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398B1 -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 Google Patents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398B1
KR101993398B1 KR1020180087339A KR20180087339A KR101993398B1 KR 101993398 B1 KR101993398 B1 KR 101993398B1 KR 1020180087339 A KR1020180087339 A KR 1020180087339A KR 20180087339 A KR20180087339 A KR 20180087339A KR 101993398 B1 KR101993398 B1 KR 10199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aw
scraper
band
saw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용
최승대
Original Assignee
최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용 filed Critical 최재용
Priority to KR102018008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3/00Band or strap sawing machin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13/16Accessories, e.g. for cooling the saw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띠톱에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띠톱과의 마찰을 통해 상기 띠톱에 흡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쌍의 휠과, 상기 한 쌍의 휠 외주면을 감아 연결된 링 형태의 띠톱과, 상기 띠톱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띠톱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띠톱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된 고정부;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띠톱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크래퍼;상기 고정부와 스크래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띠톱의 일면으로 스크래퍼를 회동시키려는 힘을 작용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스크래퍼와 고정부 사이의 힌지축에 결합된 토션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힌지축에 형성된 나사부;상기 토션스프링의 양측에서 힌지축에 나사 결합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A band-saw cleanning tool of band-saw device}
본 발명은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띠톱에 흡착된 이물질 제거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에 관한 것이다.
목재는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가공이 용이하여 오래전부터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벌채된 나무는 재재소와 같이 목재 가공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전문적인 목재가공 장소에서 치수에 맞게 절단되어 가공되거나, 이동 가능한 포터블 목재 가공 장치를 통해 원하는 장소에서 가공된다.
가공된 목재는 건축 및 토목작업 현장으로 운반되어 건축 자재로 이용거나 기타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사용된다.
목재는 그 용도에 따라 소정의 폭과 길이, 형상을 갖도록 절단 가공되는데, 일반적으로 목재 절단은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원목을 소정 두께를 갖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단 가공하거나, 폭 방향으로 절단 가공하는 등의 1차 절단 가공 작업을 거친다.
이와 같이 생산된 목재는 원하는 곳으로 이송되어 목적에 따라 소정의 길이 및 형상으로 가공되는 2, 3차 가공 공정을 거친다.
이때, 1차 절단 가공 작업 중에서 목재가 소정 두께를 갖도록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경우, 체인톱이나 일반적인 목재용 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는 오롯이 수작업에 의한 것으로 대형 원목을 절단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절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회전 동력을 이용한 목재 가공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다양한 형태의 목재 가공장치 중, 원목을 1차 가공하기 위한 절단장치로 띠톱(밴드톱) 기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띠톱 기계장치(band saw machine)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띠톱 기계 장치란 띠 형상의 띠톱(band saw)을 회전시켜서 목재 또는 금속을 절단하는 기계로써, 본체(10)와, 휠(20)과, 띠톱(30)과, 가이드수단(4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띠톱 기계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며, 각 부품들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휠(20)은 띠톱(30)의 회전 구동을 위한 구성으로써, 본체(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한 쌍으로 제공된다.
휠(20)은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고속 회전되면서 한 쌍의 휠(20)에 감겨 있는 띠톱(3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대형 목재를 절단하는 띠톱 기계 장치에 있어서, 목재가 절단되는 위치가 본체(10)가 설치된 지면임을 고려할 때, 하부에 설치된 휠은 본체(10) 하방의 지하에 설치되어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띠톱(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로 설치된 한 쌍의 휠(20)에 감겨 설치된다.
띠톱(30)은 명칭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띠(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복수의 절단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띠톱(30)은 휠(20)의 회전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띠톱(30)을 향해 이송되는 원목을 절단시킨다.
가이드수단(40)은 상기 띠톱(30)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며, 본체(10)에 설치된다.
가이드수단(40)은 본체(10)로부터 띠톱(30)을 향해 설치되며, 띠톱(30)이 지나가는 이송홈부(41)를 형성한다.
