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35B1 - 나노 미분화된 물질의 비표면적을 이용한 합성방법과 습식나노를 이용한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 Google Patents

나노 미분화된 물질의 비표면적을 이용한 합성방법과 습식나노를 이용한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835B1
KR101994835B1 KR1020180129397A KR20180129397A KR101994835B1 KR 101994835 B1 KR101994835 B1 KR 101994835B1 KR 1020180129397 A KR1020180129397 A KR 1020180129397A KR 20180129397 A KR20180129397 A KR 20180129397A KR 101994835 B1 KR101994835 B1 KR 10199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ycepin
weight
present
enzyme
micro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훈
Original Assignee
윤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훈 filed Critical 윤영훈
Priority to KR102018012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1Polysaccharides, e.g. alginate, chitosan,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9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디세핀, 다당류 및 효소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충하초 주성분인 코디세핀(cordycepin), 셀룰로오스 등의 다당류 및 단백질 분해 효소 등의 효소를 함유하는 복합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디세핀, 다당류 및 효소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코디세핀, 셀룰로오스, 홍삼추출물, 효소, 유산균 또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위 내의 가혹 환경으로부터 장까지 안정한 상태로 전달함으로써 체내 면역증강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어 유용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마이크로캡슐 제제를 보완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캡슐이 안정적으로 제조되고, 불안정한 유용 물질을 장까지 안정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나노 미분화된 물질의 비표면적을 이용한 합성방법과 습식나노를 이용한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Synthesis method using specific surface area of nano-undifferentiated material and synthesis method using wet nano, and microcapsules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은 코디세핀, 다당류 및 효소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복합 마이크로캡슐 즉, 미분화된 물질의 비표면적을 이용한 합성방법과 습식나노를 이용한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충하초 주성분인 코디세핀(cordycepin), 셀룰로오스, 진세노사이드 등의 다당류 및 단백질 분해 효소 등의 효소를 함유하는 복합 마이크로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충하초(冬蟲夏草, vegetable worms)는 곤충을 기주로 하여 자실체를 발생하는 버섯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수백여 종이 존재하며(Mycologia, 50, 169~222, 1985), 국내에서는 80여종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Kyo-Hak publishing co. Seoul, 13~18, 1996). 그 중에서 특히 자낭균강 맥각균과 코디셉스속(Cordyceps sp.)의 동충하초가 고대로부터 결핵, 천식, 마약중독해독, 자양강장제 등의 한약재로 사용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Sci. Rept. Tokyo Bunrika daikaku Sect. B., 5, 253~260, 1940; Icons of Medicinal Fungi from China Science Press China., p.575, 1989 ; USDA Agricultural Reserch Service, 1990). 약용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동충하초는 주로 코디셉스 시넨시스(Cordyceps sinensis), 코디셉스 밀리타리스(Cordyceps militaris), 코디셉스 오피오글로쏘이데스(Cordyceps ophioglossoides), 코디셉스 소보리페라(Cordyceps sobolifera), 코디셉스 베아우베리아(Cordyceps beauveria) 또는 코디셉스 바씨아나(Cordyceps bassiana)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동충하초의 유용성분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코디세핀(cordycepin)은 1950년 쿠닝햄(Cunningham) 등에 의해 밝혀진 이후, 약리 활성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코디세핀은 m-RNA의 합성을 저해하고 항세균, 항진균, 면역증강 및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주로 알려져 있다(Nature, 166, 949~954, 1950; Cancer Res., 21, 216~220, 1961 ; Biochem. Biophys. Acta., 80, 640~647, 1964).
이러한 코디세핀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위장을 통과하기 전에 모두 분해되어 생체 이용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어왔다. 또한, 홍삼 내의 진세노사이드는 산성조건에서 불안정하여 섭취 후 위장에서 분해되며 흡수율이 낮아 생체이용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Akao et al., 1998, Xu et al., 2003, Leung & Wong, 2010). 마찬가지로, 유산균 또한 위장에서 분해되어 흡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어왔다.
