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330B1 -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330B1
KR101994330B1 KR1020190031670A KR20190031670A KR101994330B1 KR 101994330 B1 KR101994330 B1 KR 101994330B1 KR 1020190031670 A KR1020190031670 A KR 1020190031670A KR 20190031670 A KR20190031670 A KR 20190031670A KR 101994330 B1 KR101994330 B1 KR 10199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unit
top plate
bridge
main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철
Original Assignee
신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철 filed Critical 신동철
Priority to KR102019003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38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means operable by the moving work to initiate the cutt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08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cleaning or lubr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35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for circula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2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therefor, e.g. composite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재에 대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메인 작업 테이블; 상기 자재가 절단되는 작업위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자재를 습식으로 절단하는 습식 날; 상기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며, 상기 자재가 상기 습식 날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 상에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이동식 상판 유닛; 및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을 구동시키는 상판 유닛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Marble cutting apparatus automatically}
본 발명은, 대리석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자재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재의 균일한 재단과 더불어 매끄러운 절단면이 보장되고, 모서리 가공을 비롯해서 가로, 세로, 대각 절단 등 다양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초보자라도 고품질의 절단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대리석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에서 말하는 자재는 석재, 천연 또는 인조 대리석, 나무, 알루미늄, 철재, 타일,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대리석(Marble)은 석회암이 변성 작용으로 결정질이 현저하게 된 변성암의 대표적인 석재이다.
석회암 기타의 석회질 암석이나 비현정질 화성암, 규질의 퇴적암도 대리석에 포함된다. 벌레가 침식된 듯한 작은 구멍 모양의 상처가 흐트러져 있는 트래버틴(travertine)은 대리석의 일종이라 간주한다.
대리석은 질이 치밀하고 견고하며 남색 바탕의 각종 무늬가 있어 연마하면 미려한 광택, 빛깔, 무늬가 아름다워 장식용 석재 중에는 제일 고급이다. 천연 대리석이 고급이지만 최근에는 기술 발달로 인해 인조 대리석도 천연 대리석 못지않은 품질을 보유한다.
한편, 위와 같은 대리석을 비롯한 자재는 사용장소에 맞게 적절하게 절단해서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4-070419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199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6253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3816호와 같은 절단장비가 제안되고 있다.
다만, 상기 문헌을 비롯하여 현존하는 절단장비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한데도 절단품질이 좋지 못하며, 특히 숙련자 외에는 작업이 불가하여 작업이 극히 제한적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자재 자동 절단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4-070419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199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6253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38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자재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재의 균일한 재단과 더불어 매끄러운 절단면이 보장되고, 모서리 가공을 비롯해서 가로, 세로, 대각 절단 등 다양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초보자라도 고품질의 절단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대리석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자재에 대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메인 작업 테이블; 상기 자재가 절단되는 작업위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자재를 습식으로 절단하는 습식 날; 상기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며, 상기 자재가 상기 습식 날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 상에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이동식 상판 유닛; 및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을 구동시키는 상판 유닛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을 지지하는 복수의 브릿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유닛은,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고정되는 고정 브릿지; 상기 고정 브릿지에 대해 접을 수 있게 상기 고정 브릿지에 연결되는 접이식 브릿지; 및 상기 고정 브릿지와 상기 접이식 브릿지의 접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브릿지에 대해 상기 접이식 브릿지를 접을 때,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의 주변에 탑재되며,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펌핑(pumping)하는 펌프; 및 상기 물탱크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자재가 절단되는 작업위치로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과 함께 자재에 대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확장할 수 있게 연결되는 확장 작업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메인 작업 테이블;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을 지지하는 복수의 브릿지 유닛;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과 함께 자재에 대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확장할 수 있게 연결되는 확장 작업 테이블;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과 상기 확장 작업 테이블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테이블 힌지; 상기 브릿지 