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691B1 - 보일러용 데크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691B1
KR102248691B1 KR1020190094092A KR20190094092A KR102248691B1 KR 102248691 B1 KR102248691 B1 KR 102248691B1 KR 1020190094092 A KR1020190094092 A KR 1020190094092A KR 20190094092 A KR20190094092 A KR 20190094092A KR 102248691 B1 KR102248691 B1 KR 10224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auxiliary
frame part
deck
fram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361A (ko
Inventor
조정범
이동락
김희경
문병성
정우섭
이민재
김진수
박민철
문성진
최재호
권순언
김명식
정창모
Original Assignee
(주)해인금속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해람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인금속,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해람솔루션 filed Critical (주)해인금속
Priority to KR102019009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6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6Walking equipment, e.g. walking platforms suspended at the tube she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6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inside contour of a bui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제1데크부를 포함하는 데크에 있어서, 상기 제1데크부는, 제1데크부 프레임부; 및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플랫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는, 제1-1수직 프레임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동일한 길이의 제1-2수직 프레임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보다 짧은 길이의 제2-1수직 프레임부; 및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와 동일한 길이의 제2-2수직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1-1수평 프레임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1-2수평 프레임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2-1수평 프레임부; 및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2-2수평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보일러용 데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용 데크{A Deck for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용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보일러용 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 또는 건설현장에서 고소작업을 할 때는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발을 디딜 수 있는 수평방향의 작업대와 이를 지지하는 비계를 설치해야 하며, 경사면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작업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경사면에 작업대를 설치하는 일은 일반적인 고소작업대 보다 복잡하고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고소작업대는 다수의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서로 직교시켜서 격자 형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면 되는데 반하여, 경사면에 작업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직 및 수평 구조물 이외에 경사면을 따라 작업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구조의 화력발전소의 대형 보일러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일반적인 구조의 화력발전소의 대형 보일러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화력발전소의 대형 보일러(1)의 내부에는 경사면(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일러 내부의 상부에서 연소하고 남은 재 및 이물질들은 낙하하여 하부의 경사면(20)을 통해 아래쪽으로 모여서 다음 공정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대형 보일러는 1년 또는 2년을 주기로 간이 및 정기 점검을 수행하고 있으며, 점검 기간에는 보일러 내부의 하부 경사면(20)에 대해서도 점검 및 정비작업을 해야 한다.
그런데 보일러 내부의 경사면(20)은 그 높이가 수 내지 수십 미터에 달하기 때문에 정비 및 점검 작업을 위해서는 상당한 높이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고소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대형 보일러의 내부 작업에 적합한 전용 가설 제품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보일러 내부의 경사면에 사다리를 설치하고 사다리 사이에 가는 철선으로 강관파이프를 묶어서 고정한 후 강관파이프 위에서 정비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방식의 구조물은 작업 및 이동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하기도 어렵고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난간을 설치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둥글고 가는 강관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고, 특히, 강관파이프를 고정한 철선이 느슨해지거나 끊어지는 경우, 원형 모양의 강관파이프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경우, 강관파이프의 처짐 및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구조의 화력발전소의 대형 보일러(1)는 열교환기(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10)는 플래턴 리히터 번들 튜브(11)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플래턴 리히터 번들 튜브의 하단 일정 영역에는 Access door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 작업자는 상기 Access door를 통하여, 열교환기(10)의 플래턴 리히터 번들 튜브(11)로 접근하여 보일러 열교환기를 보수작업하게 된다.
