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348B1 -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348B1
KR101991348B1 KR1020170156592A KR20170156592A KR101991348B1 KR 101991348 B1 KR101991348 B1 KR 101991348B1 KR 1020170156592 A KR1020170156592 A KR 1020170156592A KR 20170156592 A KR20170156592 A KR 20170156592A KR 101991348 B1 KR101991348 B1 KR 10199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se station
downlink
specific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050A (ko
Inventor
임승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3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운행정보를 원격의 서버 단에서 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실패 없이 차량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기술)을 실현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VEHICLE DRIVING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운행정보를 원격의 서버 단에서 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차량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나 대형버스와 같이 차량의 경우, 사고 발생 시 재산 및 인명피해가 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속도를 제한하는 속도제한장치 및 차량 운행에 관한 정보(이하, 차량운행정보)를 기록하는 운행기록계(DTG: Digital Tacho Graph)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속도제한장치를 불법으로 조작하여 속도 제한없이 과속으로 주행하는 화물차나 대형버스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속도제한장치를 의무로 설치하여 안전 운행을 유도하는 것은 사실 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운행기록계는, 자신이 설치된 차량의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등)를 실시간으로 저장(기록)함으로써, 운전자의 습관에 해당하는 과속, 엔진 과회전, 긴 시간 과속, 급가속, 급제동 등과 같은 운전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운행기록계에 기록된 차량운행정보를 확인하기 위해는 별도의 수동 조작이 필요하다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실제 사고가 발생된 후에야 정보(또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운행기록계를 설치하여 안전 운행을 유도하는 것은 사실 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속도제한장치 및 운행기록계의 의무 설치에도 불구하고, 최근 화물차나 대형버스로 인한 대형사고 발생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활 속의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등장하여 주목 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IoT 기술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IoT 기술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는,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차량의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차량운행정보 및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경고가 요구되는 특정 차량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특정 차량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 차량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패킷송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기 분석된 이동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부는,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매 업링크패킷 마다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과속 운행이 확인되는 업링크패킷을 송신한 차량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부는, 기 설정된 분석주기 마다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분석 시점을 기준으로 기 정의된 과속 운행 패턴 또는 졸음 운행 패턴이 확인되는 차량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은,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성공한 다운링크패킷 전송 시 이용된 기지국, 또는 업링크패킷 수신 시 이용된 기지국 중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차량의 이동패턴에 따라 이동이 예상되는 방향 및 위치에 있는 1 이상의 기지국을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실패한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송신하도록 상기 패킷송신부를 제어하되,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에서 상기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송신할 때 송신전력 세기를 기준 세기 보다 증가시켜 송신하도록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차량의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단계; 상기 차량운행정보 및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경고가 요구되는 특정 차량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차량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 차량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패킷송신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기 분석된 이동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하는 재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단계는,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매 업링크패킷 마다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과속 운행이 확인되는 업링크패킷을 송신한 차량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단계는, 기 설정된 분석주기 마다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분석 시점을 기준으로 기 정의된 과속 운행 패턴 또는 졸음 운행 패턴이 확인되는 차량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은,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성공한 다운링크패킷 전송 시 이용된 기지국, 또는 업링크패킷 수신 시 이용된 기지국 중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결정단계는,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차량의 이동패턴에 따라 이동이 예상되는 방향 및 위치에 있는 1 이상의 기지국을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 실패한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에서 상기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송신할 때 송신전력 세기를 기준 세기 보다 증가시켜 송신하도록,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IoT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운행정보를 원격의 서버 단에서 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차량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계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화물차나 대형버스와 같이 차량의 경우, 사고 발생 시 재산 및 인명피해가 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속도를 제한하는 속도제한장치 및 차량 운행에 관한 정보(이하, 차량운행정보)를 기록하는 운행기록계(DTG: Digital Tacho Graph)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속도제한장치를 불법으로 조작하여 속도 제한없이 과속으로 주행하는 화물차나 대형버스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속도제한장치를 의무로 설치하여 안전 운행을 유도하는 것은 사실 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운행기록계는, 자신이 설치된 차량의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등)를 실시간으로 저장(기록)함으로써, 운전자의 습관에 해당하는 과속, 엔진 과회전, 긴 시간 과속, 급가속, 급제동 등과 같은 운전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운행기록계에 기록된 차량운행정보를 확인하기 위해는 별도의 수동 조작이 필요하다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실제 사고가 발생된 후에야 정보(또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운행기록계를 설치하여 안전 운행을 유도하는 것은 사실 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속도제한장치 및 운행기록계의 의무 설치에도 불구하고, 최근 화물차나 대형버스로 인한 대형사고 발생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활 속의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등장하여 주목 받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주기적으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단말(IoT 단말), 원격지 IoT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고 IoT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IoT앱이 설치된 고객단말(미도시)과, IoT 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 IoT 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의 기지국(IoT 기지국, 예: 기지국1,2...9)으로 구성된다.
