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279B1 - 이중선체보트 - Google Patents

이중선체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279B1
KR101989279B1 KR1020180056228A KR20180056228A KR101989279B1 KR 101989279 B1 KR101989279 B1 KR 101989279B1 KR 1020180056228 A KR1020180056228 A KR 1020180056228A KR 20180056228 A KR20180056228 A KR 20180056228A KR 101989279 B1 KR101989279 B1 KR 101989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air
buffer
hole
cushio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김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일 filed Critical 김재일
Priority to KR102018005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5/00Liquid springs in which the liquid works as a spring by compression, e.g. combined with throttling action; Combinations of devices including liqui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2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2043/18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using shock absorbing telescoping buffers
    • B63B2732/00
    • B63B273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선체보트는, 추진부가 연결되며 수면에 잠겨 부력을 발생시키는 제1 선체, 상기 제1 선체와 이격되어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선체 내부에 위치하는 탑승부와 장치부를 가지며, 상기 장치부에는 에어유입홀이 형성된 제2 선체 및 상기 제2 선체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며 상기 완충공간에 위치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에어유입홀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완충부재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가지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선체보트{DUAL-HULL BOAT}
본 발명은 이중선체보트에 관한 것이다.
보트는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와 같은 수상에서 이동을 위해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부력을 통해 물 위에 부양하는 선체, 탑승자가 탑승하는 탑승부, 보트의 방향을 조향할 수 있는 조향부 및 노 또는 모터 등으로 추진력을 확보하는 추진부로 구성된다.
보통 선체가 수면과 접하며 부력을 확보하고, 추진부가 작동하면서 보트에 추진력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보트가 수면 위를 항해하게 된다.
보트는 항해 또는 정박 과정에서 파도의 파고 차 및 다른 보트와의 충돌 등에 의해 보트 및 탑승자에게 충격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탑승자는 충격을 받아 부상을 입거나 보트 바깥으로 떨어져 물에 빠지는 등 안전에 관련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보트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이중선체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선체보트는, 추진부가 연결되며 수면에 잠겨 부력을 발생시키는 제1 선체, 상기 제1 선체와 이격되어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선체 내부에 위치하는 탑승부와 장치부를 가지며, 상기 장치부에는 에어유입홀이 형성된 제2 선체 및 상기 제2 선체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며 상기 완충공간에 위치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에어유입홀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완충부재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가지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 선체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완충부재 및 양단이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선체의 장치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유입홀 하부를 감싸며 상기 탑승부 하부로 연결되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제2 선체의 선수부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커지고, 상기 제1 선체를 향해 형성된 복수개의 에어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체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선체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 단부에서 상기 포스트를 관통하여 양단으로 형성되는 제1 완충부와 상기 제1 선체에 연결되어 제1 완충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완충부로 이루어지는 완충부를 가지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에어유입홀 주변에 연결된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 측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홀 주변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에어유입홀로 유도하되, 상기 에어유입홀 주변으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선체보트는, 보트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선체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선체보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선체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선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선체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중선체보트(100)는 제1 선체(10), 제2 선체(20)및 충격흡수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체(10)는 이중선체보트(100)의 하면에 위치하여 수면과 직접적으로 접하며 이중선체보트(100) 전체가 수면에서 부양하도록 부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선체(10)는 하부에 이중선체보트(100) 추진을 위한 추진부(12)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진부(12)는 프로펠러와 타로 이뤄질 수 있다. 프로펠러를 통해 보트의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타를 이용하여 보트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추진부(12)는 제2 선체(20) 상면에 연결된 조향부(2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선체(20)는 탑승부(21)와 장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선체(20)는 제1 선체(10)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선체(10)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선체(20)는 제1 선체(10) 내측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선체(20)는 제1 선체(10)와 이탈방지부(5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탑승부(21)는 제2 선체(20) 장치부(22)에서 선수부까지 형성된다. 