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900B1 - 평판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900B1
KR101992900B1 KR1020120149726A KR20120149726A KR101992900B1 KR 101992900 B1 KR101992900 B1 KR 101992900B1 KR 1020120149726 A KR1020120149726 A KR 1020120149726A KR 20120149726 A KR20120149726 A KR 20120149726A KR 101992900 B1 KR101992900 B1 KR 101992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display panel
driving
groun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190A (ko
Inventor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9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발생된 정전기가 구동회로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구동회로 또는 표시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일측에 패드부가 마련되는 표시패널; 구동소자와 상기 구동소자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밴딩되어 상기 구동회로가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회로부; 및 상기 배면에서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회로부를 내부에 수납하는 커버바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록, 특히 평판표시장치에 발생된 정전기가 구동회로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구동회로 또는 표시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는 저전력 구동, 박형구조, 화질 우수와 같은 장점들로 인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평판표시장치가 가지는 장점들로 인해 평판표시장치는 텔레비전과 같은 일반 영상장치뿐만 아니라,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다양한 전자장치, 계측기, 자동차, 항공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범위 또한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제조하는 과정, 완제품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빈번하게 노출된다. 정전기가 발생되면, 발생된 정전기는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패널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구동회로로 흐르게 되고, 표시패널 또는 구동회로를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위해 표시패널에는 정전기 방지를 위한 방전전극, 정전 보호회로를 구성하는 등을 통해 이에 대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반면 구동회로의 경우에는 접지회로가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이를 통해 충분한 방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특히, 구동회로의 경우 케이스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형태로 이용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구동회로 인근에서 발생하는 정전저기가 구동회로에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구동회로를 통해 표시패널에 공급되어 표시패널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판표시장치에 발생된 정전기가 구동회로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구동회로 또는 표시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일측에 패드부가 마련되는 표시패널; 구동소자와 상기 구동소자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그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밴딩되어 상기 구동회로가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회로부; 및 상기 배면에서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회로부를 내부에 수납하는 커버바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로부는 상기 구동소자를 감싸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접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지부재의 일단은 상기 그라운드부에 연결된다.
상기 커버바텀은 상기 구동소자가 노출되도록 상기 구동소자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회로부의 노출영역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평판표시장치에 발생된 정전기가 구동회로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구동회로 또는 표시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회로부를 좀 더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커버바텀이 결합된 패널 배면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접지부재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표시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양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이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표시패널(20), 회로부(30) 및 커버바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패널(20)은 회로부(30)로부터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게이트 신호에 의해 영상을 표시한다. 이 표시패널(20)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과 같은 영상표시장치이거나, 영상표시장치에 터치스크린패널과 같은 부가 장치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표시패널(20)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표시패널(20)은 제1기판(21)과 제2기판(22)으로 구성되고, 제1기판(21) 또는 제2기판(22)의 일측에 패드부(23)가 형성된다. 패드부(23)는 제1 또는 제2기판(21, 22)에 형성된 전극과의 연결을 위하나 패드가 노출되는 부분으로, 회로부(30)의 일단이 패드부(23)에 형성된 패드에 접속된다. 이러한 패드부(23)는 제1기판(21) 또는 제2기판(22)이 다른 기판에 비해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나머지 하나의 기판이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다.