유닛과 상기 확장 작업 테이블에 연결되며, 상기 확장 작업 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테이블 액추에이터;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의 주변에 탑재되며, 물을 저장하되 일측에 밸브가 결합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펌핑(pumping)하는 펌프; 상기 물탱크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자재가 절단되는 작업위치로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작업위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자재를 절단하는 다이아몬드 습식 날;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절단작업 시 발생하는 물을 받는 수조;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하부 영역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단작업 시 발생하는 물을 받는 물받이; 상기 물받이에 마련되는 개폐밸브;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외부에서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자재의 절단 시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커버;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며, 절단작업 대상의 자재를 클램프(clamp)하는 클램프 유닛;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에 연결되며,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을 구동시키는 한편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위치를 조절하는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 상기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며, 상기 자재가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 상에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이동식 상판 유닛;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을 구동시키는 상판 유닛 구동부; 입력 스위치;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스위치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 및 상기 상판 유닛 구동부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유닛은,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고정되는 고정 브릿지; 상기 고정 브릿지에 대해 접을 수 있게 상기 고정 브릿지에 연결되는 접이식 브릿지; 상기 접이식 브릿지의 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브릿지 유닛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수평도 조절자; 및 상기 고정 브릿지와 상기 접이식 브릿지의 접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브릿지에 대해 상기 접이식 브릿지를 접을 때,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은,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는 회전식 유닛 케이싱; 상기 회전식 유닛 케이싱에 결합하고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과 연결되며,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을 회전 구동시키는 습식 날 회전 구동부;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과 상기 회전식 유닛 케이싱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회전식 유닛 케이싱을 회전시켜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습식 날 각도 가변부; 및 상기 회전식 유닛 케이싱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 상에서의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노출 길이를 조절하는 습식 날 노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은, 상기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자재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상판;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이동 상판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 상판과 함께 상기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제2 이동 상판; 상기 제2 이동 상판의 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동 상판에 접을 수 있게 결합하는 제3 이동 상판; 상기 제1 이동 상판과 상기 제2 이동 상판을 연결하는 상판 링크; 상기 상판 링크의 일측에 결합하는 이동 손잡이; 상기 제1 이동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자재를 각도 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 및 상기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와 상기 제1 이동 상판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자재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재의 균일한 재단과 더불어 매끄러운 절단면이 보장되고, 모서리 가공을 비롯해서 가로, 세로, 대각 절단 등 다양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초보자라도 고품질의 절단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이동식 상판 유닛 영역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자재가 경사지게 로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6은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에서 이동식 상판 유닛 영역의 평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이동식 상판 유닛 영역의 상세도, 도 4는 도 3에서 자재가 경사지게 로딩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 도 6은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 도 7은 도 6의 동작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자재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재의 균일한 재단과 더불어 매끄러운 절단면이 보장되고, 모서리 가공을 비롯해서 가로, 세로, 대각 절단 등 다양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초보자라도 고품질의 절단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는 메인 작업 테이블(110) 상에 복수의 부품, 혹은 유닛이 위치별로 탑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메인 작업 테이블(110)은 자재에 대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여기서, 자재는 석재, 천연 또는 인조 대리석, 나무, 알루미늄, 철재, 타일,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자재라 하여 설명한다.
메인 작업 테이블(110)은 복수의 브릿지 유닛(120)에 의해 지지가 될 수 있다. 이때, 브릿지 유닛(120)은 메인 작업 테이블(110)을 단순히 지지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의 이동을 위한 수단이 브릿지 유닛(120)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브릿지 유닛(120)은 메인 작업 테이블(110)에 고정되는 고정 브릿지(121)와, 고정 브릿지(121)에 대해 접을 수 있게 고정 브릿지(121)에 연결되는 접이식 브릿지(122)와, 고정 브릿지(121)와 접이식 브릿지(122)의 접는 부분에 배치되며, 고정 브릿지(121)에 대해 접이식 브릿지(122)를 접을 때,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바퀴(124)를 포함한다.
