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501B1 - 폐쇄형 스팀조리기 - Google Patents

폐쇄형 스팀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501B1
KR101990501B1 KR1020180019351A KR20180019351A KR101990501B1 KR 101990501 B1 KR101990501 B1 KR 101990501B1 KR 1020180019351 A KR1020180019351 A KR 1020180019351A KR 20180019351 A KR20180019351 A KR 20180019351A KR 101990501 B1 KR101990501 B1 KR 10199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nozzle
door
foo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희
한용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브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브로
Priority to KR102018001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음식물에 집중되거나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분산되어서 음식물에 제공될 수 있는 폐쇄형 스팀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조리되기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도어(110)에 의해 개폐되는 스팀조리케이스(100)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에 분사하는 스팀노즐(200)과, 스팀노즐(200)이 도킹된 상태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제공받아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으로 분산시켜서 배출시키는 스팀분산부재(300)와, 스팀분산부재(300)에 스팀노즐(200)을 도킹시키거나 도킹을 해제시키는 스팀노즐작동부재(400)와, 스팀노즐(20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재(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쇄형 스팀조리기{STEAM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음식물에 집중되거나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분산되어서 음식물에 제공될 수 있는 폐쇄형 스팀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열조리장치로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전자레인지와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가스오븐, 전기오븐 등이 있다. 이 중 전자레인지는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후 음식물이 건조되어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공기가 히터와 음식물 사이에서 열전달 매체로 작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위와 같은 종래 가열조리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열전달매체로 작용하는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는 폐쇄형 스팀조리기기와 같은 가열조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폐쇄형 스팀조리기를 이용하면 음식물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식품의 맛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폐쇄형 스팀조리기는 음식물의 양에 관계없이 조리실 내에 가득 차는 많은 양의 스팀이 사용되므로 음식물의 양에 따라 적절한 스팀이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 대한 공개특허 10-2012-0122141호의 '폐쇄형 스팀조리기'는 스팀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본체의 조리실에 전체적으로 분산되어서 공급되므로 조리실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음식물에 집중되거나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분산되어서 음식물에 제공될 수 있는 폐쇄형 스팀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스팀조리기는, 조리되기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도어(110)에 의해 개폐되는 스팀조리케이스(100)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에 분사하는 스팀노즐(200)과, 스팀노즐(200)이 도킹된 상태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제공받아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으로 분산시켜서 배출시키는 스팀분산부재(300)와, 스팀분산부재(300)에 스팀노즐(200)을 도킹시키거나 도킹을 해제시키는 스팀노즐작동부재(400)와, 스팀노즐(20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팀노즐(2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이 분기되어서 분사되도록 끝단 및 측방에 분사구(210)가 각각 형성되고, 스팀분산부재(300)는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고정되고, 유입되는 스팀이 관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분산몸체(310)와, 분산몸체(310)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스팀노즐(200)이 관통되는 노즐관통구(320)와, 노즐관통구(320)에 형성되어 관통된 스팀노즐(200)이 분리가능하게 도킹되는 도킹부(330)와, 도킹부(330)에 형성되어 스팀노즐(200)의 측방에 형성된 분사구(210)가 연통되어 분사구(210)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분산몸체(3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스팀유입구(340)와, 분산몸체(310)에 분산되는 상태로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관류되는 스팀이 분산되어서 배출되는 스팀배출구(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팀노즐(200)의 스팀을 음식물에 집중시키기 위한 스팀집중부재(600)를 포함하며, 스팀집중부재(600)는 음식물이 담겨진 상태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스팀집중용기(610)와, 스팀집중용기(610)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620)과, 걸림턱(620)에 걸리도록 스팀노즐(200)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스팀조리케이스(100)에 형성되는 고정턱(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팀조리케이스(100)는 내부공간에서 하부에 구비되어 도어(110)의 폐쇄동작에 의해 작동되어서 내부공간으로 수용되는 음식물을 포위하는 포위수단(130)과, 내부공간에서 상부에 구비되어 도어(110)의 폐쇄동작에 의해 작동되어서 포위수단(130)을 커버하는 커버수단(140)을 포함하고, 스팀노즐작동부재(400)는 도어(110)에 연결되어 도어(110)와 함께 동작되어서 포위수단(130)을 동작시키는 포위수단동작부재(440)와, 도어(110)에 연결되어 도어(110)와 함께 동작되어서 커버수단(140)을 동작시키는 커버수단동작부재(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포위수단(130)은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음식물의 후방을 포위하는 후방부재(131)와, 후방부재(131)의 양측에 구비되어 포위수단동작부재(44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어서 후방부재(131)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음식물의 전방을 포위하는 전방부재(132)를 포함하고, 포위수단동작부재(440)는 전방부재(132)에 고정되는 일측전방안내부재(441)와, 다른 전방부재(132)에 고정되는 타측전방안내부재(442)와,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위운동을 지지하는 회전축(443)과,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체(444)와, 도어(110)에 구비되는 포위당김부(445)와, 포위당김부(445)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에 각각의 타단이 연결되는 포위당김와이어(4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커버수단(140)은 스팀노즐(200)이 관통되게 고정된 상태로 