최근 여러 연구에 따르면 천연 다당체를 이용한 마이크로 캡슐화에 의해 불안정한 생리활성 성분들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난용성 성분들의 용해도 개선을 통한 흡수율 증진에 관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캡슐화 방법으로는 분무건조, 분무냉각, 압출, 유동상 침적 피복, 복합체 형성, 리포솜 엔트랩먼트(liposome entrapment), 코어서베이션(coacervation), 원심 현탁 분리(centrifugal suspension separation), 이온 겔화(ionic gelation) 등의 방법이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 캡슐화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 성분의 물리 안정성에 영향을 주어 온전한 상태로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만드는 것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었다. 특히, 물리적 안정성이 높지 않은 코디세핀, 효소 및 유산균 모두의 물리 안정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마이크로 캡슐화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10-1540752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코디세핀, 다당류 및 효소의 혼합물이 모두 온전한 구조로 함유된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여,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면역증강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인체에 안전하면서 면역증대 효과가 우수하고, 장까지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생체에 안전하면서 면역세포의 기능을 증가시켜 질병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고, 장까지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디세핀, 다당류 및 효소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한다.
상기 코디세핀은 동충하초로부터 추출된 물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디세핀은 동충하초를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당류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당류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일 수 있다.
상기 효소는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 전분분해효소(Asperfillus 속 균주 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탈로프로테아제, Sterptomyces griseus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및 Bacillus sp.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코디세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다당류 60000~80000 중량부 및 효소 8000~1000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유산균 또는 카르틴노이드 계열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코디세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유산균 또는 카르틴노이드 계열 색소가 1~500 중량부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 casei),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 bulgar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및 액티레귤라리스(Actiregulari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G208(L. plantarum MG208)일 수 있다.
상기 카르틴노이드 계열 색소는 잔토필, 루테인, 제아잔틴, 알파카로틴, 베타카로틴, 라이코펜 또는 카로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잔토필 또는 카로틴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1 내지 100μm의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면역 증강 효과, 장 건강 개선 및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면역 증강 효과, 장 건강 개선 및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나노 미분화를 통해 코디세핀 미세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b) 코디세핀 미세분말을 냉동 건조 및 원심 감압하여, 정제된 코디세핀 미세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수득된 정제된 코디세핀 미세분말에 다당류와 효소를 첨가하고 고합성 3D 교반을 진행하여, 균일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에서 수득된 균일 혼합물을 나노 분무건조장치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디세핀, 다당류 및 효소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디세핀, 다당류 및 효소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코디세핀, 셀룰로오스, 홍삼추출물, 효소, 유산균 또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위 내의 가혹 환경으로부터 장까지 안정한 상태로 전달함으로써 체내 면역증강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어 유용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마이크로캡슐 제제를 보완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캡슐이 안정적으로 제조되고, 불안정한 유용 물질을 장까지 안정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복합 마이크로 캡슐의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작은 동그라미와 전체를 아우르는 큰 동그라미는 각각 고분자 사슬을 의미함).
도 2는 복합 마이크로 캡슐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복합 마이크로 캡슐을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위장을 통과한 복합 마이크로 캡슐(a)과 소장을 통과한 복한 마이크로캡슐(b)을 각각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소장을 통과한 복한 마이크로캡슐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5의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7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코디세핀, 다당류 및 효소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한다.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코디세핀(ocrdycepin)은 동충하초에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추출 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디세핀은 동충하초를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당류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당류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 효소로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나, 메탈로프로테아제, Sterptomyces griseus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또는 Bacillus sp.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탈로프로테이제 또는 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한’이란 하기의 코디세핀, 단백질 분해 효소 등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동충하초로부터 추출한 코디세핀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코디세핀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코아세르베이션’이란 고분자 사슬 구조로 인한 고결합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코디세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다당류 60000~80000 중량부 및 효소 8000~1000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당류가 60000 중량부보다 적게 포함될 경우, 복합 마이크로캡슐이 적절히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당류가 80000 중량부보다 많이 포함될 경우, 캡슐 크기가 커져 유효성분이 소장에서 적절하게 분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효소가 8000 중량부보다 적게 포함될 경우, 효소가 소장에서 충분히 작용하지 않을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유산균 또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코디세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00 중량부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 casei),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 bulgaricus),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및 액티레귤라리스(Actiregulari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G208(L. plantarum MG208)일 수 있다.
