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458A -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458A
KR20220004458A KR1020200082309A KR20200082309A KR20220004458A KR 20220004458 A KR20220004458 A KR 20220004458A KR 1020200082309 A KR1020200082309 A KR 1020200082309A KR 20200082309 A KR20200082309 A KR 20200082309A KR 20220004458 A KR20220004458 A KR 2022000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essage
communication control
control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마르 산제이
티와리 판카이
자인 수하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0008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458A/ko
Publication of KR2022000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82Allocation of channels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demands of the users, e.g. concentrated multiplexers, statistical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04W72/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는,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수신한 차량이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에 대응하여 송신한 차량 인식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해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각 그룹 별로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COMMNU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NUICATION CONTROL METHOD, VEHICLE COMMNUICATION TERMINAL AND VEHICLE-TO-VEHICLE COMMNU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차량 사이의 데이터 메세지 교환을 위한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V2X(Vehicle-to-X) 통신은 차량 간(Vehicle-to-Vehicle, V2V) 통신, 차량과 도로 인프라 간(Vehicle to Infra, V2I) 통신, 차량과 보행자 간(Vehicle to Pedestrian, V2P) 통신, 차량과 개인 단말 간(Vehicle to Nomadic Devices, V2N) 통신 등 도로 위의 차량에 적용 가능한 모든 형태의 통신 기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V2X 통신을 통해 차량과 RSU(Rideside Unit) 간에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교통 안전을 개선하고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며 교통 혼잡을 줄일 수 있다.
V2X 통신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및 VANET(Vehicular Adhoc NETwork) 등의 프로토콜이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프로토콜은 IEEE 표준 802.11P에 정의되어 있다.
종래의 V2X 통신 방식에 의할 경우 많은 개수의 통신 노드(차량 및 RSU)와 차량의 높은 이동성으로 인해 네트워크에 빈번하게 과부하가 걸린다. 이로 인하여 비트 및 심볼 에너지에서 노이즈의 영향과 다중 경로 효과가 발생하고, 채널 변동 및 채널 추정, 네트워크 커버리지 범위, 비트 레이트 등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V2X 통신의 네트워크 과부하 문제를 해소하고, 효율적인 정보의 교환이 가능한 통신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272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V2X 통신에서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해소하고, 효율적인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2X 통신에서 비상 메세지의 전송이 최대한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수신한 차량이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에 대응하여 송신한 차량 인식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해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각 그룹 별로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통신 제어부는 일정 주기로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 1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1 타임 슬롯 및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2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에 대해 비상 메세지는 모든 타임 슬롯에서 송신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등록 시간의 경과 시까지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가 재송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해서는 상기 아이디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한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수신한 차량이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에 대응하여 송신한 차량 인식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해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각 그룹 별로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 1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1 타임 슬롯 및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2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에 대해 비상 메세지는 모든 타임 슬롯에서 송신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 방법은, 사전에 설정된 등록 시간의 경과 시까지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재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해서는 상기 아이디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통신 단말로서, 외부의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생성하고, 다른 차량에 전송할 데이터 메세지를 생성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및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에서 다른 차량으로 상기 데이터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말 송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단말 제어부는 비상 상황에서 상기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 또는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은 타임 슬롯에서 상기 비상 메세지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결정되어 주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재생성하고, 상기 단말 송신부는 재생성된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통신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간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수신부가 외부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 제어부가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 송신부가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다른 차량에 전송할 데이터 메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송신부가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에서 상기 데이터 메세지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차량 간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제어부가 비상 상황에서 상기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메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송신부가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 또는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은 타임 슬롯에서 상기 비상 메세지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간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결정되어 주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송신부가 재생성된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차량들이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각 그룹 별로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을 할당받게 되므로 차량 간 데이터 통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모든 차량은 임의의 타임 슬롯에서 비상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비상 메세지의 전달이 지연 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를 통해 차량 데이터 메세지 통신이 이루어지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서 차량 데이터 메세지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황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할당된 타임 슬롯 1에서 차량의 데이터 메세지 전송이 이루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할당된 타임 슬롯 2에서 차량의 데이터 메세지 전송이 이루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할당된 타임 슬롯 1에서 차량의 비상 메세지 전송이 이루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1)는 일정 범위의 커버리지를 가지고 배치되어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임의의 차량에서 전송되는 메세지가 커버리지 안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들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1)는 V2X(Vehicle-to-X) 통신에 있어서 일정 범위를 커버하는 제어 노드(control node)가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1)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되어 넓은 지역의 일부분을 각각 커버하며 하나의 통신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 제어 장치(1)는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이 통신 제어 장치(1) 및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통신 단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작동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 통신 단말은 타차량이 송신하는 데이터 메세지(Data Message, DM), 비상 메세지(Emergency Message, EM) 및 통신 제어 장치(1)가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roadcast Message, BM)를 수신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에 대응한 차량 인식 메세지(Vehicle Recognition Message, VRM), 데이터 메세지(DM), 비상 메세지(EM) 등을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1)는 통신 제어부(110), 송신부(120) 및 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0)는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생성한다.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해 차량의 정보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메세지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수신한 차량은 이에 대응하여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장치(1)로 전송한다.
