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413B1 -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9413B1 KR101989413B1 KR1020190023261A KR20190023261A KR101989413B1 KR 101989413 B1 KR101989413 B1 KR 101989413B1 KR 1020190023261 A KR1020190023261 A KR 1020190023261A KR 20190023261 A KR20190023261 A KR 20190023261A KR 101989413 B1 KR101989413 B1 KR 1019894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horizontal
- base
- finishing
- suppor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거치시켜서 인터넷서핑이나 동영상감상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종이재로 이루어져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일단에서 수직되는 수직부(200)와, 수직부(200)에 연이어져서 수평상태로 스마트폰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받침부(300)와, 하부받침부(30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이 걸려서 고정되는 받침고정부(400)와,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받침부(300)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는 받침지지부(500)와, 하부받침부(300)에 연이어져서 기립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부(600)와, 배면지지부(600)에서 수평되는 수평부(700)와, 수평부(700)에 연이어진 상태로 베이스부(10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배면지지부(600)의 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일단에서 수직되는 수직부(200)와, 수직부(200)에 연이어져서 수평상태로 스마트폰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받침부(300)와, 하부받침부(30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이 걸려서 고정되는 받침고정부(400)와,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받침부(300)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는 받침지지부(500)와, 하부받침부(300)에 연이어져서 기립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부(600)와, 배면지지부(600)에서 수평되는 수평부(700)와, 수평부(700)에 연이어진 상태로 베이스부(10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배면지지부(600)의 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8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거치시켜서 인터넷서핑이나 동영상감상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종이재로 이루어져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세워서 고정시키기 위해 일정 형태를 갖도록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도록 완제품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주로 가정용이나 차량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전술한 스마트폰 거치대가 사출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제작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서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10-2017-0069709호가 2017년06월21일자로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을 거치시켜서 인터넷서핑이나 동영상감상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종이재로 이루어져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일단에서 수직되는 수직부(200)와, 수직부(200)에 연이어져서 수평상태로 스마트폰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받침부(300)와, 하부받침부(30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이 걸려서 고정되는 받침고정부(400)와,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받침부(300)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는 받침지지부(500)와, 하부받침부(300)에 연이어져서 기립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부(600)와, 배면지지부(600)에서 수평되는 수평부(700)와, 수평부(700)에 연이어진 상태로 베이스부(10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배면지지부(600)의 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800)와, 배면지지부(60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배면지지부(600)에서 타단이 분리되어 스마트폰의 상부를 걸어서 지지하는 고리부(900)와, 수평부(70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수평부(700)에서 타단이 분리되어 고리부(900)의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리지지부(910)를 포함하며, 고리부(900)에는 고정홈(930)이 형성되고, 고리지지부(910)는 고리부(900)의 고정홈(930)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타단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받침지지부(500)는 끝단에서 양측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고정홀(110)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받침지지부(500)는 하부받침부(300)에서 배면지지부(600)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태로,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면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와 배면지지부(600)의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일단에서 수직되는 수직부(200)와, 수직부(200)에 연이어져서 수평상태로 스마트폰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받침부(300)와, 하부받침부(30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이 걸려서 고정되는 받침고정부(400)와,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받침부(300)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는 받침지지부(500)와, 하부받침부(300)에 연이어져서 기립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부(600)와, 배면지지부(600)에서 수평되는 수평부(700)와, 수평부(700)에 연이어진 상태로 베이스부(10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배면지지부(600)의 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800)와, 마감부(800)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걸이부(930)와, 걸이부(930)의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940)와, 걸림돌기(940)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마감부(800)에 형성되는 걸이홈(950)과, 걸이부(930)에 형성되는 결합홀(960)과, 걸이부(930)의 상부로 이격되면서 마감부(800)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걸이지지부(970)와, 걸이지지부(97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타단이 마감부(800)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결합홀(960)에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9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걸이부(930)의 일단은 마감부(800)의 상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걸이부(930)의 타단은 마감부(80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고, 걸림돌기(940)는 