포위수단(130)을 커버하도록 판재형태로 구성되고, 커버수단동작부재(450)는 도어(110)에 구비되는 커버당김부(451)와, 커버당김부(451)에 일단이 연결되고 커버수단(140)에 타단이 연결되는 커버당김와이어(452)와, 커버당김와이어(452)의 수평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를 지지하는 커버롤러(4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팀조리케이스(100)는 커버수단(1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팀노즐(200)이 관통되게 고정된 상태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커버하는 용기커버부(150)와, 커버수단(140) 및 용기커버부(150)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용기커버부(150)를 탄력지지하는 용기커버탄성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팀공급부재(500)는 스팀으로 변환되기 위한 물이 채워지는 스팀통(510)과, 스팀통(510)에 내장된 상태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520)와, 스팀통(510) 및 스팀노즐(200)에 양단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스팀통(510)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스팀노즐(200)에 안내하는 스팀안내호스(530)와, 스팀통(5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통(540)과, 스팀통(510)에 구비되어 물통(540)의 물 공급을 조절하는 물조절부(550)와, 스팀통(510)에 구비되어 스팀의 압력이 일정압력을 이상이면 일정스팀을 외부로 배출시켜서 스팀압력을 조절하는 스팀압력조절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팀통(510)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스팀몸체(511)와, 스팀몸체(51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뚜껑(512)과, 뚜껑(512)을 스팀몸체(511)에 결합시키는 뚜껑결합부(513)와, 뚜껑(512)의 일측에 형성되어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514)와, 뚜껑(5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스팀안내호스(530)가 연결되는 호스연결구(515)를 포함하고, 물주입구(514)는 뚜껑(512)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물통(540)의 주입구에 삽입되어서 물이 관류되는 내측연결부(514a)와, 내측연결부(514a)를 포위하는 상태로 뚜껑(512)에 형성되어 물통(540)의 주입구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5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도어(110)가 개폐됨을 감지하는 도어센서(700)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에 음식물이 수용됨을 감지하는 음식물센서(800)와, 스팀노즐(200) 및 스팀노즐작동부재(400)를 컨트롤하는 스팀컨트롤러(900)를 포함하며, 스팀컨트롤러(900)는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개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이 하강되도록 스팀노즐작동부재(400)를 조작하고, 스팀노즐(200)이 하강된 상태에서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개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이 상승되도록 스팀노즐작동부재(400)를 조작하는 승강조작부(910)와,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폐쇄됨을 감지하는 상태에서 음식물센서(800)가 음식물의 수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에서 스팀이 분사되도록 스팀공급부재(500)를 조작하고,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개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에서 스팀분사가 정지되도록 스팀공급부재(500)를 조작하는 스팀조작부(9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음식물에 직접 분사되어 음식물이 빠르게 조리되거나,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스팀분산부재를 통해 분산되어서 음식물에 분사되어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스팀노즐의 끝단 및 측방에 분사구가 각각 형성되므로 스팀노즐의 끝단으로 분사되는 스팀이 음식물에 집중될 수 있고, 스팀노즐의 측방으로 분사되는 스팀이 스팀분산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팀노즐이 하강하면 스팀분산부재에서 분리되고 스팀노즐이 상승하면 스팀분산부재에 도킹되므로, 스팀노즐의 도킹과정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이 스팀집중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스팀노즐에 근접되어 스팀이 음식물에 집중되므로 스팀집중용기에 담긴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스팀집중용기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스팀조리케이스에 고정턱이 형성되므로 걸림턱이 고정턱에 걸리게 됨에 따라, 스팀집중용기가 스팀조리케이스에 분리 및 고정되는 과정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팀노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스팀조리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됨에 따라 스팀조리케이스의 내부공간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스팀공급부재의 스팀통이 상하로 분리될 수 있어서 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스팀통에 물이 채워지는 정도에 따라 물공급이 조절될 수 있어서, 스팀통에는 항상 적정한 수위로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스팀통에서 과하게 발생되는 스팀이 일정양만큼 외부로 배출되므로 스팀의 압력이 일정수준을 넘지 않게 된다.
또한, 스팀조리케이스의 도어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스팀노즐이 자동으로 승강될 뿐만 아니라 스팀이 자동으로 분사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스팀조리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팀조리케이스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가 개방된 폐쇄형 스팀조리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팀분산부재 및 스팀집중용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팀노즐이 하강된 상태에서 스팀이 분사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스팀노즐이 상승된 상태에서 스팀분산부재에서도 스팀이 분사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스팀노즐 및 스팀분산부재를 보인 부분 확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스팀노즐승강부재의 요부를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팀공급부재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팀공급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팀컨트롤러를 보인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스팀조리기를 보인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용기를 포위하는 포위수단 및 포위수단을 동작시키는 포위수단동작부재를 상부에서 보인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포위수단동작부재에 의해 포위수단의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커버수단을 동작시키는 커버수단동작부재를 상부에서 보인 도면.
도 16는 본 발명의 도어의 개방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커버수단동작부재가 커버수단을 상승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도어가 폐쇄동작에 의해 커버수단동작부재가 커버수단을 하강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스팀조리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팀조리케이스(100)와, 스팀노즐(200)과, 스팀분산부재(300)와, 스팀노즐작동부재(400)와, 스팀공급부재(500)를 포함한다.
