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185B1 - 배관 세척 장치 및 얼음 분절기 - Google Patents

배관 세척 장치 및 얼음 분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185B1
KR101991185B1 KR1020170178475A KR20170178475A KR101991185B1 KR 101991185 B1 KR101991185 B1 KR 101991185B1 KR 1020170178475 A KR1020170178475 A KR 1020170178475A KR 20170178475 A KR20170178475 A KR 20170178475A KR 101991185 B1 KR101991185 B1 KR 101991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egment
pipe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근
이강우
임웅철
김희웅
염인선
김경일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70178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 분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분절기는 관에 위치하는 얼음을 분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분절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분절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할 수 있는 분절부와; 그리고 상기 분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을 분절시 상기 분절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얼음을 분절 시 상기 얼음이 위치하는 상기 관을 상기 분절 지지부와 상기 분절부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작동부를 회전 시켜 상기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시킨다.

Description

배관 세척 장치 및 얼음 분절기{Apparatus for cleaning a pipe and Ice crusher}
본 발명은 배관을 세척하는 장치 및 얼음 분절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얼음 및 공기와 배관의 물을 이용하여 배관 내의 이물질, 배관 벽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척할 수 있는 배관 세척 장치와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하는 얼음 분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을 세척하는 장치는 수도관, 가스관 오수관 등을 세척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상기 관들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슬러지나 부식 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관 내를 흐르는 유체를 오염시킬 수 있다. 특히, 수도관의 경우 이러한 오염 등에 의해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도관의 경우 노후화 및 정체 구간 발생으로 침전물이 생성될 수 있어 주기적인 세척이 필요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배관 세척 장치는 배관에 세척 장치를 연결하며, 공기와 물을 공급하여 세척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공기 주입식 방식의 경우 배관의 굴곡 되어 형성되거나 관 직경이 부분적으로 달라 관 내측 벽에 붙은 침전물의 세정 효과는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수도관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배관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세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 세척에 사용되는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할 수 있는 얼음 분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을 세척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관 세척 장치는 배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일단이 상기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공기가 흐르는 메인 공급 라인과 일단은 상기 메인 공급 라인과 연결되며, 배관에 기설정된 크기의 얼음을 공급하도록 내부에 상기 얼음을 가지며 상기 메인 공급 라인에서 공급된 공기를 통해서 상기 공기와 상기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 공급부와 일단은 상기 얼음 공급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공기와 얼음을 상기 배관에 공급하는 연결부와 상기 메인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제어 밸브와 그리고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및 개폐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관 세척 시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와 얼음을 상기 배관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 공급 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 또는 상기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관을 가지며 상기 공기 및 상기 얼음이 흐르는 세정 라인 및 일단은 상기 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정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배관에서 공급받은 물을 상기 세정 라인에 공급하는 유체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 라인은 상기 메인 공급 라인에서 공급받은 상기 공기 및 얼음과 상기 유체 라인을 통해서 공급 받은 상기 물이 혼합되어 흐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체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라인을 흐르는 물이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밸브는 솔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밸브의 개폐 시간을 3 내지 7초가 되도록 상기 제어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공급부는 컴프레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공급 라인과 상기 얼음 공급부가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공급 라인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설정된 얼음의 크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단면 직경이 10~15 mm 이며 높이가 10~15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관에 위치하는 얼음을 분절하는 얼음 분절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얼음 분절기는 서로 마주보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분절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분절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할 수 있는 분절부와 그리고 상기 분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을 분절시 상기 분절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얼음을 분절 시 상기 얼음이 위치하는 상기 관을 상기 분절 지지부와 상기 분절부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작동부를 회전 시켜 상기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얼음 분절기는 상기 분절부와 결합되며, 상기 분절부와 상기 분절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분절되는 상기 얼음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절부의 회전 방향과 상기 분절 지지부의 회전 방향은 서로 상이한 방향이며 상기 얼음 분절 시 상기 분절부와 상기 분절 지지부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절부는 원통형의 분절 몸체부와 상기 분절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얼음 분절기를 포함하는 배관 세척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 세척 장치는 상술한 얼음 분절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 분절기에서 분절된 상기 얼음들은 상기 얼음 공급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관의 청소 시 압축 공기의 공급 시간 간격 및 일정 크기의 얼음을 제공하여, 맥동 및 수충격 효과를 더하여 플러싱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배관의 세척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얼음을 분절 시 일정한 크기로 분절이 가능하며, 높이 조절부를 제공하여 다양한 크기로 얼음을 분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연결부의 구성이 배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 세척 시 유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얼음 공급부를 교체 및 본 발명의 얼음 공급부 내의 얼음을 분절할 수 있는 얼음 분절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분절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얼음 분절기를 사용하여 얼음을 분절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부분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배관을 세척할 수 있는 배관 세척 장치(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1)는 수도관 등의 유체가 흐르는 관을 세척할 수 있다. 일 예로, 배관은 수도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상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배관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 세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연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배관 세척 장치(1)는 공기 공급부(10), 얼음 공급부(20), 메인 공급 라인(30), 개폐 밸브(40), 연결부(50), 제어 밸브(60) 그리고 제어부(70)를 포함한다.