IoT 단말이 업링크패킷을 전송하는 업링크의 경우는, IoT 단말은 기 정의된 보고 주기 마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정보(업링크패킷)를 송신하고, 이를 2 이상의 IoT 기지국이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이다.
한편, 네트워크장치가 다운링크패킷을 전송하는 다운링크의 경우는, 네트워크장치가 IoT 단말에 대하여 기 결정한 하나의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다운링크 기지국이 IoT 단말로 송신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 기반의 IoT 기술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방안(기술)을 실현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운행기록계(미도시)가 설치된 차량(10)에 IoT 기술 기반의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IoT모듈을 탑재하는 것을 전제하며, 이러한 전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은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IoT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IoT 단말로서 동작하는 차량(10, IoT모듈)은, 운행기록계(미도시)에서 실시간으로 저장(기록)하는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기 정의된 보고 주기(예: 24시간, 2시간, 10분 등) 마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에 실어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네트워크장치에 해당된다.
이러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차량의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130)와, 상기 차량운행정보 및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경고가 요구되는 특정 차량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부(140)와, 상기 특정 차량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 차량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패킷송신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패킷수신부(110) 및 제어부(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IoT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운행정보를 원격 단에서 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차량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방안)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패킷수신부(110)는, IoT 단말로서 동작하는 각 차량에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을, 2 이상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한다.
이때,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에는, 해당 차량의 운행기록계(미도시)에서 실시간으로 저장(기록)하는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관리부(130)는, 패킷수신부(110)를 통해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기반으로, 각 차량의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관리부(130)는,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기반으로, 각 차량의 운전자 습관에 해당하는 과속, 엔진 과회전, 긴 시간 과속, 급가속, 급제동 등과 같은 운전 자료를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축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IoT 기술을 이용하여, 각 차량들의 차량운행정보 및 이를 근거로 하는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원격 단에서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확인부(140)는,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경고가 요구되는 특정 차량이 있는지 확인한다.
즉, 확인부(140)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에서 관리하는 차량들 중에서, 차량운행정보 및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경고가 요구되는 특정 차량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인부(140)는,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매 업링크패킷 마다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과속 운행이 확인되는 업링크패킷을 송신한 차량을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차량(10)으로부터 업링크패킷이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 경우, 확인부(140)는, 차량(10)으로부터 업링크패킷이 수신되면, 금번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분석하여, 과속 운행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확인부(140)는,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분석하여, 차량(10)의 속도가 차량(10)이 운행 중인 위치정보에 따른 도로의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과속 운행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분석하여 과속 운행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실시 가능할 것이다.