상기 카르틴노이드 계열 색소는 잔토필, 루테인, 제아잔틴, 알파카로틴, 베타카로틴, 라이코펜 또는 카로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잔토필 또는 카로틴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1 내지 100μm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입자의 크기는 비표면적 차이의 흡착 현상과 고분자의 코아세르베이션으로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나노 분무 기계를 통해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지 않은 경우, 입자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거나, 유효물질의 분산도가 높아지거나, 또는 포집력이 감소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타 물질의 합성 교반 시엔 비표면적을 고려하여 조성비를 1.44 내지 30%로 구성할 수 있다. 1.44%보다 낮게 복합 마이크로캡슐이 포함될 경우, 마이크로캡슐의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크기가 작고 분산도가 낮아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포함하며(실험예 1), 포집 효율이 뛰어나고(실험예 2), 위장 유사조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 장까지 온전하게 유효물질을 전달 가능하다(실험예 3, 4). 또한, 소장에 효율적으로 유효성분이 전달되어, T세포 및 B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실험예 5) 효과를 갖는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면역 증강 효과, 장 건강 개선 및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면역 증강 효과, 장 건강 개선 및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5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외용제제에는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디세핀(Cordycepin), 다당류 및 효소 혼합물을 함유하는 복합 마이크로캡슐 형태의 면역활성 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마이크로캡슐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김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건강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제, 영양제, 파머푸드(pharmafood), 건강보조식품, 뉴트라슈티칼(nutraceutical), 디자이너 푸드, 식품 첨가제 등의 모든 형태의 식품이 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 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류, 광물(전해질), 식이성분,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면역증강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식품 또는 음료의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3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a) 나노 미분화를 통해 코디세핀 미세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b) 코디세핀 미세분말을 냉동 건조 및 원심 감압하여, 정제된 코디세핀 미세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수득된 정제된 코디세핀 미세분말에 다당류와 효소를 첨가하고 고합성 3D 교반을 진행하여, 균일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에서 수득된 균일 혼합물을 나노 분무건조장치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디세핀, 다당류 및 효소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중, 액상으로 합성을 제어할 경우, b) 단계 이후에 혼합물을 다시 습식으로 마이크로화하여 액상 합성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마이크로캡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준비예] 시료의 제조
준비예 1. 코디세핀의 추출
코디셉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경동시장(서울, 한국)에서 구입한 것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동충하초를 세척하고, 수분 5% 이하가 되도록 잘 건조시켰다. 그 후, 40% 1,3-부틸렌글라이콜 수용액 400 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초음파 추출기(내추럴솔루션)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여과지(Whatman Paper Filter No.3)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고, 원심분리 하여 정제하였다. 그 후,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코디세핀 단일 물질을 수득하였고, 그 외 부가물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삼투압 정제를 실시하여 최종 코디세핀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준비예 2. 단백질 분해 효소, 유산균 및 인삼 유래 셀룰로오스 구입
단백질 분해 효소는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총 2가지를 구매하였는데, 메탈로프로테아제-2 인간(MDL number: MFCD01324322) 및 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cas number: 9014-01-1)를 주문하여 구입하였다.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G208(L. plantarum MG208)를 메티오젠에서 구입하여 수득하였으며, 인삼은 농협에서 구입하였고, 진세노사이드, 사카라이드 및 카로틴의 경우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준비예 3. 고순도 미분 코디세핀의 준비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이 되는 시료 자체가 아주 작게 미분되어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준비예 1에서 획득한 코디세핀을 아주 작은 입자로 미분하고 농축하는 과정을 거쳤다.