이에, 도 1의 실선과 같은 상태에서 브릿지 유닛(120)은 메인 작업 테이블(110)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작업이 끝난 경우, 도 1의 점선처럼 접이식 브릿지(122)를 접으면 이동 바퀴(124)가 노출되기 때문에 이동 바퀴(124)를 이용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를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접이식 브릿지(122)의 단부에는 브릿지 유닛(120)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수평도 조절자(123)가 마련된다.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평도 조절자(123)는 볼트의 너트 구조로 되어 있어서 볼트 혹은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지면에 대한 브릿지 유닛(1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끔 한다.
메인 작업 테이블(110)의 주변에는 확장 작업 테이블(112)이 연결된다. 확장 작업 테이블(112)은 메인 작업 테이블(110)과 함께 자재에 대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메인 작업 테이블(110)에 확장할 수 있게 연결된다. 즉, 자재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확장 작업 테이블(112)을 펴서 메인 작업 테이블(110)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작업 영역이 넓어질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확장 작업 테이블(112)의 동작을 위하여 메인 작업 테이블(110)과 확장 작업 테이블(112)의 연결부위에는 테이블 힌지(113)가 마련된다. 그리고, 브릿지 유닛(120)과 확장 작업 테이블(112)에는 확장 작업 테이블(112)을 회전 구동시키는 테이블 액추에이터(114)가 마련된다. 테이블 액추에이터(114)의 로드를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작업을 통해 테이블 힌지(113)를 축심으로 해서 확장 작업 테이블(112)을 접철시킬 수 있다.
메인 작업 테이블(110)의 주변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31)가 탑재된다. 물탱크(131) 내의 물을 완전히 비울 수 있게끔 물탱크(131)의 일측에는 밸브(131a)가 마련된다. 밸브(131a)는 수동식일 수 있다.
물탱크(131)에는 물탱크(131) 내의 물을 펌핑(pumping)하는 펌프(132)가 연결된다. 그리고, 펌프(132)는 분사노즐(133)과 연결된다. 분사노즐(133)은 물탱크(131) 및 펌프(132)와 연결되고 메인 작업 테이블(110) 상에 배치되며, 자재가 절단되는 작업위치로 물탱크(131) 내의 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에의 경우, 자재의 절단 시 물이 사용되기 때문에 습식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자재가 절단되는 작업위치 영역에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이 배치된다.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은 작업위치 영역에서 회전되면서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자재를 절단한다. 이때,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에 의한 절단작업은 수직 절단 외에서 사선 절단이 가능하며, 또한 모서리 가공 역시, 가능하다.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주변에는 절단작업 시 발생하는 물을 받는 수조(141)가 마련된다. 수조(141)는 주변 구조에 간섭되지 않는 한 가능하면 가장 넓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하부 영역에는 물받이(142)가 마련된다. 물받이(142)는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하부 영역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자재의 절단작업 시 발생하는 물을 받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재의 절단 시 발생하는 물이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물받이(142)에는 개폐밸브(143)가 마련됨으로써 물받이(142)에 고인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한다.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외부에는 안전 커버(144)가 마련된다. 안전 커버(144)는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자재의 절단 시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끔 한다.
메인 작업 테이블(110)의 일측에는 클램프 유닛(145)이 마련된다. 클램프 유닛(145)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클램프 유닛(145)은 절단작업 대상의 자재를 클램프(clamp)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 유닛(145)은 자재에 대한 모서리 가공을 진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클램프 유닛(145)은 자재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위치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에는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150)이 연결된다.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150)은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에 연결되며,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을 구동시키는 한편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150)은 메인 작업 테이블(110)에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는 회전식 유닛 케이싱(151)과, 회전식 유닛 케이싱(151)에 위치별로 결합하는 습식 날 회전 구동부(152), 습식 날 각도 가변부(154) 및 습식 날 노출 길이 조절부(155)를 포함한다.
회전식 유닛 케이싱(151)은 습식 날 회전 구동부(152), 습식 날 각도 가변부(154) 및 습식 날 노출 길이 조절부(155)를 지지한다.