탑승부(21)는 장치부(22)보다 낮게 형성된다. 즉, 탑승부(21)는 장치부(22)보다 제1 선체(10) 내측 바닥에 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탑승부(21)는 조향부(24) 및 이탈방지부(50)가 연결되며, 이중선체보트(100)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탑승의자가 설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50)는 제2 선체(20) 장치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장치부(22)에는 에어유입홀(2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유입홀(22a)은 이중선체보트(100)의 좌현과 우현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일 수 있다. 에어유입홀(22a)은 장치부(22)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충격흡수부(50)의 에어공급부(40)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어 완충부재(30)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충격흡수부(50)는 에어공급부(40)와 완충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공급부(40)는 송풍기(41)와 에어가이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2)는 에어유입홀(22a) 주변으로 형성되며, 송풍기(41)로부터 발생되고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유입홀(22a)로 유도하여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가이드(42)는 송풍기(41)로부터 발생되는 에어 외에 주변의 에어가 에어유입홀(22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2)를 통해 에어유입홀(22a) 주변의 에어 압력을 에어가이드(42) 외부의 공기 압력보다 크게 형성하여 에어가 보다 용이하게 에어유입홀(22a)로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완충부재(30)는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30)는 제2 선체(20) 둘레를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30)는 제1 선체(10)의 테두리부(21b)와 제2 선체(20) 테두리부(21b)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가 맞닿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선체(10)에 전달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이 제2 선체(20)에 도달하지 않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선체(20)의 테두리부(21b) 단부는 제1 선체(10) 테두리부(21b) 단부와 같은 레벨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체(20) 테두리부(21b) 단부는 제1 선체(1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21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30)는 돌출부(21a) 하단에 형성되어 제2 선체(20) 하부까지 이어질 수 있다. 완충부재(30)는 돌출부(21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완충부재(30)의 내구성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완충부재(30)는 에어유입홀(22a)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주입되어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공급부(40)에서 발생된 에어가 에어유입홀(22a)을 통해 완충부재(30)로 에어가 주입되며, 에어 주입량을 조절하여 완충부재(30)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속으로 주행하거나 파고가 높을 경우, 보다 많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완충부재(30)에 보다 많은량의 에어를 주입하여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에어가 필요이상 많을 경우에는,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 사이에서 보다 큰 충격을 흡수할 수는 있으나, 제2 선체(20)가 제1 선체(10)에 대해 롤링이 발생되어 뱃멀미 등에 의해 승차감이 매우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30)의 에어 충전량은 송풍기(4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선체보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2 선체(20)는 제1 선체(10)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선체(10) 내측바닥과 이격되어 있다.
완충부재(30)는 제1 완충부재(30)와 제2 완충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재(30)는 스티렌 - 부타디엔 고무(SBR) 및 아크릴로니트릴 - 부타디엔 고무(NBR) 등 합성 고무나 생고무와 같은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탄성사 및 이들의 혼성물질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완충부재는 스티렌 - 부타디엔 고무(SBR) 일 수 있다.
제1 완충부재(30)는 제2 선체(20) 양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체(20)의 선수부는 수면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수면을 가르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되므로, 제1 완충부재(30)는 제2 선체(20) 선수부에서 연결된다.
제2 완충부재(30)는 제2 선체(20) 장치부(22)에 위치하게 되며, 장치부(22)에 형성된 에어유입홀(22a)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완충부재(30)는 제2 선체(20) 장치부(22) 단부에서 연결되어 제2 선체(20) 바닥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완충부재(30) 양단으로 제1 완충부재(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유입홀(22a)을 통해 유입된 에어는 제2 완충부재(30)를 통해 제1 완충부재(3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30) 및 제2 완충부재(30)는 에어의 주입으로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 사이의 완충공간(15)에 완충부재(30)로 채울 수 있다.
제2 선체(20)의 탑승부(21)에는 가이드홀(21a)이 형성된다. 가이드홀(21a)은 조향부(24) 및 에어공급부(40)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홀(21a)에는 이탈방지부(50)의 포스트(51)가 관통하여 연결된다. 이탈방지부(50)에 의해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제2 선체(20)는 제1 선체(10)에 대해 좌우로 이동이 구속되고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탈방지부(50)는 포스트(51)와 완충부(52, 53)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51)의 일단은 제1 선체(10) 내측바닥과 연결되며, 타단은 제2 선체(20)의 가이드홀(21a)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완충부(52, 53)는 제1 완충부(52)와 제2 완충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52)는 포스트(51)를 관통하여 포스트(51) 양단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완충부(52)는 핀(52a)과 고정부(52b)로 이뤄질 수 있다. 핀(52a)은 포스트(51)를 관통하고 핀(52a)의 양단에 고정부(52b)가 결합된다.
