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315B1 -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315B1
KR101991315B1 KR1020170090703A KR20170090703A KR101991315B1 KR 101991315 B1 KR101991315 B1 KR 101991315B1 KR 1020170090703 A KR1020170090703 A KR 1020170090703A KR 20170090703 A KR20170090703 A KR 20170090703A KR 101991315 B1 KR101991315 B1 KR 10199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enta
extract
oil
organic solvent
resid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046A (ko
Inventor
심중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플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플라
Priority to KR102017009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3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5Peptide, protein hydrolys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8Fracti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8Hydrolysis, degree of hydro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잔류물, 친수성 물질 및 소수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처리하고, 추출시간이 짧으며, 소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그 방법은 민싱된 태반을 압착기에 넣고 압착하여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한 나머지인 압착 잔류물을 형성하고, 압착 잔류물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40 내지 60℃이 온도에서 원심분리하여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한 나머지인 원심분리 잔류물을 형성하며, 원심분리 잔류물 중의 태반오일 성분을 잔류물에 대하여 100~150중량부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제거하며, 유기용매를 진공 건조하여 제거하여 건조물을 얻고, 건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 및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다음, 이를 정제한다.

Description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of ungulate mammal placental extract including horse and pig}
본 발명은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말,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굽동물은 4개의 다리가 있고, 털로 덮인 몸을 가진 척추동물이다. 발굽동물의 태반에는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효소, 당류, 각종 성장인자 등과 같은 다양한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건강식품, 의약, 화장품, 태반주사 등에 이용된다. 구체적인 예로, 태반에는 필수 아미노산, 멜라토닌, RNA, DNA 등의 핵산 성분, 항산화 효소인 SOD(Super Oxide Dismutas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항산화제, 면역보조인자(cytokine), 태반펩타이드, 인슐린유사성장촉진인자(insulin-like-growth factor), 표피성장촉진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s) 및 독특한 노쇠세포활성인자(SCAF, Senescent Cell Activating Factors) 등의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류가 포함되어 있어, 피로회복, 면역증강 등에 유용하다.
한편, 종래의 태반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에는 강산이나 강알칼리를 이용하여 태반을 가수분해하여 추출물을 얻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방법은 장시간 고온 처리를 행하는 과정에서 태반이 가지고 있는 각종 아미노산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파괴된다. 또한, 추출과정에서 다량의 아세톤 등으로 지방을 제거하는 탈지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지질성 유효성분도 같이 제거된다. 다량의 아세톤은 이를 처리하는 별도의 시설 및 공정을 추가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 제2004-097033호, 국내등록특허 제10-0932183호 등에 추출물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들을 적용한다고 해도, 태반의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에는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태반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는 잔류물, 친수성 물질 및 소수성 물질이 혼재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강산 및 강알칼리를 사용하지 않고, 단백질 분해효소만을 이용한 태반 추출방법은 유효성분 추출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추출시간을 짧게 하여 유효성분의 파괴를 막고, 소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도록 하여 유기용매를 별도로 처리하는 부담을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잔류물, 친수성 물질 및 소수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처리하고, 추출시간이 짧으며, 소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은 먼저 세척된 태반을 민서기에 의해 민싱한다. 그후, 상기 민싱된 태반을 압착기에 넣고 압착하여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한 나머지인 압착 잔류물을 형성한다. 상기 압착 잔류물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40 내지 60℃이 온도에서 원심분리하여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한 나머지인 원심분리 잔류물을 형성한다. 상기 원심분리 잔류물 중의 상기 태반오일 성분을 상기 잔류물에 대하여 100~150중량부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상기 유기용매를 진공 건조하여 건조물을 얻는다. 