습식 날 회전 구동부(152)는 회전식 유닛 케이싱(151)에 결합하고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과 연결되며,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을 회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습식 날 회전 구동부(152)는 모터, 풀리 및 벨트 구조로 적용된다. 하지만, 모터, 스프로켓 및 체인의 구조로 습식 날 회전 구동부(152)가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모터 직결식으로 습식 날 회전 구동부(152)가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습식 날 각도 가변부(154)는 메인 작업 테이블(110)과 회전식 유닛 케이싱(151)에 연결되며, 도 6 및 도 7처럼 메인 작업 테이블(110)에 대하여 회전식 유닛 케이싱(151)을 회전시켜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7처럼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각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예컨대, 자재에 대한 모서리 가공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습식 날 각도 가변부(154)는 메인 작업 테이블(110)에 연결되되 아크(arc) 형상을 갖는 아크형 가이드 레일(154a)과, 아크형 가이드 레일(154a)을 따라 이동되되 회전식 유닛 케이싱(151)과 연결되는 나사식 각도 가변 레버(154b)를 포함한다. 나사식 각도 가변 레버(154b)를 풀고, 회전식 유닛 케이싱(151)이 나사식 각도 가변 레버(154b)와 함께 아크형 가이드 레일(154a)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게 한 후, 적당한 지점에서 나사식 각도 가변 레버(154b)를 조임으로써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습식 날 노출 길이 조절부(155)는 회전식 유닛 케이싱(151)에 마련되며, 메인 작업 테이블(110) 상에서의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노출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습식 날 노출 길이 조절부(155)는 나사식 구조에 의해 핸들을 돌릴 때,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이 오르락내리락할 수 있게끔 할 수도 있고, 혹은 기어 구조로써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이 오르락내리락할 수 있게끔 할 수도 있다. 물론, 전동식 구조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자동 절단장치는 자재가 로딩되는 상판이 이동되면서 자재에 대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방식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자동 절단장치에 이동식 상판 유닛(160)이 적용된다.
그리고, 이동식 상판 유닛(160)과 연결되고 이동식 상판 유닛(160)을 구동시키는 상판 유닛 구동부(170)가 이동식 상판 유닛(160)에 연결된다. 상판 유닛 구동부(17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볼스크루 구동부(171)와, 이동식 상판 유닛(16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상판 유닛(160)은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며, 자재가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메인 작업 테이블(110) 상에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이동식 상판 유닛(160)은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자재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상판(161)과,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이 배치되도록 제1 이동 상판(161)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 이동 상판(161)과 함께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제2 이동 상판(162)을 포함한다.
제2 이동 상판(162)에는 제3 이동 상판(163)이 추가로 연결된다. 제3 이동 상판(163)은 제2 이동 상판(162)의 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제2 이동 상판(162)에 접을 수 있게 결합한다. 따라서 제2 이동 상판(162)과 제3 이동 상판(163) 사이에는 경첩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식 상판 유닛(160)의 이동을 위해 전술한 상판 유닛 구동부(170)가 적용되는데, 상판 유닛 구동부(170)의 볼스크루 구동부(171)는 제1 이동 상판(161)에 연결된다. 이처럼 제1 이동 상판(161)에 볼스크루 구동부(171)가 적용되기 때문에 제1 이동 상판(161)의 이동 시 제2 이동 상판(162)이 연동될 수 있게끔 상판 링크(164)가 마련된다. 상판 링크(164)는 제1 이동 상판(161)과 제2 이동 상판(162)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판 링크(164)의 일측에는 이동 손잡이(165)가 결합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접이식 브릿지(122)를 접어 이동 바퀴(124)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자동 절단장치를 이동시킬 때, 작업자가 손으로 끄는 부위로 활용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상판 링크(164)와 이동 손잡이(165)가 제1 및 제2 이동 상판(161,162)의 일측에만 마련되었으나 이들은 제1 및 제2 이동 상판(161,162)의 타측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이동 상판(161)에는 자재를 각도 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166)가 마련된다. 도 4처럼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166)는 회전될 수 있는데,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166)가 도 4의 실선처럼 배치되면 자재를 수직되게 절단할 수 있고,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166)가 도 4의 점선처럼 배치되면 자재를 경사지게 절단할 수 있다. 이처럼 고정형태가 아닌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166)가 적용됨으로써 자재의 절단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166)와 제1 이동 상판(161)에는 각도 패턴(167)이 마련된다. 각도 패턴(167)는 일반 직선자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아니면 각도기 형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에는 입력 스위치(175), 리미트 스위치(177) 및 컨트롤러(180)가 더 마련된다.
