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312B1 - 건축용 비계 - Google Patents

건축용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312B1
KR101994312B1 KR1020170075586A KR20170075586A KR101994312B1 KR 101994312 B1 KR101994312 B1 KR 101994312B1 KR 1020170075586 A KR1020170075586 A KR 1020170075586A KR 20170075586 A KR20170075586 A KR 20170075586A KR 101994312 B1 KR101994312 B1 KR 10199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support
connector
coupl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634A (ko
Inventor
임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창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창테크
Priority to KR102017007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3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면이 경사지게 상ㆍ하 관통된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이 방사상으로 외면에 설치된 수직지지대; 양 측 단부에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측결합홈과 하측결합홈이 수직으로 대향 형성되는데 하측결합홈이 상측결합홈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지지대; 상측 일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이 단턱의 내측 단부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ㆍ하측 결합홈에 끼워지되 상기 단턱이 수평지지대의 상단 밑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져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의 슬롯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연결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수평지지대가 연결구의 단턱 등에 의해 지지되면서, 연결구는 수평지지대에 매입된 상태에서 설치되어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여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비계{A scaffold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개선된 건축용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계의 구성이 견고하면서 단순하게 구성되고,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지며, 사용 중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비계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이나 대형선박 등의 외장작업을 하기 위해서 건축물이나 대형선박의 외측으로 비계를 가설하여 임시 작업대로 사용하게 된다.
건축용 비계는 일반적으로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는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연결 조립하여 고정하며, 이렇게 연결된 수평지지대에 작업용 발판의 양 측으로 설치되는 걸고리를 걸어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비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클램프에 의해 체결 고정하였는데, 이러한 클램프의 사용은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숙련을 요하였으며, 시공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간편하고 안전한 비계의 조립을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은 소위 시스템 비계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즉 슬롯(32)을 갖는 브라켓(31)을 수직지지대(3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수평지지대(10)의 양 단부에는 결합홈(11)을 형성하여 이 결합홈(11)에 연결구(20)를 끼워서 용접 설치함으로써 수평지지대(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연결구(20)를 상기 슬롯(32)에 단순히 끼워서 연결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수평지지대(10)에 작업용 발판(40)의 걸고리(41)를 걸어서 작업대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0)의 내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슬롯(32)의 외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구(20)가 슬롯(32)에 끼워지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연결구(20)의 외측면은 수직면을 형성하여 수직지지대(30)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 비계는 간단한 구성으로 인한 시공비의 절감과, 작업의 편리성으로 인해 점차 사용량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시스템 비계는 연결구(20)가 수평지지대(10)의 측면 홈에 끼워져서 용접된 구조이므로 지속적인 압력과 충격의 작용이나 또는 용접의 불량에 의해서 수평지지대(10)와 연결구(20)가 사용 중에 분리되어 자칫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의 충격이나 측방 또는 하측으로부터의 접촉으로 인해 연결구(20)가 수직지지대(30)의 슬롯(3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 시스템 비계는 수평지지대(10)와 연결구(20)의 조립 시 연결구(20)의 상단이 수평지지대(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이어서, 작업발판(40)을 설치할 때 작업발판(40)의 걸고리(41)가 상기 연결구(20)의 돌출된 부분에 얹혀지게 되므로 걸고리(41)가 수평지지대(10)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뜬 상태로 설치되어 작업발판(40)이 불규칙적으로 요동되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은 보다 개선된 내용의 비계를 개시하고 있는데 그 청구항 1을 살펴보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재(21)의 양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체결구(31)가 일체로 고정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직재(11)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구(3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구(12)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구(12)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되어 상기 체결구(31)가 삽입되는 슬롯(14)과 경사진 단부면(13)을 형성하는 시스템비계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21) 양단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체결구(31)의 일측 단면에는 통상 금속재 파이프로 구성되는 수평재(21) 단부로 삽입되는 삽입부(33)가 형성되도록 상단에 "ㄴ"자형 절단면(34)과 중간 부위에 "ㄷ"자형홈(35)을 형성하며, 상기 "ㄷ"자형홈(35) 하방에는 테이퍼진 경사면(36)을 가지며, 상기 체결구(31)의 타측 단면인 밀착면(37)은 수평재(21)와 직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서는 체결구(31)가 수평재(21)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어서, 용접불량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첫째, 특허문헌 1에서의 체결구(31)는 수평재(21)의 양 측으로 일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 설치되므로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수평재(21)의 양 외측으로 체결구(31)가 돌출된 형태로 되며, 이에 따라 체결구(31)의 얇은 측면만이 수직재(11)에 접촉 지지되므로 하중이나 충격을 지지하는 강도가 약하여 체결구와 수평재의 고정 상태가 쉽게 파손 분리될 수 있어서 오히려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둘째, 수평재(21)와의 조립 시 수평지지대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구(31)가 돌출 구성되므로 수평재(21)의 전체적인 길이가 다른 일반 비계의 수평지지대보다 길어서 호환성이 없는 문제가 있다.