상기 건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 및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추출물을 정제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 에틸에테르,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초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크실렌, 벤젠, 톨루엔, 메칠/에칠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펩티다아제,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브로멜라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를 거친 원심분리 잔류물에 투입되는 유기용매 및 단백질 분해효소의 양은 상기 민싱 단계만 거친 태반에 투입되는 양보다 적을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정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물을 유기침전물 및 상층액으로 층분리하고,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압착기 및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친수성 유효성분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정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물을 유기침전물 및 상층액으로 층분리하고, 상기 유기침전물 및 상층액 각각을 복합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이온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하면, 여러 단계로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함으로써, 잔류물, 친수성 부분 및 소수성 부분을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처리하고, 추출시간이 짧으며, 소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한다. 특히, 원심분리를 적용함으로써, 유기용매에 의한 태반오일 제거 및 단백질 분해의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단백질 분해를 위하여 투입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단계로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함으로써, 잔류물, 친수성 부분 및 소수성 부분을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처리하고, 추출시간이 짧으며, 소량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친수성 부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추출되는 친수성 유효성분, 소수성 물질은 태반오일로 대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단계 분리 방법을 중심으로 태반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방법은 말,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발굽 포유동물은 4개의 다리가 있고, 털로 덮인 몸을 가진 척추동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수성 유효성분은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 효소, 당류, 각종 성장인자 등과 같은 다양한 성분으로, 건강식품, 의약, 화장품, 태반주사 등에 이용된다. 구체적인 예로, 필수 아미노산, 멜라토닌, RNA, DNA 등의 핵산 성분, 항산화 효소인 SOD(Super Oxide Dismutas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항산화제, 면역보조인자(cytokine), 태반펩타이드, 인슐린유사성장촉진인자(insulin-like-growth factor), 표피성장촉진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s) 및 독특한 노쇠세포활성인자(SCAF, Senescent Cell Acdivating Factors) 등의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한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은 먼저, 세척된 태반을 민서기(mincer)에 넣고 잘게 간다(S10). 상기 민서기는 일반적으로 고기나 야채를 잘게 파쇄하는 기기이다. 상기 민서기는 스크루가 내장된 실린더가 있고, 이에 연통되도록 상단에는 투입구와 앞면에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실린더 후면에는 감속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루와, 배출구에 설치되어 스크루에 의해 공급되는 내용물을 파쇄하는 파쇄날로 구성된다. 이때, 투입구에는 호퍼가 설치되고, 배출구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뚫린 망이 파쇄날에 인접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세척된 태반은 상기 파쇄날에 의해 잘게 절단된다. 민싱된 태반은 세척기에 넣고 소금물로 세척한 후 탈수한다. 민싱된 태반을 세척하지 않고 사용하면, 후속 공정에서 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후, 민싱된 태반을 압착기에 넣고 압착한다(S12). 상기 압착기는 공지되어 있으며, 가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압착과정은 50~60℃, 30분 이상, 3기압 이상의 조건을 수행되며, 압착을 거치면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이 제외된 압착 잔류물이 생성된다. 즉,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은 분리하여 별도로 저장된다. 여기서, 친수성 유효성분은 추후에 단백질분해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에 추가된다. 즉, 친수성 유효성분은 본 발명의 추출물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30분 이상, 3기압 이상의 조건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압착시간 및 압착압력의 상한값을 충분하게 유추할 수 있는 정도이다. 예를 들어, 압착시간의 상한값은 1시간 이내 및 압착압력의 상한값은 5기압 이내로 정할 수 있다.
이어서, 압착 잔류물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한다(S14). 한편, 상기 압착기에 의해 압착을 한다고 해도, 압착 잔류물에는 분리되지 않은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심분리를 실시한다. 원심분리는 40~60℃의 조건, 바람직하게는 50℃ 근처에서 10,000~20,000rpm의 회전속도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40~60℃는 압착 잔류물에 잔존하는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이 용이하게 분리되기 위한 최적의 온도범위이다. 구체적으로, 40℃보다 작으면 특히 태반오일의 추출이 용이하지 않고, 60℃보다 크면 유효성분의 변질이 우려된다.