입력 스위치(175)는 자재의 절단을 위한 장치의 동작 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177)는 절단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한다. 리미트 스위치(177)는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입력 스위치(175) 및 리미트 스위치(177)의 신호에 기초하여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150) 및 상판 유닛 구동부(17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한다. 특히, 컨트롤러(180)는 리미트 스위치(177)의 신호에 기초하여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장비의 가동이 정지되게 컨트롤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대기해야 하는 시간적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 스위치(175)의 신호에 기초하여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150) 및 상판 유닛 구동부(17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입력 스위치(175)의 신호에 기초하여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150) 및 상판 유닛 구동부(17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자재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재의 균일한 재단과 더불어 매끄러운 절단면이 보장되고, 모서리 가공을 비롯해서 가로, 세로, 대각 절단 등 다양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초보자라도 고품질의 절단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의 효과를 좀 더 부연한다.
자재의 규격에 따라 제작 크기를 변경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절단하고자 하는 자재에 따라 다이아몬드 습식 날(140)을 교체하여 다용도로 절단할 수 있다.
자재가 로딩된 상태에서 이동식 상판 유닛(160)이 이동하기 때문에 균일한 재단과 더불어 매끄러운 절단면이 보장된다. 또한, 자재에 대한 모서리 가공이 쉬워질 수 있다.
기존의 테이블 상부의 이동형 절단기의 복잡한 구조를 벗어나 목재를 절단하듯 자재를 이동함으로써 떨림 없이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해진다.
가로, 세로, 대각 절단이 가능한 확장형 구조이기 때문에 넓은 자재도 작업이 가능하다.
4개의 브릿지 유닛(120)을 접을 수 있어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다.
45도까지 발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
작업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개발된 장비이다.
종래보다 월등히 단순한 구조로 초보자도 쉽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경력자를 찾을 필요가 없다.
현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현장 작업일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목재 절단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이동이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의 경우, 컨트롤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속, 중속, 고속 등 절단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절단의 자동화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경력자가 아닌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정확한 치수로 자재를 절단할 수 있다.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서 자재, 예컨대 대리석 등의 석재의 줄눈 작업도 가능하거니와 석재의 모서리 면취작업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45도 경사각 절단작업도 가능하다.
자재의 구별 없이 날 교체 시 다용도 절단작업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자재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재의 균일한 재단과 더불어 매끄러운 절단면이 보장되고, 모서리 가공을 비롯해서 가로, 세로, 대각 절단 등 다양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초보자라도 고품질의 절단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 절단장치에서 이동식 상판 유닛 영역의 평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식 상판 유닛(260) 역시, 제1 내지 제3 이동 상판(261~263)을 포함하며, 상판 유닛 구동부(270)에 의해 이동된다. 상판 유닛 구동부(270) 역시, 볼스크루 구동부(271)와 가이드(272)를 포함하는데, 가이드(272)의 위치 및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다양한 종류의 자재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재의 균일한 재단과 더불어 매끄러운 절단면이 보장되고, 모서리 가공을 비롯해서 가로, 세로, 대각 절단 등 다양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초보자라도 고품질의 절단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메인 작업 테이블 112 : 확장 작업 테이블
113 : 테이블 힌지 114 : 테이블 액추에이터
120 : 브릿지 유닛 121 : 고정 브릿지
122 : 접이식 브릿지 123 : 수평도 조절자
124 : 이동 바퀴 131 : 물탱크
132 : 펌프 133 : 분사노즐
140 : 다이아몬드 습식 날 141 : 수조
142 : 물받이 143 : 개폐밸브
144 : 안전 커버 145 : 클램프 유닛
150 :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 151 : 회전식 유닛 케이싱
152 : 습식 날 회전 구동부 154 : 습식 날 각도 가변부
155 : 습식 날 노출 길이 조절부 160 : 이동식 상판 유닛
161 : 제1 이동 상판 162 : 제2 이동 상판
163 : 제3 이동 상판 164 : 상판 링크
165 : 이동 손잡이 166 :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
167 : 각도 패턴 170 : 상판 유닛 구동부
171 : 볼스크루 구동부 172 : 가이드