통신 제어부(110)는 수신부(130)가 수신한 차량 인식 메세지(VRM)에 기초하여 차량에 대해 아이디를 부여한다. 이때, 차량 인식 메세지(VRM)는 차량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이디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서 각 차량의 고유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0)는 각 차량에 대해 아이디를 부여할 때, 각 아이디에 대응되는 각 차량의 등록 정보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0)는 차량의 등록 정보 및 아이디의 저장을 위한 저장 매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아이디 및 차량의 등록 정보는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통신 제어부(110)에 내장된 메모리가 될 수도 있고, 서버 등과 같은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통신 제어부(110)는 일정 주기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은 이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안에 새로 진입하는 차량과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외부로 벗어나는 차량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따라, 통신 제어부(110)는 일정 주기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생성하여 통신부(1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등록 정보 및 아이디가 업데이트 될 수 있게 해준다.
통신 제어부(110)는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각 그룹 별로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 제어부(110)는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 1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1 타임 슬롯 및 제 2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2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들은 자신의 차량 통신 단말에 대해 데이터 메세지 송신이 허용된 타임 슬롯에서 다른 차량으로 데이터 메세지(DM)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메세지(DM)에는 차량의 상태, 차량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메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들은 다른 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메세지(DM)를 타임 슬롯에 관계없이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 제어부(11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들은 데이터 메세지(DM)의 송신이 허용된 타임 슬롯 또는 데이터 메세지(DM)의 송신이 허용되지 않은 타임 슬롯에서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메세지(DM)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제어부(110)는 사전에 설정된 등록 시간의 경과 시까지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으로부터 차량 인식 메세지(VRM)가 재송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해서는 그룹 분류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제어부(110)는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으로부터 차량 인식 메세지(VRM)가 재송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한 등록 정보 및 아이디를 삭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은 이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외부로 벗어나는 차량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리지 외부로 벗어난 차량에 대해서는 타임 슬롯을 할당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통신 제어부(110)는 소정의 등록 시간을 설정하고,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에 응답하여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전송한 기존 차량에 대해서도 일정 등록 시간의 경과 전 차량 인식 메세지(VRM)의 재전송을 요구하고, 차량 인식 메세지(VRM)의 재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해당 차량은 커버리지 외부로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통신 제어 장치(1)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성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 제어부(110)는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에 대해 비상 메세지(EM)는 모든 타임 슬롯에서 송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비상 메세지(EM)는 비상 상황 발생 시 비상 상황을 다른 차량들에 경고하기 위한 메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비상 상황이란 차량의 급감속, 차량의 급격한 방향 전환, 차량의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비상 메세지(EM)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차량의 위치, 속도, 가속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 메세지(EM)는 2차 사고의 발생 방지 등을 위해 통상의 데이터 메세지(DM)에 비하여 다른 차량에 긴급하게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통신 제어부(110)는 비상 메세지(EM)의 경우 해당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전송할 수 없는 타임 슬롯에서도 전송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송신부(120)는 통신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메세지를 외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신부(110)는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모든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부(130)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인식 메세지(VRM) 및 비상 메세지(EM)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를 통해 차량 데이터 메세지 통신이 이루어지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 1 및 차량 2 사이의 데이터 메시지(DM)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통신 제어 장치(1)가 브로드캐스팅 메세지 BM1(101)을 전송하고, 차량 1(V1)은 브로드캐스팅 메세지 BM1(101)에 대한 응답으로 차량 1(V1)의 차량 인식 메세지 VRM1(102)을 통신 제어 장치(1)로 전송한다. 통신 제어 장치(1)는 차량 인식 메세지 VRM1(102)에 근거해 차량 1(V1)에 대한 등록 정보를 생성하고 차량 1(V1)에 대한 고유의 아이디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통신 제어 장치(1)가 브로드캐스팅 메세지 BM2(103)를 전송하고, 차량 2(V2)는 브로드캐스팅 메세지 BM2(103)에 대한 응답으로 차량 2(V2)의 차량 인식 메세지 VRM2(104)를 통신 제어 장치(1)로 전송한다. 통신 제어 장치(1)는 차량 인식 메세지 VRM2(104)에 근거해 차량 2(V2)에 대한 등록 정보를 생성하고 차량 2(V2)에 대한 고유의 아이디를 부여한다.