확인부(140)는, 만약 금번 수신된 차량(10)의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분석하여 과속 운행이 확인되면, 금번 업링크패킷을 송신한 차량(10)을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확인부(140)는, 기 설정된 분석주기 마다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분석 시점을 기준으로 기 정의된 과속 운행 패턴 또는 졸음 운행 패턴이 확인되는 차량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확인부(140)는, 기 설정된 분석주기(예: 5분, 10분 등) 마다, 데이터관리부(130)에서 관리 중인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분석 시점을 기준으로 기 정의된 과속 운행 패턴 또는 졸음 운행 패턴이 확인되는 차량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과속 운행 패턴 및 졸음 운행 패턴은, 일정 시간구간(예: 2분) 내에서 속도가 변화하는 특정 패턴을 의미하며, 이는 정의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확인부(140)는, 데이터관리부(130)에서 관리 중인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에서 관리하는 차량들 중 분석 시점을 기준으로 기 정의된 과속 운행 패턴 또는 졸음 운행 패턴이 확인되는 차량(예: 차량(10))이 있으면, 해당 차량(10)을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패킷송신부(120)는 확인부(140)에서 특정 차량 예컨대 차량(10)이 확인되면, 차량(10)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차량(10)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예컨대, 차량(10)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서 기지국6을 언급하면, 패킷송신부(120)는 차량(10)으로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차량(10)에 대하여 기 결정된 기지국6으로 송신함으로써,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 전송을 시도하는 것이다.
여기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이란, 차량(10)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발생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기 결정되어 있는 하나의 다운링크 기지국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은, 차량(10)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성공한 다운링크패킷 전송 시 이용된 기지국 또는 업링크패킷 수신 시 이용된 기지국 중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량(10)에 대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은, 다운링크패킷 전송이 성공할 때마다 또는 차량(10)로부터의 업링크패킷이 수신될 때마다, 현재의 기지국6으로 유지/결정될 수도 있고 새로운 기지국으로 변경/결정될 수도 있다.
이에, 차량(10, IoT모듈)에서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가 기지국6을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경고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IoT 기술을 이용하여, 각 차량들의 차량운행정보 및 이를 근거로 하는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원격 단에서 실시간으로 관리하며, 이를 근거로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차량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50)는,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 예컨대 전술과 같이 기지국6으로 송신한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이 전송 실패한 경우, 차량(10)에 대하여 기 분석된 이동패턴에 따라 차량(10)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한다.
만약, 차량(10)으로 전송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이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다면, 원격(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 단에서 안전 운행을 위해 제공하는 경고가 차량(10)에서 출력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10)으로 전송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 성공적으로 전송되도록, 다운링크패킷의 전송 성공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다운링크패킷의 전송 성공률은, 다운링크패킷 전송 시, 어떤 IoT 기지국을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결정/이용하는지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차량(10)은, 빠른 속도로 주행하며 특히 경고 전송 대상이 되는 경우라면 매우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가장 최근(또는 직전)에 다운링크패킷을 수신한 시점 또는 가장 최근(또는 직전)에 업링크패킷을 송신한 시점과 금번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에서 다운링크패킷을 전송하는 시점 사이에, 차량(10)이 다른 IoT 기지국의 커버리지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기지국6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차량(10, IoT모듈)에서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가 기지국6을 통해 송신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은 실패하게 된다.
한편, 차량(10)은, 화물차나 대형버스와 같이 대형 차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화물차나 대형버스는 동일한 노선(예: 화물배송노선, 버스노선 등)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차량(10)에 대해 기 분석된 이동패턴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6으로 차량(10)의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차량(10)으로부터의 응답(업링크패킷)이 회신되지 않으면, 기지국6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기지국6으로 차량(10)의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차량(10)으로부터의 응답(업링크패킷)이 회신되면, 기지국6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제어부(150)는,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 예컨대 전술과 같이 기지국6으로 송신한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이 전송 실패한 경우, 차량(10)에 대하여 기 분석된 이동패턴을 확인한다.
여기서, 차량(10)에 대한 이동패턴은, 차량(10)에 대하여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서 결정되는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예: 결정 시점, 기지국의 위치)를 기반으로, 분석될 수 있다.
