "ㄱ"자 모양의 금속 꺾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결부재(44)는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42)는 테두리 프레임부(10),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들 간의 연결 고정 지점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연결 고정 부분의 내측 모서리부 측에 연결 고정이 가능하게 덧대어지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44)는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부재(42) 측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체결 조작되면서 프레임부(10, 20, 30)들 간의 연결 고정 부분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40)는 연결부재(42) 및 체결부재(42)의 체결 고정력으로 테두리 프레임부(10),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 간의 연결 고정 부분이 볼트 체결 방식으로 간편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체결부(40)의 체결력으로 테두리 프레임부(10),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를 서로 연결 고정함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물탱크 본체(t)의 바닥면(t1) 측을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금속 받침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테두리 프레임부(10),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는 규격화된 세 가지 부재(12, 22, 32)들의 조립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프레임 제작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 프레임부(10),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의 연결 고정 작업은 체결부(40)에 의한 볼트 체결 고정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작업 환경이나 요구되는 여건에 따라 통상의 용접 접합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은, 보조 체결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체결부(50)는 체결부(40)의 체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체결부(40)의 체결부재(44)의 체결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조 체결부(50)는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홀(B)이 형성된 지지판(52)과, 이 지지판(52)의 가이드홀(B)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조절홀(C)이 형성된 복수 개의 조절판(54), 및 이 조절판(54)들의 조절홀(C) 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결부(40)의 체결부재(44) 측을 회전 방지가 가능하게 잡아주기 위한 고정홀(D)이 형성된 복수 개의 홀더(5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지지판(52)은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홀(B)은 지지판(52)의 둘레부 내측에 형성되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연장된 슬롯 타입의 홀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52)의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을 사용하되, 각종 외력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홀(B)은 예를 들어,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체결부(40)의 연결부재(42) 측에 두 개 이상이 체결된 체결부재(44)들 간의 이격거리와 대응하는 길이의 연장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조절판(54)은 지지판(52)의 가이드홀(B)의 연장구간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며, 둘레부 내측에 조절홀(C)이 형성된다.
조절홀(C)은 후술하는 홀더(56) 측이 끼움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되, 걸림 접촉력으로 홀더(56)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홀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조절홀(C)은 도 5에서와 같이 홀부 내주면 측에 톱니 모양으로 연속 반복되는 형태의 조절 돌기부(C1)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 돌기부(C1)는 조절홀(C)의 홀부를 중심으로 홀더(56) 측이 다양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는 돌기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판(54)의 뒷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지지판(52)의 가이드홀(B) 측과 대응하는 가이드돌기(B1)가 형성되며, 이 가이드돌기(B1)는 가이드홀(B)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홀부 연장구간을 따라 위치 조절을 위한 이동은 가능하되, 회전은 억제될 수 있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돌기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홀더(56)는 조절판(54)의 조절홀(C) 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둘레부 내측에 고정홀(D)이 형성된다.
고정홀(D)은 체결부재(44)의 볼트 육각 머리 부분과 대응하는 육각 모양의 홈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홀더(56)는 조절판(54)의 조절홀(C) 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되, 도 5에서와 같이 조절홀(C) 측의 조절 돌기부(C1) 측과 대응하는 형태의 조절 홈부(C2)가 둘레부 측에 형성된다.
즉, 조절 홈부(C2)는 조절 돌기부(C1)의 톱니 모양의 돌기부와 대응하는 톱니 모양의 홈부를 이루는 상태로 홀더(56)의 둘레부 외주면 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조절 돌기부(C1) 및 조절 홈부(C2)가 연속 반복되는 톱니 모양의 돌기부 및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면, 조절판(54) 측에 홀더(56)를 설치할 때 프레임부(10, 20, 30)들의 연결 고정 부분 측에 체결된 체결부재(44)의 볼트 육각 머리 부분의 회전 조임 위치에 따라 이와 부합하도록 홀더(56)의 설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한 상태로 조절판(54) 측에 셋팅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체결부(50)는 각 프레임부(10, 20, 30)의 연결 고정 부분들이 체결부(40)에 의해 체결 고정된 상태일 때,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 배치된 두 개의 체결부재(44)의 볼트 머리 부분이 각각 홀더(56)들의 고정홀(D) 측에 끼워지도록 셋팅하는 방식으로 부착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두 개의 체결부재(44)는 홀더(56)들에 의해 회전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체결부(40)의 체결 후, 체결부재(44)의 비정상적인 풀림 현상이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체결 안정성 및 체결 신뢰도가 한층 더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52) 측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접힘부(E)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접힘부(E)는 지지판(52)의 형태 전환을 위한 접힘 조작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힘부(E)는 도 7에서와 같이 지지판(52)의 길이방향 가운데 지점이 핀(E1) 결합으로 연결되어 이 핀(E1)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지지판(52)의 양측이 서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상태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힘부(E)는 두 개의 지지판(52)이 핀(E1) 결합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비틀림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힘부(E)는 예를 들어, 지지판(52) 측이 도 7에서와 같이 평면을 이루도록 펼침 조작되거나, 도 8에서와 같이 지지판(52) 측이 대략 90도 각도로 접힘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힘부(E)가 형성된 지지판(52)은 체결부(40)의 체결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설치 호환성을 갖도록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형태가 전환된 상태로 체결부(40) 측에 용이하게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테두리 프레임부(10), 횡 프레임부(20) 및 종 프레임부(30)의 연결 고정에 의해 금속 프레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은 금속 프레임 형태로 물탱크(T)를 지면으로 부터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10: 테두리 프레임부 20: 횡 프레임부
30: 종 프레임부 40: 체결부
50: 보조 체결부 T: 물탱크