공기 공급부(10)는 메인 공급 라인(3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10)는 메인 공급 라인(30)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 공급부(10)는 압축된 공기를 메인 공급 라인(3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공급부(10)는 컴프레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공기 공급부(10)는 공기를 압축하여 메인 공급 라인(30)에 공급 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얼음 공급부(20)는 얼음을 공급할 수 있다. 얼음 공급부(20)에서 공급하는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기설정된 얼음의 크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단면 직경이 10 내지 15 mm 이며 높이가 10 내지 15 mm인 얼음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기성정된 얼음의 크기는 직육면체 형상이 높이는 10 내지 15 mm 일 수 있다.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의 크기는 10 내지 15 mm 이며, 세로의 크기는 10 내지 15 mm일 수 있다. 상술한 예와는 달리, 기설정된 얼음의 크기는 배관의 크기 및 배관의 용도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크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얼음 공급부(20)는 일단은 메인 공급 라인(30)과 연결되며, 타단은 연결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얼음 공급부(20)는 내부에 얼음을 담을 수 있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얼음 공급부(20)는 후술하는 개페 밸브(40)와 연결부(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얼음 공급부(20)는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과 같이, 얼음 공급부(20)는 내부에 얼음이 다 소진 되는 경우, 다른 얼음이 가득찬 얼음 공급부(20)로 교체할 수 있다.
일 예로, 얼음 공급부(20)는 내부에 얼음을 가득 채워진 상태로 최초 공급 될 수 있다. 이 후, 배관 세척 공정 시 공기 공급부(10) 및 메인 공급 라인(30)을 통해서 공급된 공기가 얼음 공급부(20) 내부로 유입되며, 공기와 얼음이 혼합되어 연결부(50)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와 얼음은 후술하는 연결부(50)를 통해서 배관 내부로 공급되어 배관을 세척 할 수 있다.
메인 공급 라인(30)은 공기를 얼음 공급부(20)로 공급하여, 배관 내에 공기 및 얼음을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메인 공급 라인(30)의 일단은 공기 공급부(10)와 연결되며, 타단은 얼음 공급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공급 라인(30)은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관의 직경은 세척하는 배관의 관 크기,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밸브(40)는 메인 공급 라인(30)과 얼음 공급부(20)가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 밸브(40)는 메인 공급 라인(3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 할 수 있다. 일 예로, 개폐 밸브(40)는 연결부(50)로 공기 및 얼음 공급 시 개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개폐 밸브(40)는 얼음 공급부(40)에 얼음이 소진되어 다른 얼음이 가득찬 관으로 교체하는 경우에 닫혀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개폐 밸브(40)는 온오프 밸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50)는 메인 공급 라인(30) 및 얼음 공급부(20)에서 공급받은 얼음과 공기를 배관에 공급 할 수 있다. 연결부(50)의 일단은 메인 공급 라인(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연결부(50)는 유입관(51), 세정 라인(52), 유출관(53), 유체 라인(54) 그리고 역류 방지 밸브(55)를 포함한다.
유입관(51)은 얼음 공급부(20)과 연결될 수 있다. 유입관(51)은 메인 공급 라인(30) 및 얼음 공급부(20)에서 공급받은 얼음과 공기를 세정 라인(5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입관(51)의 외측에서는 너트와 같은 연결 구성을 가지어 메인 공급 라인(30)과 연결될 수 있다.