불필요한 성분은 제거하고, 코디세핀 자체의 성분만을 남겨 고순도의 코디세핀 분말을 얻기 위함이다. 미분시 분체 방법은 다른 연마 성분을 쓰지 않고, 자체 성분간의 충돌만으로 중심부부터 미분화가 진행되도록 하였다.
먼저, 준비예 1에서 제조한 코디세핀을 훈풍에서 1차 건조하였다. 2차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90%이상 수분을 제거하였다. 그 후, CJ-10CB(Nisshin Eng)에 건조한 코디세핀 분말을 투여하여 나노 미분화를 진행하였다. 그 후, DLPI(Dekati) 사이클론 포집 기계를 이용하여 미세 코디세핀 분말을 획득하였다. 다음으로, Lyph-lock 77585-11(Labconco)를 사용하여 냉동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컬럼 정제하고, CEP 30S(세전)를 이용하여 원심감압 농축을 진행하여 아주 미분화되고 농축된 코디세핀 시료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과 같이 실시예1-5 및 비교예1-5를 제조하였다.
구분 코디세핀 다당류 효소 유산균/
카로틴
공정
실시예1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중량부
셀룰로오스
76000중량부
메탈로프로테아제-2 250중량부 - 나노분무 코아세르베이션
실시예2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중량부
셀룰로오스
80000중량부
메탈로프로테아제-2 250중량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9200중량부
나노분무 코아세르베이션
실시예3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중량부
셀룰로오스
60000중량부
메탈로프로테아제-2
500중량부
나노분무 코아세르베이션
실시예4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중량부
셀룰로오스
70000중량부
메탈로프로테아제-2
100중량부
카로틴 9200중량부 나노분무 코아세르베이션
실시예5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중량부
사카라이드
70000중량부
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250중량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9200중량부
나노분무 코아세르베이션
비교예1 코디세핀(준비예1)
100중량부
- - - 나노분무
코아세르베이션
비교예2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중량부
- 메탈로프로테아제-2
250중량부
- 나노분무
코아세르베이션
비교예3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중량부
셀룰로오스
70000중량부
- - 나노분무
코아세르베이션
비교예4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중량부
-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9200중량부
나노분무 코아세르베이션
비교예5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중량부
셀룰로오스
70000중량부
메탈로프로테아제-2 250중량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9200중량부
이온 겔화법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상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모두 혼합한 후, 나노 분무법을 이용하여 코아세르베이션을 형성시켰다. 코디세핀, 다당류, 효소 및 유산균/카로틴을 표 1에 기재된 중량부만큼 투여한 후, 고합성 3D 교반을 진행하였다. 그 후, 골고루 교반 된 시료를 나노 분무건조장치(BUCHI labortechnik AG)에 투입하여, 나노 분무 과정을 통해 복합 코아세르베이션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각 성분들을 나노화하여(이 때, 유사 이온화 현상이 발생함), 비표면적 차이로 인한 물질간 흡착이 일어나며, 고분자를 미량 사용하여 나노 분무과정을 통해 코아세르베이션을 형성되도록 한다.
