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56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56B1
KR101991956B1 KR1020170047292A KR20170047292A KR101991956B1 KR 101991956 B1 KR101991956 B1 KR 101991956B1 KR 1020170047292 A KR1020170047292 A KR 1020170047292A KR 20170047292 A KR20170047292 A KR 20170047292A KR 101991956 B1 KR101991956 B1 KR 10199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ace
cooking chamber
leakage preventing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087A (ko
Inventor
하정형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956B1/ko
Priority to US16/604,712 priority patent/US11589431B2/en
Priority to EP18784163.0A priority patent/EP3612006B1/en
Priority to PCT/KR2018/003903 priority patent/WO2018190553A1/ko
Publication of KR2018011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H05B6/763Microwave radiation seals for do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식품을 조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와 접촉하는 가스켓; 및 상기 도어에 위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에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는 누설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식품을 익히기 위한 가전 기기이다.
상기 조리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마그네트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가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조리기기의 도어에는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쵸크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12639호에는 전자파 차단용 초크커버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경우, 쵸크가 도어 프레임의 쵸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쵸크의 내측 주변부에는 유전체인 쵸크 커버가 결합되고, 외측으로 도어 패널 및 스크린이 결합된다.
상기 쵸크는 일반적으로 금속판을 절곡시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절곡된 형상의 쵸크를 도어에 형성하는 경우, 도어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의 쵸크 커버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선행문헌과 같은 조리기기에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스팀발생기를 추가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고온의 스팀에 의해서 상기 쵸크 커버가 변형되거나 녹는 문제가 있고, 상기 쵸크도 고온의 스팀에 의해서 변형되어 전자파 차단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가 간단해지면서도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마이크로파의 누설 뿐만 아니라 스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식품을 조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와 접촉하는 가스켓; 및 상기 도어에 위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는 누설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에 연결되는 리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패널은, 상기 전면부와 마주보며 상기 가스켓이 설치되는 설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설 방지부는 상기 설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누설 방지부의 공간부의 깊이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누설 방지부의 공간부는,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기 위한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공간부는 상기 제1공간부에서 상기 도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공간부는 상기 제2공간부에서 상기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3공간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의 깊이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6 내지 1/8로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누설 방지부는,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기 위한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에서 상기 전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부의 깊이 및 폭은, 상기 제2공간부의 깊이 및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1공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공간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공간부에 결합된다.
상기 누설 방지부의 공간부는, 상기 리어 패널의 일부가 함몰됨에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리어 패널이 다수 회 절곡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스팀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식품을 조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와 접촉하는 가스켓; 및 상기 도어에 위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는 누설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에 연결되는 리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패널은, 상기 전면부와 마주보며 상기 가스켓이 설치되는 설치면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누설 방지부의 공간부가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누설 방지부의 함몰 깊이는 상기 누설 방지부의 상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누설 방지부가 가스켓의 설치홈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도어의 구조가 간단해지면서도 마이크로파의 누설 차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이 상기 누설 방지부를 커버하므로, 상기 누설 방지부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 부재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 설치된 가스켓이 도어와 프레임의 전면부 사이에 위치되므로, 저장실로 공급된 스팀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럭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수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수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일 예로 조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조리실(도 4의 111)을 형성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도 4의 111)을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2)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129)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12)는 일 예로 회전 방식에 의해서 상기 조리실(도 4의 1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0)는,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30)과,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스팀 발생기(32)와, 상기 마그네트론(30)과 상기 스팀 발생기(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0)는, 컨트롤 패널(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3)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1)와,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2)를 통한 조리 방식의 입력 또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론(30)과 상기 스팀 발생기(32)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식품이 조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그네트론(30)은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며, 상기 마이크로파는 상기 조리실(111)에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12)가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기(32)에서는 스팀이 발생되며, 상기 스팀 발생기(32)에서 발생되어 상기 조리실(도 4의 111)로 공급된 스팀은 상기 조리실(도 4의 111)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12)가 스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이크로파 및 스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20)는,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스팀의 누설이 방지되기 위한 가스켓(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저장실(111)의 입구(111a) 둘레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전면부(1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14)은 전면부(111a)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14)은 상기 저장실(111)의 입구(111a)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므로, 상기 가스켓(14)에 의해서 스팀의 누설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자석에 의해서 상기 가스켓(14)이 상기 전면부(111a)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전면 패널(121)과, 상기 전면 패널(121)과 결합되는 리어 패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21)은 일 예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면 패널(121)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우터 글래스(122)가 상기 전면 패널(12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전면 패널(121)이 글래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어 패널(123)은 상기 전면 패널(121)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123)의 일부는 상기 저장실(11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23)의 일부가 상기 저장실(111)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리어 패널(123) 자체가 스팀의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23)에는 상기 아우터 글래스(1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인너 글래스(12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글래스(122) 및 상기 인너 글래스(127)에 의해서, 상기 도어(12)가 상기 저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111) 내부에서의 식품의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23)은 상기 가스켓(14)이 설치되는 설치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면(124)은 상기 프레임(11)의 전면부(112)를 바라보는 면이다.