스팀조리케이스(100)는 조리되기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도어(11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110)는 내부공간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창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10)는 록킹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기 전까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조리케이스(100)은 도어(110)에 의해 내부공간이 폐쇄되므로 내부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조리(요리)될 수 있다.
스팀노즐(200)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에 집중시켜서 분사한다.
이러한, 스팀노즐(2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이 분기되어서 분사되는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노즐은 일단으로 스팀이 유입되어서 내부공간으로 관류된 후에 끝단 및 측방을 통해 분사되도록 끝단 및 측방에 분사구(210)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스팀노즐(200)은 분사구(210)가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팀노즐(200)인 노즐이 음식물이 담긴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분사구(210)들을 통해 스팀이 분사되면, 스팀의 열기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다.
스팀분산부재(300)는 스팀노즐(200)이 도킹된 상태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제공받아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으로 분산시켜서 배출시킨다.
이러한, 스팀분산부재(300)는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고정되고, 유입되는 스팀이 관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분산몸체(310)와, 분산몸체(310)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스팀노즐(200)이 관통되는 노즐관통구(320)와, 노즐관통구(320)에 형성되어 관통된 스팀노즐(200)이 분리가능하게 도킹되는 도킹부(330)와, 도킹부(330)에 형성되어 스팀노즐(200)의 측방에 형성된 분사구(210)가 연통되어 분사구(210)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분산몸체(3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스팀유입구(340)와, 분산몸체(310)에 분산되는 상태로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관류되는 스팀이 분산되어서 배출되는 스팀배출구(350)를 포함한다.
분산몸체(310)는 판재형태로 형성되어 스팀조리케이스(100)의 천정부분에 고정된다.
노즐관통구(320)는 분산몸체(310)의 중앙에 형성된다.
도킹부(330)는 걸림턱으로 구성되어 노즐관통구(32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스팀유입구(340)는 도킹부(330)에 형성되므로 스팀노즐(200)의 분사구(210)가 연통된다. 즉, 분사구(210)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스팀유입구(340)로 유입될 수 있다.
스팀배출구(350)는 분산몸체(310)에 분산되게 형성되므로 스팀이 분산되어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노즐(200)이 노즐관통구(320)를 관통된 상태에서 상승되면 스팀노즐(200)의 측방으로 돌출된 분사구(210)가 도킹부(330)에 걸려서 도킹되면서 스팀유입구(340)에 접촉되어서 일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스팀노즐(200)의 양측에 형성된 분사구(210)들을 통해 스팀이 분사되므로, 분사되는 스팀이 스팀유입구(340)를 통해 분산몸체(3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서 스팀배출구(350)를 통해 배출된다. 물론, 스팀노즐(200)의 중앙에 위치된 상태로 도킹된 스팀노즐(200)의 끝단에서도 스팀이 분사된다.
이와 같이, 스팀노즐(200)의 끝단으로 배출되는 스팀과 함께 스팀배출구(350)들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이 스팀조리케이스(100)에 수용된 음식물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제공되므로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스팀노즐(200)이 스팀분산부재(300)의 노즐관통구(320)에서 하강되어 스팀분산부재(300)의 도킹부(330)에서 분리된 상태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냄비나 접시와 같은 폭이 넓은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스팀노즐(200)이 스팀분산부재(300)에 도킹된 상태로 스팀을 분사한다. 즉,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폭이 넓은 용기에 전체적으로 스팀이 분사공급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커피나 컵라면과 같은 폭(입구)이 좁은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스팀노즐(200)이 스팀분산부재(300)에서 분리된 상태로 스팀을 분사한다. 즉, 스팀노즐(200)이 하강되어서 폭이 좁은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스팀을 분사하므로 용기의 내부공간에 스팀이 집중될 수 있다. 물론, 좁은 폭의 용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스팀노즐(200)이 스팀분산부재(300)에 도킹된 상태로 스팀을 분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팀노즐(200)의 스팀을 음식물에 집중시키기 위한 스팀집중부재(6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팀집중부재(600)는 음식물이 담겨진 상태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스팀집중용기(610)와, 스팀집중용기(610)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620)과, 걸림턱(620)에 걸리도록 스팀노즐(200)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스팀조리케이스(100)에 형성되는 고정턱(630)을 포함한다.
스팀집중용기(61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면서 일측이나 양측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620)은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되면서 스팀집중용기(610)의 입구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턱(630)은 복수로 구성되어 스팀노즐(200)의 주위에 분산되는 상태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천정에 형성되되, 아래로 돌출되면서 끝단이 측방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L'형태로 형성된다. 즉, 고정턱(630)의 절곡된 끝부분이 걸림턱(620)에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팀집중용기(610)에 음식물을 수용시킨 후에 손잡이를 파지하여 스팀집중용기(610)를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시킨 상태로 걸림턱(620)이 고정턱(630)에 걸리게 한다. 이에 의해, 스팀집중용기(610)가 스팀조리케이스(100)의 천정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노즐(200)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스팀집중용기(610)의 내측에 공급되어서 음식물에 집중될 수 있어서,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스팀집중용기(610)를 스팀조리케이스(100)에 원터치식으로 편리하고 빠르게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스팀노즐작동부재(400)는 스팀분산부재(300)에 스팀노즐(200)을 도킹시키거나 도킹을 해제시키는 것으로, 스팀조리케이스(100)에서 상부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노즐작동부재(400)는 스팀노즐(20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410)와, 승강부(410)에 의해 승강되는 스팀노즐(20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승강안내부(420)와, 승강안내부(420)에 안내되면서 승강부(410)에 의해 승강되며 스팀노즐(200)이 고정되는 노즐고정부(430)를 포함한다.