셋째, 중간에 "ㄷ"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의 "ㄴ"자형 홈과 더불어 결합되는 수평지지대의 내경이 정해져 있는 만큼, 이와 다른 직경을 갖는 수평재와는 조립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넷째, 상기 체결구(31)는 수직재(11)의 연결구에 단순하게 끼워지는 것으로서 외부의 접촉이나 충격에 의해 수평재가 쉽게 이탈될 수 있는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는 것이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69173호(2013.09.16.)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면서,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건축용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이나 압력에 쉽게 파손되지 않아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건축용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접촉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수평지지대가 수직지지대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건축용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측면이 경사지게 상ㆍ하 관통된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이 방사상으로 외면에 설치된 수직지지대; 양 측 단부에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측결합홈과 하측결합홈이 수직으로 대향 형성되는데 하측결합홈이 상측결합홈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지지대; 상측 일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이 단턱의 내측 단부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ㆍ하측 결합홈에 끼워지되 상기 단턱이 수평지지대의 상단 밑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져서 용접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되며, 상기 수직지지대의 슬롯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연결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가 수평지지대의 결합홈에 끼워져서 매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단턱이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용접 상태가 분리되어도 기본적으로 수평지지대는 연결구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은 수직지지대의 외면에서 높낮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연결구의 하단 내측면은 점차 좁아지는 제1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훅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연결구의 외측면 중앙에는 수직밀착면이 형성되고, 그 상측과 하측으로는 각각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2경사면과 제3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연결구의 양 측면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브라켓 내부에서의 유동을 방지토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구의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지지대의 상ㆍ하 결합홈의 길이를 달리하여 결합함으로써 연결구와 수평지지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서 충격이나 압력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연결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연결구와 수평지지대가 수직지지대와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작업발판의 걸고리 설치에 충분한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작업발판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여 더욱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결구의 단부에 훅크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ㆍ하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수직지지대와의 조립이 용이하면서 설치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지지대와 연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지지대와 연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4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
도 5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연결구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연결구와 수평지지대의 조립상태 일부단면도.
도 8 (a) 및 (b)는 상기 도 6의 연결구에 의한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설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a) 내지 (c)는 상기 도 11의 변형된 실시예들을 나타낸 평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동일 명칭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지지대와 연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지지대와 연결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며, 도 4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5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결합상태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계는 수평지지대(100)와 연결구(200) 및 수직지지대(300)로 대별된다.
수평지지대(100)와 수직지지대(300)는 중공형의 일반적인 금속관을 사용하게 되며, 수평지지대(100)의 양 측 단부에는 상ㆍ하로 마주하는 상측결합홈(101)과 하측결합홈(102)이 수평지지대(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되, 하측결합홈(102)이 상측결합홈(101)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200)는 판형의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평지지대(100)의 상ㆍ하 결합홈에 끼워져서 용접 고정된다.
연결구(200)의 상단 내측에는 단턱(201)이 형성되어 있고, 단턱(201)의 안쪽 단부에는 요홈(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구(200)의 내측 하단에는 점차 좁아지도록 제1경사면(203)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은 수직지지대(300)와 밀착되는 수직밀착면(206)으로 이루어진다.