즉, 가이드수단(40)은 띠톱(30)의 양측에 설치되어, 띠톱(30) 회전시 경로를 가이드하며, 띠톱(30)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띠톱 기계 장치는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휠(20)이 고속으로 회전되고, 휠(20)에 감긴 띠톱(30) 역시 휠(20)과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후, 작업자는 이송수단(미도시)을 이용해 목재를 상기 띠톱(30)으로 이동시키면서, 목재 절단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목재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띠톱(30)에는 목재로부터 발생한 여러 이물질이 흡착된다.
톱밥은 물론이고, 목재로부터 발생한 진액이 톱밥과 함께 띠톱(30)의 일면에 엉겨 흡착됨에 따라(30) 띠톱 클리닝 작업이 요구된다.
상세하게는, 목재 절단 과정에서, 띠톱(30)의 일면은 휠(20)에 지속적으로 감기면서 접촉이 되는데, 상기 휠(20)에 이물질이 흡착되었다가 띠톱(30)의 일면에 지속적으로 옮기면서 상기 띠톱(30)을 오염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수시로 띠톱(30)의 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작업을 실시한다.
나무 진액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경유나 등유 등의 오일을 띠톱(30)의 일면에 도포한 후, 별도의 공구를 임의로 만들어 수작업으로 이물질을 긁어냄으로써 띠톱 클리닝 작업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띠톱 클리닝 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클리닝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물질 제거 작업은 수시로 이루어지는데, 매번 작업시만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클리닝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여간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매번 띠톱에 묻은 이물질을 신경써야하는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이다.
둘째, 띠톱 클리닝 작업은 띠톱이 회전되는 동안 이루어져야 하는데, 띠톱 클리닝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즉, 작업자는 고속으로 회전되고 있는 띠톱의 일면에 오일이 묻어 있는 도구 및 제거 도구를 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7-01042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띠톱에 탄력을 갖고 지지되는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띠톱이 회전되는 동안 이물질이 스크래퍼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띠톱 기계 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쌍의 휠과, 상기 한 쌍의 휠 외주면을 감아 연결된 링 형태의 띠톱과, 상기 띠톱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띠톱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띠톱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된 고정부;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띠톱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크래퍼;상기 고정부와 스크래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띠톱의 일면으로 스크래퍼를 회동시키려는 힘을 작용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스크래퍼와 고정부 사이의 힌지축에 결합된 토션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힌지축에 형성된 나사부;상기 토션스프링의 양측에서 힌지축에 나사 결합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크래퍼는 띠톱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형성하며, 내열성 있는 금속으로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스크래퍼에는 띠톱을 향해 이물질제거용액을 분사하는 노즐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가이드수단을 기준으로 띠톱을 벗어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크래퍼가 띠톱의 일면에 탄성력을 갖고 지지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띠톱의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띠톱이 회전되는 동안 띠톱의 이물질이 자동으로 제거됨으로써, 띠톱 클리닝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띠톱이 회전되는 동안, 작업자가 띠톱에 근접해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절단 목재의 종류에 따라 스크래퍼의 탄성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절단 작업 및 클리닝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절단 목재의 종류 또는 스크래퍼의 탄성 지지력에 따라, 띠톱의 일면에 약품을 분사하는 노즐이 설치됨으로써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노즐 분사를 통해 나무 진액을 연화(軟化)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가이드에 띠톱이 가이드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가 띠톱 클리닝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가 띠톱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가 회동되어 띠톱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를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이하, '띠톱 클리닝 도구'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띠톱 클리닝 도구는 띠톱 기계장치를 이용한 목재 절단시, 절단과정에서 띠톱에 묻은 톱밥 및 진액 등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띠톱에 흡착된 이물질 제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띠톱 클리닝 도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와, 스크래퍼(200)와, 탄성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00)는 띠톱 클리닝 도구의 하부를 구성하며, 스크래퍼(200)를 띠톱 기계장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톱 기계장치의 가이드 수단(4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00)는 가이드수단(40)에 안정감 있게 설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금속판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100)에는 가이드수단(40)으로의 설치를 위한 체결공(110)이 형성된다.