걸이부(930)의 타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며, 걸이홈(950)은 걸이부(930)의 일단 및 타단의 사이에서 걸이부(930)의 양측에 위치하면서 마감부(8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결합홀(960)은 걸이부(930)에서 상부에 형성되고, 걸이지지부(970)는 걸이부(930)의 상부에서 오른쪽이 마감부(800)에서 분리가능하면서 왼쪽이 마감부(800)에 연이어지며, 결합돌기(980)는 걸이지지부(970)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로 결합홀(960)에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책상이나 테이블에 위치된 상태로 스마트폰을 거치시켜서 인터넷서핑이나 동영상감상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종이재로 이루어져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어서, 건조되지 않은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거치대의 표면에 광고를 인쇄하여 거치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광고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완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후를 지지하는 트러스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상부를 구속하는 고리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고리가 배면지지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고리지지부가 수평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고리지지부가 고리를 지지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걸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걸이부에 대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걸이부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완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후를 지지하는 트러스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상부를 구속하는 고리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고리가 배면지지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고리지지부가 수평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고리지지부가 고리를 지지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걸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걸이부에 대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걸이부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베이스부(100)와, 수직부(200)와, 하부받침부(300)와, 받침고정부(400)와, 받침지지부(500)와, 배면지지부(600)와, 수평부(700)와, 마감부(8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은 골판지를 판재형태로 가공하여 절곡시키면서 연결하여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직부(200)와, 배면지지부(600)와, 수평부(700)에 광고를 인쇄하여 거치대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지면, 책상, 테이블 등에 위치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00)에는 받침지지부(500)가 삽입되어서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110)이 형성되고, 베이스부(100)의 타단에는 마감부(800)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120)가 형성된다.
수직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일단에서 수직된다.
하부받침부(300)는 수직부(200)에 연이어져서 수평상태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스마트폰의 하부를 받친다. 이러한, 하부받침부(300)는 수직부(200) 및 받침고정부(400)에 의해 베이스부(100)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종이재질의 탄성에 의해 스마트폰이 올려 질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쿠션부재가 구비되지 않아도 스마트폰의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받침고정부(400)는 하부받침부(30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이 걸려서 고정된다. 즉, 받침고정부(400)에 스마트폰이 걸리면 스마트폰이 하부받침부(300)에서 미끄러져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세워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받침지지부(500)는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받침부(300)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베이스부(100)에 지지된다. 이러한, 받침지지부(500)의 둘레에 형성된 절개선을 절개하면 받침지지부(500)이 하부받침부(300)에서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지지부(500)는 끝단에서 양측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의 고정홀(110)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므로, 하부받침부(300)에 스마트폰이 위치되어도 하부받침부(300)가 내려앉지 않고 수평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받침지지부(500)는 하부받침부(300)에서 배면지지부(600)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배면지지부(600)의 하부에 연이어진 상태로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면,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와 배면지지부(600)의 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받침부(30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배면지지부(600)에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타단이 분리되어서 수직부(200)에 지지되는 전단지지부(510)와, 하부받침부(30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배면지지부(600)에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타단이 분리되어서 마감부(800)에 지지되는 후단지지부(5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단지지부(510)가 수직부(200)에 지지되고 후단지지부(520)가 마감부(800)에 지지되어 전체적으로 트러스구조가 형성된 상태에서, 수직부(200)가 후방으로 가압되어도 후단지지부(520)가 마감부(800)에 지지되므로 수직부(20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마감부(800)가 전방으로 가압되어도 전단지지부(510)가 수직부(200)에 지지되므로 마감부(8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단지지부(510) 및 후단지지부(520)에 의해 수직부(200) 및 마감부(800)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하부받침부(300)에 태블리PC와 같은 무거운 디스플레이가 안착되어도 전체적인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지지부(600)는 하부받침부(300)에 연이어져서 기립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배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배면지지부(600)가 기립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배면을 지지하므로, 스마트폰의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어 스마트폰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서 현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배면지지부(600)는 스마트폰이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부받침부(300)에서 후방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700)는 배면지지부(600)에서 수평되는 것으로, 배면지지부(600)의 상부 및 마감부(800)의 상부에 양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된다.
