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471B1 -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471B1
KR101989471B1 KR1020190025882A KR20190025882A KR101989471B1 KR 101989471 B1 KR101989471 B1 KR 101989471B1 KR 1020190025882 A KR1020190025882 A KR 1020190025882A KR 20190025882 A KR20190025882 A KR 20190025882A KR 101989471 B1 KR101989471 B1 KR 10198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uman body
moving direction
spac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주
Original Assignee
이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주 filed Critical 이선주
Priority to KR102019002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3/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53Optical arrangements having infrared absorbers other than the usual absorber layers deposited on infrared detectors like bolometers, wherein the heat propagation between the absorber and the detecting element occurs within a solid
    • G01K13/00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4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soli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H05B37/0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공간에 설치된 인체 감지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객체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객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변화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검지부, 상기 판단 결과를 기 연결된 장치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 감지 장치를 지나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 등을 고려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예측,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체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OUTDOOR TYPE HUMAN BODY DETECTION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SOLVING MALFUNCTION PROBLEM}
본 발명은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오인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체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감지센서(Passive Infrared Sensor)를 이용한 인체감지장치는 인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로, 재실감지기, 오토라이팅 등에 사용된다.
종래의 인체감지장치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해 인체를 감지하므로, 실외 온도가 높은 경우 오작동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능동형 적외선 센서를 추가로 활용하거나(한국공개특허 10-2004-0084127, 2004.10.06. 공개), 도플러 센서를 이용하는(한국공개특허 10-2017-0083365, 2017.07.18. 공개) 등의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IoT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체감지장치의 활용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건물 제어 시스템과 연계되어 더 높은 정밀성과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인체 감지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면서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의 필요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능동적이고 정밀하게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인체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 감지 장치를 지나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 등을 고려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예측,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체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인체를 감지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감지 장치가 서로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 감지 장치의 구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공간에 설치된 인체 감지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객체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객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변화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검지부, 상기 판단 결과를 기 연결된 장치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공간에 설치된 인체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좌우로 회전 가능한 몸체에 구비된 상하 회전 수단에 부착된 제1 센서가 임의의 객체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상하 회전 수단에 부착된 제2 센서가 상기 객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공간의 온도 변화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기 연결된 장치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 감지된 움직임 및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 및 상기 상하 회전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더욱 능동적이고 정밀하게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 감지 장치를 지나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 등을 고려하여 인체 감지 여부를 예측,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체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감지 장치가 서로 연계하여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 감지 장치의 구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감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감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감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감지 장치(100)는 센서부(110), 검지부(130), 분석부(150), 제어부(160), 전력 제어부(170), 통신부(180), 저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임의의 객체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113)와 객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공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 센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일 수 있으며, 제2 센서는 PIR 센서일 수 있다. 제2 센서는 감지영역의 범위를 넓히고 감도를 높이기 위해 객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의 초점을 모으기 위한 광학 장치(렌즈 또는 미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13) 및 제2 센서(115)를 포함하는 센서부(110)는 좌우로 회전 가능한 몸체(103)에 구비된 상하 회전 수단(105)에 부착되어 상하 좌우 전 영역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서부(110)의 방향은 제어부(17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달라질 수 있다.