회로부(30)는 패드부(23)에 접속되어 표시패널(20)의 구동을 위한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게이트 신호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회로부(30)는 구동소자(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소자(31)는 미리 정해진 회로부(30)의 일 영역에 밀집되어 형성되며, 커버바텀(40)의 결합시 커버바텀(4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회로부(3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와 같이 유연한 소재를 이용해 형성된 기판이거나, 비연성 인쇄회로기판이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의해 패드부(23)에 연결된 것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회로부(30)는 표시패널(20)의 패드부(23)가 형성된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벤딩되어 표시패널(20)의 배면에 배치된다. 특히, 이때 구동소자(31)가 표시패널(2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회로부(30)는 정전기의 발생시 정전기에 의해 구동소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회로부(30)는 그라운드부(32)가 형성된다. 이 그라운드부(32)는 접지회로와 연결되는 도전부의 일부 표면이 노출되어 회로부(30)의 표면을 따라 통전되는 정전기를 통전을 위해 형성된다. 즉, 그라운드부(32)는 접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출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회로는 회로부(30)에 구동회로와는 별도로 정전기의 방전을 위해 형성되는 회로일 수도 있고, 구동회로의 동작을 위해 마련된 접지부(GND)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그라운드부(32)는 구동소자(31)와 인접한 위치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특히, 그라운드부(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구동소자(31)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그라운드부(32)에는 접지부재(33)가 결합되며, 그라운드부(32)는 접지부재(33)를 통해 흐르는 정전기를 접지회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회로부(30)에는 접지부재(33)가 결합된다. 이 접지부재(33)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구동소자(31)가 폐곡선에 의해 단절된 내부영역에 위치하도록 구동소자(31)의 밀집영역 둘레에 형성된다. 특히, 접지부재(33)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은 커버바텀(40)에 형성되는 개구부(42)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바텀(40)에는 구동소자(31)의 노출을 위한 개구부(42)가 형성되고, 커버바텀(40)의 결합시 구동소자(31)와 회로부(30)의 일부 표면인 노출영역(34)이 개구부(42)에 의해 노출된다. 이때, 접지부재(33)는 노출영역(34)의 경계를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되어 폐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커버바텀(40)을 통해 흐르거, 회로부(30)의 표면을 통해 흐르는 정전기가 경계에 형성된 접지부재(33)를 통해 그라운드부(32)로 전달되어 구동소자(31)에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지부재(33)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테이프와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접지부재(33)는 금속과 합성수지가 다층으로 구성되는 다층 도전성 섬유(Conductive Fabric) 또는 도전성 접착체(Conductive Adhesive)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지부재(33)는 니켈(Ni), 구리(Cu), 금(Au), 은(Ag)와 같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과 폴리올레핀(Polyolefine),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를 다층으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바텀(40)은 표시패널(20)과 회로부(30)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버바텀(40)은 바닥면(41)과 바닥면(41)의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는 측벽(43)으로 구성되고, 일측이 바닥면(41)과 측벽(4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회로부(30)와 표시패널(20)을 수납한다. 이러한 커버바텀(40)은 표시패널(20)과 회로부(30)의 안정적인 고정 및 수납을 위해 상대적으로 구동소자(31)가 노출되도록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이는 회로부(30)의 구동소자(31)가 회로면(35)에 비해 두꺼운 두께 또는 두께의 편차를 가짐으로 인해 결합시 구동소자(31)에 의해 표시패널(20) 및 회로부(30)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42)는 바닥면(41)에 1곳 이상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회로부를 좀 더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커버바텀이 결합된 패널 배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부(30)는 연성기판, 연성 케이블, 연성 테이프로 형성되는 회로면(35)과 회로면(35)에 실장되는 구동소자(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구동소자(31)는 회로면(35)에 형성되는 회로(미도시)에 접속되도록 회로면(35) 상에 구성되고, 표시패널(20)의 구동을 위한 신호와 전력을 생성 또는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소자(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노출영역(34)에 군집되도록 회로면(35)에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소자(31)의 주위에는 그라운드부(32)가 형성된다. 그라운드부(32)는 접지회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전기의 도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패드가 노출되어 형성된다.
특히 그라운드부(32)에는 접지부재(33)가 전기의 도통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이 접지부재(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소자(31)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그라운드부(32)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특히, 구동소자(31)를 회로면(35) 상에서 둘러싸는 형태의 폐곡선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회로면(35)을 통해 흐르는 정전기가 구동소자(31)에 도달하기 전에 접지부재(33)를 통해 그라운드부(32)와 그라운드부(32)에 연결된 접지회로로 전달되어 방전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접지부재(33)에 의해 그라운드부(32) 및 접지회로가 확장되는 효과를 제공하여, 평판표시장치의 다른 부분으로 흐를 수 있는 정전기가 접지부재(33) 쪽으로 흐를 수 있게, 정전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효과도 발생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이러한 접지부재(33)와 그라운드부(32)의 형성은 구동소자(31)가 형성된 노출영역(34)의 테두리를 따라 이루어진다. 이 노출영역(34)은 미리 결정된 영역으로 커버바텀(40)의 개구부(42)에 의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소자(31)는 회로면(35)에 비해 두께가 두꺼우진다. 이러한 회로부(30)가 표시패널(20)의 배변에 배치된 상태에서 개구부(42)가 없는 커버바텀(40)을 표시패널(20)에 결합시키면, 구동소자(31)에 의해 표시패널(20)과 커버바텀(40) 사이에 들뜸이 발생된다. 때문에 커버바텀(40)과 표시패널(20)의 밀착을 위해 구동소자(31)가 형성된 일정영역을 개구부(42)를 통해 노출시키게 된다.
이때, 개구부(42)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이 노출영역(42)이며, 이 노출영역(42)의 경계에 그라운드부(32)와 접지부재(3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접지부재(33)는 접지부재(33)의 내측(구동소자측) 경계가 개구부(42)의 테두리와 일치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접지부재(33)의 외측 경계가 개구부(42)의 테두리와 일치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2에는 패드부(23)와의 접속을 위한 패드코넥터(36)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코넥터(37)가 도시되어 있다. 회로부(30)는 패드코넥터(36)에 의해 패드부(23)에 결합된다.