연결구(200)는 수평지지대(100)의 결합홈(101,102)에 끼워지는데, 단턱(201)이 수평지지대(100)의 상단 밑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지게 되고, 상측결합홈(101)은 진입 깊이가 짧고 하측결합홈(102)은 길게 형성되어 결국 도 3 (a) 및 (b)에서와 같이 연결구(200) 전체가 수평지지대(100)에 끼워져서 매입된 상태에서 용접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구(200)는 측면 전체가 수평지지대(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고, 또한 단턱(201)이 수평지지대(1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결합된다.
연결구(200)와 수평지지대(100)의 결합 시 단턱(201)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요홈(202)에 의해 수평지지대(100)의 상측 단부가 단턱(201)과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구(200)와 결합 부착된 수평지지대(100)는 수직지지대(300)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도 4 및 도 5에는 수평지지대(100)와 수직지지대(300)의 결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수직지지대(300)에는 다수의 브라켓(301)이 외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브라켓(301)에는 상ㆍ하 관통된 슬롯(3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슬롯(302)에 수평지지대(100)의 양 측단에 설치된 연결구(200)의 하단부를 끼워서 설치하게 된다.
상기 슬롯(302)은 외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200)의 삽입시 연결구(200)의 제1경사면(203)을 밀착 수용하여 하측으로의 삽입에 제한을 두면서 상측으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수평지지대(100)가 수직지지대(300)와 조립되었을 때 연결구(200)의 수직밀착면(206)이 수직지지대(300)의 외면에 밀착 지지된다.
따라서 연결구(200)가 쐐기 형태로 브라켓(301)의 슬롯(302)에 끼워질 수 있으면서 수직지지대(300)와 밀착되어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5 (a) 및 (b)에서와 같이 결합되어 비계를 형성하는 수평지지대(100)는 그 양 단부가 수직지지대(300)와 최대한 근접 또는 밀착되어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구(200)의 상단부분이 수평지지대(100)의 상측으로 적게 돌출되어, 작업발판(400)의 걸고리(401)를 설치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더불어 작업발판(400)을 설치 시 수직지지대(300)의 브라켓(301)이 마주보며 각각 같은 높이에 짝을 이루고 이웃하는 직각을 이루는 브라켓은 다시 높낮이를 달리하여 설치함으로써, 작업발판(400)의 걸고리(41)를 걸어두는 수평지지대(100)를 높은 쪽 브라켓(301)에 설치할 경우 다음 수직지지대(300)와 간섭이 없이 작업발판(400) 바로 아래 공간에도 작업발판(400)과 같은 길이 방향을 갖는 수평지지대(1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작업발판(400) 걸고리(41)를 걸어두는 수평지지대(100)를 낮은 쪽 브라켓(301)에 설치할 경우 작업발판(400)과 같이 길이 방향을 갖는 수평지지대(100)를 작업발판(400) 양 옆으로 작업발판(400) 윗면보다 높게 턱이 생기도록 설치가 가능하므로 이는 공구나 기타 물품의 추락을 예방하는 낙하방지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함에 있어서 수평지지대(100)에 강한 압력이나 충격이 가해져서 수평지지대(100)와 연결구(200)의 용접 상태가 분리된다 하여도, 수평지지대(100)가 연결구(200)와 바로 분리되지 않고, 수평지지대(100)가 연결구(200)의 단턱(201)에 얹혀져 있으므로 연결구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참조하면, 수평지지대(100)의 양 측 단부에는 상ㆍ하로 마주하는 상측결합홈(101)과 하측결합홈(102)이 수평지지대(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되, 하측결합홈(102)이 상측결합홈(101)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200)는 판형의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평지지대(100)의 상ㆍ하 결합홈에 끼워져서 용접 고정된다.
