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422B1 -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422B1
KR101991422B1 KR1020180144456A KR20180144456A KR101991422B1 KR 101991422 B1 KR101991422 B1 KR 101991422B1 KR 1020180144456 A KR1020180144456 A KR 1020180144456A KR 20180144456 A KR20180144456 A KR 20180144456A KR 101991422 B1 KR101991422 B1 KR 101991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lter
filtering unit
filter hou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일우
손호석
Original Assignee
한토커팅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토커팅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토커팅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와, 1차 필터링부 및 2차 필터링부와 펌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각 필터링부는 상부로 필터카트리지의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빠른 여과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Underwater filtering system}
본 발명은 수중의 물을 지속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한 수중 필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로의 수조 내부에 대한 빠른 여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여과 성능의 향상 및 여과 지속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필터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는 연쇄핵분열반응의 결과 순간적으로 방출되는 다량의 질량결손 에너지가 방출되도록 연쇄반응을 제어하여 핵분열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원자로는 관련 구조물과 함께 수조 내에 위치되며, 이로써 해당 원자로에 대한 감시는 다양한 수중 카메라를 통해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한 원자로의 해체나, 유지보수 혹은, 여타의 다양한 작업시에는 작업자가 방사능에 피폭되지 않도록 별도의 작업 로봇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 로봇은 작업자가 원격지에서 상기 수중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토대로 원격 조종하면서 관련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521353호, 등록특허 제10-0578639호, 등록특허 제10-0576796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히 작업 로봇에 관련한 기술만 제공하고 있을 뿐 수중 작업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예컨대, 원자로의 해체를 위한 수중 절단 해체 작업의 경우 통상 수중플라즈마 절단 혹은, 수중 CAMC(Contact Arc Metal Cutting) 절단을 이용하며, 이러한 수중 절단시에는 절단 잔재나 부유물, 절단나이프 마모로 인해 발생되는 탄소 등의 다양한 이물질이 발생되면서 수중 탁도를 흐리게 함에 따라 수중 카메라를 통한 시야의 확보가 극히 어려워 사실상 작업이 진행될 수가 없고, 이러한 탁도가 다시금 좋아질 때까지 기다린 후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물론, 상기 원자로의 수조 내부에 물을 지속적으로 여과하는 필터링 시스템이 제공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필터링 시스템은 원자로 내의 작업 종류에 따라 각 필터의 손상이 커서 지속적인 필터의 교체가 필요하며, 종래에는 이러한 필터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여 사실상 수조 내부의 작업이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등록특허 제10-0521353호 등록특허 제10-0578639호 등록특허 제10-0576796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로의 수조 내부에 대한 빠른 여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여과 성능의 향상 및 여과 지속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필터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원자로용 수조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원자로용 수조 내부의 물을 1차적으로 걸러준 후 유출관으로 유출하는 1차 필터링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1차 필터링부의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분지관으로 분할 공급받아 미세 이물질을 재차적으로 걸러준 후 합류관으로 유출하는 둘 이상 복수의 2차 필터링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합류관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물을 원자로용 수조 내부로 재배출하도록 펌핑하는 펌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필터링부는 상면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부와, 상기 필터하우징 내에 상하로 수용 및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 또는, 분지관을 통과하면서 유입된 물이 통과되도록 상면에 연통공이 형성되면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는 필터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필터링부의 필터카트리지는 둘레벽면이 금속의 다공관 혹은, 메쉬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필터링부의 필터카트리지는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필터링부의 덮개부 및 필터카트리지의 상면에는 고리부재가 각각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필터링부의 유입관 및 2차 필터링부의 분지관은 필터하우징의 