고정부(52b)는 원형으로 이뤄지며 표면은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52b)는 내측에 발광다이오드(52c) 또는 충격센서(52d)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재질은 투명할 수 있다. 고정부(52b) 내측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52c)는 고정부에 전달된 충격에 의해 발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격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2b) 내측에 위치하는 충격센서(52d)는 고정부(52b)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에어공급부(40)에 전달할 수 있다. 충격센서(52d)로부터 전달된 충격량에 따라 에어공급부(40)의 에어공급량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격이 클 경우,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 사이의 거리는 최대로 이격되어 있고, 순간적으로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 사이의 거리가 벌어졌으므로, 이중선체보트(100)가 수면에 안착될 때 탑승자에게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충격센서(52d)에 의해 측정된 충격량이 클 경우, 에어공급부(40)는 보다 많은 에어를 생성하여 에어유입홀(22a)에 주입시키게 된다.
제2 완충부(53)는 제2 선체(20) 탑승부(21)에 설치된다. 제2 완충부(53)는 포스트(51) 주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완충부(53)는 제1 완충부(52)와의 충돌하며 충격을 흡수할 분 아니라, 제2 선체(20)가 롤링 또는 파고에 의해 제1 선체(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완충부(53)는 롤러(53a)와 롤러핀(53b) 및 롤러핀(53b) 양단에 연결되어 탑승부(21)에 연결되는 가이드(53c)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53a)는 제1 완충부(52)의 고정부(52b)와 충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속 주행하는 이중선체보트(100)는 파도에 의해 공중에 떠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는 중량의 차이로, 제1 선체(10) 내측 바닥과 제2 선체(20) 바닥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완충부(52)의 고정부(52b)가 제2 완충부(53)의 롤러(53a)와 부딪히며 제2 선체(20)가 제1 선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52b) 내측에 위치하는 발광다이오드(52c)는 발광할 수 있다.
에어공급부(40)는 송풍기(41)와 에어가이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41)는 에어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 시로코팬 또는 프로펠러일 수 있다. 송풍기(41)는 이탈방지부(50)와 연결되어 이탈방지부(50) 고정부(52b)를 통해 측정된 충격량에 따라 에어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42)는 송풍기(41) 측면과 에어유입홀(22a) 주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42)를 통해 송풍기(41)로부터 발생된 에어와 에어가이드(42) 주변 공기를 나눌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가이드(42)는 송풍기(41)로부터 발생된 에어를 에어유입홀(22a)로 유입하며, 에어가이드(42) 주변공기가 에어유입홀(22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42) 내부의 공기압은 에어가이드(42) 외부의 공기압보다 높게 형성되어 에어유입홀(22a)로 주입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선체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 선체(20)는 탑승부(21)와 장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부(21)는 바닥과 바닥을 따라 형성된 테두리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부(21) 바닥은 장치부(2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치부(22)는 탑승부(21) 테두리부(21b)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부(22)는 탑승부(21) 바닥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2 완충부재(30)는 장치부(22) 단부에 연결되어 제2 선체(20) 바닥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유입홀(22a)로 공기가 유입되면, 제2 완충부재(30)는 제1 선체(10) 선미부를 향해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완충부재(30) 양단으로 제1 완충부재(30)가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완충부재(30)로 유입된 에어는 제2 완충부재(30) 양단으로 이동되어 제1 완충부재(30)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완충부재(30)의 부피는 증대된다.