하지만, 작업자는 상기 Access door를 통하여, 열교환기(10)의 플래턴 리히터 번들 튜브(11)로 접근하여 보일러 열교환기를 보수작업을 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비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사면(20)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열교환기(10)의 플래턴 리히터 번들 튜브(11)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비계에 대한 기술개발이 절실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850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력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의 경사면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화력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의 열교환기의 플래턴 리히터 번들 튜브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보일러용 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데크부를 포함하는 데크에 있어서, 상기 제1데크부는, 제1데크부 프레임부; 및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플랫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는, 제1-1수직 프레임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동일한 길이의 제1-2수직 프레임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보다 짧은 길이의 제2-1수직 프레임부; 및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와 동일한 길이의 제2-2수직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1-1수평 프레임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1-2수평 프레임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2-1수평 프레임부; 및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2-2수평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1-1연결구조체;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1-2연결구조체;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2-1연결구조체; 및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2-2연결구조체를 포함하는 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1연결구조체는,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1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1몸체부; 상기 제1-1몸체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방향 제1-1보조체; 및 상기 제1-1몸체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방향 제1-1보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연결구조체는,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2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2몸체부; 상기 제1-2몸체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방향 제1-2보조체; 및 상기 제1-2몸체부로부터 제4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방향 제1-2보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1연결구조체는,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1삽입홀을 포함하는 제2-1몸체부; 상기 제2-1몸체부로부터 제5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방향 제2-1보조체; 및 상기 제2-1몸체부로부터 제6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방향 제2-1보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2연결구조체는,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2삽입홀을 포함하는 제2-2몸체부; 상기 제2-2몸체부로부터 제7방향으로 연장되는 제7방향 제2-2보조체; 및 상기 제2-2몸체부로부터 제8방향으로 연장되는 제8방향 제2-2보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제4방향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5방향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제6방향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7방향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제8방향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1수평 프레임부는, 상기 제1방향 제1-1보조체; 상기 제1방향 제1-1보조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3방향 제1-2보조체; 및 일단은 상기 제1방향 제1-1보조체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방향 제1-2보조체와 체결되는 제1관형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2수평 프레임부는, 상기 제5방향 제2-1보조체; 상기 제5방향 제2-1보조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7방향 제2-2보조체; 및 일단은 상기 제5방향 제2-1보조체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7방향 제2-2보조체와 체결되는 제2관형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1수평 프레임부는,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6방향 제2-1보조체; 및 일단은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6방향 제2-1보조체와 힌지결합되는 제2선형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2수평 프레임부는,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8방향 제2-2보조체; 및 일단은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8방향 제2-2보조체와 힌지결합되는 제1선형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면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열교환기의 플래턴 리히터 번들 튜브에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보일러용 데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구조의 화력발전소의 대형 보일러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일반적인 구조의 화력발전소의 대형 보일러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의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의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프레임부와 수평 프레임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100)는 제1데크부(200); 상기 제1데크부(200)와 체결되고, 상기 제1데크부(200)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데크부(300); 및 상기 제2데크부(300)와 체결되고, 상기 제2데크부(300)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3데크부(400)를 포함한다.
다만, 도면에서는 데크부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데크부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데크부(200)는 제1데크부 프레임부(210); 및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플랫폼부(250)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데크부(300)는 제2데크부 프레임부(310); 및 상기 제2데크부 프레임부(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플랫폼부(350)를 포함하며, 상기 제3데크부(400)는 제3데크부 프레임부(410); 및 상기 제3데크부 프레임부(4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3플랫폼부(45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100)는, 상기 제1데크부(200)와 상기 제2데크부(300)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500)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데크부(300)와 상기 제3데크부(400)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6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부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의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의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데크(100)는 