상단 둘레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각 필터링부의 덮개부 저면에는 상기 필터하우징 내로 관통된 유입관 혹은, 분지관과 일치되면서 해당 유입관 혹은, 분지관을 통과한 물을 유입받아 필터카트리지의 연통공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절곡형 안내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은 원자로용 수조 내의 물을 지속적으로 필터링함에 따라 상기 원자로용 수조 내에서의 작업(예컨대, 원전 해체작업 등)이나 원자로용 수조 내의 감시를 위한 시야 확보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은 덮개부의 회전 가능한 구조 및 덮개부와 필터카트리지에 고리부재를 형성한 구조를 통해 원격으로의 필터카트리지에 대한 교체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은 필터카트리지의 표면에 이물질이 과도하게 쌓여 정화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경우 해당 필터카트리지의 표면에 초음파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이물질이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터카트리지의 수명 연장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항상 안정적인 정화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은 크게 베이스플레이트(100)와, 1차 필터링부(200) 및 2차 필터링부(300)와 펌프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각 필터링부(200,300)는 상부로 필터카트리지(230,330)의 교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빠른 여과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각 구성요소들의 고정 설치를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
즉,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각 구성요소들이 일괄적으로 설치되면서 단일의 어셈블리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른 원자로용 수조 내부에의 일괄적인 설치 및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상기 원자로용 수조 내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 필터링부(200,300)는 원자로용 수조 내부의 물을 순차적으로 걸러주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필터링부(200,300)는 원자로용 수조 내부의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1차 필터링부(200) 및 상기 1차 필터링부(200)에서 1차적으로 걸러진 물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재차적으로 걸러주는 복수의 2차 필터링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각 필터링부(200,300)는 필터하우징(210,310)과, 상기 필터하우징(210,310)을 개폐하는 덮개부(220,320) 및 필터하우징(210,310) 내에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230,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하우징(210,310)은 상면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된다.
상기 각 필터링부(200,300) 중 1차 필터링부(200)를 이루는 필터하우징(210)의 상단 전방측 둘레에는 유입관(211)이 관통 설치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중앙 부위의 후방측 둘레에는 유출관(212)이 관통 설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각 필터링부(200,300) 중 각 2차 필터링부(300)를 이루는 각 필터하우징(210,310)의 상단 전방측 둘레에는 상기 유출관(212)과 일괄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유출관(212)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분할 공급받는 분지관(311)이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하단의 후방측 둘레에는 합류관(312)이 연통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필터하우징(210,310) 내의 저면에는 후술될 필터카트리지(230,330)의 정확한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대(250,35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착대(250,350)는 내주면이 저부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 관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20,320)는 상기 필터하우징(210,310)의 개방된 상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필터하우징(210,31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카트리지(230,330)는 상기 필터하우징(210,310) 내에 상하로 수용 및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필터카트리지(230,330)는 상면(231,331) 및 저면(232,332)을 갖는 통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상면의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유입관(211) 또는, 분지관(311)을 통과하여 유입된 물이 통과되도록 연통공(233,333)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필터카트리지(230,330) 중 1차 필터링부(200)를 이루는 필터카트리지(230)의 둘레벽면은 금속의 다공관 혹은, 메쉬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필터링부(300)의 필터카트리지(330)의 둘레벽면은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섬유망 구조로 구성된다. 