검지부(130)는 제1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변화가 기준값 이상이면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온도 변화 뿐 아니라 움직임을 고려하여 인체를 감지하므로, 센서 주변 온도가 상승하면 감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PIR 센서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EO의 오작동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분석부(15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 감지된 움직임 및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시점에 <A>에서 객체의 움직임 및 온도 변화가 감지되고, 제1 시점 보다 늦은 제2 시점에 <B>에서 객체의 움직임 및 온도 변화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A>에서 <B>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분석부(150)는 객체 움직임이 감지된 <A>의 위치와 <B>의 위치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 벡터를 계산할 수 있으며, 객체의 이동 방향 벡터의 연장선 상에 위치한 다른 인체 감지 장치를 저장부(190)에서 검색하여, 원격 제어 신호의 전송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나아가 분석부(150)는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 감지된 움직임과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는 A, B의 위치와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의 시간 차를 이용하면 측정 가능하다. 분석부(150)가 연산한 객체의 이동 속도는 다른 인체 감지 장치에 전송되는 원격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천장에 인체 감지 장치가 부착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인체 감지 장치는 실외에서 동작 가능하므로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 실외 전신주, 기둥 등에 설치되어 동작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제어부(160)는 분석부(150)의 객체 이동 방향 분석 결과에 따라 센서부(110)가 객체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몸체 및 상하 회전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A>와 <B>에서 움직임 및 온도 변화가 감지되면, 분석부(150)는 객체의 이동방향이 우측 방향으로 분석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우측 방향으로 센서부(1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103)를 회전시키거나 상하 회전 수단(10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센서가 센싱할 수 있는 영역이 빗금 친 부분(10a)에 해당한다면, 센서부(110)가 더 우측 상단으로 회전함으로 인해 센싱할 수 있는 영역은 20a로 넓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져 인체 감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능 - 오토 라이팅, 재실 감지를 이용한 공조 제어 - 등을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세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넓은 공간에 장치를 부착해야하는 경우 장치의 개수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상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공간에 설치된 인체 감지 장치에 객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인체 감지 장치로부터 제1 객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60)는 제1 객체의 이동 방향을 이용하여 센서부가 제1 객체를 향하도록 몸체 및 상하 회전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 감지 장치(100b)가 인체 감지장치(100a)로부터 도 3에 도시된 객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했다고 가정하자. 인체 감지 장치(100b)의 제어부는 <A>에서 <B>로 이동 중인 객체의 이동 방향을 이용하여 센서부가 <B>에 위치한 사람을 향하도록 몸체(103) 및 상하 회전 수단(10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인체 감지 장치(100b)의 센서부(110)는 장치(100b)를 향해 다가오는 사람의 현재 위치 방향(좌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몸체(103) 및 상하회전 수단(105)이 지원하는 최대 각도로 회전했다고 가정할 때, 도 3에서 센서부가 센싱할 수 있는 영역은 <C>영역이며, 장치(100b)는 <C>영역에 객체가 진입하는 순간 객체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인체 감지가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오작동도 줄어들 수 있다. 만일 인체 감지 장치(100b)가 오토라이팅 장치와 연계된 것이면, 사람(객체)가 장치(100b)와 매우 근접한 10b 영역까지 진입하지 않아도 <C>영역에 진입하는 순간 감지가 이루어져 조명이 동작한다. 따라서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마치 해당 영역에 진입할 것을 기기가 예상하고 동작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인체 감지 장치들의 순차적 감지(동작) 결과는 서버로 전송되며, 시간에 따른 동작 패턴을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100a -> 100c -> 100f 또는 100a -> 100b 등으로 이루어지는 인체 감지 장치들의 시계열 동작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인체 감지 장치들의 시계열적 동작 패턴을 학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체 감지 장치의 동작 패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학습된 동작 패턴 모델은 인체 감지 장치 그룹의 전력 제어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공간에서 특정 시간대 X에 100a -> 100b로 이어지는 동작 패턴이 임계치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 경우 서버는 100a 와 100b를 활성화 장치로 지정할 수 있으며, 특정 시간대 X에 활성화 장치의 제1 센서와 제2 센서는 항상 동작할 수 있다(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시간대 X에 활성화 장치로 지정되지 않은 100c 와 100d는 제1 센서만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두 장치에서는 센서 하나만 동작하게 되므로 시간대 X에는 에너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단순히 인체 감지 장치에서 센서부가 회전하는 것과는 상이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인체 감지 장치(100a 내지 100d)는 상호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의 다른 인체 감지 장치의 상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시점에 동작할 가능성이 높은 인체 감지 장치가 민감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인체 감지 장치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력 제어부(170)는 다른 인체 감지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센서 및 제2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고,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여 제2 센서가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2 센서가 동작하도록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센서만 사용하면 정확도는 떨어지나 에너지는 절감되고, 두 개의 센서를 모두 사용하면 민감도와 정확도가 증가하나 에너지가 많이 사용되므로, 본 발명은 현재 시점 이후에 동작할 가능성이 높은 인체 감지 장치만 민감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인체 감지 장치들이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전력 제어부(170)는 검지부(130)의 판단 결과를 분석하여 활성화 시간대 및 비활성화 시간대를 설정하고, 활성화 