이어서, 통신 제어 장치(1)는 2개의 타임 슬롯을 생성하여 각 차량들(V1, V2)이 데이터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당한다. 이에 따라, 제 1 타임 슬롯에서는 차량 1(V1)이 데이터 메세지 DM1(105)를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 메세지 DM1(105)은 차량 2(V2)로 전달된다. 또한, 제 2 타임 슬롯에서는 차량 2(V2)가 데이터 메세지 DM2(106)를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 메세지 DM2(106)는 차량 1(V1)로 전달된다.
한편,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차량 1(V1)이 계속 머무르는 경우 차량 1(V1)은 설정된 등록 시간의 경과 전에 차량 인식 메세지 VRM3(107)을 통신 제어 장치(1)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차량 1(V1)은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을 위한 타임 슬롯을 계속적으로 할당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 제어 장치(1)는 일정 주기 경과 후 브로드캐스팅 메세지 BM3(108)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일정 주기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등록 정보 및 아이디의 계속적인 업데이트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서 차량 데이터 메세지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황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신 제어 장치(1)는 교차로에 설치되어 교차로 주위의 일정 영역에 대해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신 제어 장치(1)는 교차로에 진입한 다수의 차량들(V1, V2, V3, V4) 사이의 차량 간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통신 제어 장치(1)에 의한 통신 제어의 구체적인 예를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할당된 타임 슬롯 1에서 차량의 데이터 메세지 전송이 이루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할당된 타임 슬롯 2에서 차량의 데이터 메세지 전송이 이루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차량 1 내지 4(V1, V2, V3, V4)가 존재하고, 통신 제어 장치(1)는 이들을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2개의 타임 슬롯을 할당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차량 1(V1) 및 차량 3(V3)은 제 1 그룹으로, 차량 2(V2) 및 차량 4(V4)는 제 2 그룹으로 분류되고, 제 1 그룹의 데이터 메세지 전송이 가능한 제 1 타임 슬롯(T1) 및 제 2 그룹의 데이터 메세지 전송이 가능한 제 2 타임 슬롯(T2)이 할당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타임 슬롯(T1)에서는 차량 1(V1) 및 차량 3(V3)이 각각 데이터 메세지 DM1 및 데이터 메세지 DM3을 다른 차량들에 전송한다. 또한, 제 2 타임 슬롯(T2)에서는 차량 2(V2) 및 차량 4(V4)가 각각 데이터 메세지 DM2 및 데이터 메세지 DM4를 다른 차량들에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할당된 타임 슬롯 1에서 차량의 비상 메세지 전송이 이루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그룹의 데이터 메세지 전송이 가능한 제 1 타임 슬롯(T1)에서도 제 2 그룹으로 분류된 차량 4(V4)에서 비상 상황(예를 들면, 고장 등)을 경고하기 위한 비상 메세지 EM4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 차량 4(V4)는 비상 메세지 EM4를 다른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은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전송하는 단계(S110),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수신하는 단계(S120), 차량에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S130),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S140) 및 아이디를 삭제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은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은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S110)로 시작된다. 본 단계에서, 통신 제어 장치(1)는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해 차량의 정보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메세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모든 차량에 발송될 수 있다.