또는, 차량(10)에 대한 이동패턴은, 차량(10)에 설치된 GPS모듈(미도시)를 기반으로, 분석될 수 있다.
물론, 차량(10)에 대한 이동패턴은, 전술의 분석 방식 외에, 이동 디바이스에 대한 이동패턴을 분석하는 기존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택/이용하여 분석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각 차량 별로 이동패턴을 분석하는 별도의 장치(미도시)와 연동하여 차량(10)의 기 분석된 이동패턴을 확인할 수도 있고,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 내에 각 차량 별로 이동패턴을 분석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이 기능을 기반으로 차량(10)의 기 분석된 이동패턴을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확인한 이동패턴에 따라, 차량(10)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앞서 다운링크패킷 전송이 실패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6의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10)의 이동패턴에 따라 이동이 예상되는 방향 및 위치에 있는 1 이상의 기지국을 차량(10)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이 이동하고, 차량(10)의 이동패턴에 따라 이러한 이동이 예상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차량(10)에 대하여, 기지국6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이동이 예상되는 방향 및 위치에 있는 1 이상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3,4를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가 각 IoT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50)는, 전술과 같이 기지국1,3,4를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결정하면, 앞서 전송 실패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을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 즉 기지국1,3,4로 재 송신하도록 패킷송신부(1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차량(10)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하면, 패킷송신부(120)와 연동하여 앞서 전송 실패한 차량(10)의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을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다시 송신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하나의 다운링크 기지국을 이용한 차량(10)으로의 경고(다운링크패킷) 전송이 실패한 경우, 이동패턴을 근거로 개수를 늘려 재 결정(변경)한 1 이상의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경고(다운링크패킷)를 다시 송신함으로써, 다수 기지국을 이용해서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 전송을 재 시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 전송의 범위가 하나의 기지국 커버리지에서 다수 기지국의 넓은 커버리지로 확장되기 때문에,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가 경고(다운링크패킷)가 차량(10)에 실패 없이 수신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50)는,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 즉 기지국1,3,4에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을 차량(10)으로 송신할 때 송신전력 세기를 기준 세기 보다 증가시켜 송신하도록, 전술의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 즉 기지국1,3,4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하나의 다운링크 기지국을 이용한 차량(10)으로의 경고(다운링크패킷) 전송이 실패한 경우, 이동패턴을 근거로 개수를 늘려 재 결정(변경)한 1 이상의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경고(다운링크패킷)를 다시 송신하되, 재 결정(변경)한 1 이상의 다운링크 기지국에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할 때 송신전력 세기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송신전력 세기를 증가시킨 다수 기지국을 이용해서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 전송을 재 시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 전송의 범위가 하나의 기지국 커버리지에서 다수 기지국의 보다 증가된 송신전력 세기에 의해 보다 넓어진 커버리지로 확장되기 때문에,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가 경고(다운링크패킷)가 차량(10)에 실패 없이 수신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다운링크 기지국을 이용한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 전송이 실패할 때마다, 다운링크 기지국의 개수를 단계적으로 늘리고 그 다운링크 기지국의 송신전력 세기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다운링크패킷 전송의 범위를 단계적으로 넓히면서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 전송을 재 시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IoT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운행정보를 원격의 서버 단에서 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실패 없이 차량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운행기록계(미도시)가 설치된 차량(10)에 IoT 기술 기반의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IoT모듈을 탑재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에, IoT 단말로서 동작하는 차량(10, IoT모듈)은, 운행기록계(미도시)에서 실시간으로 저장(기록)하는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기 정의된 보고 주기(예: 24시간, 2시간, 10분 등) 마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에 실어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IoT 단말로서 동작하는 각 차량에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을, 2 이상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한다(S10).
이때,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에는, 해당 차량의 운행기록계(미도시)에서 실시간으로 저장(기록)하는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가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차량(10)으로부터의 업링크패킷(차량운행정보)이 기지국4,5,6을 통해서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 과정에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기지국4,5,6 중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을 차량(10)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결정해 둔다(S2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6의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하여, 차량(10)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서 기지국6을 결정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금번 수신된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기반으로 차량(10)의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등,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기반으로 각 차량의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S30).