시간대에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고, 비활성화 시간대에는 제1 센서가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제2 센서가 동작하도록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시간대는 객체 감지 횟수가 기 설정된 최솟값 미만인 시간대이며, 비활성화 시간대는 객체 감지 횟수가 최솟값을 초과하는 시간대일 수 있으며, 검지부(130)의 판단 결과 분석 및 시간대의 설정은 전력 제어부(170)가 아닌 서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미도시)에서 분석 및 시간대 설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서버는 검지부(130)의 판단 결과를 수집, 저장하여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서버는 분석 결과에 따른 시간대 설정 값을 전력 제어부(170)로 전송하고, 전력 제어부(170)는 수신된 시간대 설정값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검지부(130)의 판단 결과를 기 연결된 장치 또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기 연결된 장치는 복수의 다른 인체 감지 장치일 수 있으며, 인체 감지 정보를 활용하는 재실 감지 시스템, 조명 제어 시스템, 건물 제어 시스템, 공조 시스템 등일 수 있다. 통신부(18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의 다른 인체 감지 장치, 단말, 전자 기기 또는 서버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등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의 다른 인체 감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모듈로, 인체 감지 장치가 그룹으로 설치된 경우, 분석부(150) 또는 제어부(16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모듈에 인체 감지 장치들의 상대 위치 정보 또는 절대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체 감지 장치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임의의 공간에 설치된 인제 감지 장치 1(이하, 감지 장치 1이라 함)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한 몸체에 구비된 상하 회전 수단에 부착된 제1 센서가 임의의 객체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S100), 상하 회전 수단에 부착된 제2 센서가 객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공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S200). 감지 장치 1은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공간의 온도 변화가 기준값 이상이면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S400), 판단 결과를 기 연결된 장치 또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500). 다음으로 감지 장치 1은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 감지된 움직임 및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며(S600), 분석 결과에 따라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객체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몸체 및 상하 회전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S630). 감지 장치 1은 객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자신의 모듈을 제어하는 것 뿐 아니라,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벡터의 연장선 상에 있는 다른 감지 장치(감지 장치 2), 즉 사용자를 감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감지 장치에 이동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650).
다른 실시 예로, 단계 400에서의 판단 결과는 서버에 전송될 수 있으며(S500), 서버는 이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S730). 이동 방향의 분석은 복수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므로, 서버 역시 제1 시점과 제2 시점에 감지된 움직임 및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서버는 단일 기기에서 수집된 복수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감지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는 객체의 이동 방향 분석 결과에 따라 객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50).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한 감지 장치 2는 원격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객체의 이동 방향을 이용하여 감지 장치 2에 포함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다가오는 객체를 향하도록 몸체 및 상하 회전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감지 장치 2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사용자의 방향으로 센서를 향하게 함으로써 대기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감지 가능한 영역에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넓은 범위에서 높은 민감도로 빠르게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500에서 감지 장치 1의 판단 결과(사용자가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결과)는 감지 장치 1에 연결된 조명 장치 1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조명 장치 1은 판단 결과에 따라 조명을 ON/OFF 함으로써 오토라이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감지 장치에 연결되는 전자 기기는 조명 장치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재실 감지 시스템, 공조 시스템 등 인체 감지 정보를 활용하는 모든 IoT 시스템 구성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 일부 실시 예는 그 실시 주체가 동일한 경우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인체 감지 장치
110: 센서부
130: 검지부
150: 분석부
160: 제어부
170: 전력 제어부
180: 통신부
190: 저장부

Claims (6)

  1. 임의의 공간에 설치된 인체 감지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객체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객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좌우로 회전 가능한 몸체에 구비된 상하 회전 수단에 부착되는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변화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검지부;
    상기 판단 결과를 다른 인체 감지 장치, 단말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 감지된 움직임 및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부가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 및 상기 상하 회전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체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장치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된 복수의 다른 인체 감지 장치의 상대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공간에 설치된 인체 감지 장치에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인체 감지 장치로부터 제1 객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객체의 이동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 객체를 향하도록 상기 몸체 및 상하 회전 수단을 제어하는 인체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다른 인체 감지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센서가 동작하도록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체 감지 장치.