제1 완충부재(30)는 제2 선체(20) 측면에 연결되며 제2 선체(20)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제1 완충부재(30)에는 복수개의 배출홀(31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는 이중선체보트(100)가 공중에 뜬 뒤 수면에 부딪힐 때 강한 충격이 전해진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30)에 형성된 배출홀(31a)로 완충부재(30) 내부의 충진된 에어를 배출하여 부피를 줄이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완충부재(30)에 배출홀(31a)이 없는 경우, 완충부재(30)의 탄성에 의해 충격이 흡수할 수 있다. 다만, 충격력이 완충부재(30) 탄성력보다 클 경우, 탑승자에게 충격이 전달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홀(31a)을 제1 완충부재(30) 측면에 형성하여, 완충부재(30)에 충진되어 있는 에어를 배출해가면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출홀(31a)은 제2 선체(20)의 중앙에서 제2 선체(20)의 선수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장치부(22)에는 강한 압력으로 에어가 유입되므로, 장치부(22)에 배출홀(31a)이 형성될 경우, 에어가 선수부까지 공급되기 전에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홀(31a)의 위치를 제2 선체(20)의 중앙에서부터 제2 선체(20)의 선수부로 형성하여 에어를 제1 완충부재(30) 전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출홀(31a)의 크기는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수부로 가까울수록 배출홀(31a)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선체(20)의 선수부에는 양측면에 연결된 제1 완충부재(30)가 연결되므로 보다 많은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배출홀(31a)의 크기를 보다 크게 형성하여 제2 선체(20)의 선수부가 제1 선체(10)의 선수부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 선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탈방지부(5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선체(10)는 보다 큰 부력을 위해 바닥이 수면을 향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선체(20)는 탑승부(21) 바닥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 사이에 형성된 완충공간(15)에는 완충부재(30)가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30)는 제1 선체(10) 테두리부(21b)와 제2 선체(20) 테두리부(21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공급부(40)의 에어 공급으로 인해 완충부재(30)의 부피는 증가하게 되어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 사이는 이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선체(10) 바닥과 제2 선체(20) 바닥 사이에 완충부재(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선체(20)와 제1 완충부(52) 사이에 에어파이프(27)가 위치할 수 있다. 에어파이프(27)는 제2 선체(20)의 측면을 따라 연결되고, 제1 완충부재(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파이프(27)에는 홀(27a)이 형성되고, 에어는 홀을 통해 제1 완충부재(30)로 공급될 수 있다. 에어파이프(27)는 제2 선체(20)의 에어유입홀(22a)까지 이어질 수 있다. 에어유입홀(22a)에는 에어챔버(28)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에어파이프(27)는 에어챔버(28)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제2 선체(20) 둘레에 에어를 보다 빠르게 공급할 수 있다. 에어파이프(27)는 에어챔버(28)와 제2 완충부재(30) 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에어가이드(42)는 복수의 날개(43)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43)는 에어가이드(4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에어가이드(42)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날개(43)는 만곡지게 형성되고, 에어가이드(42) 내측에서 상하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기(41)에서 전송되는 에어를 에어유입홀(22a)로 보다 빠르게 유도하고, 에어가 주입될수록 커지는 부압을 견뎌낼 수 있다. 다른예로, 날개(43)는 송풍기(41) 양측으로 형성되고, 에어가이드(42)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개(43)에는 날개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돌출부는 에어유입홀(22a)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이중선체보트: 100 제1 선체: 10
추진부: 12 조향부: 24
제2 선체: 20 장치부: 22
테두리부: 21b 돌출부: 21a
탑승부: 21 에어유입홀: 22a
충격흡수부: 50 에어공급부: 40
송풍기:42 에어가이드: 41
날개: 43 에어파이프; 27
에어챔버: 28 완충부재: 30
제1 완충부재: 31 배출홀: 31a
제2 완충부재: 32 완충공간: 15
이탈방지부: 50 포스트: 51
제1 완충부: 52 제2 완충부: 53
핀: 52a 고정부: 52b
발광다이오드: 52c 충격센서: 52d
롤러: 53a 롤러핀: 53b
가이드: 53c

Claims (5)

  1. 추진부가 연결되며 수면에 잠겨 부력을 발생시키는 제1 선체;
    상기 제1 선체와 이격되어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선체 내부에 위치하는 탑승부와 장치부를 가지며, 상기 장치부에는 에어유입홀이 형성된 제2 선체;
    상기 제2 선체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며 상기 완충공간에 위치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에어유입홀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완충부재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가지는 충격흡수부; 및
    상기 제1 선체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선체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 단부에서 상기 포스트를 관통하여 양단으로 형성되는 제1 완충부와 상기 제2 선체의 상기 탑승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완충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완충부로 이루어지는 완충부를 가지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이중선체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 선체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완충부재; 및
    양단이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선체의 장치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유입홀 하부를 감싸며 상기 탑승부 하부로 연결되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이중선체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제2 선체의 선수부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커지고, 상기 제1 선체를 향해 형성된 복수개의 에어배출홀을 포함하는 이중선체보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에어유입홀 주변에 연결된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 측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홀 주변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에어유입홀로 유도하되, 상기 에어유입홀 주변으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이중선체보트.