승강부(41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411)와, 구동부(411)에 의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되는 나사축(412)을 포함한다.
회전부(411)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부(411)가 작동되면 나사축(412)이 회전된다.
승강안내부(420)는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고정되는 샤프트로 구성된다.
노즐고정부(430)는 스팀노즐(200)이 고정되고, 승강부(410)의 나사축(412)이 나사결합되는 나사탭(431)이 형성되며, 승강부(410)의 승강안내부(420)가 관통되어서 안내되는 안내홀(4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부(410)의 나사축(412)이 회전되면 나사결합된 스팀노즐(200)이 고정된 노즐고정부(430)가 승강안내부(420)를 따라 승강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스팀공급부재(500)는 스팀노즐(200)에 스팀을 공급하는 것으로, 스팀조리케이스(100)에서 상부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공급부재(500)는 스팀으로 변환되기 위한 물이 채워지는 스팀통(510)과, 스팀통(510)에 내장된 상태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520)와, 스팀통(510) 및 스팀노즐(200)에 양단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스팀통(510)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스팀노즐(200)에 안내하는 스팀안내호스(530)와, 스팀통(5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통(540)과, 스팀통(510)에 구비되어 물통(540)의 물 공급을 조절하는 물조절부(550)와, 스팀통(510)에 구비되어 스팀의 압력이 일정압력을 이상이면 일정스팀을 외부로 배출시켜서 스팀압력을 조절하는 스팀압력조절부(560)를 포함한다.
스팀통(510)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스팀몸체(511)와, 스팀몸체(51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뚜껑(512)과, 뚜껑(512)을 스팀몸체(511)에 결합시키는 뚜껑결합부(513)와, 뚜껑(512)의 일측에 형성되어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514)와, 뚜껑(5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스팀안내호스(530)가 연결되는 호스연결구(515)를 포함한다.
스팀몸체(511)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므로 전체적인 단면의 형상이 'U'형태를 이루게 된다.
뚜껑(512)은 스팀통(510)의 내부공간을 덮어서 폐쇄하도록 판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512)이 스팀몸체(511)에서 분리되어서 내부공간을 개방시키면 뚜껑(512) 및 스팀몸체(511)를 세척할 수 있어서 세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결합부(513)는 스팀몸체(511) 및 뚜껑(512)의 둘레를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결합부(513)의 해제에 의해 스팀몸체(511)에서 뚜껑(512)이 분리되면 스팀몸체(511)의 내부공간이 개방되므로, 스팀몸체(511)의 내부공간뿐만 아니라 뚜껑(512)을 청소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물주입구(514)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540)이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뚜껑(512)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물통(540)의 주입구에 삽입되어서 물이 관류되는 내측연결부(514a)와, 내측연결부(514a)를 포위하는 상태로 뚜껑(512)에 형성되어 물통(540)의 주입구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514b)를 포함한다.
내측연결부(514a)는 물통(540)의 주입구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끝단이 뾰족하면서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관통되는 파이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연결부(514a)는 관통홀이 분산되게 형성되어 물통(540)의 물이 관통홀들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외측지지부(514b)는 내측연결부(514a)인 파이프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통(540)의 주입구를 물주입구(514)에 삽입시키면 내측연결부(514a)가 물통(540)의 주입구를 관통하므로 물통(540)의 물이 내측연결부(514a)를 통해 스팀몸체(511)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물통(540)의 주입구가 외측지지부(514b)에 의해 지지되므로 물주입구(514)에 물통(540)의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통(540)의 교체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호스연결구(515)는 뚜껑(512)에 관통되면서 수나사산이나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관체로 구성될 수 있어서, 끝단에 암나사산이나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팀안내호스(530)가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히터(520)는 저수위의 물도 가열되도록 스팀통(510)의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안내호스(530)는 스팀노즐(200)의 승강이 이루어져도 스팀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플랙시블한 호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520)에 의해 물이 가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스팀이 스팀안내호스(530)를 따라 이동되어서 스팀노즐(200)로 공급된다.