원심분리를 하면, 압착 잔류물 중에 포함된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이 원심력에 의해 추출되어 분리된다. 원심분리는 원심작용을 이용하여 밀도가 다른 액상 혼합물 또는 고체와 액체 분산계를 분리하는 것이다. 혼합물이나 분산계는 단지 압착하는 것만으로는 잘 분리되지 않는다. 원심분리에서, 원심력의 가속도는 rω2 (r; 회전 중심에서 입자까지의 거리, ω; 회전 각속도)이므로 회전속도를 크게 함으로써, 원심력의 가속도를 중력의 가속도보다 훨씬 크게 할 수 있다. 원심력의 가속도를 활용하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의 분리가 일어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은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의 분리를 압착 단계(S12) 및 원심분리 단계(S14)라는 두 단계의 물리적인 방법을 거쳐 수행한다. 이렇게 되면, 물리적인 방법으로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의 분리를 최대한으로 구현할 수 있다. 게다가, 원심분리를 위한 최적의 온도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분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심분리의 온도조건은 분리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기술적 사상을 고려하지 않고, 반복실험을 통하여 획득할 수 없는 것이다. 이때, 태반오일은 태반 중에 포함된 지방성분으로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다음에, 원심분리된 원심분리 잔류물 중의 태반오일 성분은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8~12시간 동안 정치하여 제거한다(S16).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용매를 상기 잔류물에 대하여 100~150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한다. 유기용매의 함량이 100중량부보다 작으면 탈지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고, 150중량부보다 크면 지질성 유효성분도 함께 제거될 우려가 있다. 또한, 유기용매의 함량이 150중량부보다 크면, 추후에 유기용매를 처리해야 하는 별도의 시설 및 공정(예컨대, 진공 건조)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커진다. 통상적으로, 태반오일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300중량부 이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한다. 이렇게 되면, 유기용매를 처리하는 상대적으로 시설이 커야 하고, 그에 따른 공정이 복잡해진다.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 150중량부 이하로 줄이면, 상대적은 작은 시설 및 간단한 공정으로 상기 유기용매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추출방법은 압착 및 원심분리라는 물리적인 단계(S121, S14)를 거쳤으므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함량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원심분리를 통하여, 태반오일 성분 중에서 분리가 잘되지 않는 태반오일 성분을 많이 분리하였으므로, 상기 유기용매를 활용한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심분리는 유기용매의 함량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압착 및 원심분리 단계(S12, S14)를 거치지 않고 유기용매에 의한 태반오일 성분의 제거하면, 대략 20시간 동안의 정치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8~12시간으로 정치시간이 크게 줄어든다. 왜냐하면, 본 발명은 압착 및 원심분리 단계(S12, S14)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태반오일을 제거하고 친수성 유효성분을 획득하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상기 유기용매는 태반의 종류에 따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 에틸에테르,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초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크실렌, 벤젠, 톨루엔, 메칠/에칠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의 교반은 교반기에 정제수를 혼합하고, 15~25℃, 8~1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에, 진공 건조를 통하여 소정의 건조시간동안 건조하여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한다. 상기 건조시간은 유기용매가 혼합된 원심분리 잔류물의 양, 태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후, 상기 유기용매가 제거되어 건조된 건조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4~10중량부를 혼합하여, 유용한 태반 단백질을 분해하여 추출한다(S18).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태반 단백질을 분해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효소가 가능하다. 상기 분해효소는 펩티다아제,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브로멜라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을 위하여 묽은 염산과 같은 산(acid)을 혼합하여 pH 적정을 한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태반 단백질의 분해 및 추출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고자 하는 유용한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단백질 분해반응의 조건은 30~50℃ 및 10~25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30℃ 미만이면, 분해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50℃ 초과되면, 효소의 불활성화 문제로 가성분해 반응이 완전히 일어나지 않고, 유용성분이 변성된다. 