상기 설치면(124)은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기 위한 위한 누설 방지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설 방지부(125)는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가스켓(14)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누설 방지부(125)는, 상기 설치면(124)의 일부가 함몰됨에 따라 형성되는 홈이거나 상기 설치면(124) 자체가 절곡됨에 따라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누설 방지부(125)는 일 예로 상기 설치면(124)에서 상기 전면부(1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누설 방지부(125)에 상기 가스켓(14)의 일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이 상기 누설 방지부(125)에 끼움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가스켓(14)에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가스켓(14)이 누설 방지부(125)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가스켓(14)의 결합부를 끼움 결합시키는 구조는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위한 방지 구조는, 인덕턴스(L)와, 상기 인덕턴스(L)와 연결되는 캐퍼시턴스(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LC 공진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누설 방지부(125)가 인덕턴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설치면(124)과 상기 전면부(112) 사이의 거리가 캐퍼시턴스를 발생하여 원하는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누설 방지부(125)의 수평 길이(L1) 또는 함몰 깊이는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 (λ/4)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설 방지부(125)에 의한 공진 주파수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누설 방지부(125)의 수평 길이(L1) 또는 함몰 깊이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 (λ/4) 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부(125)의 상하 길이(L2)(또는 폭)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2 ~ 6 mm 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누설 방지부(125)는 상기 가스켓(14)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켓(14)이 상기 리어 패널(123)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설치홈은 필수적인데, 상기 누설 방지부(125)가 설치홈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리어 패널(123)의 구조가 간단해지면서도 마이크로파의 누설 차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14)이 상기 누설 방지부(125)를 커버하므로, 상기 누설 방지부(125)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 부재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누설 방지부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누설 방지부(225)는, 제1공간부(226)와, 상기 제1공간부(226)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2공간부(227)와, 상기 제1공간부(226)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공간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226)는 일 예로 상기 설치면(124)에서 상기 전면부(1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226)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14)은 상기 제1공간부(22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부(227)는 일 예로 상기 제1공간부(226)에서 상기 도어(1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공간부(228)는 상기 제1공간부(226)에서 상기 도어(1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공간부(227)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3공간부(228)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부(227) 및 제3공간부(228)의 폭(도면 상 수평 길이)은 상기 제1공간부(226)의 폭(도면 상 상하 길이)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누설 방지부(225)가 인덕턴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설치면(124)과 상기 전면부(112) 사이의 거리가 캐퍼시턴스를 발생하여 원하는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은 상기 누설 방지부(225)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공간부(226)의 수평 길이(또는 깊이)를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 (λ/4)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공간부(226)의 수평 길이(또는 깊이)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6 (λ/6) 내지 1/8 (λ/8)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간부(226)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어 상기 도어(12)의 사이즈를 줄이거나, 소형 사이즈의 도어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누설 방지부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누설 방지부(325)는, 제1공간부(326)와, 상기 제1공간부(326)에서 상기 전면부(1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공간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부(327)의 수평 길이(깊이) 및 상하 길이(폭)는 상기 제1공간부(326)의 수평 길이(깊이) 및 상하 길이(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공간부(327)의 체적은 상기 제1공간부(326)의 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14)은 상기 제1공간부(3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14)은, 상기 제1공간부(326)를 기준으로 상기 제2공간부(327)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공간부(326)에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누설 방지부(325) 자체가 인덕턴스와 캐퍼시턴스를 발생하여 원하는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12)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조 오차, 상기 도어(12)의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립 오차, 상기 도어(12)를 상기 프레임(11)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립 오차 등에 의해서 상기 설치면(124)과 상기 전면부(112)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면(124)과 상기 전면부(112) 사이의 거리가 캐퍼시턴스를 발생하는 경우, 마이크로파 누설 방지를 위하여 설정된 공진 주파수가 상기 마이크로파의 중심 주파수와 다르게 되어, 마이크로파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누설 방지부(325) 자체가 인덕턴스와 캐퍼시턴스를 발생하여 원하는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키므로, 상기 설치면(124)과 상기 전면부(112) 사이의 거리와 무관하게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프레임 12: 도어
14: 가스켓 111: 저장실
112: 전면부 124: 설치면
125, 225, 325: 누설 방지부

Claims (10)

  1.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식품을 조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와 접촉하는 가스켓; 및
    상기 도어에 위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는 누설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에 연결되는 리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패널은, 상기 전면부와 마주보며 상기 가스켓이 설치되는 설치면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누설 방지부의 공간부가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을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누설 방지부의 함몰 깊이는 상기 누설 방지부의 상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부의 공간부의 깊이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4로 설정되는 조리기기.