175 : 입력 스위치 180 : 컨트롤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메인 작업 테이블;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을 지지하는 복수의 브릿지 유닛;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과 함께 자재에 대한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확장할 수 있게 연결되는 확장 작업 테이블;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과 상기 확장 작업 테이블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테이블 힌지;
    상기 브릿지 유닛과 상기 확장 작업 테이블에 연결되며, 상기 확장 작업 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테이블 액추에이터;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의 주변에 탑재되며, 물을 저장하되 일측에 밸브가 결합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펌핑(pumping)하는 펌프;
    상기 물탱크 및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자재가 절단되는 작업위치로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작업위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자재를 절단하는 다이아몬드 습식 날;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절단작업 시 발생하는 물을 받는 수조;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하부 영역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단작업 시 발생하는 물을 받는 물받이;
    상기 물받이에 마련되는 개폐밸브;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외부에서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자재의 절단 시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커버;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며, 절단작업 대상의 자재를 클램프(clamp)하는 클램프 유닛;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에 연결되며,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을 구동시키는 한편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위치를 조절하는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
    상기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며, 상기 자재가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 상에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이동식 상판 유닛;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을 구동시키는 상판 유닛 구동부;
    입력 스위치;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스위치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 및 상기 상판 유닛 구동부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유닛은,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고정되는 고정 브릿지;
    상기 고정 브릿지에 대해 접을 수 있게 상기 고정 브릿지에 연결되는 접이식 브릿지;
    상기 접이식 브릿지의 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브릿지 유닛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수평도 조절자; 및
    상기 고정 브릿지와 상기 접이식 브릿지의 접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브릿지에 대해 상기 접이식 브릿지를 접을 때,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습식 날 구동 및 위치 조절유닛은,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는 회전식 유닛 케이싱;
    상기 회전식 유닛 케이싱에 결합하고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과 연결되며,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을 회전 구동시키는 습식 날 회전 구동부;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과 상기 회전식 유닛 케이싱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회전식 유닛 케이싱을 회전시켜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습식 날 각도 가변부; 및
    상기 회전식 유닛 케이싱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작업 테이블 상에서의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의 노출 길이를 조절하는 습식 날 노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상판 유닛은,
    상기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상기 자재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상판;
    상기 다이아몬드 습식 날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이동 상판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 상판과 함께 상기 자재가 로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제2 이동 상판;
    상기 제2 이동 상판의 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동 상판에 접을 수 있게 결합하는 제3 이동 상판;
    상기 제1 이동 상판과 상기 제2 이동 상판을 연결하는 상판 링크;
    상기 상판 링크의 일측에 결합하는 이동 손잡이;
    상기 제1 이동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자재를 각도 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 및
    상기 각도 조절용 자재 지지대와 상기 제1 이동 상판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