단백질 분해반응은 뷰렛반응 및 트리콜로로 초산반응으로 완전한 단백질 분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은 압착 단계(S12) 및 원심분리 단계(S14)를 거침으로써, 혼합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물리적인 방법은 태반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가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상태로 전환시킨다고 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추출물에 대하여 산에 의한 가수분해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추출 방법은 압착 단계(S12) 및 원심분리 단계(S14)를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단백질 추출시간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유기용매에 의한 태반오일의 제거 및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 및 추출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구체적으로, 원심분리 잔류물은 유기용매에 의한 태반오일 제거(S16), 단백질 분해(S18) 과정에서 태반오일 제거 및 단백질 분해를 위하여 보다 용이한 상태로 전환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추출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다음에, 공지의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을 정제한다(S20). 상기 추출물을 정제하는 방법은 침전되는 유기침전물과 상층액으로 층분리, 복합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이온제거, 멸균, 활성탄을 활용한 여과 등이 있다. 이때,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압착 단계(S12), 원심분리 단계(S14)에서 분리된 친수성 유효성분이 혼합된다. 상기 복합 이온교환수지는 상기 유기침전물 및 상층액에 포함된 양이온 및 음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양이온교환수지 및 음이온교환수지가 복합된 것이다. 양이온교환수지는 과잉의 음전하가 있어서 특정 양이온으로 포화되어 있다가 용액 중의 다른 양이온과 치환하게 되는 것이다. 음이온교환수지는 자체의 양이온 때문에 특정 음이온으로 포화되어 있다가 용액 중의 다른 음이온과 치환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 정제는 본 발명의 태반의 종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효소의 영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제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냉동된 말태반 10 kg을 해빙을 시킨 후 민서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된 태반을 교반기에 넣고 핏물이 제거될 때까지 세척한 태반 약 9.5kg에 압착기를 활용하여 50℃, 40분, 4기압의 조건으로 압착하고,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하였다. 압착된 잔류물 약 7kg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0℃, 15,000rpm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하였다.
상기 원심분리된 잔류물 약 4kg에 대하여 아세톤 100중량부(4kg)를 교반기에 넣어 20℃, 10 시간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진공 건조로 상기 아세톤을 제거하였다. 상기 아세톤이 제거된 상태에서 펩신 200g, 묽은 염산 2L 및 소정의 물을 투입하여 단백질 분해 및 pH 적정을 40℃에서 5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이후 뷰렛반응 및 트리클로로 초산반응으로 완전한 단백질 분해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진공 건조하고 활성화된 활성탄 30g을 넣어서 교반기의 진공압을 0.2기압, 반응온도 70도에서 30분간 교반하며 색깔과 냄새를 제거하였다. 상기 여과를 통해 고형물질이 제거된 조성물은 질소 총량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HPLC를 통하여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원심분리 단계를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비교예에서 투입된 펩신의 양은 실시예에 비해 200g이 많았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반 추출물의 아미노산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분 실시예(mg/㎖) 비교예(mg/㎖)
아미노산 Asp 3.991 3.764
아미노산 Glu 2,798 2.628
아미노산 Ser 1.968 1.842
아미노산 Gly 3.134 2.959
아미노산 Thr 1.558 1.458
아미노산 Arg 2.104 1.968
아미노산 Ala 2.361 2.215
아미노산 Tyr 0.960 0.848
아미노산 Val 1.250 1.152
아미노산 Met 0.779 0.702
아미노산 Phe 1.832 1.616
아미노산 lle 0.743 0.686
아미노산 Leu 3.167 2.908
아미노산 Lys 2.195 2.018
아미노산 Pro 2.150 2.025
아미노산 총합 30.992 28.788
표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미노산의 추출물의 양은 비교예에 의한 아미노산에 비해 증가하였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Asp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는 3.991g인 데 반해, 비교예는 3.764g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제시된 모든 아미노산에서 동일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미노산 총량은 30.992(mg/㎖), 비교예에 의한 아미노산 총량은 28.788(mg/㎖)으로, 아미노산 총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펩신의 투입량은 200g을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결과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은 투입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양이 줄어도, 아미노산의 추출물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세척된 태반을 민서기에 의해 민싱하는 단계;
    상기 민싱된 태반을 압착기에 넣고 압착하여,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한 나머지인 압착 잔류물을 형성하여 상기 태반오일은 1차적으로 제거되는 단계;
    상기 압착 잔류물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40 내지 60℃이 온도에서 원심분리하여, 친수성 유효성분 및 태반오일을 분리한 나머지인 원심분리 잔류물을 형성하여 상기 태반오일은 2차적으로 제거되는 단계;
    상기 원심분리 잔류물 중의 상기 태반오일 성분을 상기 잔류물에 대하여 100~150중량부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제거하여 상기 태반오일은 3차적으로 제거되는 단계;
    상기 유기용매를 진공 건조하여 제거하여 건조물을 얻는 단계;