세정 라인(52)은 유입관(51)에서 공급받은 얼음과 공기가 흐를 수 있다. 세정 라인(52)에는 후술하는 유체 라인(54)에서 공급받은 물과 유입관(51)에서 공급받은 공기 및 얼음이 혼합되어 흐를 수 있다. 세정 라인(52)에서 혼합된 공기, 물 그리고 얼음은 배관으로 공급되어 배관을 세척 할 수 있다.
유출관(53)은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유출관(53)은 세정 라인(52)의 공기, 물 그리고 얼음을 공급 받아 배관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유출관(53)은 암나사 형태로 제공되어 배관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유체 라인(54)은 일단은 배관과 연결되며, 타단은 세정 라인(52)과 연결될 수 있다. 유체 라인(54)은 배관에서 공급받은 유체가 흐를 수 있다. 일 예로, 유체 라인(54)을 흐르는 유체는 배관에서 공급받은 물일 수 있다. 일 예로, 물은 수돗물 일 수 있다. 유체 라인(54)은 배관에서 공급받은 물을 세정 라인(52)에 공급되어, 배관 세정 시 필요한 공기 및 얼음과 혼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역류 방지 밸브(55)는 유체 라인(54)에 설치될 수 있다. 역류 방지 밸브(55)는 유체 라인(54)을 흐르는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를 참고하면, 제어 밸브(60)는 메인 공급 라인(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 및 공급 유무를 조절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밸브(6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메인 공급 라인(30)을 개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설정된 시간은 3 내지 7초 간격으로 공기가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도록 메인 공급 라인(30)을 개폐 할 수 있다. 상술한 예 기설정된 시간은 배관의 형태, 배관의 용도, 배관의 종류, 배관의 청소 주기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밸브(60)는 메인 공급 라인(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 밸브(60)는 얼음 공급 라인(40) 및 메인 공급 라인(30)이 만나는 지점의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밸브(60)는 솔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어 밸브(6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만큼 관의 개폐를 할 수 있는 밸브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70)는 제어 밸브(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70)는 제어 밸브(60)를 제어하여 공기 공급부(10)에서 메인 공급 라인(3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 유무 및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70)는 제어 밸브(60)의 개폐 간격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70)는 제어 밸브(60)의 개폐 간격 시간을 3 내지 7초가 되도록 제어 밸브(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밸브(60)의 개폐 간격 시간은 배관의 크기, 배관의 용도 등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제어부(70)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7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제어 밸브(60)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배관 세척 장치(1)로 배관을 세척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관 세척 시 도 3과 같이 연결부(50)를 이용하여 배관과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이 후 공기 공급부(10)를 통해서 공기를 공급하여 얼음과 공기를 메인 공급 라인(30) 및 얼음 공급부(20)를 통해서 연결부(50)로 공급한다. 일 예로, 공기 공급부(10)에서 압축 공기를 공급 시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어 밸브(60)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만큼 반복해서 제어 밸브(60)를 열거나 닫힌다. 일 예로, 제어 밸브(60)의 개방 시 공기 공급부(10)에서 메인 공급 라인(30)으로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압축 공기는 메인 공급 라인(30)을 흐를 수 있으며, 얼음 공급부(20) 내의 얼음을 밀어내면서 함께 연결부(5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 공급부(20)의 내부에 위치하니 얼음은 메인 공급 라인(30)에서 공급된 공기가 얼음을 밀어내면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50)로 공급된 얼음 및 공기는 세정 라인(52)을 흐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연결부(50) 중 유체 라인(54)에서는 배관에서 공급된 얼음을 세정 라인(52)에 공급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라인(54)의 역류 방지 밸브(55)는 물이 역류 하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세정 라인(52)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세정 라인(52)은 유체 라인(54)에서 공급받은 물과 메인 공급 라인(30)에서 공급받은 공기 및 얼음을 혼합하여 다시 배관으로 공급할 수 있다.
배관에서는 공급받은 물, 얼음 그리고 공기가 혼합되어 배관 내로 흐르면서 배관 내의 이물질을 세척 할 수 있다.