Claims (8)

  1. 세 가지의 금속 프레임부들의 연결 고정에 의해 형성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으로서,
    사각모양의 둘레부를 이루는 배열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테두리 부재들을 구비한 테두리 프레임부;
    상기 테두리 프레임부의 둘레부 중에서 대향하는 둘레부 측의 테두리 부재 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 고정되는 횡 부재들을 구비한 횡 프레임부;
    상기 횡 프레임부의 횡 부재 측과 서로 각을 이루는 배열 상태로 연결 고정되는 종 부재들을 구비한 종 프레임부;
    상기 테두리 프레임부, 횡 프레임부 및 종 프레임부들 간의 연결 고정 지점의 내측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는 상태로 덧대어지는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 측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테두리 프레임부, 횡 프레임부 및 종 프레임부 측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측과 대응하는 보조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체결부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가이드홀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조절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조절판, 및 이 조절판들의 조절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재 측을 회전 방지가 가능하게 잡아주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ㄱ"자 모양의 금속 꺾쇠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를 사용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지지판의 둘레부 내측에 형성되되, 슬롯 타입의 홀부 형태로 형성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의 조절홀 내주면 측에는 상기 홀더의 외주면 측과 대응하는 걸림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둘레부 외주면 측에는 상기 조절홀의 걸림 돌기부 측과 대응하는 걸림 홈부가 형성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부 및 상기 걸림 홈부는,
    톱니 모양으로 연속 반복되는 돌기부 또는 홈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접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힘부는,
    상기 지지판 측이 핀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접힘 조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KR2020190004772U 2019-11-26 2019-11-26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KR200493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72U KR200493468Y1 (ko) 2019-11-26 2019-11-26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72U KR200493468Y1 (ko) 2019-11-26 2019-11-26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468Y1 true KR200493468Y1 (ko) 2021-04-05

Family

ID=7546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772U KR200493468Y1 (ko) 2019-11-26 2019-11-26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6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389B1 (ko) * 2005-09-14 2007-06-11 김대선 조립식 패널수조용 베이스프레임
KR100878184B1 (ko) * 2008-06-27 2009-01-13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1915707B1 (ko) 2018-05-30 2018-11-06 우지흠 내진 물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389B1 (ko) * 2005-09-14 2007-06-11 김대선 조립식 패널수조용 베이스프레임
KR100878184B1 (ko) * 2008-06-27 2009-01-13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1915707B1 (ko) 2018-05-30 2018-11-06 우지흠 내진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7469B2 (en) Support assembly for a building structure
US20180178708A1 (en) Transit Support Bracket for Cylindrical Tubular Structure
KR101467161B1 (ko)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WO1998031512A1 (en) Bolted connector for connecting beams to columns
US20180202151A1 (en) Shear link including replaceable cover plates
US20190194961A1 (en) Pass-Through Head Assembly for a Grid Shoring System
US11088654B2 (en) Dual pile cap
KR200493468Y1 (ko)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US20130256246A1 (en) Racking system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solar panels
KR101367429B1 (ko) 직접접촉방식의 유류증발방지용 커버구조
KR20160003064U (ko) 사각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
JP2010101099A (ja) 柱脚金物
KR200492659Y1 (ko) 물탱크용 받침 프레임 어셈블리
KR20170130739A (ko)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포스트
JP6415770B1 (ja) 支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CN210599896U (zh) 一种光伏跟踪系统及其轴承支撑组件
JP2007161438A (ja) ラック
KR20140003950U (ko) 사각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
JPH0782716A (ja) 防護柵及びその継手
JP5261698B2 (ja) カーポートのサポート柱上吊支持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カーポート
CN107215576B (zh) 立式近海罐箱
US20220316202A1 (en) Column-to-beam connection systems including a shear component
KR102649309B1 (ko) 펜스 연결 브라켓 구조체
CN213477615U (zh) 一种附着脚手架连墙装置
CN220414931U (zh) 一种组合式临边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