즉, 1차 필터링부(200)의 필터카트리지(230)에 의해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 중 부피가 있는 이물질(예컨대, 절단 잔재물 등)을 개략적으로 걸러주도록 한 후 2차 필터링부(300)의 필터카트리지(330)에 의해 미세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덮개부(220,320)의 저면에는 상기 필터하우징(210,310) 내로 관통된 유입관(211) 혹은, 분지관(311)과 일치되면서 해당 유입관(211) 혹은, 분지관(311)을 통과한 물을 유입받아 필터카트리지(230,330)의 연통공(233,333)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절곡형 안내관(221,321)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덮개부(220,320)의 폐쇄시에만 상기 절곡형 안내관(221,321)이 상기 유입관(211) 혹은, 분지관(311)과 필터카트리지(230,330)의 연통공(233,333)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펌프부(400)는 원자로용 수조 내부의 물이 각 필터링부(200,300)를 통과하면서 반복적으로 여과되도록 펌핑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펌프부(4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 상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합류관(312)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원자로용 수조 내부로 재배출하도록 펌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펌프부(400)는 상기 합류관(312)이 연결되는 펌프하우징(410)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펌프하우징(410) 내로 유입된 물을 펌핑하는 펌핑모터 어셈블리(4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합류관(312)은 각 2차 필터링부(300)를 이루는 필터하우징(310)들의 저부측 둘레 및 상기 펌프하우징(310)의 저부측 둘레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는 상기 2차 필터링부(300)를 이루는 필터카트리지(330)가 1차 필터링부(200)를 이루는 메쉬 구조의 필터카트리지(230)와는 달리 섬유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필터카트리지(330)의 표면에 미세한 이물질들이 들러붙어 쌓이게 됨으로써 최대한 물이 유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필티카트리지(330)의 전 부위에 고른 필터링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각 필터링부(200,300)의 덮개부(220,320) 및 필터카트리지(230,330)의 상면에는 고리부재(222,322,234,334)가 각각 더 구비된다. 즉, 상기한 고리부재(222,322,234,334)의 추가 제공을 통해 원격지에서 로봇암을 이용하여 상기 덮개부(220,320)를 개폐하는 동작 및 필터카트리지(230,330)를 취출이나 삽입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2차 필터링부(300)를 이루는 필터하우징(310) 내에 초음파발생기(340)가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상기 2차 필터링부(300)의 필터카트리지(330)가 섬유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표면에 각종 미세 이물질이 쌓일 경우 필터링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써 수시로 상기 초음파발생기(340)의 동작을 통해 상기 필터카트리지(330)의 표면에 쌓인 이물질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1차 필터링부(200)의 필터하우징(210) 내에도 초음파발생기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원자로용 수조 내부의 작업이나 감시를 위해 펌프부(400)를 이루는 펌핑모터 어셈블리(420)의 동작에 따른 펌핑력이 발생되면 이러한 펌핑력에 의해 원자로용 수조 내에 존재하는 물은 1차 필터링부(200)의 유입관(211)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유입관(21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1차 필터링부(200)를 이루는 덮개부(220)의 절곡형 안내관(221)을 통해 메쉬 구조의 필터카트리지(230) 내로 유입되며, 계속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230)를 통과한 후 필터하우징(210)에 형성된 유출관(212)으로 유출된다.
이때, 상기 필터카트리지(230) 내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카트리지(@30)를 통과하여 유출관(212)으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은 상기 메쉬 구조의 필터카트리지(230)에 걸러지면서 해당 필터카트리지(230) 내의 저부 공간으로 낙하되어 쌓이게 된다.
또한, 상기 유출관(212)으로 유출된 물은 이 유출관(212)에 연결된 각 2차 필터링부(300)의 분지관(311)으로 공급된 후 상기 분지관(311)의 각 분지 관로를 통해 각각의 2차 필터링부(300)를 이루는 필터하우징(310) 내로 각각 유입됨과 더불어 해당 2차 필터링부(300)의 덮개부(320)에 구비된 절곡형 안내관(321)을 통과하여 섬유망 구조의 필터카트리지(330) 내로 각각 유동되며, 계속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330)를 통과한 후 필터하우징(310)에 형성된 합류관(312)으로 유출된다.
이때, 상기 필터카트리지(330) 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카트리지(330)를 통과하여 합류관(312)으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이 상기 섬유망 구조의 필터카트리지(330) 표면에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재차적으로 걸러진 물은 펌프부(400)를 통과하여 다시금 원자로용 수조 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전술된 물의 순환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원자로용 수조 내부를 빠르게 정화시키며, 이로 인해 원자로용 수조 내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여 원활한 작업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원자로용 수조 내부에 대한 물의 정화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에서 펌핑 성능의 저하 혹은, 정화 성능의 저하가 발생되면 2차 필터링부(300)를 이루는 초음파발생기(340)의 동작을 통해 해당 2차 필터링부(300)를 이루는 필터카트리지(330)의 표면에 초음파 진동이 가해지도록 한다.