비교예 5
상기 표 1의 비교예5에 기재된 대로, 고순도 코디세핀(준비예3) 100 중량부, 셀룰로오스 70000 중량부, 메탈로프로테아제-2 250 중량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920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온 겔화(ionic gelation)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키토산-아르기닌 중합체를 증류수에 녹여, 2㎎/㎖의 키토산-아르기닌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2㎎/㎖의 키토산-아르기닌 중합체 용액 1.5㎖을 1,000rpm으로 교반(WiseStir MS-MP8, Wisd Laboratory Instruments, Wertheim, Germany)하면서, 비교예 5에서 제조한 혼합물 1㎖를 천천히 혼합시켜 코디세피-다당류-효소-유산균/키토산-아르기닌 혼합용액(Core/CS-arg)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에 후코이단 수용액(600~1000㎍/㎖) 2㎖을 연동펌프(Master flex 77200-60, Cole Paramer Inc., Vernon. Hills, IL, USA)를 이용하여 1.0min/㎖의 속도로 떨어뜨린 후 10분간 1,000rpm으로 교반하여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보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4129를 참조할 수 있다).
[실험예 1]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물리적 특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복합 마이크로캡슐 1㎖을 1회용 큐벳(disposable cuvette)에 넣고 Marvern Zetasizer Nano ZS(Malvern Instruments Ltd., Malvern, Worcestrshire, UK)를 이용하여,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크기 및 분산도(polydispersity index, PDI) 를 측정하였다. 측정조건은 여러 피크(peak)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다중제한모드(multiple narrow modes)에서 수행하였고,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는 25±1℃에서 세기분포(intensity distribution)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시료는 3번 이상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크기(μm) 분산도
실시예 1 20 ± 2.1 0.21 ± 0.02
실시예 2 21 ± 3.2 0.24 ± 0.02
실시예 3 18 ± 3.5 0.26 ± 0.03
실시예 4 19 ± 1.0 0.28 ± 0.02
실시예 5 24 ± 2.6 0.31 ± 0.01
비교예 1 103 ± 9.1 0.88 ± 0.09
비교예 2 19 ± 3.2 0.23 ± 0.02
비교예 3 18 ± 3.5 0.24 ± 0.03
비교예 4 20 ± 1.0 0.22 ± 0.02
비교예 5 204 ± 8.1 0.91 ± 0.01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복합 마이크로캡슐에서는 입자특성의 뚜렷한 유의적 특성변화는 없었으며, 마이크로캡슐 크기가 18 내지 24 μm이고, 분산도가 0.4 이하인 안정한 캡슐이 제조됨을 알 수 있다. 마이크로 입자 특성 중 분산도 값은 작을수록 입자가 균일하게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Bergeron et al., 2010). 따라서, 마이크로캡슐의 크기가 20 μm, 분산도가 0.21로 가장 작은 실시예 1이 크기가 작은 안정적인 상태의 마이크로캡슐이 많이 제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코디세핀의 미분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입자 크기가 103 μm로 매우 크고, 분산도도 0.88 이상으로 성분이 균일하지 않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코디세핀의 미분 과정이 작은 크기의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데 중요한 단계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나노 분무를 통하여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이 아닌, 이온 겔화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비교예 5의 경우, 마이크로캡슐의 사이즈가 204 μm로 매우 크게 측정되었으며, 분산도 역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구성의 조합과 마이크로캡슐 제조 방법을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면서도 고른 분산도를 갖고 있어 장기보존 상태에서도 마이크로캡슐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실험예 2]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포집 효율
복합 마이크로캡슐 내의 단백질 분해 효소, 셀룰로오스 및 유산균에 대한 포집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30분간 원심분리(4℃, 15,000×g, Optima TL Ultracentrifuge, Beckman, Fullerton, CA, USA)하였다. 이 후 상등액에 함유되어 있는 홍삼 성분의 지표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을 HPLC를 이용하여 포집효율을 확인하였다. 포집효율(entrapment efficiency, EE)은 하기 계산식에 따라 계산되었고(NPs:마이크로캡슐),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Kuo, 2005, Jang & Lee, 2008).