마감부(800)는 수평부(700)에 연이어진 상태로 베이스부(10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배면지지부(600)의 후방을 마감한다. 그리고, 마감부(800)에는 베이스부(100)의 고정돌기(120)가 삽입되어서 고정되기 위한 마감홀(810)이 형성된다. 따라서, 마감부(800)는 기립된 상태에서 마감홀(810)에 베이스부(100)의 고정돌기(120)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면 마감부(800)가 수평부(700)에서 베이스부(100)까지 수직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골판지로 제조되는 본 발명을 접으면서 받침지지부(500)를 베이스부(100)에 연결하면서 마감부(800)를 베이스부(100)에 연결하면, 하부받침부(300)가 수평되면서 배면지지부(600)가 기립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하부를 하부받침부(300)에 지지시키면서 스마트폰의 배면을 배면지지부(600)에 지지시키면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면지지부(60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배면지지부(600)에서 타단이 분리되어 스마트폰의 상부를 걸어서 구속하는 고리부(900)와, 수평부(70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수평부(700)에서 타단이 분리되어 고리부(900)를 지지하여 고리부(900)가 스마트폰을 구속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리지지부(910)를 포함한다.
고리부(900)는 일단이 배면지지부(600)에 수평되게 연이어지고 타단이 일단에서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절곡된 타단이 스마트폰의 상부를 걸어서 고정한다.
고리지지부(910)는 판재형태로 형성된다.
고리부(900)에는 고정홈(920)이 형성되고, 고리지지부(910)는 고리부(900)의 고정홈(920)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타단이 절곡된다.
따라서, 고리지지부(910)의 타단이 고리부(900)의 고정홈(920)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면 고리부(900)가 스마트폰의 상부를 걸어서 고정하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거치대가 전방으로 기울어져도 (400)에 의해 스마트폰의 하부가 걸리고 고리부(900)에 의해 스마트폰의 상부가 걸리게 되므로, 스마트폰이 거치대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감부(800)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걸이부(930)와, 걸이부(930)의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940)와, 걸림돌기(940)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마감부(800)에 형성되는 걸이홈(950)과, 걸이부(930)에 형성되는 결합홀(960)과, 걸이부(930)의 상부로 이격되면서 마감부(800)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걸이지지부(970)와, 걸이지지부(97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타단이 마감부(800)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결합홀(960)에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980)를 포함한다.
걸이부(930)의 일단은 마감부(800)의 상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걸이부(930)의 타단은 마감부(80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940)는 걸이부(930)의 타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된다.
걸이홈(950)은 걸이부(930)의 일단 및 타단의 사이에서 걸이부(930)의 양측에 위치하면서 마감부(800)에 형성된다. 이러한, 걸이홈(950)은 따라서, 걸림돌기(940)가 결합홀(960)에 걸리게 되면 걸이부(930)가 링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링형태를 이루는 걸이부(930)가 차량이나 실내에 구비되는 샤프트나 로프에 걸려서 고정된다.
결합홀(960)은 걸이부(930)에서 상부에 형성된다.