즉, 상기 2차 필터링부(300)의 필터카트리지(330)는 섬유망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의 표면에 미세 이물질이 쌓이게 됨을 고려할 때 해당 부위로 초음파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미세 이물질이 상기 필터카트리지(330)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만일, 전술된 제어에도 불구하고 펌핑 성능이나 정화 성능이 저하된다면 각 필터카트리지(230,330)를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필터카트리지(230,330)의 교체는, 펌프부(400)의 동작을 정지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한 로봇으로 각 필터링부(200,300)의 덮개부(220,320)에 존재하는 고리부재(222,322)를 파지하여 상기 덮개부(220,320)를 개방함과 더불어 필터카트리지(230,330)의 상면에 존재하는 고리부재(234,334)를 파지하여 해당 필터카트리지(230,330)를 필터하우징(210,310)으로부터 분리하고, 계속해서 새로운 필터카트리지(230,330)를 해당 필터하우징(210,310) 내로 수납한 후 덮개부(220,320)를 닫음으로써 완료된다.
결국, 본 발명의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은 원자로용 수조 내의 물을 지속적으로 필터링함에 따라 상기 원자로용 수조 내에서의 작업(예컨대, 원전 해체작업 등)이나 원자로용 수조 내의 감시를 위한 시야 확보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은 덮개부(220,320)의 회전 가능한 구조 및 덮개부(220,320)와 필터카트리지(230,330)에 고리부재(222,322,234,334)를 형성한 구조를 통해 원격으로의 필터카트리지(230,330)에 대한 교체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은 필터카트리지(230,330)의 표면에 이물질이 과도하게 쌓여 정화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경우 해당 필터카트리지(230,330)의 표면에 초음파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이물질이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필터카트리지(230,330)의 수명 연장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항상 안정적인 정화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베이스플레이트 200. 1차 필터링부
300. 2차 필터링부 210,310. 필터하우징
211. 유입관 212. 유출관
311. 분지관 312. 합류관
220,320. 덮개부 221,321. 절곡형 안내관
230,330. 필터카트리지 231,331. 상면
232,332. 저면 233,333. 연통공
222,322,234,334. 고리부재 340. 초음파발생기
250,350. 안착대 400. 펌프부
410. 펌프하우징 420. 펌핑모터 어셈블리

Claims (5)

  1. 원자로용 수조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원자로용 수조 내부의 물을 1차적으로 걸러준 후 유출관으로 유출하는 1차 필터링부;
    상기 1차 필터링부의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분지관으로 분할 공급받아 미세 이물질을 재차적으로 걸러준 후 합류관으로 유출하는 둘 이상 복수의 2차 필터링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합류관을 통해 유출되는 물을 물을 원자로용 수조 내부로 재배출하도록 펌핑하는 펌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필터링부는
    상면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는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부와,
    상기 필터하우징 내에 상하로 수용 및 취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 또는, 분지관을 통과하면서 유입된 물이 통과되도록 상면에 연통공이 형성되면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는 필터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1차 필터링부의 유입관 및 2차 필터링부의 분지관은 필터하우징의 상단 둘레면을 관통하여 연결됨과 더불어 각 필터링부의 덮개부 저면에는 해당 덮개부의 폐쇄 조작시 해당 필터하우징의 상단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단 둘레를 관통하는 유입관 혹은, 분지관과 일치되어 해당 유입관 혹은, 분지관을 통과한 물이 필터카트리지의 연통공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절곡형 안내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유출관은 상기 각 필터링부 중 1차 필터링부를 이루는 필터하우징의 중앙 부위의 후방측 둘레에 일단이 관통 설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2차 필터링부의 분지관에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합류관은 2차 필터링부를 이루는 필터하우징의 후방측 하단 둘레에 연통 설치되며,