연결구(200)의 상단 내측에는 단턱(201)이 형성되어 있고, 단턱(201)의 안쪽 단부에는 요홈(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구(200)의 내측 하단에는 점차 좁아지도록 제1경사면(203)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훅크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훅크부(207)는 수직에 대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구(200)의 외측면 중간에는 수직지지대(300)와 밀착되는 수직밀착면(206)이 형성되며, 그 상측과 하측으로는 각각 내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제2경사면(204)과 제3경사면(205)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200)는 수평지지대(100)의 결합홈(101,102)에 끼워지는데, 단턱(201)이 수평지지대(100)의 상단 밑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지게 되고, 상측결합홈(101)은 진입 깊이가 짧고 하측결합홈(102)은 길게 형성되어 결국 도 7에서와 같이 연결구(200)가 수평지지대(100)에 매입된 상태에서 용접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구(200)는 측면 전체가 수평지지대(100)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고, 또한 단턱(201)이 수평지지대(1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결합된다.
연결구(200)와 수평지지대(100)의 결합 시 단턱(201)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요홈(202)에 의해 수평지지대(100)의 상측 단부가 단턱(201)과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구(200)와 결합 부착된 수평지지대(100)는 수직지지대(300)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도 8에는 수평지지대(100)와 수직지지대(300)의 결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수직지지대(300)에는 다수의 브라켓(301)이 외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브라켓(301)에는 상ㆍ하 관통된 슬롯(3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슬롯(302)에 수평지지대(100)의 양 측단에 설치된 연결구(200)의 하단부를 끼워서 설치하게 된다.
상기 슬롯(302)은 외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구(200)의 삽입시 연결구(200)의 제1경사면(203)을 밀착 수용하여 하측으로의 삽입에 제한을 두면서 상측으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구(200)의 하단에 형성된 훅크부(207)로 인해 수직으로는 연결구(200)가 슬롯(302)에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여서 제3경사면(205)이 수직지지대(3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어느 한 쪽의 연결구(200)를 설치한 다음, 도 8의 (a)와 같이 반대로 기울여서 다른 쪽의 연결구(200)를 끼우게 되는데, 이 때 이미 삽입된 연결구는 제2경사면(204)이 수직지지대(300)의 외면과 밀착되고, 다른 쪽의 연결구는 제3경사면(205)이 수직지지대(30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삽입된다.
삽입 설치가 완료되면 도 8의 (b)에서와 같이 수평지지대(100)가 수평 상태로 정리되며, 이 때의 각 연결구(200)는 수직밀착면(206)이 수직지지대(300)의 외면과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설치된 수평지지대(100)는 훅크부(207)로 인해 외부의 접촉이나 충격에도 수직지지대(300)와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를 기울여서 순차적으로 분리하여야만 해체가 가능하므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대(100)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구(200)는 어느 한 쪽만 훅크부(207)가 형성된 연결구를 설치하고, 다른 쪽은 훅크부가 없는 연결구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연결구(200)의 중간에 양 측으로 걸림턱(208)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턱(208)은 수평지지대(100)의 상ㆍ하결합홈(101,102)에 끼워졌을 때, 수평지지대(100)의 밑면을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연결구(200)가 수평지지대(100)에 매입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지지대에 설치하였을 때 수평지지대(100)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연결구(200)의 단턱(201)과 걸림턱(208)이 지지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208)은 도면에서와 같이 길게 형성되거나, 짧은 구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돌기나 별도로 조립되는 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적용되는 수평지지대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적어도 연결구(200)의 단턱(201)이나 걸림턱(208) 중 어느 하나는 수평지지대(100)를 지지하게 되므로 호환 적용이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연결구(200)의 양 측면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돌출부(20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209)는 연결구(200)가 수직지지대의 브라켓(301)의 슬롯(302)에 끼워졌을 때, 연결구(200)와 브라켓(301)의 내벽 사이에 유격이 있으므로 연결구(200)가 요동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209)에 의해 연결구(200)가 슬롯(302)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자칫 연결구(200)가 브라켓(30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의 단면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부(209)는 연결구(200)의 측면에서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되는 갯수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수평지지대 101 ; 상측결합홈
102 ; 하측결합홈 200 ; 연결구
201 ; 단턱 202 ; 요홈
203 ; 제1경사면 204 ; 제2경사면
205 ; 제3경사면 206 ; 수직밀착면
207 ; 훅크부 208 ; 걸림턱
209 ; 돌출부 300 ; 수직지지대
301 ; 브라켓 302 ; 슬롯

Claims (6)

  1. 외측면이 경사지게 상ㆍ하 관통된 슬롯이 형성된 브라켓이 방사상으로 외면에 설치된 수직지지대;