이어서, 통신 제어 장치(1)가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수신한 차량이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에 대응하여 생성 및 송신한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수신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수신한 차량은 이에 대응하여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생성하여 통신 제어 장치(1)로 전송하는데, 통신 제어 장치(1)는 이를 수신한다. 차량 인식 메세지(VRM)는 차량에 관한 고육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에 대한 아이디 부여의 기초가 된다.
다음으로, 통신 제어 장치(1)가 차량 인식 메세지(VRM)에 기초하여 차량에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통신 제어 장치(1)는 아이디에 대응되는 차량의 등록 정보를 함께 생성할 수도 있다. 통신 제어 장치(1)가 각 차량 별로 부여하는 아이디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서 각 차량의 고유 식별 정보가 된다.
다음으로, 통신 제어 장치(10)가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각 그룹 별로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S140)가 진행된다. 예를 들면, 본 단계에서, 통신 제어 장치(1)는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 1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1 타임 슬롯 및 제 2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2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에서, 통신 제어 장치(1)는 등록되어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에 대해 비상 메세지는 모든 타임 슬롯에서 송신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상 메세지(EM)는 차량에 급감속, 급격한 방향 전환, 고장 등이 발생하였을 때, 이와 같은 비상 상황을 다른 차량들에 경고하기 위한 메세지이다. 비상 메세지(EM)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차량의 위치, 속도, 가속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 메세지(EM)는 통상의 데이터 메세지(DM)에 비하여 다른 차량에 긴급하게 전달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통신 제어 장치(1)는 비상 메세지(EM)의 경우 해당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전송할 수 없는 타임 슬롯에도 전송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신 제어 장치(1)가 사전에 설정된 등록 시간의 경과 시까지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으로부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재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해서는 아이디를 삭제하는 단계(S150)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단계에서, 통신 제어 장치(1)는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으로부터 차량 인식 메세지(VRM)가 재송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한 등록 정보 및 아이디를 삭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은 이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외부로 벗어나는 차량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리지 외부로 벗어난 차량에 대해서는 타임 슬롯을 할당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통신 제어 장치(1)는 소정의 등록 시간을 설정하고,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에 응답하여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전송한 기존 차량에 대해서도 일정 등록 시간의 경과 전 차량 인식 메세지(VRM)의 재전송을 요구하고, 본 단계에서, 차량 인식 메세지(VRM)의 재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해당 차량은 커버리지 외부로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통신 제어 장치(1)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성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단말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단말(3)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 간(V2V) 통신, 더 나아가 V2X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통신 단말(3)은 단말 제어부(310), 단말 수신부(320) 및 단말 송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310)는 외부의 통신 제어 장치(1)로부터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에 대응하여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해 차량의 정보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메세지이며, 이러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제어부(310)가 생성하는 차량 인식 메세지(VRM)에는 차량 통신 단말(3)의 고유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이를 기반으로 통신 제어 장치(1)에 의해 차량에 아이디가 부여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310)는 다른 차량에 전송할 데이터 메세지(DM)를 생성한다. 단말 제어부(310)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메세지(DM)에는 차량의 상태, 차량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메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메세지(EM)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310)는 통신 제어 장치(1)에 의해 결정되어 주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재생성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외부로 벗어나는 차량에 대해서는 타임 슬롯을 할당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 제어 장치(1)는 소정의 시간마다 차량 인식 메세지(VRM)의 갱신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단말 제어부(310)는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소정의 시간마다 재생성할 수 있다.
단말 수신부(320)는 통신 제어 장치(1)에서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 수신부(320)는 다른 차량에서 전송된 데이터 메세지(DM) 및 비상 메세지(EM)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메세지(DM) 및 비상 메세지(EM)는 타임 슬롯에 관계 없이 수신될 수 있다.