즉, 가이드수단(40)에는 체결볼트(B) 등의 체결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100)는 와셔 및 체결너트(N) 등을 통해 가이드수단(4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부(100)의 체결구조로 인해, 상기 고정부(100)는 체결볼트 및 너트 간 풀림으로 인해 가이드수단(40)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띠톱 클리닝 도구는 띠톱(3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의 재질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구성이 강한 SUS 등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크래퍼(200)는 띠톱(3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띠톱(30)에 밀착되는 구성이다.
스크래퍼(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 상에 힌지(H)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부(100)를 중심으로 띠톱(30)에 대한 스크래퍼(200)의 지지각도가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힌지(H)는 경첩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경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크래퍼(200)의 재질은 금속임이 바람직하다.
스크래퍼(200)는 금속의 띠톱(30)에 마찰되는 특성상, 내열성이 강한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스크래퍼(200)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리는 재질 특성상,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스크래퍼(200)와 띠톱(30) 간 마찰열이 발생하더라도, 스크래퍼(200)가 변형되는 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200)의 너비는 띠톱(30)의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탄성수단(300)은 힌지축에 설치되어 스크래퍼(2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수단(300)은 스크래퍼(200)가 띠톱(30)을 향해 항상 회동되는 힘을 작용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탄성수단(300)은 토션스프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수단(300)의 구성으로 인해, 스크래퍼(200)는 힌지(H)를 중심으로 띠톱(30)을 향해 항상 회동되어, 상기 띠톱(30)의 일면에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띠톱 클리닝 도구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띠톱 기계장치의 가이드수단(40)에 마련된 체결볼트(B)에 띠톱 클리닝 도구의 고정부(1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볼트(B)는 고정부(100)의 체결공(110)을 통과한 후, 체결너트(N)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가이드수단(40)에 고정부(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스크래퍼(200)는 토션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톱(30)의 일면에 밀착된다.
이때, 띠톱(30)의 일면이라 함은, 띠톱(30) 중 휠(20)에 대향되어 있는 면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재가 절단되면서 발생시키는 톱밥이나 진액 등의 이물질은 띠톱(30)에 흡착된 후, 휠(20)의 회전력에 의해 띠톱(30)과 함께 연동되면서 휠(20)에 흡착이 된다.
즉, 띠톱(30)은 휠(20)에 이물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셈인 것이다.
휠(20)에 이물질이 흡착된 상태에서, 휠(20)이 회전되는 동안 띠톱(30) 역시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휠(20)의 이물질은 띠톱(30)의 일면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흡착이 된다.
이에 따라, 스크래퍼(20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톱(30)의 일면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띠톱 클리닝 도구가 설치된 상태애서, 띠톱 기계장치를 가동하면 휠(20)의 회전력에 의해 띠톱(30)은 스크래퍼(200)가 지지된 상태로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후, 회전되는 띠톱(30)을 향해 목재를 이동하여, 목재 절단 작업을 실시한다.
이 과정에서 띠톱(30)의 일면에 발생한 이물질은 상기 스크래퍼(200)에 의해 곧바로 제거된다.
즉, 스크래퍼(200)가 토션스프링(300)에 의한 탄성력을 갖고, 띠톱(30)의 일면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띠톱(30)의 일면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은 상기 스크래퍼(200)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크래퍼(200)가 띠톱(30)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되면서, 상기 띠톱(30)의 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띠톱 클리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목재 절단 작업이 정지되거나, 띠톱 기계장치의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 체결너트(N)를 풀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톱 클리닝 도구를 띠톱(30)의 일측으로 회동시켜 놓는다.