물조절부(550)는 스팀통(51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막대(551)와, 회전막대(551)의 하부에 구비되어 스팀통(510)에 채워진 물에 부유하는 부유체(552)와, 회전막대(551)의 상부에 구비되어 부유체(552)가 상승하면 스팀통(510)의 물주입구(514)를 폐쇄하고, 부유체(552)가 하강하면 스팀통(510)의 물주입구(514)를 개방하는 물마개(5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팀통(510)에 물이 채워지면 수위가 높아져서 부유체(552)가 상승하므로 회전막대(551)에 연결된 물마개(553)도 상승하여서 물주입구(514)를 폐쇄한다. 즉, 스팀통(510)에는 물이 과하게 채워지지 않고 항상 적정하게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스팀발생에 의해 물이 소모되어서 수위가 낮아지면 부유체(552)가 하강하므로 회전막대(551)에 연결된 물마개(553)도 하강하여서 물주입구(514)를 개방한다. 즉, 스팀통(510)에는 물이 소모되어도 물이 부족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스팀압력조절부(560)는 스팀통(510)의 뚜껑(512)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스팀이 배출되는 내측스팀배출구(561)과, 내측스팀배출구(561)를 포위하는 상태로 스팀통(510)의 뚜껑(512)에 형성되고, 내측스팀배출구(561)에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외측으로 개방되는 내측관체(562)와, 내측관체(562)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내측스팀배출구(561)를 개폐하는 스팀마개(563)와, 스팀마개(563)를 탄력지지 하도록 내측관체(562)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는 탄성체(564)와, 탄성체(564)를 지지하는 상태로 내측관체(56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관체(565)와, 외측관체(565)에 형성되어 내측스팀배출구(561)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외측스팀배출구(566)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팀몸체(511)의 내부공간에 스팀이 과하게 발생되어 압력이 상승되면, 상승된 압력에 의해 스팀마개(563)가 탄성체(564)를 압축시키면서 내측스팀배출구(561)를 개방하게 되므로, 내측스팀배출구(561)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외측스팀배출구(56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스팀몸체(511)의 내부공간에 스팀에 의한 압력의 증가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외측스팀배출구(56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스팀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므로, 이를 확인하여 히터(520)의 작동을 정지시켜서 스팀발생을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측관체(56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관체(565)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관체(562)에 외측관체(565)가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측관체(562)에 외측관체(565)를 완전히 결합시켜서 내측관체(562)에서 외측관체(565)의 돌출되는 길이를 짧게 하면 탄성체(564)가 강하게 압축되어 탄성력이 증가되고, 내측관체(562)에 외측관체(565)를 약간만 결합시켜서 내측관체(562)에서 외측관체(565)의 돌출되는 길이를 길게 하면 탄성체(564)가 약하게 압축되어 탄성력이 저하된다. 즉, 내측관체(562)에 외측관체(565)의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탄성체(564)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도어(110)가 개폐됨을 감지하는 도어센서(700)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에 음식물이 수용됨을 감지하는 음식물센서(800)와, 스팀노즐(200) 및 스팀노즐작동부재(400)를 컨트롤하는 스팀컨트롤러(900)를 포함한다.
도어센서(700) 및 음식물센서(800)는 압력센서, 접촉센서, 근접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들이 혼합되어서 구성되어,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바닥이나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스팀컨트롤러(900)는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개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이 하강되도록 스팀노즐작동부재(400)를 조작하고, 스팀노즐(200)이 하강된 상태에서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개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이 상승되도록 스팀노즐작동부재(400)를 조작하는 승강조작부(910)와,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폐쇄됨을 감지하는 상태에서 음식물센서(800)가 음식물의 수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에서 스팀이 분사되도록 스팀공급부재(500)를 조작하고,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개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에서 스팀분사가 정지되도록 스팀공급부재(500)를 조작하는 스팀조작부(9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팀컨트롤러(900)는 스팀노즐(200)의 스팀배출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시간을 제공하는 타이머와, 스팀배출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와, 타이머의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동안을 판단하는 시간판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팀조리케이스(100)는 내부공간에서 하부에 구비되어 도어(110)의 폐쇄동작에 의해 작동되어서 내부공간으로 수용되는 음식물을 포위하는 포위수단(130)과, 내부공간에서 상부에 구비되어 도어(110)의 폐쇄동작에 의해 작동되어서 포위수단(130)을 커버하는 커버수단(140)을 포함한다.
포위수단(130)은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음식물의 후방을 포위하는 후방부재(131)와, 후방부재(131)의 양측에 구비되어 포위수단동작부재(44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어서 후방부재(131)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음식물의 전방을 포위하는 전방부재(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110)는 힌지(111)에 의해 스팀조리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후방부재(131)는 반원형태로 휘어지고 형성되는 판재로 구성되고, 하단에서 양측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되는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가 이동될 수 있다.
전방부재(132)는 원호형태로 휘어지고 형성되는 판재로 구성되어,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가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가 동작됨에 따라 전방부재(132)들이 후방부재(131)의 전방을 폐쇄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전방부재(132)들이 후방부재(131)의 전방을 폐쇄하면 포위수단(130)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를 이루게 된다.
커버수단(140)은 스팀노즐(200)이 관통되게 고정된 상태로 포위수단(130)을 커버하도록 판재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커버수단(140)이 스팀노즐(200)과 함께 작동되어서 포위수단(13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위수단(130) 및 커버수단(140)에 의해 조리되는 음식이 포위되면 스팀노즐(200)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조리되는 음식에 집중될 수 있어서 음식물이 빠르게 조리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조리케이스(100)는 커버수단(1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팀노즐(200)이 관통되게 고정된 상태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커버하는 용기커버부(150)와, 커버수단(140) 및 용기커버부(150)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로 용기커버부(150)를 탄력지지하는 용기커버탄성부(160)를 포함한다.