제1데크부(200); 상기 제1데크부(200)와 체결되고, 상기 제1데크부(200)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데크부(300); 및 상기 제2데크부(300)와 체결되고, 상기 제2데크부(300)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3데크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크부(200)는 제1데크부 프레임부(210);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데크부(300)는 제2데크부 프레임부(31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데크부(400)는 제3데크부 프레임부(41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를 설명하기로 하며, 제2데크부 프레임부 및 제3데크부 프레임부는 형태는 제1데크부 프레임부와 상이 하지만, 세부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하기 설명하는 제1데크부 프레임부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데크부 프레임부(210)는, 제1-1수직 프레임부(211a);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와 동일한 길이의 제1-2수직 프레임부(211b);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보다 짧은 길이의 제2-1수직 프레임부(212a); 및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212a)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212a)와 동일한 길이의 제2-2수직 프레임부(212b)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데크부 프레임부(210)는, 제1-1수직 프레임부(211a); 제1-2수직 프레임부(211b); 제2-1수직 프레임부(212a); 및 제2-2수직 프레임부(212b)의 4개의 수직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데크부 프레임부(210)는,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212a)를 연결하는 제1-1수평 프레임부(213a);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211b)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212b)를 연결하는 제1-2수평 프레임부(213b);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211b)를 연결하는 제2-1수평 프레임부(214a); 및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212a)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212b)를 연결하는 제2-2수평 프레임부(214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직 프레임부와 수평 프레임부의 연결관계에 그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프레임부와 수평 프레임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는 제1-1연결구조체(220a) 및 상기 제1-1연결구조체(220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2연결구조체(22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1연결구조체(220a)는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1삽입홀(221a)을 포함하는 제1-1몸체부(222a); 상기 제1-1몸체부(222a)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방향 제1-1보조체(223a); 및 상기 제1-1몸체부(222a)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방향 제1-1보조체(224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211b)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212a)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1-2연결구조체(220b)는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211b)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211b)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2삽입홀(221b)을 포함하는 제1-2몸체부(222b); 상기 제1-2몸체부(222b)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방향 제1-2보조체(223b); 및 상기 제1-2몸체부(222b)로부터 제4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방향 제1-2보조체(224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4방향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212b)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1수평 프레임부(214a)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는 제1-1연결구조체(220a) 및 상기 제1-1연결구조체(220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2연결구조체(22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1연결구조체(220a)는 제1방향 제1-1보조체(223a)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연결구조체(220b)는 제3방향 제1-2보조체(223b)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2-1수평 프레임부(214a)는, 제1방향 제1-1보조체(223a); 상기 제1방향 제1-1보조체(223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3방향 제1-2보조체(223b); 및 일단은 상기 제1방향 제1-1보조체(223a)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방향 제1-2보조체(223b)와 체결되는 제1관형 몸체(24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관형 몸체(240a)가 상기 제1방향 제1-1보조체(223a)와 상기 제3방향 제1-2보조체(223b)와 체결되어 제2-1수평 프레임부(214a)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서는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1-1연결구조체(220a)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211b)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1-2연결구조체(220b)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1수직 프레임부(212a) 및 제2-2수직 프레임부(212b)에 체결되는 연결구조체를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는 제2-1연결구조체(미도시) 및 상기 제2-1연결구조체(미도시)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2연결구조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1연결구조체는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212a)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212a)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1삽입홀을 포함하는 제2-1몸체부; 상기 제2-1몸체부로부터 제5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방향 제2-1보조체; 및 상기 제2-1몸체부로부터 제6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방향 제2-1보조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5방향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212b)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6방향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211a)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2연결구조체는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212b)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212b)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2삽입홀을 포함하는 제2-2몸체부; 상기 제2-2몸체부로부터 제7방향으로 연장되는 제7방향 제2-2보조체; 및 상기 제2-2몸체부로부터 제8방향으로 연장되는 제8방향 제2-2보조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7방향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212a)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8방향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211b)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한다.