    상기 각 필터링부의 덮개부 및 필터카트리지의 상면에는 고리부재가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필터하우징 내의 저면에는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안착을 안내하도록 내주면이 저부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링부의 필터카트리지는 둘레벽면이 금속의 다공관 혹은, 메쉬로 형성되고,
    상기 2차 필터링부의 필터카트리지는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44456A 2018-11-21 2018-11-21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 KR10199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456A KR101991422B1 (ko) 2018-11-21 2018-11-21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456A KR101991422B1 (ko) 2018-11-21 2018-11-21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422B1 true KR101991422B1 (ko) 2019-06-20

Family

ID=6710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456A KR101991422B1 (ko) 2018-11-21 2018-11-21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671B1 (ko) * 2020-10-27 2021-12-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경수로형 원자로 해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53B1 (ko) 2002-12-24 2005-10-14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능 오염된 원자로 사용부품의 수중 분해장치
KR100576796B1 (ko) 2003-08-04 2006-05-10 한국전력공사 원자로 내부구조물 검사 및 이물질제거용 수중로봇 시스템
KR100578639B1 (ko) 2003-04-15 2006-05-11 한국원자력연구소 원자로 검사용 수중 로봇의 위치 인식방법
JP2008039631A (ja) * 2006-08-08 2008-02-21 Toshiba Corp 原子炉冷却材浄化装置
JP6073914B2 (ja) * 2011-12-08 2017-02-01 ハイダック フィルターテヒニ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フィル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53B1 (ko) 2002-12-24 2005-10-14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능 오염된 원자로 사용부품의 수중 분해장치
KR100578639B1 (ko) 2003-04-15 2006-05-11 한국원자력연구소 원자로 검사용 수중 로봇의 위치 인식방법
KR100576796B1 (ko) 2003-08-04 2006-05-10 한국전력공사 원자로 내부구조물 검사 및 이물질제거용 수중로봇 시스템
JP2008039631A (ja) * 2006-08-08 2008-02-21 Toshiba Corp 原子炉冷却材浄化装置
JP6073914B2 (ja) * 2011-12-08 2017-02-01 ハイダック フィルターテヒニ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フィル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671B1 (ko) * 2020-10-27 2021-12-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경수로형 원자로 해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4668A (ko) 다량의 유동 액체로부터 유기체와 입자를 분리하고 여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75915B1 (ko) 수질 정화 장치
KR101991422B1 (ko) 원자로용 수중 필터링 시스템
JP2009095337A (ja) 自己位置配置カートリッジ装置を含むフィルタ
CN105233545B (zh) 螺旋板式过滤系统及方法
RU169003U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ей
RU243661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CN105948175A (zh) 前置过滤器和水净化装置
RU2638386C1 (ru) Фильтр
WO2020230475A1 (ja) インライン型ストレーナ
CN107626132B (zh) 束管式过滤器的高性能反冲洗装置
CN213572324U (zh) 一种污水排放口溢流过滤环境保护装置
KR20150055943A (ko) 필터 세척기능을 구비한 백 필터
JP2013238304A (ja) 弁装置
JPS62149304A (ja) 濾過装置
CN214486016U (zh) 一种工业废水的净化循环设备
CN214260898U (zh) 一种屠宰场专用的污水处理装置
KR102017941B1 (ko) 액상촉매 여과장치
CN218686945U (zh) 一种具有滤除性能的排污缓冲设备
CN212214823U (zh) 管道过滤器
CN220583855U (zh) 一种污水治理采样组件
JP6038767B2 (ja) フィルタ洗浄方法及び装置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KR20090031477A (ko) 수처리장치
JP6155169B2 (ja) ろ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