[진세노사이드 포집 효율 계산식]
Figure 112018106311847-pat00001
구분 진세노사이드 R g1 포집 효율(%) 진세노사이드 R b1 포집 효율(%)
실시예1 42.8 35.9
실시예2 41.9 35.1
실시예3 35.5 32.3
실시예4 51.1 41.4
비교예5 10.1 9.4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진세노사이드 Rg1과 Rb1에 대한 포집효율은 복합 마이크로캡슐 제조 시에 이용된 셀룰로오스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포집 효율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높게는 포집효율이 대략 51%까지 증가되었다.
한편, 이온 겔화 방법으로 제조된 비교예 5의 마이크로 캡슐의 경우, 진세노사이드의 포집 효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위장 조건에서의 복합 마이크로캡슐 방출 특성
복합 마이크로캡슐에 포집된 유용 물질이 체내에서 잘 방출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조 직후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위장 유사조건(simulated gastric fluid, SGF)에 처리한 뒤, 유용 물질 중 진세노사이드 Rg1과 Rb1을 표준물질로 정하여 이들의 방출량을 확인하였다.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환경을 위장 유사조건으로 조절하기 위해, 마이크로캡슐을 1M HCl을 이용하여 pH 2.0 조건으로 조정하고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마이크로캡슐을 30분간 원심분리(4℃, 15,000×g, Optima TL Ultracentrifuge, Beckman, Fullerton, CA, USA)하여 상등액에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 Rg1과 Rb1의 방출량을 하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이를 표 4에 나타내었다(NPs:마이크로캡슐).
[진세노사이드 방출량 계산식]
Figure 112018106311847-pat00002
구분 진세노사이드 R g1 방출율(%) 진세노사이드 R b1 방출율(%)
실시예1 21.1 19.4
실시예2 28.2 18.2
실시예3 26.1 21.9
실시예4 18.8 22.2
비교예5 90.2 80.1
상기 표 4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위장 유사 조건에서 25% 미만으로 방출되어, 비교적 위장 유사 조건에서 잘 견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5의 경우, 80% 이상의 방출율을 보여, 위장 유사 조건에서 잘 견디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전자현미경을 통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관찰
주사 전자 현미경(JSM, Jeol USE Inc., Peabody, MA, USA)과 투과 전자 현미경(HT7700 히타치하이테크날리지)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관찰하였다. 또한, 위장조건 통과 후 복합 마이크로캡슐과 소장조건을 통과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모습도 함께 관찰하였다.
상기 위장 조건은 pH 1 내지 2의 조건에서 10분 동안 처리한 것을 의미하며, 소장 조건의 경우 pH 7 내지 8의 조건에서 2시간동안 처리한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도 2 내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 내지 50 μm의 작은 크기의 마이크로 캡슐을 확인하였으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장 조건에서는 마이크로캡슐 구조가 잘 유지되고, 소장 조건에서는 마이크로캡슐이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장 조건을 통과한 복합 마이크로캡슐에서 온전한 유산균체가 확인되어, 유산균이 장까지 안전하게 운반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마우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능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5의 복합 마이크로캡슐이 비장 내 면역세포인 T-림프구와 B-림프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7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오리엔트 바이오, 경기도 가평군, 대한민국)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험군당 4마리씩 총 12마리를 사용하였다. 구입한 동물은 온도 21±3℃, 상대습도 50±5%, 조도 200-300 룩스(Lux) 조건의 실험실에서 일주일 간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시험에 사용된 동물들 모두에서 심한 체중변화나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시료는 생리식염수(중외제약,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현탁 하였으며, 시료의 투여는 10 mg/kg씩 하루 1회, 총 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투여가 끝난 실험동물로부터 비장을 적출하여 비장세포를 분리한 다음,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5×105 cells/well로 접종하였다. 이 후 T-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각 웰에 5 ㎍/ml 농도의 concanavalin A (Con A;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B-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15 ㎍/ml 농도의 LPS(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각각 10 ㎕씩 첨가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세포 배양액에 Cell titer 용액 (Promega, USA)을 20 ㎕씩 첨가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한 다음, fluorescence Multi-Detection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Power wave X340,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 정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5 투여군 모두에서 증가되었으나, 비교예보다 실시예 1 투여군에서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 촉진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제조예 1-1] 산제의 제조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 1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정제의 제조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 100 ㎎
미결정셀룰로오스 100 ㎎
유당 100 ㎎