용기커버부(150)는 판재형태로 구성된다.
용기커버탄성부(160)는 커버수단(140)에 구비되는 피스톤과, 용기커버부(150)에 구비되어 피스톤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피스톤가이드와, 피스톤가이드에 내장된 상태로 피스톤을 탄력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커버탄성부(160)는 구조를 간략히 하기 위해 압축스프링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수단(140)이 포위수단(130)의 상부를 커버할 때 용기커버부(150)도 포위수단(13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용기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수단(140)이 포위수단(130)을 커버하면서 용기커버부(150)도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커버하는 상태에서, 스팀노즐(200)을 통해 스팀이 배출되면 용기커버부(150)에 의해 폐쇄된 용기에서 음식물이 1차로 조리되면서, 용기커버부(150)와 용기의 사이를 통해 유출되는 스팀이 커버수단(140)에 의해 커버된 포위수단(130)에 위치된 용기의 외측을 가열하므로 용기의 외측으로 가해지는 스팀의 열기에 의해 음식물이 2차로 조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식물이 빠른 시간에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스팀조리케이스(100)는 상승되는 커버수단(140)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부재(170)를 포함한다. 충격완화부재(170)는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상부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10)가 급격한 속도로 동작되어 커버수단(140)이 급격한 속도로 상승되는 경우 충격완화부재(17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서 커버수단(14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스팀노즐작동부재(400)는 도어(110)에 연결되어 도어(110)와 함께 동작되어서 포위수단(130)을 동작시키는 포위수단동작부재(440)와, 도어(110)에 연결되어 도어(110)와 함께 동작되어서 커버수단(140)을 동작시키는 커버수단동작부재(450)를 포함한다.
포위수단동작부재(440)는 전방부재(132)에 고정되는 일측전방안내부재(441)와, 다른 전방부재(132)에 고정되는 타측전방안내부재(442)와,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위운동을 지지하는 회전축(443)과,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체(444)와, 도어(110)에 구비되는 포위당김부(445)와, 포위당김부(445)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에 각각의 타단이 연결되는 포위당김와이어(446)를 포함한다.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는 각각 장방형의 판재형태로 형성된다.
회전축(443)은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를 관통한 상태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바닥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443)을 중심으로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가위운동될 수 있다.
탄성체(444)는 양단이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에 각각 고정되는 핀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압에 의해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가 가위운동 된 후에 외압이 해제되면, 탄성체(444)의 탄성에 의해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가 작동 전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포위당김부(445)는 포위당김와이어(446)를 당기기 위한 것으로 'L'형태로 절곡되는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포위당김와이어(446)들은 포위당김부(445)와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에 연결되므로, 포위당김부(445)가 동작되면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팀조리케이스(100)에서 도어(110)가 개방됨에 따라 포위당김부(445)가 포위당김와이어(446)들을 당기게 되므로,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가 개방작동 된다. 따라서, 개방된 공간에 조리하기 위한 음식물을 수용시킬 수 있다. 물론, 도어(110)가 폐쇄되면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가 폐쇄작동 되므로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가 폐쇄동작 된다.
커버수단동작부재(450)는 도어(110)에 구비되는 커버당김부(451)와, 커버당김부(451)에 일단이 연결되고 커버수단(140)에 타단이 연결되는 커버당김와이어(452)와, 커버당김와이어(452)의 수평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를 지지하는 커버롤러(453)를 포함한다.
커버당김부(451)는 커버당김와이어(452)를 당기기 위한 것으로 'L'형태로 절곡되는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조리케이스(100)에서 도어(110)가 개방됨에 따라 커버당김부(451)가 커버당김와이어(452)를 당기게 되므로, 커버수단(140)이 상승되어서 포위수단(13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 물론, 도어(110)가 폐쇄되면 커버수단(140)이 하강되어서 포위수단(130)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10)가 개방됨에 따라 포위수단(130) 및 커버수단(140)이 개방되므로 움식물을 수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어(110)가 폐쇄됨에 따라 포위수단(130) 및 커버수단(140)이 폐쇄됨에 따라, 움식물에 제공되는 스팀이 외부로 바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음식물에 집중되므로 음식물이 빠른 시간에 조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음식물에 집중시킬 수 있어서 직경이 좁은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이 신속하게 조리될 수 있고, 스팀노즐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스팀분산부재에 의해 분산되어서 음식물에 제공될 수 있어서 직경이 넓은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리될 수 있으므로, 폐쇄형 스팀조리기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팀조리케이스 110 : 도어
130 : 포위수단 131 : 후방부재
132 : 전방부재 140 : 커버수단
150 : 용기커버부 160 : 용기커버탄성부
170 : 충격완화부재
200 : 스팀노즐 210 : 분사구
300 : 스팀분산부재 310 : 분산몸체
320 : 노즐관통구 330 : 도킹부
340 : 스팀유입구 350 : 스팀배출구
400 : 스팀노즐작동부재 410 : 승강부
411 : 회전부 412 : 나사축
420 : 승강안내부 430 : 노즐고정부
431 : 나사탭 432 : 안내홀
440 : 포위수단동작부재 441 : 일측전방안내부재
442 : 타측전방안내부재 443 : 회전축
444 : 탄성체 445 : 포위당김부
446 : 포위당김와이어 450 : 커버수단동작부재
451 : 커버당김부 452 : 커버당김와이어
453 : 커버롤러
500 : 스팀공급부재 510 : 스팀통