또한, 제2-2수평 프레임부(214b)는, 제5방향 제2-1보조체; 상기 제5방향 제2-1보조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7방향 제2-2보조체; 및 일단은 상기 제5방향 제2-1보조체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7방향 제2-2보조체와 체결되는 제2관형 몸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관형 몸체(미도시)가 상기 제5방향 제2-1보조체와 상기 제7방향 제2-2보조체와 체결되어 제2-2수평 프레임부(214b)를 구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수평 프레임부(213b)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체는 제1-1연결구조체(220a) 및 상기 제1-1연결구조체(220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2연결구조체(220b)를 포함하며, 또한, 제2-1연결구조체(미도시) 및 상기 제2-1연결구조체(미도시)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2연결구조체(230b)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연결구조체(220b)는 제4방향 제1-2보조체(224b)를 포함하고, 상기 제2-2연결구조체(230b)는 제8방향 제2-2보조체(234b)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2연결구조체(230b)는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212b)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212b)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2삽입홀(231b)을 포함하는 제2-2몸체부(232b); 상기 제2-2몸체부로부터 제7방향으로 연장되는 제7방향 제2-2보조체(233b); 및 상기 제2-2몸체부로부터 제8방향으로 연장되는 제8방향 제2-2보조체(234b)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1-2수평 프레임부(213b)는, 제4방향 제1-2보조체(224b);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224b)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8방향 제2-2보조체(234b); 및 일단은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224b)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8방향 제2-2보조체(234b)와 힌지결합되는 제1선형 몸체(24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선형 몸체(210a)가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224b)와 상기 제8방향 제2-2보조체(234b)와 체결되어 제1-2수평 프레임부(213b)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4c에서는 제1-2수평 프레임부(213b)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1수평 프레임부(213a)를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c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1수평 프레임부(213a)는, 제2방향 제1-1보조체(도 4a의 224a);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도 4a의 224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6방향 제2-1보조체(미도시); 및 일단은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도 4a의 224a)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6방향 제2-1보조체(미도시)와 힌지결합되는 제2선형 몸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선형 몸체(미도시)가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도 4a의 224a)와 상기 제6방향 제2-1보조체(미도시)와 체결되어 제1-1수평 프레임부(213a)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선형 몸체(241a)가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224b) 및 상기 제8방향 제2-2보조체(234b)와 각각 힌지결합되고, 또한, 상기 제2선형 몸체(미도시)가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도 4a의 224a) 및 상기 제6방향 제2-1보조체(미도시)와 각각 힌지결합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각각의 프레임부를 접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제2-1수평 프레임부(214a) 및 제2-2수평 프레임부(214b)는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 제2-1수평 프레임부(214a)는 상단부 제2-1수평 프레임부(214a)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2수평 프레임부(214b)는 상단부 제2-2수평 프레임부(214b)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제2-1수평 프레임부(214a) 및 제2-2수평 프레임부(214b)는 중단부 및 하단부에도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는, 중단부 제2-1수평 프레임부 및 중단부 제2-2수평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또한, 하단부 제2-1수평 프레임부 및 하단부 제2-2수평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단부 제2-1수평 프레임부 및 상기 하단부 제2-2수평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경사 프레임(270)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데크의 프레임부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211b)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212a)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28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보조프레임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를 설명하였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데크부 프레임부 및 제3데크부 프레임부는 형태는 제1데크부 프레임부와 상이 하지만, 세부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하기 설명하는 제1데크부 프레임부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00)는 수직 프레임 제1삽입홀(511)을 포함하는 제1측 연결부(510) 및 수직 프레임 제2삽입홀(521)을 포함하는 제2측 연결부(5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 연결부(510)와 상기 제2측 연결부(5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5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프레임 제1삽입홀(511)에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의 수직 프레임 중 하나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 제2삽입홀(521)에 상기 제2데크부 프레임부의 수직 프레임 중 하나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530)을 통해 상기 제1측 연결부(510)와 상기 제2측 연결부(52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와 상기 제2데크부 프레임부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제1플랫폼부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부를 설명하나, 제2플랫폼부 및 제3플랫폼부도 상기 제1플랫폼부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랫폼부(250)는 발판(251); 상기 발판(251)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체결고리(252); 및 상기 발판(251)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체결고리(25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체결고리(25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2-1수평 프레임부(214a)에 체결되고, 상기 제2체결고리(253)는 상기 제2-2수평 프레임부(214b)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210)의 상부에 제1플랫폼부(2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는 제2플랫폼부 및 제3플랫폼부에서도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데크부(200); 상기 제1데크부(200)와 체결되고, 상기 제1데크부(200)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데크부(300); 및 상기 제2데크부(300)와 체결되고, 상기 제2데크부(300)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3데크부(400)를 포함하는 데크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수평방향(또는 데크의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데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b를 참조하면, 도 8a에서와 같은 복수개로 배치된 데크를, 상술한 도 1b에서와 같은, 열교환기(10)의 플래턴 리히터 번들 튜브(11)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제1데크부를 포함하는 데크에 있어서,