배관의 세척 원리는 압축 공기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공급하여 맥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물과 얼음을 동시에 공급하여 수충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배관 내에 기존의 플러싱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단수 이후 급수 시 공기와 수돗물이 혼합되어 함께 쏟아져 나오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 경우, 수도관의 이물질이 함께 배출되는 현상이다.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현상을 이용하며 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압축 공기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며, 얼음과 동시에 공급하여 배관 내의 이물질에 맥동 및 수충격을 주어 이를 제거함과 동시에 배관의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배관 세척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얼음 공급부를 교체 및 본 발명의 얼음 공급부 내의 얼음을 분절할 수 있는 얼음 분절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얼음 분절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배관 세척 장치(1)는 얼음 분절기(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음 분절기(80)는 기설정된 크기로 얼음을 분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얼음 분절기(80)는 관 형태로 제공되는 얼음 공급부(20) 내에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얼음 분절기(80)는 고무관 등 관 내에 얼음이 있는 경우, 관의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 시 얼음 분절기(80)를 사용하여 얼음을 분절할 수 있다.
얼음 분절기(80)는 지지 플레이트(81), 분절 지지부(83), 분절부(82), 작동부(89) 그리고 높이 조절부(87)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81)는 한 쌍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81)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81)는 서로 마주 보며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플레이트(81)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분절 지지부(83)는 얼음의 분절 시 얼음이 포함된 관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얼음을 가지는 관은 얼음 공급부(20)로 제공될 수 있다. 분절 지지부(83)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81)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분절 지지부(83)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8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절 지지부(83)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분절부(82)는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얼음을 분절할 수 있다. 분절부(82)는 분절 지지부(8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분절부(82)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81)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분절부(82)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8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분절부(82)는 후술하는 작동부(89)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절부(82)와 분절 지지부(83) 사이에 얼음을 가지는 관이 위치하며, 이후 얼음을 분절 시 분절부(82)를 회전시켜 얼음을 분절시킬 수 있다. 얼음의 분절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분절부(82)는 분절 몸체부(85) 및 가이드 돌기(86)를 포함한다.
분절 몸체부(85)는 원통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분절 몸체부(85)는 분절 지지부(8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분절 몸체부(85)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86)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86)는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86)는 분절 몸체부(85)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86)는 분절부(82)가 회전 시 얼음이 위치한 관에 압력을 가하여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시킬 수 있다. 가이드 돌기(86)와 가이드 돌기(86) 사이에는 홈(88)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89)는 분절부(82)와 연결될 수 있다. 작동부(89)는 분절부(8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얼음을 분절 시 사용자가 작동부(89)를 회전시켜 얼음을 분절 시킬 수 있다. 작동부(89)는 분절부(82)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거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에만 제공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87)는 분절부(82)와 결합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87)는 분절부(82)와 분절 지지부(8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높이 조절부(87)는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를 가지며, 회전 플레이트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높이 조절부(87)는 분절부(82)의 높이 조절 시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를 일방향으로 회전 시켜 분절부(8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분절부(82)와 분절 지지부(8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얼음 분절기(80)를 사용하여 얼음을 분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얼음을 분절하는 경우 얼음을 가지는 관을 준비한다. 준비된 관은 얼음 분절기(80) 중 분절부(82) 및 분절 지지부(83)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후, 작동부(89)를 회전시켜 분절부(82)를 회전시키면, 분절부(82)의 가이드 돌기(86)가 관의 얼음을 분절시킬 수 있다. 이완 같은 방법으로 분절부(82)를 계속 회전시키면서 얼음을 분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관의 청소 시 압축 공기의 공급 시간 간격 및 일정 크기의 얼음을 제공하여, 맥동 및 수충격 효과를 더하여 플러싱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배관의 세척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얼음을 분절 시 일정한 크기로 분절이 가능하며, 높이 조절부를 제공하여 다양한 크기로 얼음을 분절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배관 세척 장치 10: 공기 공급부
20: 얼음 공급부 30: 메인 공급 라인
40: 개폐 밸브 50: 연결부
51: 유입관 52: 세정 라인
53: 유출관 54: 유체 라인
55: 역류 방지 밸브 60: 제어 밸브
70: 제어부 80: 얼음 분절기
81: 지지 플레이트 82: 분절부
83: 분절 지지부 85: 분절 몸체부
86: 가이드 돌기 87: 높이 조절부
88: 홈 89: 작동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관에 위치하는 얼음을 분절하는 얼음 분절기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분절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분절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할 수 있는 분절부와; 그리고
    상기 분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을 분절시 상기 분절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얼음을 분절 시 상기 얼음이 위치하는 상기 관을 상기 분절 지지부와 상기 분절부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작동부를 회전 시켜 상기 얼음을 기설정된 크기로 분절시키는 얼음 분절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분절기는 상기 분절부와 결합되며, 상기 분절부와 상기 분절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분절되는 상기 얼음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얼음 분절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부는,
    원통형의 분절 몸체부와;
    상기 분절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얼음 분절기.