즉, 띠톱 클리닝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굳이, 스크래퍼(200)를 띠톱(30)과 마찰시켜놓을 필요가 없기 때문인 것이다.
한편, 스크래퍼(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띠톱(30)의 일면에 지지되는데, 상기 토션스프링(3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4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장력조절수단(400)은 나사부(410)와 조임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00)와 스크래퍼(200) 사이에 스크래퍼(200)의 회동을 위한 힌지(H)가 제공되고, 상기 힌지(H)는 한 쌍으로 마련된 경첩으로 제공된다.
상기 힌지(H)에는 힌지축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에는 외주면이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의 중앙에는 토션스프링(300)이 설치되어 스크래퍼(200)와 고정부(10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때, 토션스프링(300)의 양측에는 조임부재(42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조임부재(420)는 힌지축의 나사부(410)에 나사 결합되며, 힌지축 상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토션스프링(300)의 양측을 가압하거나 토션스프링(300)으로부터 멀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조임부재(420)가 토션스프링(300)을 가압하거나 그 가압력을 해제하면서 토션스프링(30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목재 종류에 따라 스크래퍼(200)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소나무와 같은 진액이 많이 발생하는 나무의 경우에는 토션스프링(300)의 탄성력을 높게 하여 진액 제거 효율을 높이고, 낙엽송과 같이 이물질이 비교적 적게 발생하는 나무의 경우에는 토션스프링(300)의 탄성력을 낮게 하여 띠톱(30)과의 마찰력을 줄이는 것이다.
즉, 이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유무에 따라, 띠톱(30)에 대한 스크래퍼(200)의 저항력을 감수하고 토션스프링(300)의 탄성력을 높게 하거나, 이물질이 비교적 적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띠톱(30)에 대한 스크래퍼(200)의 저항을 줄여 띠톱(30)의 회전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목재 종류에 따라 토션스프링(300)의 장력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띠톱(30)에 대한 이물질 제거 작업 및 목재 절단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띠톱 이물질 제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띠톱에 이물질제거용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는 스크래퍼(200)에 노즐(500)이 설치된 띠톱 클리닝 도구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크래퍼(200)에는 노즐(500)이 설치되기 위한 노즐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500)은 이물질제거용액이 이송되는 관로 및 체결을 위한 체결부(510)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510)는 노즐공(2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체결부(510)는 노즐공(210)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형성하며, 체결부(5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스크래퍼(200)의 노즐공(210)에 삽입된 노즐(500)이 스크래퍼(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크래퍼(200)에 노즐(5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00)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재(600)는 노즐공(210)을 통과해 삽입된 체결부(510)에 나사 체결되어 스크래퍼(200)의 일면에 밀착됨으로써, 노즐(500)이 스크래퍼(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부재(600)는 노즐공(2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밀착부(610)와, 상기 체결부(51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62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620)는 이물질제거용액이 이송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결합부(620)의 관로는 상기 체결부(510)의 관로와 통한다.
이때, 결합부(620)의 관로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부(510)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60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는 호스(700)가 제공되며, 상기 호스(700)는 이물질제거용액이 공급되는 관로를 제공한다.