KR1020180056228A 2018-05-16 2018-05-16 이중선체보트 KR10198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228A KR101989279B1 (ko) 2018-05-16 2018-05-16 이중선체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228A KR101989279B1 (ko) 2018-05-16 2018-05-16 이중선체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279B1 true KR101989279B1 (ko) 2019-06-13

Family

ID=6684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228A KR101989279B1 (ko) 2018-05-16 2018-05-16 이중선체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5282A1 (it) * 2022-03-17 2022-06-17 Mv Marine Srl Unita’ da diporto ammortizzata
CN114987712A (zh) * 2022-06-29 2022-09-02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用于伞降快艇的抗冲击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866A (ko) * 2004-06-02 2005-12-07 김용경 튜브를 이용한 자동 밸러스트 시스템이 내장된 선박
KR20110132730A (ko) * 2010-06-03 2011-12-09 홍재덕 충격에 대한 보호장치를 갖는 선박
KR20120064007A (ko) * 2011-06-02 2012-06-1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선박용 충격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안 방법
KR20160117981A (ko) * 2015-04-01 2016-10-11 주식회사 아이런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866A (ko) * 2004-06-02 2005-12-07 김용경 튜브를 이용한 자동 밸러스트 시스템이 내장된 선박
KR20110132730A (ko) * 2010-06-03 2011-12-09 홍재덕 충격에 대한 보호장치를 갖는 선박
KR20120064007A (ko) * 2011-06-02 2012-06-18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선박용 충격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안 방법
KR20160117981A (ko) * 2015-04-01 2016-10-11 주식회사 아이런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5282A1 (it) * 2022-03-17 2022-06-17 Mv Marine Srl Unita’ da diporto ammortizzata
CN114987712A (zh) * 2022-06-29 2022-09-02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用于伞降快艇的抗冲击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279B1 (ko) 이중선체보트
US8905800B2 (en) Inlet grate for a water jet propulsion system
US20090224132A1 (en) Boat body and boat including the same
KR101008105B1 (ko) 수륙양용보트
KR20160128181A (ko) 공기분출 슬릿의 개폐구조를 갖는 선저 돌출형 공기 윤활 장치
EP3160835B1 (en) Semi-rigid inflatable watercraft
CN106364639A (zh) 一种全垫升气垫船
US2450665A (en) Concave hydroplane hull
KR200459901Y1 (ko) 선박용 완충의자
US3416171A (en) Surf-boat with air-floats
ES2255496T3 (es) Embarcacion con quilla deslizable y de absorcion de impactos.
KR101858183B1 (ko) 마찰저항 감소를 위한 공기부양정의 선미부 스커트 구조
KR20110107688A (ko) 선박의 의자 완충장치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KR200488294Y1 (ko) 선형 구조의 모터 구동 보트
KR100921820B1 (ko) 선박의 주행 안정화 장치
KR20160086565A (ko) 추진저항 감소 선박
RU2776363C1 (ru) Надувная аэролодка-амфибия
RU2260530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динамической воздушной подушке
KR101790434B1 (ko) 물 튀김 방지 구조의 보트
JP7446026B1 (ja) レース艇
US10252776B2 (en) Multi axis suspension vessel
US20090107378A1 (en) Personal watercraft supension arrangement
US1374150A (en) Aircraft
KR102541780B1 (ko) 선박 추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