이 과정에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매 업링크패킷 수신 시마다,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과속 운행 여부를 확인한다(S40).
예를 들면,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금번 수신된 차량(10)의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예: 운행시각, 속도, 위치정보 등)를 분석하여, 차량(10)의 속도가 차량(10)이 운행 중인 위치정보에 따른 도로의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과속 운행으로 확인하고, 금번 업링크패킷을 송신한 차량(10)을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S40 Y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기 설정된 분석주기(예: 5분, 10분 등) 마다,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할 수 있다(S50).
이에,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에서 관리하는 차량들 중, 분석 시점을 기준으로 기 정의된 과속 운행 패턴 또는 졸음 운행 패턴이 확인되는 차량(예: 차량(10))이 있으면, 해당 차량(10)을 특정 차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S60 Ye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S40단계 또는 S60단계에서 특정 차량 예컨대 차량(10)이 확인되면, 차량(10)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차량(10)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S70).
예컨대, 차량(10)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서 기지국6을 언급하면,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차량(10)으로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차량(10)에 대하여 기 결정된 기지국6으로 송신함으로써,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 전송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에, 기지국6은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을 송신할 것이고(S80), 이 경우 차량(10, IoT모듈)에서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가 기지국6을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경고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S70단계에서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6으로 기지국6으로 차량(10)의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차량(10)으로부터의 응답(업링크패킷)이 회신되면, 기지국6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S90 No).
이 경우,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성공한 다운링크패킷 전송 시 이용된 기지국6을, 차량(10)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결정할 것이다(S140).
반면,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기지국6으로 차량(10)의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차량(10)으로부터의 응답(업링크패킷)이 회신되지 않으면, 기지국6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90 Yes).
이 경우,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차량(10)에 대하여 기 분석된 이동패턴을 확인하고(S100), 이동패턴에 따라 차량(10)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한다(S110).
구체적으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차량(10)에 대하여, 이동패턴에 따라 이동이 예상되는 방향 및 위치에 있는 1 이상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3,4를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결정할 수 있다(S11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기지국1,3,4를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결정하면, 앞서 전송 실패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을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 즉 기지국1,3,4로 재 송신한다(S120).
아울러,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 즉 기지국1,3,4에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을 차량(10)으로 송신할 때 송신전력 세기를 기준 세기 보다 증가시켜 송신하도록, 전술의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 즉 기지국1,3,4를 제어할 수도 있다(S120).
이에, 기지국1,3,4은, 차량(10)으로의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을 기준 세기 보다 증가시킨 송신전력 세기로 송신할 것이고(S130), 이 경우 차량(10, IoT모듈)에서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가 기지국1,3,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경고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100)는, S120단계에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경고정보)에 대한 차량(10)으로부터의 응답(업링크패킷)이 회신되는 기지국들(예: 기지국1,3,4) 중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예: 기지국4)을, 차량(10)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결정할 것이다(S140).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IoT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운행정보를 원격의 서버 단에서 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실패 없이 차량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IoT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운행정보를 원격의 서버 단에서 관리하고 이를 근거로 안전 운행을 위한 경고를 차량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110 : 패킷수신부 120 : 패킷송신부
130 : 데이터관리부 140 : 확인부
150 : 제어부

Claims (14)

  1.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차량의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차량운행정보 및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경고가 요구되는 특정 차량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특정 차량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 차량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패킷송신부; 및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실패한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송신하도록 상기 패킷송신부를 제어하되,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에서 상기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송신할 때 송신전력 세기를 기준 세기 보다 증가시켜 송신하도록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기 분석된 이동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매 업링크패킷 마다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과속 운행이 확인되는 업링크패킷을 송신한 차량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확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기 설정된 분석주기 마다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분석 시점을 기준으로 기 정의된 과속 운행 패턴 또는 졸음 운행 패턴이 확인되는 차량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확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은,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성공한 다운링크패킷 전송 시 이용된 기지국, 또는 업링크패킷 수신 시 이용된 기지국 중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차량의 이동패턴에 따라 이동이 예상되는 방향 및 위치에 있는 1 이상의 기지국을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7. 삭제