상기 호스(700)는 이물질제거용액 탱크(미도시)에 설치되며, 이물질제거용액은 펌프(미도시) 동작을 통해 호스(700) 및 노즐(500)을 통해 띠톱(30)에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래퍼(200)에 노줄(500)이 설치되어 띠톱(30)을 향해 이물질제거용액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띠톱(30)에 흡착된 이물질은 연화(軟化)되어 스크래퍼(200)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제거용액은 오일이나 화학약품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정한 물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는 회전동작하는 띠톱의 일면에 탄성력을 갖고 밀착되어 마찰력을 이용해 상기 띠톱의 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목재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는 중에, 띠톱에 흡착된 이물질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 제거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띠톱에 근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고정부 110 : 체결공
200 : 스크래퍼 210 : 노즐공
300 : 탄성수단(토션스프링) 400 : 장력조절수단
410 : 나사부 420 : 조임부재
500 : 노즐 510 : 체결부
600 : 고정부재 610 : 밀착부
620 : 결합부 700 : 호스
B : 체결볼트 N : 체결너트
H : 힌지

Claims (5)

  1. 한 쌍의 휠과, 상기 한 쌍의 휠 외주면을 감아 연결된 링 형태의 띠톱과, 상기 띠톱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띠톱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띠톱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띠톱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크래퍼;
    상기 고정부와 스크래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띠톱의 일면으로 스크래퍼를 회동시키려는 힘을 작용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스크래퍼와 고정부 사이의 힌지축에 결합된 토션스프링으로 제공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힌지축에 형성된 나사부;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측에서 힌지축에 나사 결합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띠톱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형성하며, 내열성 있는 금속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에는 띠톱을 향해 이물질제거용액을 분사하는 노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가이드수단을 기준으로 띠톱을 벗어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KR1020180087339A 2018-07-26 2018-07-26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KR101993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39A KR101993398B1 (ko) 2018-07-26 2018-07-26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39A KR101993398B1 (ko) 2018-07-26 2018-07-26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398B1 true KR101993398B1 (ko) 2019-06-26

Family

ID=6710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39A KR101993398B1 (ko) 2018-07-26 2018-07-26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3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20Y1 (ko) * 2001-11-05 2002-02-04 윤종현 라미네이팅기용 코팅액 도포장치
KR20130086723A (ko) * 2012-01-26 2013-08-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강재 표면 이물질 제거용 스크래핑 장치
KR101426748B1 (ko) * 2013-02-07 2014-08-05 황용태 탄성체를 포함하는 경첩
KR101602854B1 (ko) * 2014-07-30 2016-03-11 주식회사 포스코 롤 이물질 제거장치
KR20170104284A (ko) 2016-03-07 2017-09-15 문인성 이동식 제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20Y1 (ko) * 2001-11-05 2002-02-04 윤종현 라미네이팅기용 코팅액 도포장치
KR20130086723A (ko) * 2012-01-26 2013-08-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강재 표면 이물질 제거용 스크래핑 장치
KR101426748B1 (ko) * 2013-02-07 2014-08-05 황용태 탄성체를 포함하는 경첩
KR101602854B1 (ko) * 2014-07-30 2016-03-11 주식회사 포스코 롤 이물질 제거장치
KR20170104284A (ko) 2016-03-07 2017-09-15 문인성 이동식 제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964B2 (en) Brush chipper with improved feed rollers
CN106942015B (zh) 一种挠性仿形割胶装置
US3101104A (en) Safety device for saws
CN207668610U (zh) 一种管材切割设备
KR101993398B1 (ko) 띠톱 기계장치의 띠톱 클리닝 도구
US5148846A (en) Workpiece guide
US4304275A (en) Log debarker
CN105922358A (zh) 一种木材切割加工装置
US2608224A (en) Chain-type log barker
US3438410A (en) Annular saw with circular safety guard
JPH06297350A (ja) ベルトで保持されたねじ用のねじ込み機械
US3026919A (en) Log debarkers
JPS6384738A (ja) 線材の端末処理装置
US2950743A (en) Pole shaving apparatus having bark breaker
CN110815411A (zh) 一种用于锯木劈木的设备
FR2537038A1 (fr) Scie
CN112223470B (zh) 一种手持式木材刨皮装置
RU2033316C1 (ru) Гибкая пила
US2554989A (en) Pulpwood chain sawing machine
CN212948224U (zh) 一种便于推料的木板加工用切割装置
CN211333593U (zh) 一种木工电锯
KR20010076592A (ko) 대파 탈피기
FI69585C (fi) Anordning foer vridning av traedstammar
JPS6261402B2 (ko)
CH639588A5 (en) Holder for a power chain-saw with a pivotable protective 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