    건조된 건조물을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 및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분리를 거친 원심분리 잔류물에 투입되는 유기용매 및 단백질 분해효소의 양은 상기 민싱만 거친 태반에 투입되는 양보다 적고, 상기 추출물을 정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물을 유기침전물 및 상층액으로 층분리하고,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압착기와 상기 원심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친수성 유효성분을 추가하며, 상기 추출물을 정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친수성 유효성분이 추가되어 이루어진 상기 추출물을 유기침전물 및 상층액으로 층분리하고, 상기 유기침전물 및 상층액 각각을 복합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이온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 에틸에테르,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초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크실렌, 벤젠, 톨루엔, 메칠/에칠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펩티다아제,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브로멜라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90703A 2017-07-18 2017-07-18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KR10199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703A KR101991315B1 (ko) 2017-07-18 2017-07-18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703A KR101991315B1 (ko) 2017-07-18 2017-07-18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046A KR20190009046A (ko) 2019-01-28
KR101991315B1 true KR101991315B1 (ko) 2019-06-20

Family

ID=6526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703A KR101991315B1 (ko) 2017-07-18 2017-07-18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3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080B1 (ko) * 2006-02-11 2006-11-13 케이에이취팜 주식회사 돼지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폐경기 장애 개선용 식품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371B1 (ko) * 2008-02-05 2010-07-15 주식회사 프라네오젠 돼지 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돼지 태반 추출물을포함하는 건강식품 및 화장품
KR101118017B1 (ko) * 2009-09-04 2012-02-24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태반 추출물
KR101429522B1 (ko) * 2011-11-15 2014-09-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태반유래 세포외기질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치유용 지지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080B1 (ko) * 2006-02-11 2006-11-13 케이에이취팜 주식회사 돼지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폐경기 장애 개선용 식품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046A (ko)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4449B1 (en) Method for treating and processing lupine seeds containing alkaloid, oil and protein
EP2584912B1 (en) Aqueous process for preparing protein isolate and hydrolyzed protein from an oilseed
SU727109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белкового экстракта из рыбного сырь
US4019958A (en) Continuous process of producing pancreatin and product thereof
US2539544A (en) Simultaneous defatting and dehydrating of fatty substances
KR100932183B1 (ko) 말태반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조성물
US2503313A (en) Production of dried, defatted enzymatic material
KR101991315B1 (ko) 말 및 돼지를 포함하는 발굽 포유동물의 태반 추출물 제조방법
WO2001060181A1 (en) Enzymatic processing of coconut meat to produce edible products
SU1733448A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корки и перегородок плодов граната
US3778425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granular or powdery purified whole egg protein
CN102228473A (zh) 一种鹿茸中活性物质的提取方法
EP3262952A1 (en) Method for preparing digestible feather or hair meal
GB2094334A (en) Extracting oil, protein and flour from fresh coconut meat
RU267141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ллагенно-пептидного комплекса из рогов
JP2808009B2 (ja) 霊芝類の処理法
JPH045412B2 (ko)
KR100509840B1 (ko) 어란 외피의 효소 분해에 의한 아미노산 성분의 제법
CN111264677A (zh) 一种牡蛎小分子肽的制备方法及其应用
RU261215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евого белкового изолята
US7259269B2 (en) Method for obtaining an oil fraction and a protein fraction from a vegetable starting substance
RU281049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стительных экстрактов
JPH0662352B2 (ja) 有機質肥料の製造方法
RU270557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центрата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из пантов
RU279988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хого растительного экстра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