도 4는 접지부재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지부재(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섬유 또는 전도성 접착제와 같은 전도성 연성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접지부재(33)는 알루미늄 시트, 구리 시트와 같이 연성 금속체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접지부재(33)는 정전기의 정상적인 이동 및 방전을 위해서는 단일 시트에 비해 높은 두께가 요구되며, 특히 구동소자(31)의 높이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접지부재(33)의 두께는 구동소자(31)의 첨두에서 회로면(35)까지의 거리에 비해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접지부재(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과 합성수지가 혼합된 다층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접지부재(33)는 회로면(35)과 접촉되는 부위에 전도성 접착층(33a)가 형성되고, 접도성 접착층(33a) 상에 폴리우레탄 코팅층(PU) 코팅층(331)이 형성된다. 그리고, PU 코팅층 상에 니켈(332), 구리(333), 니켈(334) 층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니켈(334) 층 상에 폴리올레핀(Polyolefine)과 같은 합성수지층(335)이 형성되고, 합성수지층(335) 상에 전술한 금속층 및 PU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다층의 금속, 합성수지 및 접착층으로 구성됨으로써 끊김의 발생, 전도성 저하를 방지하여 정전기의 유동경로로서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5는 표시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패널은 유기발광 또는 액정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표시패널의 일례로 유기발광 표시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유리발광 소자는 기판(100) 상에 정공 주입 역할 및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양극(미도시)과, 양극 상에 유기물이 1층 이상으로 구성된 유기층(122 내지 126)과 전자 주입 역할 및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음극(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121)과 음극(120)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121)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이 정공 수송층(123)을 지나 발광층(124)으로 이동하게 되고, 음극(120)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가 전자 수송층(125)을 지나 발광층(124)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어 전자와 정공의 결합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빛이 방출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소자는 대기 중의 수분 또는 산소에 의해 셀 수축 또는 유기층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실런트(40) 및 실 캡(50)을 이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표시패널(20)은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경우 표시패널(20) 배면 즉, 커버바텀(40)과 표시패널(20) 배면 사이에 결합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백라이트 유닛과 표시패널(20) 사이에 결합되는 가이드패널(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20) 상에 별도의 부가장치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장치가 결합되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20 : 표시패널 21 : 제1기판
22 : 제2기판 23 : 패드부
24 : 측면 30 : 회로부
31 : 구동소자 32 : 그라운드부
33 : 접지부재 34 : 노출영역
35 : 회로면 40 : 커버바텀
41 : 바닥면 42 : 개구부
43 : 측벽

Claims (5)

  1. 일측에 패드부가 마련되는 표시패널;
    구동소자와, 상기 구동소자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그라운드부와, 상기 구동소자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 단부가 상기 그라운드부와 연결되는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감싸도록 밴딩되어 상기 구동소자가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회로부; 및
    상기 배면에서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회로부를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회로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마련되는 커버바텀;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개구부 내부에 적어도 상기 구동소자가 일부 수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지부재와 상기 개구부 주변이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구동소자를 감싸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회로부의 노출영역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KR1020120149726A 2012-12-20 2012-12-20 평판 표시 장치 KR101992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26A KR101992900B1 (ko) 2012-12-20 2012-12-20 평판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726A KR101992900B1 (ko) 2012-12-20 2012-12-20 평판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190A KR20140080190A (ko) 2014-06-30
KR101992900B1 true KR101992900B1 (ko) 2019-06-25

Family

ID=5113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726A KR101992900B1 (ko) 2012-12-20 2012-12-20 평판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9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994A (ja) * 2006-07-10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印刷回路基板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901B1 (ko) * 2009-09-22 2016-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994A (ja) * 2006-07-10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印刷回路基板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190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66994B (zh) 有机发光显示面板和有机发光显示装置
US1086810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6566225B2 (ja) Nfc通信機能付き表示装置
US11257892B2 (en) Light-emitt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150022081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integrated nfc antenna
KR20170006261A (ko) 터치 센서 및 터치 패널
KR20140055540A (ko)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영상표시 단말기
TW201431060A (zh) 電子裝置的窄邊界顯示器
KR20150134142A (ko) 유기발광소자
KR2012006635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394355B (zh) 显示装置及终端设备
KR10177116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683969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12614430A (zh) 显示面板及电子设备
US8692346B2 (en) Metal encapsulating shee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2011583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30292572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12183396B (zh) 显示组件和显示装置
CN109256415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101992900B1 (ko) 평판 표시 장치
US11393243B2 (en) Structural component, electronic apparatus, and fingerprint module assembly method
US11211444B2 (en) Display apparatus
CN110007537B (zh) 一种显示装置
CN217640581U (zh) 显示装置及具有其的终端设备
CN114446174B (zh) 显示面板和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