  4. 임의의 공간에 설치된 인체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좌우로 회전 가능한 몸체에 구비된 상하 회전 수단에 부착된 제1 센서가 임의의 객체에서 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상하 회전 수단에 부착된 제2 센서가 상기 객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공간의 온도 변화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다른 인체 감지 장치, 단말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제1 시점 및 제2 시점에 감지된 움직임 및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객체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 및 상기 상하 회전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체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다른 인체 감지 장치로부터 제1 객체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객체의 이동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객체를 향하도록 상기 몸체 및 상기 상하 회전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체 감지 장치의 동작 방법.


  6. 삭제
KR1020190025882A 2019-03-06 2019-03-06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82A KR101989471B1 (ko) 2019-03-06 2019-03-06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82A KR101989471B1 (ko) 2019-03-06 2019-03-06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471B1 true KR101989471B1 (ko) 2019-06-14

Family

ID=6684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882A KR101989471B1 (ko) 2019-03-06 2019-03-06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4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861A (ko) 2022-01-21 2023-07-28 차재영 초전 센서 및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인체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3745A (ko) 2022-08-16 2024-02-23 주식회사 호서텔넷 감지 임계값들을 변경하여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pir 감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790A (ko) * 2003-12-24 2005-06-29 (주)태성엠아이에스 마이크로웨이브와 적외선을 이용한 복합 감지기
KR100558318B1 (ko) * 2006-01-14 2006-03-13 한국이미지시스템(주) 물체 감시를 위한 듀얼형 모니터링 장치
KR101271385B1 (ko) * 2012-10-17 2013-06-05 주식회사 비전테크 지능형 보안 장치
KR20150107506A (ko) * 2014-03-14 2015-09-23 벨로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목표 피사체 정밀 추적 및 촬영용 팬틸트 일체형 감시카메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790A (ko) * 2003-12-24 2005-06-29 (주)태성엠아이에스 마이크로웨이브와 적외선을 이용한 복합 감지기
KR100558318B1 (ko) * 2006-01-14 2006-03-13 한국이미지시스템(주) 물체 감시를 위한 듀얼형 모니터링 장치
KR101271385B1 (ko) * 2012-10-17 2013-06-05 주식회사 비전테크 지능형 보안 장치
KR20150107506A (ko) * 2014-03-14 2015-09-23 벨로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목표 피사체 정밀 추적 및 촬영용 팬틸트 일체형 감시카메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861A (ko) 2022-01-21 2023-07-28 차재영 초전 센서 및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인체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23745A (ko) 2022-08-16 2024-02-23 주식회사 호서텔넷 감지 임계값들을 변경하여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pir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82551A1 (en) Occupant counting device
KR101754407B1 (ko)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US10627500B2 (en) Occupancy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964515B (zh) 用于定位系统的电子信标
US11363699B2 (en) Device for providing an action upon detecting an object in a space
US20110089841A1 (en)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light-system
US20230118747A1 (en) Real time locating system having lighting control devices
KR101989471B1 (ko)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1113B1 (ko) 탐지용 하이브리드 가시광 rfid 태그 및 이에 사용되는 로봇시스템
KR100616774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체의 위치인식시스템 및위치인식방법
US202304035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issioning environmental sensors
US11729372B2 (en) Drone-assisted sensor mapping
KR100776804B1 (ko) 센서 네트워크 통신 연동이 가능한 위치인식장치 및 방법
KR100781577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pir 센서기반 댁내 위치인식시스템
KR101134988B1 (ko) 움직임 검출센서를 이용한 시스템 에어컨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65072B1 (ko) 인체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647461B1 (ko) 복합 센서들을 구비하는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그 위치인식 방법
CN209731576U (zh) 一种基于无线信号的人体存在检测系统
KR101312069B1 (ko) 이동체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JP6748910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ターゲット
KR102461220B1 (ko) 초광대역 무선 기술을 이용한 모바일 로봇의 추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0920B1 (ko) 다중 타겟의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08923B1 (ko) 비콘 신호의 신뢰성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017419B1 (ko)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CN116847321A (zh) 一种蓝牙信标系统以及蓝牙定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