  4.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식품을 조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와 접촉하는 가스켓; 및
    상기 도어에 위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는 누설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방지부의 공간부는,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기 위한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에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공간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공간부는 상기 제1공간부에서 상기 도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공간부는 상기 제2공간부에서 상기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리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3공간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조리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의 깊이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파장의 1/6 내지 1/8로 범위 내로 설정되는 조리기기.
  8.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실에 수용된 식품을 조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와 접촉하는 가스켓; 및
    상기 도어에 위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는 누설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방지부는, 상기 가스켓이 결합되기 위한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에서 상기 전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부의 깊이 및 폭은, 상기 제2공간부의 깊이 및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1공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공간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공간부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9. 삭제
  10.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스팀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70047292A 2017-04-12 2017-04-12 조리기기 KR101991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292A KR101991956B1 (ko) 2017-04-12 2017-04-12 조리기기
US16/604,712 US11589431B2 (en) 2017-04-12 2018-04-03 Cooking appliance
EP18784163.0A EP3612006B1 (en) 2017-04-12 2018-04-03 Cooking appliance
PCT/KR2018/003903 WO2018190553A1 (ko) 2017-04-12 2018-04-03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292A KR101991956B1 (ko) 2017-04-12 2017-04-12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87A KR20180115087A (ko) 2018-10-22
KR101991956B1 true KR101991956B1 (ko) 2019-06-24

Family

ID=6379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292A KR101991956B1 (ko) 2017-04-12 2017-04-1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89431B2 (ko)
EP (1) EP3612006B1 (ko)
KR (1) KR101991956B1 (ko)
WO (1) WO20181905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9537A (en) * 1970-09-09 1971-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icrowave oven door seal having dual cavities fed by a biplanar transmission line
US3846608A (en) * 1974-02-11 1974-11-05 Litton Systems Inc High temperature resistant door seal for a microwave oven
GB2106360B (en) * 1981-09-25 1985-02-20 Hitachi Heating Appl Microwave heating apparatus
WO1984001083A1 (en) * 1982-08-25 1984-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adio-wave sealing device
DE3247896A1 (de) * 1982-12-24 1984-06-28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Anthrachinonfarbstoffe
DE8606301U1 (ko) 1986-03-07 1990-05-23 Bosch-Siemens Hausgeraete Gmbh, 8000 Muenchen, De
JPH06137563A (ja) 1992-10-22 1994-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19990001969U (ko) * 1997-06-24 1999-01-15 윤종용 전자렌지의 도어
KR100414099B1 (ko) 2001-08-02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전자파 차단장치
KR100676250B1 (ko) * 2005-06-10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오븐
KR100662415B1 (ko) 2005-08-2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파를 이용한 가열 장치
JP4127553B2 (ja) * 2005-09-08 2008-07-3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7078199A (ja) 2005-09-12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KR101762164B1 (ko) 2010-12-23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2006A4 (en) 2020-03-04
KR20180115087A (ko) 2018-10-22
US11589431B2 (en) 2023-02-21
EP3612006B1 (en) 2022-03-30
WO2018190553A1 (ko) 2018-10-18
US20200163176A1 (en) 2020-05-21
EP3612006A1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588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KR100233437B1 (ko) 전자렌지의 도어
EP1744595B1 (en) Microwave cooker with 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US10939513B2 (en) Structure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door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20050031286A (ko) 전자렌지
EP1503613B1 (en) Microwave oven
KR101991956B1 (ko) 조리기기
JP6674528B2 (ja) 加熱調理器
US4609800A (en) Microwave oven door structure
EP3426002B1 (en) Door and cooking appliance with the same
KR20070000260A (ko) 전자레인지의 전자파 누설 방지 장치
KR20060136230A (ko) 전자레인지의 전자파 누설 방지 장치
KR100366021B1 (ko) 전자렌지의 도어 조립체
KR200217747Y1 (ko) 전자렌지의 도어
KR100627906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
JP7273884B2 (ja) 加熱調理器
KR101125562B1 (ko) 전자레인지 도어의 차폐장치
KR100778689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
KR100710234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가열 장치
KR200165765Y1 (ko) 전자렌지의 고주파 누설방지장치
KR19990018409U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KR100786080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가열 장치
KR100739542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가열 장치
KR100774193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가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3501251U (zh) 加热烹调器的门和具有它的加热烹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