걸이지지부(970)는 걸이부(930)의 상부에서 오른쪽이 마감부(800)에서 분리가능하면서 왼쪽이 마감부(800)에 연이어진다. 따라서, 걸이지지부(970)는 오른쪽이 마감부(800)에서 분리되어서 걸이부(930)의 상부에 지지된다. 즉, 걸이지지부(970)는 왼쪽이 마감부(800)에 연결된 상태로 오른쪽이 걸이부(930)의 상부를 지지하므로 샤프트에 걸리는 걸이부(930)가 상부로 꺽이지 않으면서 링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걸이지지부(970)는 전술한 바와 반대로 왼쪽이 마감부(800)에서 분리가능하면서 오른쪽이 마감부(800)에 연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이지지부(970)는 수직상태로 걸이부(930)의 상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걸이부(930)의 변형 및 찢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돌기(980)는 걸이지지부(970)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로 결합홀(960)에 삽입되어서 결합되므로 걸이지지부(970)가 걸이부(930)의 상부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걸이부(930)가 차량이나 실내에 구비되는 샤프트나 로프에 걸려서 고정되므로 본 발명의 거치대는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면에 위치시켜서 사용하거나 지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책상이나 테이블에 위치된 상태로 스마트폰을 거치시켜서 인터넷서핑이나 동영상감상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종이재로 이루어져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 거치대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이스부
200 : 수직부
300 : 하부받침부
400 : 받침고정부
500 : 받침지지부
600 : 배면지지부
700 : 수평부
800 : 마감부
900 : 고리부
910 : 고리지지부
920 : 고정홀
930 : 걸이부
940 : 걸림돌기
950 : 걸이홈
960 : 결합홀
970 : 걸이지지부
980 : 결합돌기
200 : 수직부
300 : 하부받침부
400 : 받침고정부
500 : 받침지지부
600 : 배면지지부
700 : 수평부
800 : 마감부
900 : 고리부
910 : 고리지지부
920 : 고정홀
930 : 걸이부
940 : 걸림돌기
950 : 걸이홈
960 : 결합홀
970 : 걸이지지부
980 : 결합돌기
Claims (8)
-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일단에서 수직되는 수직부(200)와,
수직부(200)에 연이어져서 수평상태로 스마트폰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받침부(300)와,
하부받침부(30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이 걸려서 고정되는 받침고정부(400)와,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받침부(300)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는 받침지지부(500)와,
하부받침부(300)에 연이어져서 기립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부(600)와,
배면지지부(600)에서 수평되는 수평부(700)와,
수평부(700)에 연이어진 상태로 베이스부(10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배면지지부(600)의 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800)와,
배면지지부(60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배면지지부(600)에서 타단이 분리되어 스마트폰의 상부를 걸어서 지지하는 고리부(900)와,
수평부(70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수평부(700)에서 타단이 분리되어 고리부(900)의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리지지부(910)를 포함하며,
고리부(900)에는 고정홈(930)이 형성되고,
고리지지부(910)는 고리부(900)의 고정홈(930)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타단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지지부(500)는 끝단에서 양측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고정홀(110)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지지부(500)는 하부받침부(300)에서 배면지지부(600)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태로,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면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와 배면지지부(600)의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삭제
- 삭제
-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의 일단에서 수직되는 수직부(200)와,
수직부(200)에 연이어져서 수평상태로 스마트폰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받침부(300)와,
하부받침부(30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스마트폰이 걸려서 고정되는 받침고정부(400)와,
하부받침부(30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받침부(300)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는 받침지지부(500)와,
하부받침부(300)에 연이어져서 기립된 상태로 스마트폰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부(600)와,
배면지지부(600)에서 수평되는 수평부(700)와,
수평부(700)에 연이어진 상태로 베이스부(10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배면지지부(600)의 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800)와,
마감부(800)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걸이부(930)와,
걸이부(930)의 타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940)와,
걸림돌기(940)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마감부(800)에 형성되는 걸이홈(950)과,
걸이부(930)에 형성되는 결합홀(960)과,
걸이부(930)의 상부로 이격되면서 마감부(800)에 일단이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걸이지지부(970)와,
걸이지지부(970)에 일단이 연이어지면서 타단이 마감부(800)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어 결합홀(960)에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9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청구항 6에 있어서,
걸이부(930)의 일단은 마감부(800)의 상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걸이부(930)의 타단은 마감부(80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고,