    양 측 단부에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측결합홈과 하측결합홈이 수직으로 대향 형성되는데 하측결합홈이 상측결합홈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지지대;
    상측 일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이 단턱의 내측 단부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ㆍ하측 결합홈에 끼워지되 상기 단턱이 수평지지대의 상단 밑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져서 용접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되며, 상기 수직지지대의 슬롯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연결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외측면 중앙에는 수직밀착면이 형성되고, 그 상측과 하측으로는 각각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2경사면과 제3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양 측면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브라켓 내부에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 내부에서의 유동을 방지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
KR1020170075586A 2017-06-15 2017-06-15 건축용 비계 KR10199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586A KR101994312B1 (ko) 2017-06-15 2017-06-15 건축용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586A KR101994312B1 (ko) 2017-06-15 2017-06-15 건축용 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34A KR20180136634A (ko) 2018-12-26
KR101994312B1 true KR101994312B1 (ko) 2019-06-28

Family

ID=6500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586A KR101994312B1 (ko) 2017-06-15 2017-06-15 건축용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704A (ko)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동성진흥 건축 비계용 수평재
KR20220080334A (ko) 2020-12-07 2022-06-14 (주)해람솔루션 고정핀 조합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비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691B1 (ko) * 2019-08-02 2021-05-04 (주)해인금속 보일러용 데크
CN116163508A (zh) * 2023-02-03 2023-05-26 中国核工业中原建设有限公司 一种张紧转换用下支撑系统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050B2 (ja) * 1992-03-19 2001-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素子の製造方法
KR200469173Y1 (ko) * 2012-04-24 2013-09-26 (주)의조산업 시스템비계의 수직재와 수평재의 체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050U (ja) * 2015-02-04 2015-04-16 Krh株式会社 足場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050B2 (ja) * 1992-03-19 2001-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素子の製造方法
KR200469173Y1 (ko) * 2012-04-24 2013-09-26 (주)의조산업 시스템비계의 수직재와 수평재의 체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704A (ko)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동성진흥 건축 비계용 수평재
KR20220080334A (ko) 2020-12-07 2022-06-14 (주)해람솔루션 고정핀 조합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비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34A (ko)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312B1 (ko) 건축용 비계
CA2947656C (en) Surface coating structure adapted to be quickly installed and removed
US4840513A (en) Scaffolding connector apparatus
US20080202064A1 (en) Bracket and method for supop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AU2013201665A1 (en) Overlap arrangement of at least two decking planks
JP2009221786A (ja) 仮設足場における足場部材の連結構造
KR100816295B1 (ko) 케이블 트레이
JP2009155875A (ja) 仮設足場の連結構造
KR101979700B1 (ko) 토보드시스템
US5918700A (en) Scaffolding component
JP5134506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US20220010569A1 (en) Scaffolding post connection rosette with hollow embossments of reduced nominal thickness, and scaffolding subassembly
KR200404527Y1 (ko)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EP3315691A1 (en) Scaffolding for buildings and industrial buildings with a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uprights and guard rails supporting a planking floor
EP3176349B1 (en) Anti-lifting coupling system
KR100960943B1 (ko) 건설공사용 강관 비계.
KR100627976B1 (ko) 공동주택 및 일반건축용 난간 보강구조
RU279996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в виде розетки уменьшенной номинальной толщины,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стоек подмостей и снабженная полыми выштампованными бобышками, и узел подмостей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JP2002276152A (ja) 鋼管足場の連結部
KR102415011B1 (ko) 건축 비계용 수평재
CA2742051A1 (en) Scaffold post sleeve
US20070258755A1 (en) Framework connection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