단말 송신부(330)는 단말 제어부(310)가 생성한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전송한다. 또한, 단말 송신부(330)는 차량 인식 메세지(VRM)에 근거한 할당에 따라 통신 제어 장치(1)에 의해 데이터 메세지(DM)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에서 다른 차량으로 데이터 메세지(DM)를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단말 송신부(330)는 단말 제어부(310)가 생성한 데이터 메세지(DM)를 데이터 메세지(DM)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에서 다른 차량으로 전송한다.
한편, 단말 송신부(330)는 임의의 타임 슬롯 즉, 데이터 메세지(DM)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 또는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은 타임 슬롯에서 비상 메세지(EM)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상 메세지(EM) 전달의 시급성이 고려된 결과이다.
더 나아가, 단말 송신부(330)는 재생성된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통신 단말(3)은 통신 제어 장치(1) 및 그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들과 계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방법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통신 단말(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차량 간 통신 방법은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수신하는 단계(S310),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생성하는 단계(S320),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전송하는 단계(S330), 데이터 메세지(DM)를 생성하는 단계(S340), 데이터 메세지(DM)를 전송하는 단계(S350), 비상 메세지(EM)를 생성하는 단계(S360), 비상 메세지(EM)를 전송하는 단계(S370),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재생성하는 단계(S380) 및 재생성된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전송하는 단계(S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방법은 단말 수신부(320)가 외부 통신 제어 장치(1)로부터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를 수신하는 단계(S310)로 시작된다. 본 단계에서,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차량에 대해 차량의 정보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메세지로서 단말 제어부(310)는 이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 제어부(310)가 브로드캐스팅 메세지(BM)에 대응하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생성하는 단계(S320)가 진행된다. 본 단계에서 생성되는 차량 인식 메세지(VRM)는 차량에 관한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에 대한 아이디 부여의 기초가 된다.
다음으로, 단말 송신부(330)가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전송하는 단계(S330)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통신 제어 장치(1)는 차량 인식 메세지(VRM)에 기초하여 차량에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통신 제어 장치(1)가 각 차량 별로 부여하는 아이디는 통신 제어 장치(1)의 커버리지 내에서 각 차량의 고유 식별 정보가 된다.
이 후에, 단말 제어부(310)가 다른 차량에 전송할 데이터 메세지(DM)를 생성하는 단계(S340)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메세지(DM)에는 차량의 상태, 차량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메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송신부(330)가 차량 인식 메세지(VRM)에 근거하여 통신 제어 장치(1)에 의해 데이터 메세지(DM)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에서 데이터 메세지(DM)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350)가 진행된다. 예를 들어, 제 1 타임 슬롯과 제 2 타임 슬롯이 2개의 그룹에 대해 데이터 메세지(DM)의 전송이 가능한 타임 슬롯으로 각각 할당되어 있고, 차량 통신 단말(3)이 제 1 타임 슬롯을 할당받았다고 가정할 때, 단말 송신부(330)는 제 1 타임 슬롯에서 데이터 메세지(DM)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부(310)가 비상 상황에서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메세지(EM)를 생성하는 단계(S360) 및 단말 송신부(330)가 데이터 메세지(DM)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 또는 데이터 메세지(DM)이 허용되지 않은 타임 슬롯에서 비상 메세지(EM)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370)가 진행될 수 있다.
비상 메세지(EM)를 생성하는 단계(S360) 및 비상 메세지(EM)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370)는, 단말 송신부(330)가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전송하는 단계(S330) 후에 통신 제어 장치(1)에 의해 차량 통신 단말(3)에 대해 부여된 아이디가 유효하게 존재함을 전제로 다른 단계들의 수행 여부와 관계없이 언제든지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310)가 통신 제어 장치(1)에 의해 결정되어 주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재생성하는 단계(S380) 및 단말 송신부(330)가 재생성된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전송하는 단계(S390)도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통신 단말(3)이 통신 제어 장치(1) 및 그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들과 계속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재생성하는 단계(S380) 및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재전송하는 단계(S390)는, 단말 송신부(330)가 차량 인식 메세지(VRM)를 통신 제어 장치(1)에 전송하는 단계(S330)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다른 단계들의 진행 여부와 관계 없이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통신 제어 장치
110: 통신 제어부 120: 송신부
130: 수신부
3: 차량 통신 단말
310: 단말 제어부 320: 단말 수신부
330: 단말 송신부

Claims (15)

  1.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수신한 차량이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에 대응하여 송신한 차량 인식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해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각 그룹 별로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일정 주기로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생성하는 통신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 1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1 타임 슬롯 및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2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통신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에 대해 비상 메세지는 모든 타임 슬롯에서 송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통신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등록 시간의 경과 시까지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가 재송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해서는 상기 아이디를 삭제하는 통신 제어 장치.