걸림돌기(940)는 걸이부(930)의 타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며,
걸이홈(950)은 걸이부(930)의 일단 및 타단의 사이에서 걸이부(930)의 양측에 위치하면서 마감부(8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청구항 6에 있어서,
결합홀(960)은 걸이부(930)에서 상부에 형성되고,
걸이지지부(970)는 걸이부(930)의 상부에서 오른쪽이 마감부(800)에서 분리가능하면서 왼쪽이 마감부(800)에 연이어지며,
결합돌기(980)는 걸이지지부(970)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태로 결합홀(960)에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3261A KR101989413B1 (ko) | 2019-02-27 | 2019-02-27 | 스마트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3261A KR101989413B1 (ko) | 2019-02-27 | 2019-02-27 | 스마트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9413B1 true KR101989413B1 (ko) | 2019-06-14 |
Family
ID=6684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3261A KR101989413B1 (ko) | 2019-02-27 | 2019-02-27 | 스마트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941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3092B1 (ko) * | 2019-04-26 | 2020-05-20 | (주)우리포장산업 | 각도조절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
KR102271484B1 (ko) | 2020-01-03 | 2021-07-01 | 주식회사 스마트올리브 | 거치대와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
KR20230070612A (ko) | 2021-11-15 | 2023-05-23 | 권민석 |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폰 거치대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4687U (ja) * | 2012-01-20 | 2012-03-29 | 純一 多度 | 携帯機器スタンド |
JP3183829U (ja) * | 2013-03-22 | 2013-05-30 | 株式会社トラスト | スタンドホルダ |
JP2014165598A (ja) * | 2013-02-22 | 2014-09-08 | Seiwa Material:Kk | 携帯情報端末機器の簡易スタンド |
KR20140146466A (ko) * | 2013-06-17 | 2014-12-26 | 강영복 | 시트형 휴대폰 거치대 |
KR20160019136A (ko) * | 2014-08-11 | 2016-02-19 | 유영훈 | 접이식 스마트폰 거치대 |
-
2019
- 2019-02-27 KR KR1020190023261A patent/KR1019894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4687U (ja) * | 2012-01-20 | 2012-03-29 | 純一 多度 | 携帯機器スタンド |
JP2014165598A (ja) * | 2013-02-22 | 2014-09-08 | Seiwa Material:Kk | 携帯情報端末機器の簡易スタンド |
JP3183829U (ja) * | 2013-03-22 | 2013-05-30 | 株式会社トラスト | スタンドホルダ |
KR20140146466A (ko) * | 2013-06-17 | 2014-12-26 | 강영복 | 시트형 휴대폰 거치대 |
KR20160019136A (ko) * | 2014-08-11 | 2016-02-19 | 유영훈 | 접이식 스마트폰 거치대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3092B1 (ko) * | 2019-04-26 | 2020-05-20 | (주)우리포장산업 | 각도조절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
KR102271484B1 (ko) | 2020-01-03 | 2021-07-01 | 주식회사 스마트올리브 | 거치대와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
KR20210087900A (ko) | 2020-01-03 | 2021-07-13 | 주식회사 스마트올리브 | 거치대와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
KR20210087901A (ko) | 2020-01-03 | 2021-07-13 | 주식회사 스마트올리브 | 거치대와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
KR20230070612A (ko) | 2021-11-15 | 2023-05-23 | 권민석 |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폰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9413B1 (ko) | 스마트폰 거치대 | |
US5451026A (en) | Picture frame stand | |
USD930004S1 (en) | Document holder and laptop stand | |
US7946067B2 (en) | Picture frame with tilt display and support | |
KR101573528B1 (ko) |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 |
TW201216705A (en) | Support structure of display apparatus | |
US9971237B2 (en) | Portable screen for setting up outdoors to display images | |
TW201516303A (zh) | 立架及鉸鏈 | |
US20040251223A1 (en) | Foldable stepped display stand having shelves with open sides | |
KR102113092B1 (ko) | 각도조절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 | |
US20050017149A1 (en) | Paper holder structure | |
KR101591869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장치 | |
KR20210024858A (ko) | 다용도 독서대 | |
KR20150144476A (ko) | 평면모니터용 스마트폰 거치대 | |
KR20140142078A (ko) |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 |
KR101582465B1 (ko) | 조립식 휴대폰 거치장치 | |
KR20220103419A (ko) | 액자 받침대 | |
KR200485877Y1 (ko) |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 |
KR20170001384U (ko) | 탈착식 선반 | |
KR200477782Y1 (ko) | 휴대용 접이식 거치대 | |
KR20150019222A (ko) |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 |
KR200174780Y1 (ko) | 휴대폰 거치대 | |
KR101783118B1 (ko) | 간이 테이블 | |
KR200203054Y1 (ko) | 현수막 설치대 | |
CN220898209U (zh) | 一种便携式写生画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