  8.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차량의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단계;
    상기 차량운행정보 및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경고가 요구되는 특정 차량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특정 차량이 확인되면, 상기 특정 차량으로 경고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기 결정된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패킷송신단계; 및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하는 재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실패한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에서 상기 다운링크패킷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송신할 때 송신전력 세기를 기준 세기 보다 증가시켜 송신하도록, 상기 재 결정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송신한 다운링크패킷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기 분석된 이동패턴에 따라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을 재 결정하는 재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각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매 업링크패킷 마다 업링크패킷 내 차량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과속 운행이 확인되는 업링크패킷을 송신한 차량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확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기 설정된 분석주기 마다 상기 차량운행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분석 시점을 기준으로 기 정의된 과속 운행 패턴 또는 졸음 운행 패턴이 확인되는 차량을 상기 특정 차량으로 확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은,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성공한 다운링크패킷 전송 시 이용된 기지국, 또는 업링크패킷 수신 시 이용된 기지국 중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한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단계는,
    상기 특정 다운링크 기지국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차량의 이동패턴에 따라 이동이 예상되는 방향 및 위치에 있는 1 이상의 기지국을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14. 삭제
KR1020170156592A 2017-11-22 2017-11-22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9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92A KR101991348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592A KR101991348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050A KR20190059050A (ko) 2019-05-30
KR101991348B1 true KR101991348B1 (ko) 2019-06-20

Family

ID=6667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592A KR101991348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059B1 (ko) * 2021-11-25 2023-04-27 주식회사 파트리지시스템즈 데이터 취득 조절을 위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0790A (ja) * 2013-07-23 2016-09-29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送信電力を設定するための装置、車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79798B1 (ko) * 2016-08-08 2016-1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979A (ko) * 2012-11-22 2014-05-30 주식회사 지엠에스 Vsdt 장치를 이용한 차량 안전 운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0790A (ja) * 2013-07-23 2016-09-29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送信電力を設定するための装置、車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79798B1 (ko) * 2016-08-08 2016-1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050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04729B (zh) 具有高冗余的车辆的实时远程控制
CN106878124B (zh) 用于控制车辆内大容量诊断通信的方法和车辆控制器
US107689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ly updating software for vehicle
JP6578224B2 (ja) 車載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トローラ
US9843523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for vehicle network
CN107302775B (zh) 用于蜂窝网络的备用连接的方法和设备
WO2017221436A1 (ja) 中継装置、中継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9062074A1 (zh) 一种车载设备数据传输方法和装置
KR101991348B1 (ko)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 및 차량운행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WO2017160332A1 (en) Distributed power remote communication status system and method
KR101751051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관리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060962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7167726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基地局装置
JP2016514292A (ja) 保持すべき総計算容量を削減するための方法、車対x通信装置及び車対x通信装置の使用
KR102392158B1 (ko) 차량 통신 시스템 및 이의 긴급상황 메시지 전송 방법
CN111114317A (zh) 车速控制方法、装置和设备
CN116156574A (zh) 用于v2x通信智能流量控制的流量控制机制
US1179464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occurrence of vehicle accident
JP4707652B2 (ja) 車両保守情報通信システム
WO2020137100A1 (ja) 通信端末装置及び基地局装置
KR101996225B1 (ko) Dsrc 기반 v2v 통신을 이용한 차량 간 교통상황영상 송수신 시스템
KR20180058537A (ko) 차량 내 통신 보안 제공 방법 및 장치
JP6229519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
KR20220004458A (ko)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
CN113196361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