  6.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한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수신한 차량이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에 대응하여 송신한 차량 인식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해 아이디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각 그룹 별로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복수의 차량을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 1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1 타임 슬롯 및 상기 제 2 그룹에 속한 차량이 데이터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2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통신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에 대해 비상 메세지는 모든 타임 슬롯에서 송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통신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등록 시간의 경과 시까지 상기 아이디가 부여된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재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해서는 상기 아이디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10.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통신 단말로서,
    외부의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생성하고, 다른 차량에 전송할 데이터 메세지를 생성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및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에서 다른 차량으로 상기 데이터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말 송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통신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비상 상황에서 상기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 또는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은 타임 슬롯에서 상기 비상 메세지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차량 통신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결정되어 주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재생성하고,
    상기 단말 송신부는 재생성된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차량 통신 단말.
  13.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통신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간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수신부가 외부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된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 제어부가 상기 브로드캐스팅 메세지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 송신부가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다른 차량에 전송할 데이터 메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송신부가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에서 상기 데이터 메세지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가 비상 상황에서 상기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메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송신부가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된 타임 슬롯 또는 상기 데이터 메세지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은 타임 슬롯에서 상기 비상 메세지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의해 결정되어 주어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차량 인식 메세지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송신부가 재생성된 차량 인식 메세지를 상기 통신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KR1020200082309A 2020-07-03 2020-07-03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 KR20220004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09A KR20220004458A (ko) 2020-07-03 2020-07-03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09A KR20220004458A (ko) 2020-07-03 2020-07-03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458A true KR20220004458A (ko) 2022-01-11

Family

ID=7935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309A KR20220004458A (ko) 2020-07-03 2020-07-03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4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4043A (en) * 2022-11-07 2024-05-08 Thales Holdings Uk Plc Radio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54A (ko) 2018-09-04 2020-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54A (ko) 2018-09-04 2020-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4043A (en) * 2022-11-07 2024-05-08 Thales Holdings Uk Plc Radio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An overview of 3GPP cellular vehicle-to-everything standards
EP3531647B1 (en)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system
EP3316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s in a vehicle network
Suthaputchakun et al. Routing protocol i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s: a survey
Le et al. Comprehensive survey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schemes for 5G V2X communications
WO2017076037A1 (zh) 车联网v2x业务的发送方法及装置
Shahen Shah et al. CB‐MAC: a novel cluster‐based MAC protocol for VANETs
US9705991B2 (en) Adaptation of radio resources allocation 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enabled cellular mobile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network
CN108632787B (zh) 群组间通信方法及装置,资源配置方法、装置以及系统
EP35718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links with a plurality of traffic nodes
WO2019141093A1 (zh) 选择通信方式的方法、装置及车辆
Bazzi et al. Beaconing from connected vehicles: IEEE 802.11 p vs. LTE-V2V
JP2010028636A (ja) 基地局、移動局、通信制御方法
Nguyen et al. A cooperative and reliable RSU-assisted IEEE 802.11 p-based multi-channel MAC protocol for VANETs
Bai et al. MC-safe: Multi-channel real-time V2V communication for enhancing driving safety
KR20220004458A (ko)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차량 통신 단말 및 차량 간 통신 방법
KR101567212B1 (ko) 차량용 통신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50113626A (ko) 차량간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160037381A1 (en)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setting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ereof
Kwon Improving multi-channel wave-based V2X communication to support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KR101559693B1 (ko) Lte-d2d 기반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JP3446028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WO2019154274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Zhang et al. A novel overlay token ring protocol for inter-vehicle communication
KR20230067655A (ko) 브로드캐스트 기반 유니캐스트 세션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