  12. 삭제
KR1020170178475A 2017-12-22 2017-12-22 배관 세척 장치 및 얼음 분절기 KR101991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475A KR101991185B1 (ko) 2017-12-22 2017-12-22 배관 세척 장치 및 얼음 분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475A KR101991185B1 (ko) 2017-12-22 2017-12-22 배관 세척 장치 및 얼음 분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185B1 true KR101991185B1 (ko) 2019-06-19

Family

ID=6710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475A KR101991185B1 (ko) 2017-12-22 2017-12-22 배관 세척 장치 및 얼음 분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1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8381A (zh) * 2020-08-25 2020-12-11 杭州迪肤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冷冻物料的自动化机械破碎设备
CN114653689A (zh) * 2022-03-24 2022-06-24 魏想彬 一种自适应多频凿冰吹扫式低温管道除霜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575U (ja) * 1992-02-24 1993-09-2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の製氷装置
JP2847329B2 (ja) * 1991-03-11 1999-01-20 ウォーターテック 有限会社 配水管の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19908B1 (ko) * 2003-07-22 2005-10-12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KR101331869B1 (ko) * 2013-06-28 2013-11-21 진용욱 회전식 제빙장치
JP5801036B2 (ja) * 2010-04-30 2015-10-28 喜洋 眞野 管路の洗浄方法
KR20160058407A (ko) * 2014-11-17 2016-05-25 이장연 배관세정장치
JP6097481B2 (ja) * 2012-01-30 2017-03-15 吉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上下水道本管清浄方法及び上下水道本管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7329B2 (ja) * 1991-03-11 1999-01-20 ウォーターテック 有限会社 配水管の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69575U (ja) * 1992-02-24 1993-09-2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の製氷装置
KR100519908B1 (ko) * 2003-07-22 2005-10-12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JP5801036B2 (ja) * 2010-04-30 2015-10-28 喜洋 眞野 管路の洗浄方法
JP6097481B2 (ja) * 2012-01-30 2017-03-15 吉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上下水道本管清浄方法及び上下水道本管洗浄装置
KR101331869B1 (ko) * 2013-06-28 2013-11-21 진용욱 회전식 제빙장치
KR20160058407A (ko) * 2014-11-17 2016-05-25 이장연 배관세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8381A (zh) * 2020-08-25 2020-12-11 杭州迪肤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冷冻物料的自动化机械破碎设备
CN112058381B (zh) * 2020-08-25 2021-08-03 温岭市兴风食品有限公司 一种基于冷冻物料的自动化机械破碎设备
CN114653689A (zh) * 2022-03-24 2022-06-24 魏想彬 一种自适应多频凿冰吹扫式低温管道除霜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185B1 (ko) 배관 세척 장치 및 얼음 분절기
ES2360900T3 (es) Operación mbr eficaz en el tratamiento de aguas residuales.
US9422699B2 (en) Toilet inlet val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528958A (ja) 着脱可能な層流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放水口
JPH02502353A (ja) 液体を濾過し均質化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313162A (ja) 軟水器
US2292801A (en) Water softening apparatus
JP2019025372A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US10415229B2 (en) Sewage system agitator
CN210079012U (zh) 一种易清洁的过滤器及具有其的马桶水箱装置和进水阀
CN106890748B (zh) 一种带有紧急启动系统的涂膜清管器及其使用方法
JP2004527699A (ja) 流体用遮断バルブ
CN108296203A (zh) 一种大流量油气交替冲洗装置
JP7292710B2 (ja) 製氷システム、製氷方法、及び製氷システムにより生成されたシャーベット状流動体を用いた管路洗浄方法
KR101784210B1 (ko) 응축수 원심분리기능을 구비한 에어분배기
RU67214U1 (ru)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074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реагента в текучую среду трубопровода
CN207633453U (zh) 一种下水器
KR101132224B1 (ko) 비데 호스 장착이 가능한 수전금구용 밸브
KR101855681B1 (ko) 냉·온수 미세조절용 수전
KR101688981B1 (ko) 임펠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관 세정 시스템
US1834387A (en) Water softening apparatus
US2234315A (en) Beer dispensing device
CN109097125B (zh) 一种天然气净化装置
KR101190327B1 (ko) 점검구가 구비된 자동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