520 : 히터 530 : 스팀안내호스
540 : 물통 600 : 스팀집중부재
610 : 스팀집중용기 620 : 걸림턱
630 : 고정턱 700 : 도어센서
800 : 음식물센서 900 : 스팀컨트롤러
910 : 승강조작부 920 : 스팀조작부

Claims (9)

  1. 조리되기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도어(110)에 의해 개폐되는 스팀조리케이스(100)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에 분사하는 스팀노즐(200)과,
    스팀노즐(200)이 도킹된 상태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제공받아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으로 분산시켜서 배출시키는 스팀분산부재(300)와,
    스팀분산부재(300)에 스팀노즐(200)을 도킹시키거나 도킹을 해제시키는 스팀노즐작동부재(400)와,
    스팀노즐(20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재(500)를 포함하고,
    스팀노즐(2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이 분기되어서 분사되도록 끝단 및 측방에 분사구(210)가 각각 형성되고,
    스팀분산부재(300)는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고정되고, 유입되는 스팀이 관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분산몸체(310)와,
    분산몸체(310)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스팀노즐(200)이 관통되는 노즐관통구(320)와,
    노즐관통구(320)에 형성되어 관통된 스팀노즐(200)이 분리가능하게 도킹되는 도킹부(330)와,
    도킹부(330)에 형성되어 스팀노즐(200)의 측방에 형성된 분사구(210)가 연통되어 분사구(210)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분산몸체(3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스팀유입구(340)와,
    분산몸체(310)에 분산되는 상태로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관류되는 스팀이 분산되어서 배출되는 스팀배출구(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스팀조리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팀노즐(200)의 스팀을 음식물에 집중시키기 위한 스팀집중부재(600)를 포함하며,
    스팀집중부재(600)는
    음식물이 담겨진 상태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스팀집중용기(610)와,
    스팀집중용기(610)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620)과,
    걸림턱(620)에 걸리도록 스팀노즐(200)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스팀조리케이스(100)에 형성되는 고정턱(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스팀조리기.
  4. 조리되기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도어(110)에 의해 개폐되는 스팀조리케이스(100)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에 분사하는 스팀노즐(200)과,
    스팀노즐(200)이 도킹된 상태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제공받아서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으로 분산시켜서 배출시키는 스팀분산부재(300)와,
    스팀분산부재(300)에 스팀노즐(200)을 도킹시키거나 도킹을 해제시키는 스팀노즐작동부재(400)와,
    스팀노즐(20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재(500)를 포함하고,
    스팀조리케이스(100)는
    내부공간에서 하부에 구비되어 도어(110)의 폐쇄동작에 의해 작동되어서 내부공간으로 수용되는 음식물을 포위하는 포위수단(130)과,
    내부공간에서 상부에 구비되어 도어(110)의 폐쇄동작에 의해 작동되어서 포위수단(130)을 커버하는 커버수단(140)을 포함하고,
    스팀노즐작동부재(400)는
    도어(110)에 연결되어 도어(110)와 함께 동작되어서 포위수단(130)을 동작시키는 포위수단동작부재(440)와,
    도어(110)에 연결되어 도어(110)와 함께 동작되어서 커버수단(140)을 동작시키는 커버수단동작부재(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스팀조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포위수단(130)은
    스팀조리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음식물의 후방을 포위하는 후방부재(131)와,
    후방부재(131)의 양측에 구비되어 포위수단동작부재(440)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어서 후방부재(131)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음식물의 전방을 포위하는 전방부재(132)를 포함하고,
    포위수단동작부재(440)는
    전방부재(132)에 고정되는 일측전방안내부재(441)와,
    다른 전방부재(132)에 고정되는 타측전방안내부재(442)와,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위운동을 지지하는 회전축(443)과,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체(444)와,
    도어(110)에 구비되는 포위당김부(445)와,
    포위당김부(445)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고 일측전방안내부재(441) 및 타측전방안내부재(442)에 각각의 타단이 연결되는 포위당김와이어(4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스팀조리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커버수단(140)은 스팀노즐(200)이 관통되게 고정된 상태로 포위수단(130)을 커버하도록 판재형태로 구성되고,
    커버수단동작부재(450)는
    도어(110)에 구비되는 커버당김부(451)와,
    커버당김부(451)에 일단이 연결되고 커버수단(140)에 타단이 연결되는 커버당김와이어(452)와,
    커버당김와이어(452)의 수평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를 지지하는 커버롤러(4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스팀조리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팀공급부재(500)는
    스팀으로 변환되기 위한 물이 채워지는 스팀통(510)과,
    스팀통(510)에 내장된 상태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520)와,
    스팀통(510) 및 스팀노즐(200)에 양단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스팀통(510)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스팀노즐(200)에 안내하는 스팀안내호스(530)와,
    스팀통(5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통(540)과,
    스팀통(510)에 구비되어 물통(540)의 물 공급을 조절하는 물조절부(550)와,
    스팀통(510)에 구비되어 스팀의 압력이 일정압력을 이상이면 일정스팀을 외부로 배출시켜서 스팀압력을 조절하는 스팀압력조절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스팀조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스팀통(510)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스팀몸체(511)와,