    상기 제1데크부는, 제1데크부 프레임부; 및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플랫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크부 프레임부는, 제1-1수직 프레임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동일한 길이의 제1-2수직 프레임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보다 짧은 길이의 제2-1수직 프레임부; 및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와 동일한 길이의 제2-2수직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1-1수평 프레임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1-2수평 프레임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2-1수평 프레임부; 및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제2-2수평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1-1연결구조체;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1-2연결구조체;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2-1연결구조체; 및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제2-2연결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1연결구조체는,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1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1몸체부; 상기 제1-1몸체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방향 제1-1보조체; 및 상기 제1-1몸체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방향 제1-1보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연결구조체는,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2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2몸체부; 상기 제1-2몸체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방향 제1-2보조체; 및 상기 제1-2몸체부로부터 제4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방향 제1-2보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1연결구조체는,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1삽입홀을 포함하는 제2-1몸체부; 상기 제2-1몸체부로부터 제5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방향 제2-1보조체; 및 상기 제2-1몸체부로부터 제6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방향 제2-1보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2연결구조체는,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2삽입홀을 포함하는 제2-2몸체부; 상기 제2-2몸체부로부터 제7방향으로 연장되는 제7방향 제2-2보조체; 및 상기 제2-2몸체부로부터 제8방향으로 연장되는 제8방향 제2-2보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제4방향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5방향은 상기 제2-2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제6방향은 상기 제1-1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며, 상기 제7방향은 상기 제2-1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 제8방향은 상기 제1-2수직 프레임부가 위치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수평 프레임부는, 상기 제1방향 제1-1보조체; 상기 제1방향 제1-1보조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3방향 제1-2보조체; 및 일단은 상기 제1방향 제1-1보조체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방향 제1-2보조체와 체결되는 제1관형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2수평 프레임부는, 상기 제5방향 제2-1보조체; 상기 제5방향 제2-1보조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7방향 제2-2보조체; 및 일단은 상기 제5방향 제2-1보조체와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7방향 제2-2보조체와 체결되는 제2관형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수평 프레임부는,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6방향 제2-1보조체; 및 일단은 상기 제2방향 제1-1보조체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6방향 제2-1보조체와 힌지결합되는 제2선형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2수평 프레임부는,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8방향 제2-2보조체; 및 일단은 상기 제4방향 제1-2보조체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8방향 제2-2보조체와 힌지결합되는 제1선형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KR1020190094092A 2019-08-02 2019-08-02 보일러용 데크 KR102248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092A KR102248691B1 (ko) 2019-08-02 2019-08-02 보일러용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092A KR102248691B1 (ko) 2019-08-02 2019-08-02 보일러용 데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361A KR20210015361A (ko) 2021-02-10
KR102248691B1 true KR102248691B1 (ko) 2021-05-04

Family

ID=7456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092A KR102248691B1 (ko) 2019-08-02 2019-08-02 보일러용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512B1 (ko) * 2022-03-23 2022-11-25 (주)해람솔루션 경사면 지지 수평전개 시스템 데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446B1 (ko) * 1997-01-29 1999-06-15 안영호 경사지에 조립되는 가설작업대
KR200408501Y1 (ko) 2005-11-23 2006-11-23 한전기공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버티칼튜브 작업용 조립식 비계장치
KR101994312B1 (ko) * 2017-06-15 2019-06-28 주식회사 태창테크 건축용 비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361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4117B1 (ja) 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型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102248691B1 (ko) 보일러용 데크
KR102135343B1 (ko) 파이프 랙 구조물의 모듈러 시공방법
CN205477339U (zh) 一种用于钢结构厂房墙面板安装的笼梯
CN104481194A (zh) 一种直立式筒状设备的倒装方法
CN106237782A (zh) 活性炭脱硫脱硝吸附塔的模块化安装方法
KR101236184B1 (ko) 팬던트 조립방식의 대형 보일러 노내 비계시스템
KR101266282B1 (ko) 노내 와이어 비계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913668B1 (ko) 발전소의 보일러 내부 공사용 가설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CN210264000U (zh) 一种防护栏杆
KR101291172B1 (ko) 사다리 결합용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그레이팅 구조체
JP2009209543A (ja) 足場板とこれを用いた単管足場構造
CN207348094U (zh) 地下管廊施工防护装置
KR200340325Y1 (ko) 교량점검대
JP2009161934A (ja) 単管足場用支柱とこれを用いた単管足場構造
CN209924479U (zh) 一种建筑工地用临边洞口防护装置
CN220599118U (zh) 一种火电厂辅助检修平台
CN219622326U (zh) 一种高周转定型化楼梯临边防护
CN215803472U (zh) 一种用于小管径管道安装的简易式可调撑杆临时支撑装置
CN211897793U (zh) 钢便桥防护装置及钢便桥
CN212249076U (zh) 大规模空间弯曲形钢管桁架高空作业操作平台
JP2014148837A (ja) 円筒構造物建設・補修工事用壁つなぎバンドおよび該壁つなぎバンドを使用した移動昇降式足場による円筒構造物の建設・補修方法
TWM629856U (zh) 便攜式大型管件輸送機
KR102601151B1 (ko) 멀티파이프 기둥을 구비한 타워형 작업대
JP7273761B2 (ja) ボイラ内足場の支柱支持体およびそ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