전분글리콘산 나트륨 18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캡슐제의 제조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환의 제조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과립의 제조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제조예 2-1] 과자 및 분식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을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유제품의 제조
본 발명의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을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3]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SBE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및 지황(0.5 중량부)
[제조예 3] 음료의 제조
복합 마이크로 캡슐 분말 2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식품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2)

  1. 삭제
  2. (a) 나노 미분화를 통해 코디세핀 미세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b) 코디세핀 미세분말을 냉동 건조 및 원심 감압하여, 정제된 코디세핀 미세분말을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b)에서 수득된 정제된 코디세핀 미세분말에 셀룰로오스와 프로테아제를 첨가하고 고합성 3D 교반을 진행하여, 균일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에서 수득된 균일 혼합물을 나노 분무건조장치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테아제는 메탈로프로테이제 및 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프로테아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KR1020180129397A 2018-10-27 2018-10-27 나노 미분화된 물질의 비표면적을 이용한 합성방법과 습식나노를 이용한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KR10199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97A KR101994835B1 (ko) 2018-10-27 2018-10-27 나노 미분화된 물질의 비표면적을 이용한 합성방법과 습식나노를 이용한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97A KR101994835B1 (ko) 2018-10-27 2018-10-27 나노 미분화된 물질의 비표면적을 이용한 합성방법과 습식나노를 이용한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35B1 true KR101994835B1 (ko) 2019-07-01

Family

ID=6725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97A KR101994835B1 (ko) 2018-10-27 2018-10-27 나노 미분화된 물질의 비표면적을 이용한 합성방법과 습식나노를 이용한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9117A (ko) * 2011-06-16 2012-12-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130115727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대웅 퓨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40752B1 (ko) 2008-01-24 2015-07-31 유타대학연구재단 접착성 복합 코아세르베이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KR101911736B1 (ko) * 2018-05-02 2018-10-25 윤영훈 코디세핀-단백질 분해 효소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752B1 (ko) 2008-01-24 2015-07-31 유타대학연구재단 접착성 복합 코아세르베이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KR20120139117A (ko) * 2011-06-16 2012-12-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130115727A (ko) * 2012-04-13 2013-10-22 주식회사 대웅 퓨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1736B1 (ko) * 2018-05-02 2018-10-25 윤영훈 코디세핀-단백질 분해 효소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강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442B1 (ko) 쓴맛 영지 포자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05547B1 (ko)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0919852B1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1736B1 (ko) 코디세핀-단백질 분해 효소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강용 조성물
KR102052523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55726B1 (ko) 유산균 안정성을 향상시킨 홍삼 함유 신규 부형제
TWI465237B (zh) 神經芽細胞增殖促進劑及神經突起伸展劑
KR101994835B1 (ko) 나노 미분화된 물질의 비표면적을 이용한 합성방법과 습식나노를 이용한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KR20210080182A (ko) 미립화된 유산균 사균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6426B1 (ko) 홍삼을 이용한 유산균의 내담즙성 강화 배양 공정
KR102167812B1 (ko)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69844B1 (ko) 바디나물(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2001511A (ja) 配糖体分解用組成物
KR102604237B1 (ko)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강화용 조성물
KR102252763B1 (ko)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010077956A (ko) 하수오에서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하수오 추출물및 하수오 추출물 또는 하수오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1080927B1 (ko)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102040470B1 (ko) 코디세핀-단백질 분해 효소 접합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강용 조성물
KR101520388B1 (ko)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알에스3, 알에스4 및 알에스5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523211B1 (ko) 커큐민, 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하는 강황 추출물 및 강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425047B1 (ko)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164908B1 (ko)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