    스팀몸체(51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뚜껑(512)과,
    뚜껑(512)을 스팀몸체(511)에 결합시키는 뚜껑결합부(513)와,
    뚜껑(512)의 일측에 형성되어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514)와,
    뚜껑(5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스팀안내호스(530)가 연결되는 호스연결구(515)를 포함하고,
    물주입구(514)는
    뚜껑(512)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물통(540)의 주입구에 삽입되어서 물이 관류되는 내측연결부(514a)와,
    내측연결부(514a)를 포위하는 상태로 뚜껑(512)에 형성되어 물통(540)의 주입구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5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스팀조리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도어(110)가 개폐됨을 감지하는 도어센서(700)와,
    스팀조리케이스(100)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에 음식물이 수용됨을 감지하는 음식물센서(800)와,
    스팀노즐(200) 및 스팀노즐작동부재(400)를 컨트롤하는 스팀컨트롤러(900)를 포함하며,
    스팀컨트롤러(900)는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개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이 하강되도록 스팀노즐작동부재(400)를 조작하고, 스팀노즐(200)이 하강된 상태에서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개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이 상승되도록 스팀노즐작동부재(400)를 조작하는 승강조작부(910)와,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폐쇄됨을 감지하는 상태에서 음식물센서(800)가 음식물의 수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에서 스팀이 분사되도록 스팀공급부재(500)를 조작하고, 도어센서(700)가 도어(110)의 개방됨을 감지하면 스팀노즐(200)에서 스팀분사가 정지되도록 스팀공급부재(500)를 조작하는 스팀조작부(9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스팀조리기.
KR1020180019351A 2018-02-19 2018-02-19 폐쇄형 스팀조리기 KR10199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351A KR101990501B1 (ko) 2018-02-19 2018-02-19 폐쇄형 스팀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351A KR101990501B1 (ko) 2018-02-19 2018-02-19 폐쇄형 스팀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501B1 true KR101990501B1 (ko) 2019-06-18

Family

ID=6710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351A KR101990501B1 (ko) 2018-02-19 2018-02-19 폐쇄형 스팀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5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9161A (zh) * 2020-07-11 2020-10-13 聂芹芹 蒸汽烤箱
CN113729486A (zh) * 2021-09-30 2021-12-0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烹饪设备
CN114294633A (zh) * 2021-12-16 2022-04-08 深圳金诚卫浴有限公司 一种桑拿房蒸汽发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4012A (ja) * 2005-03-31 2006-10-19 Sharp Corp 加熱調理器
KR20130123554A (ko) * 2012-05-03 2013-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스팀오븐
JP6052740B2 (ja) * 2012-02-14 2016-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80001247A (ko) * 2016-06-27 2018-01-04 한용남 스팀 조리기
JP6283816B2 (ja) * 2014-02-24 2018-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4012A (ja) * 2005-03-31 2006-10-19 Sharp Corp 加熱調理器
JP6052740B2 (ja) * 2012-02-14 2016-1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30123554A (ko) * 2012-05-03 2013-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스팀오븐
JP6283816B2 (ja) * 2014-02-24 2018-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20180001247A (ko) * 2016-06-27 2018-01-04 한용남 스팀 조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9161A (zh) * 2020-07-11 2020-10-13 聂芹芹 蒸汽烤箱
CN113729486A (zh) * 2021-09-30 2021-12-0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烹饪设备
CN114294633A (zh) * 2021-12-16 2022-04-08 深圳金诚卫浴有限公司 一种桑拿房蒸汽发生器
CN114294633B (zh) * 2021-12-16 2024-01-16 深圳金诚卫浴有限公司 一种桑拿房蒸汽发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501B1 (ko) 폐쇄형 스팀조리기
JP6564760B2 (ja) 自動コーヒードリップ装置
KR101679167B1 (ko) 전자동 밥솥
KR100891262B1 (ko) 떡 제조용 찜질기
US4913039A (en) Steam generator cooker
KR102187401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US20110048243A1 (en)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Preinfusion Device
US20090252855A1 (en) Steam injection cooking device and method
KR20170105433A (ko) 가습장치
KR100767450B1 (ko) 스팀조리기
CN109124325B (zh) 烹饪设备
KR101571080B1 (ko) 스팀 조리기
KR101525350B1 (ko) 스팀 조리기
CN207604783U (zh) 烹饪设备
KR102164871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2048272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GB2585525A (en) Bever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cartridge
KR102003378B1 (ko)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CN209932474U (zh) 一种电烤箱的手动喷雾装置
KR101905774B1 (ko) 증기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압력밥솥
KR102050669B1 (ko) 무압 증기발생장치
KR102094332B1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KR101945403B1 (ko)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CN220695039U (zh) 烹饪装置
CN210408121U (zh) 一种烹饪器具用的加水装置及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