KR1020190031670A 2019-03-20 2019-03-20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 KR10199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70A KR101994330B1 (ko) 2019-03-20 2019-03-20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70A KR101994330B1 (ko) 2019-03-20 2019-03-20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330B1 true KR101994330B1 (ko) 2019-06-28

Family

ID=6706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70A KR101994330B1 (ko) 2019-03-20 2019-03-20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512B1 (ko) 2020-01-07 2020-05-04 임광환 안전 가이드를 구비하는 절단 장치
CN114800649A (zh) * 2022-05-12 2022-07-29 甘肃贝斯特岩棉科技有限公司 一种岩棉带加工用等规格切条装置及方法
KR102479478B1 (ko) * 2022-06-23 2022-12-20 주식회사 제이와이퍼니처 목재 절단 장치
KR102614275B1 (ko) * 2023-05-10 2023-12-19 심수만 인조대리석 재단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034A (ja) * 1995-03-24 1996-10-08 Nippon Cement Co Ltd 石材用切断機
KR0162534B1 (ko) 1995-12-22 1999-01-15 최정우 보일러의 유선데이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63349A (ko) * 2000-06-29 2000-11-06 이명수 판재 가공장치
KR20070037475A (ko) * 2006-12-15 2007-04-04 (주)온니케이 보도블럭 절단장치
KR100704198B1 (ko) 2006-02-23 2007-04-06 김병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부 시공장치
KR20090003816U (ko) 2007-10-19 2009-04-23 조석동 형강파일 인발기
US20150174756A1 (en) * 2013-05-02 2015-06-25 Power Box Ag Apparatus for use with power tools
KR20150119967A (ko) 2013-03-07 2015-10-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폐쇄 가입자 그룹 저-전력 기지국들에 대한 개방 액세스의 장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8034A (ja) * 1995-03-24 1996-10-08 Nippon Cement Co Ltd 石材用切断機
KR0162534B1 (ko) 1995-12-22 1999-01-15 최정우 보일러의 유선데이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63349A (ko) * 2000-06-29 2000-11-06 이명수 판재 가공장치
KR100704198B1 (ko) 2006-02-23 2007-04-06 김병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축부 시공장치
KR20070037475A (ko) * 2006-12-15 2007-04-04 (주)온니케이 보도블럭 절단장치
KR20090003816U (ko) 2007-10-19 2009-04-23 조석동 형강파일 인발기
KR20150119967A (ko) 2013-03-07 2015-10-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폐쇄 가입자 그룹 저-전력 기지국들에 대한 개방 액세스의 장려
US20150174756A1 (en) * 2013-05-02 2015-06-25 Power Box Ag Apparatus for use with power tool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512B1 (ko) 2020-01-07 2020-05-04 임광환 안전 가이드를 구비하는 절단 장치
CN114800649A (zh) * 2022-05-12 2022-07-29 甘肃贝斯特岩棉科技有限公司 一种岩棉带加工用等规格切条装置及方法
CN114800649B (zh) * 2022-05-12 2023-10-27 甘肃贝斯特岩棉科技有限公司 一种岩棉带加工用等规格切条装置及方法
KR102479478B1 (ko) * 2022-06-23 2022-12-20 주식회사 제이와이퍼니처 목재 절단 장치
KR102614275B1 (ko) * 2023-05-10 2023-12-19 심수만 인조대리석 재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330B1 (ko)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
US8910552B2 (en) Movable saw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35041A1 (en) Stonecut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aw and water jet
CN205704742U (zh) 一种切割倒角机
US1909001A (en) Stone cutting mechanism
CN107052816B (zh) 一种用于彩钢瓦切割磨边一体设备
CN104210034A (zh) 台式切割机及其切割工作台
US3361044A (en) Cement finishing apparatus
US3148001A (en) Mobile power-actuated concrete saw with reaction supporting means therefor
US2291058A (en) Portable machine for cutting marble, ceramics, etc.
US2450371A (en) Masonry saw
US9050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le cutting
AU2009222498B1 (en) Material Cutting and Finishing System
KR200476057Y1 (ko) 자동 미장장치
US20080153399A1 (en) Stone cutting system and method
CN217205517U (zh) 一种建筑房梁的加固装置
CN112622069B (zh) 一种饰面板快速开槽装置及使用方法
KR100780296B1 (ko) 석재가공방법 및 장치
KR101883392B1 (ko) 워터젯을 이용한 맨홀보수용 노면절삭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공법
CN207757884U (zh) 一种人造石英石板材切割设备
KR101844723B1 (ko) 원형 석재 가공장치
US3129732A (en) Irregular curve cutting saw and edger
CN109079244A (zh) 一种手持式快速安全定位切割机
CN2415877Y (zh) 主轴头的多角度砂轮修整器
CN211162901U (zh) 一种铣削加工机床的纵向移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